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경은 중국 고대 악기로, 1116년 고려 예종 때 송나라의 대성아악과 함께 한국에 들어왔다. 경기 남양에서 질 좋은 경석이 발견된 후 박연과 맹사성 등에 의해 중국의 석경보다 우수한 편경이 제작되었다. 두 개의 방대 위에 틀을 세우고 16개의 ㄱ자 모양 석경을 걸어 각퇴로 쳐서 소리를 내며, 음역은 12율 4청성으로 음색이 청아하다. 습기와 온도 변화에도 음색과 음정이 변하지 않아 국악기 조율의 표준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파손 시 엄격한 처벌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율타악기 - 편종
편종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주나라 시대에 형태가 발전한 여러 개의 종을 틀에 매달아 연주하는 타악기로, 한국에는 송나라로부터 전래되어 유교 의례에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재현되기도 한다. - 유율타악기 - 카리용
카리용은 여러 개의 종을 건반으로 연주하는 악기로,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16세기 저지대 국가에서 발전하여 현대적인 형태로 개발되었고, 현재는 세계 카리용 연맹을 통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건반 악기이다. - 중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악기 - 편종
편종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주나라 시대에 형태가 발전한 여러 개의 종을 틀에 매달아 연주하는 타악기로, 한국에는 송나라로부터 전래되어 유교 의례에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재현되기도 한다. - 한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한국의 악기 - 편종
편종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주나라 시대에 형태가 발전한 여러 개의 종을 틀에 매달아 연주하는 타악기로, 한국에는 송나라로부터 전래되어 유교 의례에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재현되기도 한다.
편경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타악기 |
사용 | 아악 |
재료 | 경석 |
음높이 | 12율 (각각 다른 두께의 경석 16개) |
제작 | 돌을 깎아 제작 |
조율 | 경석의 두께를 갈아 조율 |
상세 정보 | |
특징 | 음색이 맑고 청아함. 정악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형태 | 'ㄱ'자 모양의 틀에 16개의 경석을 매달아 놓음 |
연주 방법 | 뿔망치로 쳐서 소리냄 |
역사 | 중국에서 유래, 고려 시대에 수입 조선 시대에 이르러 아악에 사용되며 중요한 악기로 자리매김 |
음계 | 12율 (황종, 대려, 태주, 협종, 고선, 중려, 유빈, 임종, 이칙, 남려, 무역, 응종) 각 율은 서로 다른 두께의 경석으로 조율됨 |
제작 과정 | 경석 채취 경석을 크기와 모양에 맞게 다듬음 음높이에 맞춰 경석의 두께를 갈아 조율 'ㄱ'자 모양의 틀 제작 경석을 틀에 매달아 완성 |
쓰임새 | 조정의 의례 제례악 연주 궁중 연회 |
참고 문헌 | 『악학궤범』 『세종실록』 |
2. 역사
편경은 본래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고려 예종 11) 송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과 함께 들어왔다.[2] 그러나 악기를 만드는 경석(磬石)이 희귀하여 중국에서 구하거나 흙으로 구운 도경(陶磬)을 대용하기도 하였다.[2] 그러던 중 1425년(조선 세종 7) 경기 남양(南陽)에서 질이 좋은 경석이 발견되어[2] 이를 박연과 맹사성 등이 갈고 닦아 중국의 석경보다 좋은 편경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2]
2. 1. 중국 기원과 전래
편경은 본래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고려 예종 11) 송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과 함께 들어왔다.[2] 그러나 악기를 만드는 경석(磬石)이 희귀하여 중국에서 구하거나 흙으로 구운 도경(陶磬)을 대용하기도 하였다.[2] 그러던 중 1425년(조선 세종 7) 경기 남양(南陽)에서 질이 좋은 경석이 발견되어[2] 이를 박연(朴堧)·맹사성(孟思誠) 등이 갈고 닦아 중국의 석경보다 좋은 편경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2]2. 2. 조선 시대의 발전
1425년(세종 7) 경기 남양(南陽)에서 질 좋은 경석이 발견되면서[2] 박연과 맹사성 등이 이를 갈고 닦아 중국의 석경보다 우수한 편경을 제작하게 되었다. 편경은 본래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예종 11) 송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과 함께 들어왔다.[2] 그러나 악기를 만드는 경석(磬石)이 희귀하여 중국에서 수입하거나 흙으로 구운 도경(陶磬)으로 대체하기도 하였다.3. 특징
두 개의 방대(方臺) 위에 백아(白鵝: 흰기러기)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나무틀[架子]을 세워 양편에 봉두(鳳頭)를 조각하였으며 틀 위에는 다섯 마리의 목공작(木孔雀)을 세워 장식하였다.[3] 이 틀에 16개의 ㄱ자 모양의 석경을 8개씩 두 줄로 나누어 걸고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반드시 긴 쪽인 고(鼓)의 끝을 쳐야 한다.[3] 음역은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 즉 황종(黃鐘: C)에서 청협종(淸夾鐘: F♯5)에 이르며 음색은 매우 청아하다.[3] 편경은 습기와 건조, 추위와 더위에도 음색과 음정이 변하지 않아 모든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되고 있다.[3] 《대전통편》에 종 ·경을 다룰 때 잘못하여 이를 파손한 자에게는 장(杖) 일백, 도형(徒刑) 3년의 벌을 규정하고 있는 것[3]으로 보아 이 악기를 소중하게 다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법 중 석부에 속한다.[3]
3. 1. 구조 및 형태
두 개의 방대(方臺) 위에 백아(白鵝: 흰기러기)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나무틀[架子]을 세워 양편에 봉두(鳳頭)를 조각하였으며 틀 위에는 다섯 마리의 목공작(木孔雀)을 세워 장식하였다.[3] 이 틀에 16개의 ㄱ자 모양의 석경을 8개씩 두 줄로 나누어 걸고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반드시 긴 쪽인 고(鼓)의 끝을 쳐야 한다.[3] 음역은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 즉 황종(黃鐘: C)에서 청협종(淸夾鐘: F♯5)에 이르며 음색은 매우 청아하다.[3] 편경은 습기와 건조, 추위와 더위에도 음색과 음정이 변하지 않아 모든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되고 있다.[3] 《대전통편(大典通編)》에 종 ·경을 다룰 때 잘못하여 이를 파손한 자에게는 장(杖) 일백, 도형(徒刑) 3년의 벌을 규정하고 있는 것[3]으로 보아 이 악기를 소중하게 다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법 중 석부에 속한다.[3]3. 2. 음역 및 음색
두 개의 방대(方臺) 위에 흰기러기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나무틀(架子)을 세워 양편에 봉두(鳳頭)를 조각하였으며 틀 위에는 다섯 마리의 목공작(木孔雀)을 세워 장식하였다. 이 틀에 16개의 ㄱ자 모양의 석경을 8개씩 두 줄로 나누어 걸고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반드시 긴 쪽인 고(鼓)의 끝을 쳐야 한다.[3] 음역은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 즉 황종(黃鐘: C)에서 청협종(淸夾鐘: F♯5)에 이르며 음색은 매우 청아하다. 편경은 습기와 건조, 추위와 더위에도 음색과 음정이 변하지 않아 모든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되고 있다.[3]3. 3. 악기로서의 중요성
두 개의 방대(方臺) 위에 흰기러기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나무틀[架子]을 세워 양편에 봉두(鳳頭)를 조각하였으며 틀 위에는 다섯 마리의 목공작(木孔雀)을 세워 장식하였다. 이 틀에 16개의 ㄱ자 모양의 석경을 8개씩 두 줄로 나누어 걸고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반드시 긴 쪽인 고(鼓)의 끝을 쳐야 한다.[3] 음역은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 즉 황종(黃鐘: C)에서 청협종(淸夾鐘: F♯5)에 이르며 음색은 매우 청아하다.[3] 편경은 습기와 건조, 추위와 더위에도 음색과 음정이 변하지 않아 모든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되고 있다.[3] 《대전통편》에 종 ·경을 다룰 때 잘못하여 이를 파손한 자에게는 장(杖) 일백, 도형(徒刑) 3년의 벌을 규정하고 있는 것[3]으로 보아 이 악기를 소중하게 다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법 중 석부에 속한다.[3]참조
[1]
위키문헌
편경
https://ko.wikisourc[...]
[2]
고전문헌
세종실록
[3]
고전문헌
대전통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