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한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수나라 시기에는 하주(河州)로 불렸고, 당나라 시기에는 안향군으로 개명되기도 했다. 포한군은 4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주요 현으로는 포한현, 용지현, 대하현, 수지현 등이 있었다. 당나라 때는 이궤를 점령한 후 하주를 설치하고, 송나라 때는 진봉로에 속하여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다. 송나라 시기에는 영하현, 정강성, 남천채 등 많은 군사 시설이 설치되었다.

2. 수

주현제를 실시할 때는 포한군을 폐지하고 하주(河州)라 불렸다. 4현 13,157호를 거느렸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포한枹罕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린샤 현 황니만향 일대
용지龍支縣하이둥 지구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고선진 북쪽 용지현고성
대하大夏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 현 난가촌 일대
수지水池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캉러 현 이나만 일대


2. 1. 속현

포한군은 다음 4개의 현을 속현으로 두었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포한枹罕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린샤 현 황니만향 일대
용지龍支縣하이둥 지구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고선진 북쪽 용지현고성
대하大夏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 현 난가촌 일대
수지水池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캉러 현 이나만 일대


2. 1. 1. 포한현(枹罕縣)

린샤 후이족 자치주 린샤 현 황니만향(黄泥湾乡) 일대에 위치했으며, 관관(關官)과 봉림산(鳳林山)이 있었다.[3]

2. 1. 2. 용지현(龍支縣)

하이둥 지구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고선진(古鄯镇) 북쪽 용지현고성(龙支县古城)에 위치했다. 북위에서는 북금성현(北金城县)이라 불렀고 서위에서 용지현으로 개명했다. 당술산(唐述山)이 있었다.[3]

2. 1. 3. 대하현(大夏縣)

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 현 난가촌(蘭家村) 일대에 위치했다. 금뉴산(金紐山)이 있었다.[3]

2. 1. 4. 수지현(水池縣)

린샤 후이족 자치주 캉러 현 이나만(伊纳曼) 일대에 위치했다. 북위에서 심주(蕈州)로 명했다가 북주 때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3]

3. 당

619년(당 고조 무덕 2년), 이궤를 점령한 뒤 하주(河州)를 설치하고 포한현과 대하현 2개 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636년(당 태종 정관 10년) 폐지된 미주(米州)의 미천현(米川縣)을 본주로 편입시켰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안향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다시 실시하면서 하주로 복귀했다. 과거에는 3개 현, 3,391호, 12,655명을 거느렸다가 천보 연간에는 5,782호, 36,886명을 거느리게 되었다.[4]

3. 1. 속현

포한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포한현枹罕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린샤 현 황니만향 일대장궤가 하주를 설치했고 북위대에 포한군을 두었다. 619년 하주를 설치했다.[4]
대하현大夏縣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 현 하양가 일대627년 당 태종 정관 원년, 포한현에 통폐합되었다가 631년 복구되었다.[4]
봉림현鳳林縣린샤 시 북부한나라 금성군 백석현이었다. 장궤가 영고현(永固縣)으로 고쳤고 633년 폐지되고 오주(烏州)가 되었다. 637년 오주를 폐하고 그 성에 안향현(安鄕縣)을 두고 본주로 내속시켰다. 742년 봉림관의 이름을 따와 봉림현으로 개명했다.[4]



619년(당 고조 무덕 2년), 이궤를 점령한 뒤 하주(河州)를 설치하고 포한현, 대하현 2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636년(당 태종 정관 10년) 폐지된 미주(米州)의 미천현(米川縣)을 본주로 내속시켰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안향군으로 개명되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하주로 복귀했다. 과거 3현 3,391호 12,655명을 거느렸다가 천보연간에 5,782호 36,886명을 거느리게 되었다.[4]

3. 1. 1. 포한현(枹罕縣)

린샤 후이족 자치주 린샤 현 황니만향 일대에 위치했다. 장궤가 하주를 설치했고 북위대에 포한군을 두었다. 619년 하주를 설치했다.[4]

3. 1. 2. 대하현(大夏縣)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포한현에 통폐합되었다가 631년(당 태종 정관 5년) 복구되었다.[4] 현재 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 현 하양가(何阳家) 일대에 위치했다.

3. 1. 3. 봉림현(鳳林縣)

한나라 금성군 백석현이었다. 장궤가 영고현(永固縣)으로 고쳤고 633년(당 태종 정관 7년) 폐지되고 오주(烏州)가 되었다. 637년(당 태종 정관 11년) 오주를 폐하고 그 성에 안향현(安鄕縣)을 두고 본주로 내속시켰다. 742년 봉림관(鳳林關)의 이름을 따와 봉림현으로 개명했다.[4]

4. 송

포한군은 진봉로에 속했으며, 상급주로 군사가 파견되었다. 1073년(북송 신종 희녕 6년)에 수복되었다. 사향을 공납으로 바쳤고, 숭녕 연간에는 1현 1,061호 3,895명을 거느렸다.[5]

4. 1. 속현 및 군사 시설

포한군은 진봉로에 속했으며, 상급주로 군사가 파견되었다. 1073년 수복되었으며, 사향을 공납으로 바쳤다. 숭녕 연간에는 1현 1,061호 3,895명을 거느렸다.[5]

포한군에는 다음과 같은 속현과 군사 시설이 있었다.

포한군 속현 및 군사 시설[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영하현寧河縣1073년 포한현 설치, 1076년 폐지, 1105년 영하채를 현으로 승격. 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현 향자성 위치.
정강성定羌城린샤 후이족 자치주 광허현1074년 하락성에서 개명.
남천채南川砦린샤 후이족 자치주 윤집진1074년 남산보 설치 후 개명.
동곡보東穀堡1074년 설치.
염정보閻精堡린샤 후이족 자치주 포한진 일대1075년 설치.
서원보西原堡1079년 설치.
북하보北河堡
통회관通會關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현 남1074년 설치.
순화성循化城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샤허현1103년 일공성 수복 후 개명. 낙주 문서에도 등장.
안강채安疆砦하이둥 시 쉰화 사라족 자치현 동남1103년 당표성 수복 후 개명. 낙주 문서에도 등장.
회강성懷羌城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샤허현 곡오진 서남1104년 왕후 수복.
내강성來羌城1104년 왕후 수복.
강주성講朱城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샤허현 동1099년 조서안무사가 하남 6개 성(강주성, 순화성(일공성), 조착성, 안강채(당표성), 동살성, 동영성) 수복. 1103년 재수복.
조착성錯鑿城
동살성彤撒城
동영성東迎城
영하채寧河砦1105년 영하현으로 승격된 곳과는 다름.
내동보來同堡1104년 축성, 감박보에서 개명.
통진보通津堡1104년 남달보에서 개명.
남산보南山堡원주 수녕현에 속함.
안향관安鄕關린샤 후이족 자치주 융징현 안향고성1100년 성교관에서 개명.
임탄보臨灘堡


4. 1. 1. 영하현(寧河縣)

1073년 포한현이 설치되었으나 1076년(북송 신종 희녕 9년) 폐지되었다. 1105년(북송 휘종 숭녕 4년) 영하채(寧河砦)를 현으로 승격시켰다. 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현에 향자성(香子城)이 있었다.[5]

4. 1. 2. 정강성(定羌城)

1074년 하락성(河諾城)에서 정강성으로 개명되었다. 현재 린샤 후이족 자치주 광허현에 위치하고 있다.[5]

4. 1. 3. 남천채(南川砦)

린샤 후이족 자치주 윤집진(尹集镇)에 위치하였다. 1074년 남산보(南山堡)를 설치하고 이를 남천채로 바꾸었다.[5]

4. 1. 4. 동곡보(東穀堡)

1074년에 동곡보가 설치되었다.[5]

4. 1. 5. 염정보(閻精堡)

1075년에 설치되었다. 린샤 후이족 자치주 포한진(枹罕镇) 일대에 위치했다.[5]

4. 1. 6. 서원보(西原堡)

1079년에 설치되었다.[5]

4. 1. 7. 북하보(北河堡)

1079년에 설치되었다.[5]

4. 1. 8. 통회관(通會關)

린샤 후이족 자치주 허정현 남쪽에 1074년 설치되었다.[5]

4. 1. 9. 순화성(循化城)

1103년(북송 휘종 숭녕 2년), 북송이 일공성(一公城)을 수복하고 순화성으로 개명했다.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샤허현 북쪽에 위치했다. 낙주(樂州) 문서에서도 보인다. 동으로 통진보(通津堡) 경계까지 15리, 서로 국화하(菊花河)까지 60리, 남으로 박수원(撲水原)까지 21리, 북으로 영새보(永塞堡) 경계까지 15리이다.[5]

4. 1. 10. 안강채(安疆砦)

1103년(북송 휘종 숭녕 2년) 당표성(當標城)을 수복하고 안강채로 개명했다. 하이둥 시 쉰화 사라족 자치현 동남쪽에 위치했다. 낙주 문서에서도 보인다. 동으로 내동보(來同堡)에서 33리, 서로 통진보까지 50리, 남으로 순화성까지 110리, 북으로 황하까지 20리 거리이다.[5]

4. 1. 11. 회강성(懷羌城)

1104년(북송 휘종 숭녕 3년) 왕후(王厚)가 수복했다.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샤허현 곡오진(曲奥镇) 서남쪽에 위치했다. 동으로 남천채까지 60리, 서로 순화성까지 65리, 남으로 조주 경계까지 170여 리, 북으로 안강채까지 170리이다.[5]

4. 1. 12. 내강성(來羌城)

1104년(북송 휘종 숭녕 3년) 왕후(王厚)가 수복했다.[5] 동쪽으로 안향관(융징현 안향고성)까지 70리, 서쪽으로 대통성 경계까지 38리, 남쪽으로 남천(린샤 후이족 자치주 윤집진) 경계까지 48리, 북쪽으로 황하까지 20리이다.[5]

4. 1. 13. 강주성(講朱城)

講朱城|강주성중국어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샤허현 동쪽에 있었다. 1099년(북송 철종 원부 2년) 조서안무사(詔書安撫使)가 하남(河南)의 강주성, 순화성(일공성), 조착성, 안강채(당표성), 동살성, 동영성의 6개 성을 수복했다.[5] 1103년 서하를 공격해서 재수복했다.[5]

4. 1. 14. 조착성(錯鑿城)

1099년(북송 철종 원부 2년) 조서안무사가 하남의 강주성, 일공성, 조착성(錯鑿城), 당표성, 동살성(彤撒城), 동영성(東迎城)의 6개 성을 수복했다. 1103년 서하를 공격해서 이들 성을 다시 수복했다.[5]

4. 1. 15. 동살성(彤撒城)

북송 철종 원부 2년(1099년), 조서안무사가 하남의 강주성, 일공성, 조착성(錯鑿城), 당표성, 동살성(彤撒城), 동영성(東迎城) 등 6개 성을 수복했다.[5] 1103년 서하를 공격하여 동살성을 다시 수복했다.[5]

4. 1. 16. 동영성(東迎城)

북송 철종 원부 2년(1099년) 조서안무사가 하남의 강주성, 일공성, 조착성(錯鑿城), 당표성, 동살성(彤撒城), 동영성(東迎城)의 6개 성을 수복했다. 1103년 서하를 공격해서 이들 성을 다시 수복했다.[5]

4. 1. 17. 영하채(寧河砦)

寧河砦|닝허차이중국어1105년(북송 휘종 숭녕 4년) 영하현으로 승격된 곳과는 다른 곳이다. 동쪽으로 정강성까지 30리, 서쪽으로 하주까지 45리, 남쪽으로 통회관까지 30리, 북쪽으로 하주 경계까지 20리였다.[5]

4. 1. 18. 내동보(來同堡)

來同堡|라이퉁바오중국어1104년에 축성되어 감박보(甘撲堡)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쪽으로 남천채까지 90리, 서쪽으로 안강채까지 35리, 남쪽으로 회강성까지 35리, 북쪽으로 내강성까지 30리였다.[5]

4. 1. 19. 통진보(通津堡)

通津堡|통진보중국어1104년 남달보(南達堡)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쪽으로 안강채까지 45리, 서쪽으로 대통성 경계까지 25리, 남쪽으로 순화성까지 130리, 북쪽으로 대통성 경계까지 20리였다.[5]

4. 1. 20. 남산보(南山堡)

원주 수녕현(水寧縣)에 속했다.[5]

4. 1. 21. 안향관(安鄕關)

1100년(북송 철종 원부 3년) 성교관(城橋關)에서 안향관(安鄕關)으로 개명했다. 린샤 후이족 자치주 융징현 안향고성(安鄕古城)에 위치했다. 동쪽으로 경옥관(景峪關) 경계까지 40리, 서쪽으로 임탄보(臨灘堡)까지 40리, 남쪽으로 하주 경계까지 35리, 북쪽으로 안천보(安川堡)까지 15리였다.[5]

4. 1. 22. 임탄보(臨灘堡)

동쪽으로 안향관까지 40리, 서쪽으로 고계산(古鷄山)까지 20리, 남쪽으로 남천채 경계까지 20리, 북쪽으로 황하까지 40리이다.[5]

참조

[1] 서적 隋書
[2] 서적 旧唐書
[3]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4]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5] 서적 송사 https://ko.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