맨위로가기

도르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르가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여성으로, 아람어로는 타비타, 그리스어로는 도르가스라고 불리며, 히브리어 이름은 치비아이다. 욥바에 살면서 선행과 자선 행위를 하여 기독교 공동체에서 사랑받았으며, 사도 베드로에 의해 죽음에서 부활하는 기적을 겪었다. 도르가는 여러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에서 묘사되었으며, 기독교 여러 교파에서 기념되고 있다.

2. 이름의 의미와 유래

도르가의 이름은 유대교식 이름인 아람어 타비타(Tabitha)와 그리스식 이름인 도르가스(Dorcas) 모두 '가젤(gazelle, 영양의 일종)'을 의미한다.[1][6] 히브리어로는 치비아(Zibiah)(츠비아(Tsibiah))라고도 하며, 유다 왕 요아스의 어머니가 사용한 이름이다.[7]

사도행전 9장 36절의 ''διερμηνεύω''(diermēneuō)는 "완전히 해석하다, 설명하다"를 의미하며, "''해석하면''"으로 번역된다. 문맥상 "''타비타는 도르가스를 의미한다''" (즉, '가젤')로 이어진다.[9][10]

2. 1. 아람어 이름 '타비타'

타비타(Tabitha)는 아람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가젤(gazelle, 영양의 일종)'을 의미한다.[6] 히브리어로는 치비아(Zibiah) 또는 츠비아(Tsibiah)라고 하며, 유다 왕 요아스의 어머니가 사용한 이름이다.[7] 어떤 사람들은 타비타가 시리아 아람어 이름의 그리스어 변형을 사용한 이유를, 그녀가 많은 주민과 방문객들이 주로 그리스어로 소통하는 항구 도시에 살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7]

2. 2. 그리스어 이름 '도르가'

도르가(Dorcas)는 타비타의 그리스어 번역으로, '가젤(gazelle, 영양의 일종)'을 의미한다.[6]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이름은 치비아(Zibiah)이며, 츠비아(Tsibiah)라고도 표기한다. 유다 왕 요아스의 어머니가 이 이름을 사용했다.[7] 어떤 사람들은 타비타가 시리아 아람어 이름의 그리스어 변형을 사용한 이유를, 그녀가 많은 주민과 방문객들이 주로 그리스어로 소통하는 항구 도시에 살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7] 도르가스는 당시 유대인과 그리스인 모두에게 흔한 이름이었다.[1] 오늘날, 한 종의 가젤의 학명은 ''Gazella dorcas'', 즉 도르카스 가젤이다.[8]

사도행전 9장 36절에 사용된 그리스어 동사는 ''διερμηνεύω''이며, 로마자 표기로는 diermēneuō로, "완전히 해석하다, 설명하다"를 의미한다. 이 구절에서는 "''해석하면''"으로 번역되었으며, 이는 문맥상 문자적 의미인 "''타비타는 도르가스를 의미한다''" (즉, '가젤')로 이어진다.[9][10]

2. 3. 히브리어 이름 '치비아'

히브리어 이름 치비아(Zibiah)(츠비아(Tsibiah)라고도 표기)는 유다 왕 요아스의 어머니가 사용한 이름이며,[7] 도르가에 해당하는 이름이다.[6][7]

2. 4. 이름 사용의 배경

도르가의 유대교식 이름은 아람어로 타비타(Tabitha)이며, 그리스식 이름인 도르가스(Dorcas)는 모두 [여성] '가젤(gazelle, 영양의 일종)'을 의미한다.[1][6]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이름은 치비아(Zibiah) (츠비아(Tsibiah)라고도 표기)이며, 유다 왕 요아스의 어머니가 사용한 이름이다.[7]

타비타가 시리아 아람어 이름의 그리스어 변형을 사용한 이유는, 그녀가 살던 항구 도시의 많은 주민과 방문객들이 주로 그리스어로 소통했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7] 도르가스는 당시 유대인과 그리스인 모두에게 흔한 이름이었다.[1] 오늘날, 도르카스 가젤(''Gazella dorcas'')은 가젤의 한 종이다.[8]

사도행전 9장 36절에 사용된 그리스어 동사 ''διερμηνεύω''(diermēneuō)는 "완전히 해석하다, 설명하다"를 의미하며, 이 구절에서는 "''해석하면''"으로 번역되었으며, 문맥상 "''타비타는 도르가스를 의미한다''" (즉, '가젤')로 이어진다.[9][10]

3. 공동체 내에서의 위치

사도행전의 기록과 당시 사회적 배경을 통해 도르가가 욥바의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그리고 그녀의 사회적 역할과 영향력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도르가는 공동체 내에서 사랑받는 인물이었으며, 베드로가 그녀를 찾아간 것을 보면 그 영향력 또한 컸음을 알 수 있다.

도르가가 가난했는지, 과부였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1] 하지만 당시 로마법에 따르면 여성이 재산을 상속받고 관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도르가가 부유한 후원자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렇다면, 그녀는 옷을 구매하는 대신 직접 만들어 입는 겸손한 모습을 보였을 것이다.

3. 1. 사랑받는 인물

사도행전은 도르가가 욥바, 특히 기독교 공동체에서 사랑받았고, 암묵적으로 그 안에서 두드러진 인물이라고 묘사한다.[11][7] 이는 베드로가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인근 도시에서 일부러 그녀를 찾아갔다는 사실로도 알 수 있다.

3. 2. 과부 여부에 대한 불분명성

도르가가 가난했는지, 과부였는지는 불분명하다.[11] 사도행전은 도르가를 욥바의 기독교 공동체에서 사랑받는 인물로 묘사하며, 암묵적으로 그 공동체 안에서 두드러진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11][7] 이는 베드로가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인근 도시에서 일부러 그녀를 찾아갔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근대 초기 서구 사회에서 과부라는 신분은 가난 및 의존성과 연관되었지만, 도르가의 경우는 반드시 그렇지 않았을 수도 있다. 성경은 가난한 과부와 부유한 과부, 권력 있는 과부와 의존적인 과부 등 다양한 과부들을 묘사한다. 당시 로마법에 따르면, 여성은 아버지 사망 시 법적으로 독립하게 되며, 관례적으로 형제자매들과 동등하게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여성은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이 재산을 직접 관리했다. 남편이 사망하면, 결혼 기간 동안 남편이 관리하거나 투자했을 지참금도 되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은 남편 사망 시 오히려 더 부유해질 수도 있었다.[12] 도르가가 막달라 마리아처럼 부유한 후원자였다면, 옷을 단순히 구매하기보다는 겸손하게 직접 바느질했을 것이다.

3. 3. 사회적 지위와 재산

도르가가 가난했는지 과부였는지는 불분명하다.[11] 당시 로마법에 따르면, 여성은 아버지 사망 시 법적으로 독립하며, 관례적으로 형제자매들과 동등한 비율로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이 재산을 직접 관리했으며, 남편 사망 시에는 결혼 기간 동안 남편이 관리했을 지참금을 되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은 남편 사망으로 더 부유해질 수 있었다.[12] 막달라 마리아처럼 도르가가 부유한 후원자였다면, 옷을 단순히 구매하기보다는 겸손하게 직접 바느질했을 것이다.

3. 4. 부유한 후원자 가능성

도르가가 가난했는지, 과부였는지는 불분명하다.[11] 사도행전은 도르가를 욥바의 기독교 공동체에서, 특히 사랑받았고 암묵적으로 그 안에서 두드러진 인물이라고 묘사한다.[11][7] 이는 베드로가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인근 도시에서 일부러 그녀를 찾아갔다는 사실로도 알 수 있다.

근대 초기 서구 사회에서 과부 신분은 가난 및 의존성과 연관되었지만, 도르가의 경우에는 반드시 그렇지 않았다. 성경은 가난한 과부와 부유한 과부, 권력 있는 과부와 의존적인 과부 등 다양한 과부들을 묘사한다. 이 시대 로마법에 따르면, 여성은 아버지 사망 시 법적으로 독립하게 되며, 관례적으로 형제자매들과 동등한 비율로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그녀는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이 재산을 직접 관리했다. 남편이 사망하면, 그녀는 결혼 기간 동안 남편이 관리하고 어쩌면 관리하거나 투자했을 지참금도 되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은 남편 사망 시 실제로 더 부유해질 수 있었다.[12] 막달라 마리아처럼 도르가가 부유한 후원자였다면, 옷을 단순히 사는 것보다는 겸손하게 직접 바느질했을 것이다.

4. 죽음과 매장지

신약성경에 따르면, 다비다는 욥바에서 사망했으며 성 베드로에 의해 부활했다. 그녀가 부활한 것으로 알려진 집은 현재 텔아비브-야파에서 방문할 수 있다. 다비다가 두 번째로 사망했을 때, 그녀는 야파에 있는 동방 정교회 정원에 묻혔으며, 그곳에서 그녀의 무덤을 여전히 방문할 수 있다.[13][14]

4. 1. 욥바에서의 죽음

신약성경에 따르면, 다비다는 가죽 제조업자 시몬의 집, 욥바에서 사망했다.[13][14]

4. 2. 베드로의 기적과 부활

신약성경에 따르면, 다비다는 욥바에서 가죽 제조업자 시몬의 집에서 사망했다. 성 베드로가 그녀를 부활시킨 것으로 알려진 집은 현재 텔아비브-야파에서 방문할 수 있다. 다비다가 두 번째로 사망했을 때, 그녀는 야파에 있는 동방 정교회 정원에 묻혔으며, 그곳에서 그녀의 무덤을 여전히 방문할 수 있다.[13][14]

4. 3. 야파의 무덤

신약성경에 따르면, 다비다는 가죽 제조업자 시몬의 집, 욥바에서 사망했다. 성 베드로에 의해 부활한 것으로 알려진 집은 현재 텔아비브-야파에서 방문할 수 있다. 그녀가 두 번째로 사망했을 때, 현재 야파에 있는 동방 정교회 정원에 묻혔으며, 그곳에서 그녀의 무덤을 여전히 방문할 수 있다.[13][14]

5. 기독교 전통에서의 도르가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의 1425년 작품 ''다리의 병자를 고치고 도르가를 살림''의 세부 묘사


웨스트요크셔주 미돌므르와이드의 성 미카엘 교구 교회에 있는 도르가 창문


카이사레아의 바실은 그의 저서 ''도덕'' (규칙 74)에서 "충분히 건강한 과부는 열정과 배려의 일에 헌신하며, 사도의 말씀과 도르가의 본보기를 기억해야 한다"라며 도르가를 도덕적 모범으로 언급했다.[15] 로버트 헤릭 ("과부의 눈물: 또는 도르가의 비가")과 조지 맥도널드 ("도르가")의 시에서도 도르가가 기념된다.

5. 1. 도덕적 모범

카이사레아의 바실은 그의 저서 ''도덕'' (규칙 74)에서 "충분히 건강한 과부는 열정과 배려의 일에 헌신하며, 사도의 말씀과 도르가의 본보기를 기억해야 한다"라며 도르가를 도덕적 모범으로 언급했다.[15]

5. 2. 문학 작품 속 도르가

카이사레아의 바실은 그의 저서 ''도덕'' (규칙 74)에서 "충분히 건강한 과부는 열정과 배려의 일에 헌신하며, 사도의 말씀과 도르가의 본보기를 기억해야 한다."라며 도르가를 예시로 언급한다.[15] 그녀는 로버트 헤릭의 시 "과부의 눈물: 또는 도르가의 비가"와 조지 맥도널드의 시 "도르가"에서도 기념된다.

5. 3. 축일과 기념

카이사레아의 바실은 그의 저서 ''도덕''(규칙 74)에서 "충분히 건강한 과부는 열정과 배려의 일에 헌신하며, 사도의 말씀과 도르가의 본보기를 기억해야 한다"라며 도르가를 예시로 언급했다.[15] 그녀는 로버트 헤릭 ("과부의 눈물: 또는 도르가의 비가")과 조지 맥도널드 ("도르가")의 시에서도 기념된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의류를 제공하는 도르가스 협회는 도르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7]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월 25일을 도르가 기념일로 지정했다.[5]

5. 3. 1. 가톨릭교회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의 1425년 작품 ''다리의 병자를 고치고 도르가를 살림''에는 도르가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5]

일부 자료에서는 가톨릭교회가 성 타비타를 10월 25일에 기념한다고 하지만,[16] 최신 공식판 ''로마 순교록''에는 그 날 또는 다른 날에 도르가 또는 타비타를 기념한다는 언급이 없다.[17]

5. 3. 2.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사도 베드로에 의해 죽음에서 부활한 과부 성녀 타비타를 10월 25일에 기념한다.[18]

5. 3. 3. 루터교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1월 27일에 루디아, 페베와 함께 도르가를 공동 기념한다.[19] 이는 성 바울의 개종 축일 다음으로 기억되는 남성 선교사들 바로 다음이다. 하지만 루터교 미주리 시노드(LCMS)는 10월 25일에 이 세 명의 신실한 여성을 기념한다.[5][20]

5. 3. 4. 성공회



2022년, 도르가는 성공회 전례력에 10월 25일을 축일로 하여 공식적으로 추가되었다.[21]

5. 4. 도르가 협회



도르가의 이름을 따서 지은 도르가 협회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의류를 제공하는 자선 단체이다.[7]

6. 예술 작품 속 도르가

도르가의 예술 묘사는 4세기 초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그녀의 부활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성 베드로의 생애를 묘사한 삽화에 자주 포함된다.[22][23] 도르가의 자선 행위는 스테인드글라스 교회 창문의 흔한 주제였다. 진 울프의 소설 "새로운 해의 책"에는 도르가와 같은 이름을 공유하는 캐릭터가 언급된다.

6. 1. 초기 묘사

도르가의 예술 묘사는 4세기 초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그녀의 부활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성 베드로의 생애를 묘사한 삽화에 자주 포함된다.[22][23]

도르가의 자선 행위는 스테인드글라스 교회 창문의 흔한 주제이다. 그녀는 바스 크라이스트 교회의 앱스, 케버샴 성 베드로 교회의 남쪽, 체더 성 안드레 교회, 캘버리 성공회 교회 (피츠버그)의 성구실, 시카고 제일 장로교회, 카디프 랜드페 대성당, 브리지노스 성 레너드 교회, 데르비셔의 캐슬턴, 에식스의 캐슬 헤딩엄의 성 니콜라스 교회 북쪽, 웨스트 요크셔 미솔므로이드의 성 미카엘 교회 레이디 채플, 북 런던 소매 신탁 본사 오리엘 창문, 모턴햄스테드 성 안드레 교회 창문, 신더퍼드 성 요한 복음사가 교회 창문에 묘사되어 있다.

더블린 성 패트릭 대성당의 레이디 채플에는 "이 도르가는 선행과 자선 행위가 많았다"는 문구가 적힌 창문이 있다. 미주리주 세인트 조셉의 크라이스트 교회는 남쪽에 있는 눈에 띄는 본당 창문(1885)에 그녀가 파란 천을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다.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의 그레이스 & 홀리 트리니티 성공회 교회는 1890년경 독일에서 제작된 창문에 그녀를 묘사했다.[24]

도르가와 백인대장 코르넬리우스는 뉴 사우스 웨일스주 로슨의 엠마누엘 성공회 교회의 제단 위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묘사되어 있다. 헤리퍼드셔 웨스턴 언더 페냐드의 성 로렌스 교회에서는 1854년부터 1912년까지 교구 사제였던 에드워드 버뎃 호크쇼와 그의 아내 캐서린을 기리는 한 쌍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사도 바울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교회 근처의 사진은 그의 모습이 성 바울의 얼굴로, 도르가는 호크쇼 부인의 얼굴로 묘사되었음을 보여준다).

6. 2. 스테인드글라스

도르가의 자선 행위는 스테인드글라스 교회 창문의 흔한 주제이다. 다음은 도르가가 묘사된 스테인드글라스의 예시이다.

  • 바스 크라이스트 교회의 앱스
  • 케버샴 성 베드로 교회 남쪽
  • 체더 성 안드레 교회
  • 캘버리 성공회 교회 (피츠버그) 성구실
  • 시카고 제일 장로교회
  • 카디프 랜드페 대성당
  • 브리지노스 성 레너드 교회
  • 데르비셔 캐슬턴
  • 에식스 캐슬 헤딩엄 성 니콜라스 교회 북쪽
  • 웨스트 요크셔 미솔므로이드 성 미카엘 교회 레이디 채플
  • 북 런던 소매 신탁 본사 오리엘 창문
  • 모턴햄스테드 성 안드레 교회 창문
  • 신더퍼드 성 요한 복음사가 교회 창문[24]


더블린 성 패트릭 대성당 레이디 채플에는 "이 도르가는 선행과 자선 행위가 많았다"는 문구가 적힌 창문이 있다. 미주리주 세인트 조셉 크라이스트 교회는 남쪽에 있는 눈에 띄는 본당 창문(1885)에 파란 천을 들고 있는 도르가를 묘사한다.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그레이스 & 홀리 트리니티 성공회 교회는 1890년경 독일에서 제작된 창문에 도르가를 묘사했다.[24]

도르가와 백인대장 코르넬리우스는 뉴 사우스 웨일스주 로슨 엠마누엘 성공회 교회 제단 위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묘사되어 있다. 헤리퍼드셔 웨스턴 언더 페냐드 성 로렌스 교회에서는 1854년부터 1912년까지 교구 사제였던 에드워드 버뎃 호크쇼와 그의 아내 캐서린을 기리는 한 쌍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사도 바울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교회 근처 사진은 성 바울의 얼굴이 호크쇼, 도르가의 얼굴이 호크쇼 부인으로 묘사되었음을 보여준다).

6. 3. 기타 작품

도르가의 예술 묘사는 4세기 초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성 베드로의 생애를 묘사한 삽화에 그녀의 부활이 자주 포함된다.[22][23]

도르가의 자선 행위는 스테인드글라스 교회 창문의 흔한 주제이다. 도르가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묘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바스 크라이스트 교회의 앱스
  • 케버샴 성 베드로 교회 남쪽
  • 체더 성 안드레 교회
  • 캘버리 성공회 교회 (피츠버그) 성구실
  • 시카고 제일 장로교회
  • 카디프 랜드페 대성당
  • 브리지노스 성 레너드 교회
  • 데르비셔 캐슬턴
  • 에식스 캐슬 헤딩엄 성 니콜라스 교회 북쪽
  • 웨스트 요크셔 미솔므로이드 성 미카엘 교회 레이디 채플
  • 북런던 소매 신탁 본사 오리엘 창문
  • 모턴햄스테드 성 안드레 교회 창문
  • 신더퍼드 성 요한 복음사가 교회 창문


더블린 성 패트릭 대성당 레이디 채플에는 "이 도르가는 선행과 자선 행위가 많았다"는 문구가 적힌 창문이 있다. 미주리주 세인트 조셉 크라이스트 교회 남쪽에 있는 눈에 띄는 본당 창문(1885)에는 파란 천을 들고 있는 도르가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그레이스 & 홀리 트리니티 성공회 교회는 1890년경 독일에서 제작된 창문에 도르가를 묘사했다.[24]

뉴 사우스 웨일스주 로슨 엠마누엘 성공회 교회 제단 위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는 도르가와 백인대장 코르넬리우스가 묘사되어 있다. 헤리퍼드셔 웨스턴 언더 페냐드 성 로렌스 교회에는 1854년부터 1912년까지 교구 사제였던 에드워드 버뎃 호크쇼와 그의 아내 캐서린을 기리는 한 쌍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사도 바울과 함께 도르가가 묘사되어 있다 (교회 근처 사진을 보면 성 바울의 얼굴은 호크쇼, 도르가의 얼굴은 호크쇼 부인의 얼굴로 묘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진 울프의 "새로운 해의 책"에는 도르가와 같은 이름을 공유하는 캐릭터가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2021-08-31
[2] 서적 Women of the Bible: 52 Bible studies for individuals and groups https://archive.org/[...] Zondervan
[3] 서적 Acts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4] 서적 Holman New Testament Commentary - Acts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5] 서적 The new book of festivals and commemorations: a proposed common calendar of saints Fortress Press
[6] 웹사이트 Strong's Concordance: Dorkas https://biblehub.com[...] 2019-05-11
[7] 서적 All the women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Zondervan
[8] 서적 Endangered wildlife and of the world Marshall Cavendish
[9] 서적 Vine's Complete Expository Dictionary of Old and New Testament Words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publisher)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31
[10] 웹사이트 diermēneuō https://www.bibletoo[...]
[11]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12] 웹사이트 Widows in the New Testament Period | Bible Interp https://bibleinterp.[...]
[13] 웹사이트 Saint Tabitha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dannythedigg[...] 2021-04-18
[14] 간행물 Conrad Schick‘s PEQ article http://dx.doi.org/10[...]
[15] 서적 Ascetical Works https://books.google[...] CUA Press
[16] 서적 Dictionary of Patron Saints' Names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17] 문서 Martyrologium Romanum, ex decreto sacrosancti oecumenici Concilii Vaticani II instauratum auctoritate Ioannis Pauli Pp. II promulgatum, editio [typica] altera, Typis Vaticanis, A.D. MMIV
[18] 웹사이트 Commemoration of St. Tabitha the Widow https://oca.org/sain[...] 2018-10-07
[19] 웹사이트 Lydia, Dorcas, and Phoebe; Helpers of the Apostles (January 27) https://thenalc.org/[...] North American Lutheran Church
[20] 서적 Lutheranism 101 Concordia Publishing House
[21] 웹사이트 General Convention Virtual Binder https://www.vbinder.[...] 2022-07-22
[22] 서적 Medieval Art: A Top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3] 서적 Renaissance Art: A Top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ABC-CLIO
[24] 웹사이트 Grace & Holy Trinity Church: The Dorcas Window http://www.ghtc.org/[...] 2013-10-27
[25] 서적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2021-08-31
[26] 서적 Women of the Bible: 52 Bible studies for individuals and groups https://archive.org/[...] Zondervan
[27] 서적 Acts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8] 서적 Holman New Testament Commentary - Acts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29] 서적 The new book of festivals and commemorations: a proposed common calendar of saints Fortres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