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19년은 당나라 무덕 2년, 신라 건복 36년, 일본 스이코 천황 27년, 수나라 황태 2년, 고구려 영류왕 2년, 백제 무왕 20년, 단기 2952년에 해당한다.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중국을 통치하기 시작했으며, 당 고조가 황제가 되었다. 교황 보니파시오 5세가 로마 교황으로 취임했고, 슬라브족이 동로마 제국을 공격했다. 또한, 무함마드의 아내 하디자가 사망하고, 불가르족 통치자 쿠브라트가 세례를 받았다. 문화적으로는 중국에서 대규모 관현악단을 사용하고, 달력 계산법이 개정되었으며, 아일랜드에서 조력 발전소 건설이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619년 | |
---|---|
619년 정보 | |
달력 | |
로마력 | AUC 1372 |
중국력 | 기묘년 (己卯年) |
간지 | 토끼띠 |
일본력 | 스이코 천황 27년 (推古天皇二十七年) |
불기 | 1163년 |
황기 | 1279년 |
사건 | |
발생 | 아랍-비잔티움 전쟁: 헤라클리우스 황제가 이끄는 비잔티움 제국군이 안티오크 공방전에서 페르시아군에게 패배하다.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되다. |
탄생 | |
주요 인물 | 지천화 |
사망 | |
주요 인물 | 수 양제 고구려의 영양왕 |
2. 연호
- 간지 : 기묘
- 고구려 : 영류왕 2년
- 백제 : 무왕 20년
- 신라 : 진평왕 41년, 건복 36년
- 단기 : 2952년
- 수나라 : 황태 2년
- 당 : 무덕 2년
- 일본 : 스이코 천황 27년
- 황기 : 1279년
3. 기년
4. 사건
619년은 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던 해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수나라가 멸망하고 이연이 당나라를 건국했으며, 고구려는 수나라의 혼란을 틈타 잔여 세력을 공격했다. 타이완에서도 수나라 세력이 패배했다.
서아시아와 유럽에서는 동로마 제국과 사산 왕조 간의 전쟁이 계속되어, 사산 왕조가 이집트의 주요 도시 알렉산드리아를 점령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동로마의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수도 이전까지 고려했으나 세르기우스 1세 총대주교의 설득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남아 제국 재건을 모색했다. 한편 발칸 반도에서는 슬라브족과 아바르족이 동로마 제국을 공격했으며, 일부 슬라브 부족은 아바르족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에 대한 메카에서의 보이콧이 종료되었으나, 같은 해 부인 하디자가 사망하여 '슬픔의 해'로 불리기도 한다.
종교적으로는 로마에서 교황 아데오다토 1세가 선종하고 12월 23일 교황 보니파시오 5세가 제69대 교황으로 즉위했으며, 잉글랜드에서는 멜리투스가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 프랑크 왕국에서는 7월 2일 시스베르토 2세가 부르고뉴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4. 1. 동아시아
- 수나라가 멸망하고, 9월 당 고조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당나라가 중국 대륙을 통치하기 시작했다.
- 고구려는 수나라의 멸망 이후 혼란한 상황을 이용하여 수나라의 잔여 세력을 공격하였다.
- 11월 2일 - 당나라의 서돌궐 원정 과정에서 돌궐 제국의 카간이 당 고조의 승인 하에 경쟁 세력에 의해 암살되었다.
- 당나라에서는 무인원력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4. 2. 서아시아 및 유럽
- 비잔틴-사산 전쟁: 사산 왕조 페르시아군이 포위 공격 끝에 알렉산드리아를 함락시켰다. 이로 인해 동로마 제국 황제 헤라클리우스의 사촌인 니케타스와 칼케돈 기독교의 총대주교 요한 5세는 키프로스로 피신했다. 사산 왕조의 호스로 2세는 나일강 남쪽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제국의 수도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카르타고로 옮기려 했으나, 세르기우스 1세 총대주교의 설득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남게 되었다. 그는 교회의 재정 지원을 받아 비잔틴 군대 재건에 착수했다.
- 코스토반도에서 슬라브족이 동로마 제국을 공격했다.
- 아바르족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외곽을 공격했다. 이 시기 여러 슬라브족 부족들이 아바르족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모라비아와 오스트리아 저지대에 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했다.
- 호라산 지역에서 사산 왕조가 아랍의 침략에 맞서 방어했다.
- 무함마드의 아내 하디자가 24년간의 결혼 생활 끝에 사망했다. 이 해는 슬픔의 해로 알려져 있다.
- 7월 2일 - 시스베르토 2세가 프랑크 왕국 내 부르고뉴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 12월 23일 - 교황 보니파시오 5세가 교황 아데오다토 1세의 뒤를 이어 제69대 교황으로 즉위했다.
- 불가르족의 통치자 쿠브라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세례를 받았다.
- 멜리투스가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5. 문화
- 중국 달력의 계산법이 태양과 달의 실제 움직임을 반영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위해 서로 반대 방향의 오프셋 포물선 두 개를 사용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 아일랜드 북부에 위치한 넨드럼 수도원 방앗간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는 가장 초기의 조력 발전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1]
- 중국에서는 대규모 관현악단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 12월 23일 - 교황 보니파시오 5세가 교황 아데오다토 1세의 뒤를 이어 제69대 교황으로 즉위하였다.
-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의 아내인 하디자가 24년간의 결혼 생활 끝에 사망하였다. 이 해는 슬픔의 해로 불린다.
- 불가르족의 통치자 쿠브라트가 콘스탄티노플에서 세례를 받았다.
- 멜리투스가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6. 탄생
7. 사망
- 2월 2일 – 로렌스, 캔터베리 대주교
- 9월 14일 – 양유, 수나라의 황제 (출생 605년)
- 아부 탈리브,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의 삼촌이자 후견인 (출생 549년)
- 을지문덕, 고구려의 군사 지도자
- 헤사나 칸, 서돌궐의 카간
- 요한 모스쿠스, 비잔틴의 수도승이자 작가
- 알렉산드리아의 요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추정 연도)
- 하디자, 무함마드의 첫 번째 아내
- 이기, 수나라 말기 군벌, 양나라 황제
- 이밀, 수나라 말기 군벌 (출생 582년)
- 유문정, 당나라의 재상 (출생 568년)
- 양동, 수나라의 황제 (출생 605)
- 우문화급, 수나라의 장군, 양제 시해자
참조
[1]
서적
Harnessing the Tides: The Early Medieval Tide Mills at Nendrum Monastery, Strangford Lough
The Stationery Office
[2]
서적
The Mitre and the Crown: A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Canterbury
https://books.google[...]
History Press
2005-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