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편각 (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각은 0이 아닌 복소수 z = x + iy의 각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기하학적으로는 복소 평면에서 양의 실수 축과 z를 나타내는 벡터 사이의 각도로 정의된다. 편각은 여러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주치(principal value)를 사용하여 단일 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주치는 일반적으로 (-π, π] 또는 [0, 2π) 범위로 정의되며, 역탄젠트 함수, atan2 함수 등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편각은 복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거듭제곱 등의 성질을 가지며, 컴퓨터 언어에서 atan2 함수 등을 통해 구현된다. 확장된 편각은 편각과 2π의 정수 배만큼 차이나는 모든 실수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각법 - 사인파
    사인파는 고조파가 없는 단일 주파수 파형으로, 삼각함수로 표현되며 진폭, 각진동수, 위상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푸리에 분석을 통해 복잡한 파형으로 분해 및 합성이 가능하며, 전자공학, 음악,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삼각법 - 편평률
    편평률은 회전타원체의 납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장반축과 단반축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f = (a - b) / a`, `f' = (a - b) / b`, `n = (a - b) / (a + b)` 세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지구를 포함한 다른 천체들의 자전 속도와 구성 물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복소해석학 - 선적분
    선적분은 스칼라장이나 벡터장의 곡선에 대한 적분으로, 함수의 종류와 곡선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물리학과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복소해석학 - 테일러 급수
    테일러 급수는 매끄러운 함수를 무한 멱급수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함수의 미분 계수를 사용하여 함수를 근사하며, a=0일 때의 테일러 급수를 매클로린 급수라고 한다.
  • 신호 처리 - 대역폭 (신호 처리)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에서 함수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신 분야에서는 변조된 반송파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 다른 분야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거나 저하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측정 방식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신호 처리 - 선형 시불변 시스템
    선형 시불변 시스템은 선형성과 시불변성을 만족하는 시스템으로, 임펄스 응답으로 특성화되며, 컨볼루션, 주파수 영역 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고, 통신, 신호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편각 (수학)
개요
정의복소수 z = r(cos φ + i sin φ) = re의 편각은 φ이다.
기호arg(z)
Arg(z)
값의 범위(−π, π]
설명복소수의 편각은 복소평면에서 복소수를 나타내는 벡터와 실수 축의 양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편각은 라디안 단위로 측정된다.
상세 정보
주편각주편각은 보통 (−π, π] 범위의 값을 가진다.
편각의 성질'arg zw ≡ arg z + arg w (mod 2π)'
'arg ≡ arg z − arg w (mod 2π)'
관련 항목
관련 개념복소수
절댓값

2. 정의

0이 아닌 복소수 (, 는 실수)의 '''편각'''은 로 표기하며, 복소 평면에서 양의 실수 축과 를 나타내는 점을 잇는 선분 사이의 2차원 극좌표 각로 정의된다. 이 값은 라디안으로 표현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하면 양수, 시계 방향으로 측정하면 음수가 된다.[3][1]

그림 2. 편각의 두 가지 선택지


대수적으로 편각은, 어떤 양의 실수 에 대해 z = r (\cos \varphi + i \sin \varphi) = r e^{i\varphi}를 만족하는 모든 실수 로 정의할 수 있다. (오일러 공식 참조) 여기서 는 의 절댓값이며, r = \sqrt{x^2 + y^2}으로 계산된다.

0이 아닌 복소수의 편각은 여러 값을 가질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볼 때, 복소 평면에서 원점을 한 바퀴 회전해도 점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라디안의 정수배만큼 차이나는 각들은 모두 같은 편각으로 간주된다. (그림 2 참조) 마찬가지로, 사인과 코사인의 주기성 때문에, 대수적 정의에서도 이와 같은 성질이 나타난다.

0의 편각은 보통 정의되지 않는다. 편각의 주치는 보통 또는 구간의 값으로 제한하여 유일하게 정의한다. (자세한 내용은 주값 섹션 참조)

역삼각함수를 사용하여 편각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arg z = \begin{cases}

\tan^{-1} \dfrac{y}{x} & (x > 0) \\[0.1em]

\tan^{-1} \dfrac{y}{x} + \pi & (x < 0 \,\land\, y \geqq 0) \\[0.1em]

\tan^{-1} \dfrac{y}{x} - \pi & (x < 0 \,\land\, y < 0) \\[0.1em]

\dfrac{\pi}{2} & (x = 0 \,\land\, y > 0) \\[0.1em]

  • \dfrac{\pi}{2} & (x = 0 \,\land\, y < 0) \\[0.1em]

\text{indeterminate} & (x = y = 0)

\end{cases}

2. 1. 주값 (Principal Value)

복소수의 편각은 여러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값으로 정의하기 위해 주값(Principal Value)을 사용한다. 주값은 보통 $\operatorname{Arg} z$ (대문자 A 사용)로 표기하며, 특정 범위 내의 값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주값의 범위는 $(-\pi, \pi]$ (열린 구간 $-\pi$, 닫힌 구간 $\pi$) 또는 $[0, 2\pi)$ (닫힌 구간 0, 열린 구간 $2\pi$)로 정의된다.

  • $(-\pi, \pi]$ 범위는 양의 실수 축에서 양쪽 방향으로 최대 반 원의 각도를 나타낸다.
  • $[0, 2\pi)$ 범위는 양의 실수 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전체의 각도를 나타낸다.


(파란 점)의 주값 는 }}이다. 빨간 선은 분기 절단이다.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주값의 범위를 명시적으로 다루지는 않지만, 복소수의 극형식을 표현할 때 암묵적으로 $[0, 2\pi)$ 범위를 사용한다.[3][1]

편각의 모든 가능한 값의 집합은 $\operatorname{Arg} z$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rg(z) = \{\operatorname{Arg}(z) + 2\pi n \mid n \in \mathbb Z\}.

주값 표기법은 $\operatorname{Arg} z$와 같이 대문자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지만, 표기법은 다양하므로, $\arg$와 $\operatorname{Arg}$가 서로 다른 텍스트에서 바뀔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성질

복소수의 편각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두 복소수 , 의 곱과 나눗셈의 편각은 다음과 같다.[1]


  • }}
  • }}

:(모두 )

복소수 의 제곱의 편각 (은 정수)은 다음과 같다.[1]

  • .}}

4. 계산

0이 아닌 복소수 z = x + iy의 편각 주값 Arg z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1]


  • '''atan2 함수 사용:'''

:

z = x + iy 일때,

Arg z = atan2(y, x)



: 여기서 atan2 함수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수학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π, π] 범위의 값을 반환한다.

  • '''아크탄젠트(arctan) 함수 사용:'''


조건
x > 0
x < 0 이고 y ≥ 0
x < 0 이고 y < 0
x = 0 이고 y > 0
x = 0 이고 y < 0
x = 0 이고 y = 0


  • '''부호 함수(sgn) 또는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H(x)) 사용:'''


조건
x ≠ 0
x = 0 이고 y ≠ 0
x = y = 0



조건
x ≠ 0
x = 0 이고 y ≠ 0
x = y = 0


  • '''역코사인(arccos) 함수 또는 역사인(arcsin) 함수 사용:'''


조건
x ≠ 0 또는 y ≠ 0
x = y = 0



조건
x ≠ 0 또는 y ≠ 0
x = y = 0



조건
x ≠ 0 또는 y ≠ 0
x = y = 0



조건
x ≠ 0 또는 y ≠ 0
x = y = 0



: 여기서 |z|는 복소수의 절댓값이며, 이다.

주치를 [0, 2π)로 하는 경우, 위의 정의에서 음수가 되는 편각 값에 2π를 더하면 된다.

5. 컴퓨터 언어에서의 구현

Wolfram 언어에서는 `Arg[z]`를 사용하여 편각을 계산한다.[4]

`Arg[x + y 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egin{cases}

\text{정의되지 않음} &\text{if } |x| = \infty \text{ and } |y|=\infty, \\[5mu]

0 &\text{if } x = 0 \text{ and } y = 0, \\[5mu]

0 &\text{if } x = \infty, \\[5mu]

\pi &\text{if } x = -\infty, \\[5mu]

\pm\frac{\pi}{2} &\text{if } y = \pm\infty, \\[5mu]

\operatorname{Arg}(x + y i) &\text{otherwise}.

\end{cases}



`ArcTan`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egin{cases}

0 &\text{if } x = 0 \text{ and } y = 0, \\[5mu]

\text{ArcTan[x, y]} &\text{otherwise}.

\end{cases}



`ArcTan[x, y]`는 무한대에서 작동하도록 확장된 \operatorname{atan2}(y, x)이다. `ArcTan[0, 0]`은 부정형이고, `ArcTan[Infinity, -Infinity]`는 정의되지 않는다.

메이플의 `argument(z)`는 볼프람 언어의 `Arg[z]`와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z`가 특수 부동 소수점 값 `-0.`일 경우 \pi를 반환한다는 점이 다르다.[5] 메이플은 \operatorname{atan2}가 없다.

MATLAB의 `angle(z)`는 볼프람 언어의 `Arg[z]`와 거의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begin{cases}

\frac{1\pi}{4} &\text{만약 } x = \infty \text{ 그리고 } y = \infty, \\[5mu]


  • \frac{1\pi}{4} &\text{만약 } x = \infty \text{ 그리고 } y = -\infty, \\[5mu]

\frac{3\pi}{4} &\text{만약 } x = -\infty \text{ 그리고 } y = \infty, \\[5mu]

  • \frac{3\pi}{4} &\text{만약 } x = -\infty \text{ 그리고 } y = -\infty.

\end{cases}



MATLAB의 `atan2(y, x)`는 `angle(x + y*1i)`와 동일하다. 즉, `atan2(0, 0)`은 0이다.

6. 확장된 편각

수 ''z''의 확장된 편각(\overline{\arg}(z)로 표기)은 \arg (z)2\pi를 법으로 합동인 모든 실수들의 집합이다.[8]

:\overline{\arg}(z) = \arg (z) + 2k\pi, \forall k \in \mathbb{Z}

7. 응용

주요 값 \operatorname{Arg}를 정의하는 주된 목적 중 하나는 복소수를 절댓값과 편각을 사용하여 표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모든 복소수 z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z = \left| z \right| e^{i \operatorname{Arg} z}.

이는 z가 0이 아닐 때만 유효하지만, \operatorname{Arg}(0)을 정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 대신 부정형으로 간주하면 z=0일 때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몇 가지 추가적인 항등식이 성립한다. 만약 z_1z_2가 0이 아닌 두 복소수라면,

:\begin{align}

\operatorname{Arg}(z_1 z_2) &\equiv \operatorname{Arg}(z_1) + \operatorname{Arg}(z_2) \pmod{\mathbb{R}/2\pi\mathbb{Z}}, \\

\operatorname{Arg}\left(\frac{z_1}{z_2}\right) &\equiv \operatorname{Arg}(z_1) - \operatorname{Arg}(z_2) \pmod{\mathbb{R}/2\pi\mathbb{Z}}.

\end{align}

만약 z \neq 0이고 n이 정수라면,[1]

:\operatorname{Arg}\left(z^n\right) \equiv n \operatorname{Arg}(z) \pmod{\mathbb{R}/2\pi\mathbb{Z}}.

참조

[1] 웹사이트 Complex Argument https://mathworld.wo[...] 2020-08-31
[2] 웹사이트 Pure Maths https://internal.ncl[...] 2020-08-31
[3] 서적 phase Dictionary of Mathematics 2002
[4] 웹사이트 Arg https://reference.wo[...] 2024-08-30
[5] 웹사이트 Argument - Maple Help https://www.maplesof[...]
[6] 웹사이트 Phase angle - MATLAB angle https://www.mathwork[...]
[7] 웹사이트 Four-quadrant inverse tangent - MATLAB atan2 https://www.mathwork[...]
[8] 웹사이트 Algebraic Structure of Complex Numbers https://www.cut-the-[...] 2021-08-29
[9] 서적 phase Dictionary of Mathematics 2002
[10] 서적 Theory of Functions Parts I and II Dover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