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궤는 전한 개국공신 장이의 후손으로, 서진 시대에 상서랑과 산기상시 등을 역임했다. 301년 팔왕의 난으로 서진이 혼란에 빠지자 양주 자사로 부임하여 선비족을 토벌하고 지역을 장악, 반독립 세력을 형성했다. 그는 서진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며 농경과 양잠을 장려하고 인재를 등용하는 등 지역 안정에 힘썼으며, 영가의 난과 서진 멸망 과정에서도 원군을 파견하여 돕기도 했다. 장궤는 60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장식과 손자 장준이 전량 건국의 기반을 다졌다. 그는 뛰어난 통치력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행적은 중앙 권력 약화와 지방 세력 성장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14년 사망 - 교황 멜키아데
멜키아데는 309년 또는 310년에 교황으로 선출되어 도나투스파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라테라노 궁전을 기증받았으며, 314년에 사망했다. - 서진의 태위 - 사마옹
사마옹은 서진의 황족이자 군벌로, 팔왕의 난에 가담하여 혼란을 야기했으며, 진서장군으로서 관중 지역을 수비하다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암살당했다. - 서진의 태위 - 가충
가충은 삼국시대 위나라부터 서진 시대까지 사마씨 일가를 섬긴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조모 시해에 가담했으며, 서진 건국 공신으로서 《진율령》 편찬에 기여했지만, 딸 가남풍으로 인해 서진 멸망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장궤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궤 |
작위 | 안락향후 무공 (사후 추증) 무왕 (사후 추증) |
시호 | 무공 |
묘호 | 태조 |
시대 | 전량 |
풀네임 | 장궤 |
출생 | 255년 |
사망 | 314년 |
아버지 | 장온 |
어머니 | 신씨 |
후계자 | 장식 |
활동 기간 | 301년 – 314년 |
관직 | 진서장군 량주자사 영호강교위 |
생애 | |
생년 | 정원 2년 (255년) |
몰년 | 건흥 2년 (314년) |
아버지 | 장온 |
2. 생애
장궤는 전한(前漢) 장이(張耳)의 후손으로, 서진(西晉)에서 벼슬을 했다. 301년 팔왕의 난으로 서진이 혼란스러워지자, 간쑤성 중서부 지역인 양주(凉州)로 가서 그곳을 다스렸다.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고 장안이 전조의 공격을 받자 군사를 보내 돕는 등, 양주를 다스리면서도 서진의 신하임을 자처했다. 이러한 공로로 서진은 장궤를 서평군공(西平郡公)에 임명했다.
314년 병으로 사망했고, 처음에는 무공(武公)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나, 354년 장조가 무왕(武王)으로 추존했다.[9]
2. 1. 초기 생애와 서진 관료 시절
장궤는 전한(前漢) 개국공신 장이(張耳)의 후손으로, 명문가 출신이었다.[10] 대대로 효렴으로 추천되었고, 유학을 가업으로 삼았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재능과 명성으로 이름이 높았다. 용모와 몸가짐이 단정하고 예의범절을 잘 지켰다고 한다.젊은 시절에는 이양의 여기산에서 같은 고향 출신인 황보밀과 함께 은거 생활을 하였다. 태시 원년(265년), 음서제를 통해 숙부의 오품관(구품관인법에 의한 관품)을 물려받았다. 이후 낙양으로 들어가 위장군양요의 부름을 받아 그의 관리가 되었고, 이어서 태자사인이 되었다. 태강 연간(280년~289년)에는 상서랑, 태자세마, 중서자를 거쳐 여러 차례 승진하여 산기상시, 정서군사[2]까지 역임했다.
문사로서도 이름이 높았는데, 낙양에서 벼슬할 때 두예에게 직접 『역』에 주석을 단 책을 선물하기도 했다. 또한, 『역의』 10권을 저술했다.
2. 2. 양주자사 부임과 서북 지역 안정
301년 팔왕의 난으로 서진이 혼란에 빠지자, 장궤는 중앙 조정의 한계를 깨닫고 양주(凉州, 현재의 간쑤성 중서부) 자사로 부임할 것을 청하였다.[3] 양주자사 부임 후, 선비족 등 이민족의 침입을 진압하고, 농경과 양잠을 장려하는 등 지역 안정에 힘썼다. 호족 세력과의 융화를 도모하고 학교를 설립하는 등 문화 발전에도 기여했다.[4]영흥 원년 (304년) 무렵, 하간왕 사마옹, 성도왕 사마영의 전횡으로 조정이 혼란해지자, 장궤는 3천의 병사를 낙양으로 파견하여 혜제를 호위하게 했다. 광희 원년 (306년) 11월, 혜제가 붕어하고 회제가 즉위했다. 영가 원년 (307년) 무렵, 장궤는 관중을 지키던 남양왕 사마모에게 주부 영호아를 파견하여 선물을 보내 수호를 청했다. 사마모는 이를 크게 기뻐하며, 황제에게 받은 칼을 장궤에게 주며 "농(隴) 이서(隴西 지방)에서는 정벌과 채결의 일체를 위임하노라. 이는 이 칼과 같으니라"라고 말했다.
장궤는 양주를 장악한 이후에도 서진의 신하로서 자처하였다.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고 장안이 전조의 공격을 받을 때에는 원군을 파견하여 돕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서진에서는 장궤를 서평군공(西平郡公)에 임명하였다.
영가 2년(308년) 2월, 장궤는 중풍을 앓아 일상적인 대화에 지장을 받게 되자, 그의 아들 장무가 주의 사무를 대행하게 되었다. 진창군 출신의 장월은 량주의 호족으로, 량주를 통치하려는 뜻을 품고 장궤를 몰아내려 했다. 장월은 장궤를 실각시키려 계획하고, 관중을 통치하는 남양왕 사마모에게 사자를 파견하여, 장궤가 불치의 병에 걸렸다고 칭하고, 진주 자사인 가감을 후임으로 량주 자사로 전임시키도록 호소했다. 하지만, 여러 반대와 호소에 의해 이 인사는 중단되었고, 장궤는 군을 파견하여 조거를 쳐 죽이고, 장월을 업으로 도주하게 하여 량주의 소란을 진정시켰다.
2. 3. 영가의 난과 서진에 대한 충성
301년 팔왕의 난으로 서진이 혼란에 빠진 후에도 장궤는 서진에 대한 충성을 유지했다. 영가의 난(311년)으로 낙양이 함락되고 장안이 전조의 공격을 받자, 장궤는 원군을 파견하여 서진을 지원했다.[5][6][7]308년, 왕미가 낙양을 침공하자 장궤는 북궁순(北宮純), 장찬(張纂), 마방, 음준 등을 파견해 격퇴하고, 유총 군대도 격파했다. 서진 회제는 장궤를 서평군공(西平郡公)에 봉하려 했으나, 장궤는 이를 사양했다.[5]
309년, 유총과 왕미가 다시 낙양을 공격하자, 장궤는 북궁순을 보내 호연호를 죽이고 유총을 격퇴했다. 낙양에서는 "양주대마(涼州大馬), 횡행천하(橫行天下). 양주치조(涼州鴟苕), 구적소(寇賊消), 치조편편(鴟苕翩翩), 포살인(怖殺人)"이라는 노래가 불리며 이들을 칭송했다.[5]
310년, 장궤는 진서장군(鎮西將軍)·도독농우제군사(都督隴右諸軍事)에 임명되고 패성후(覇城侯)에 봉해졌다. 낙양의 물자 부족 소식에 말 5백 필과 포 3만 필을 헌상했다.[5][6]
311년, 조정은 장궤를 차기대장군(車騎大將軍)에 임명하려 했으나,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고 회제가 포로가 되었다. 장궤는 북궁순 등을 보내 낙양 구원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7]
2. 4. 독자 세력 구축과 전량의 기반 마련
301년 팔왕의 난으로 서진이 혼란에 빠지자, 장궤는 중앙 조정의 한계를 깨닫고 간쑤성 중서부 지역인 양주(凉州)에 부임할 것을 청하였다. 이에 호강교위·양주자사(護羌校尉, 涼州刺史)에 임명되어 현지의 선비족을 토벌하고 양주 지역을 제패하여 반독립적인 세력이 되었다.장궤는 양주를 장악한 이후에도 서진의 신하로서 자처하였다.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고 장안이 전조의 공격을 받을 때에는 원군을 파견하여 돕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서진에서는 장궤를 서평군공(西平郡公)에 임명하였다.
314년 2월, 민제는 대홍려 신반을 파견하여 장궤에게 예를 표하고, 시중·태위·양주목에 임명하고 서평군공에 봉한다는 뜻을 알렸지만, 장궤는 시중·태위·양주목의 지위에 대해서는 또다시 굳게 사양했다. 또한, 이미 노령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아들 장식이 부자사·무군대장군에 임명되었다. 부자사라는 직책은 지금까지 사용된 예가 없었으며, 이는 양주자사의 지위를 장씨가 세습해 갈 것을 암묵적으로 조정이 인정한 것을 보여준다.
같은 해 5월, 장궤는 병으로 병상에 눕게 되자, 여러 신하들에게 "나는 다른 사람에게 은덕이 적고, 지금 병으로 위독해져서 아마도 목숨은 다할 것이다. 문무의 장수와 보좌관들은 모두 충의를 다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힘쓰며, 위로는 국가에 보답하고 아래로는 가정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라. 내가 죽은 후, 장례는 보통의 관을 사용하여 검소하게 치르고, 묘에 금이나 옥은 넣지 않도록 하라. 또한, 잘 안손(장식)을 보좌하여 조정의 뜻에 따르도록 하라"고 유언하고, 이윽고 정덕전에서 사망했다.[9] 향년 60세. 양주를 통치한 지 13년이었다. 무공(武公)으로 시호되었고, 능묘는 건릉(建陵)이라 명명되었다. 아들 장식이 뒤를 이었다.
전량의 창건자로 여겨지는 장궤지만, 생애 동안 진조에 충의를 다했고, 독자적인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3. 평가
장궤는 전한의 개국공신 장이의 후손으로, 서진(西晉)에서 관직을 역임했다. 301년 팔왕의 난으로 서진이 혼란에 빠지자, 장궤는 간쑤성 중서부 지역인 양주(凉州)로 부임하여 그곳을 장악하고 반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장궤는 양주를 장악한 후에도 서진의 신하를 자처하며,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고 장안이 전조의 공격을 받을 때 원군을 파견하기도 했다. 314년에 병으로 사망했으며, 시호는 무공(武公)이었으나 354년에 장조가 무왕(武王)으로 추존했다.[10]
어려서부터 명민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재능과 명망으로 세상의 평판이 자자했으며, 용모와 태도, 몸가짐은 예의와 규칙에 따랐다고 한다. 전국 각지에서 난이 발생하여 제후들이 조정의 명령을 가볍게 여기고 사신의 왕래도 끊겼지만, 장궤는 조공을 1년 내내 끊이지 않았으므로 조정은 이를 칭찬하며 여러 차례 옥새(천자의 조서)를 내려 그 노고를 위로했다.
문사로서도 유명하여, 낙양에서 벼슬할 때 친교가 있던 두예에게 『역』에 주석을 더한 서적을 증정했고, 『역의』 전 10권을 저술하기도 했다.
3. 1. 긍정적 평가
장궤는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 속에서도 서북 지역을 안정시키고 백성들의 삶을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10] 서진 황실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면서도, 현실적인 판단을 통해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여 지역의 안정을 도모했다. 문무를 겸비한 인재로, 학문과 문화를 장려하고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지역 발전에 이바지했다.- 장궤는 낙양에서 벼슬할 때 중서감 장화로부터 초빙을 받아 경서 해석과 정치의 이해관계에 대해 논했는데, 장화는 그의 식견, 언어 구사력, 인품을 높이 평가했다.
- 장궤가 양주를 다스린 후, 조정에서 벼슬하던 비서감 무세징과 소부 지우는 천문을 관측하고 "천하는 어지러워져 피난하는 것은 오직 양토(양주)뿐이다. 장 양주(장궤)는 덕행과 도량이 모두 비범하여, 과연 남 위에 설 인물이 아닌가"라고 칭찬했다.
- 『진서』의 저자 방현령 등은 장궤가 지세뿐만 아니라 천도에 부합하여 번영했다고 평가하며, 유려(난민)를 위무하고 포구(유적)를 제거하여 부유한 나라를 만들었다고 칭찬했다.
- 『자치통감』에 주석을 단 호삼성은 장궤가 하서(河西) 지역으로 가서 백성을 안정시킨 것을 높이 평가했다.[10]
3. 2. 부정적 평가
장궤는 서진에 대한 충성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세력 기반을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중앙 권력의 약화를 틈타 지방 세력을 키운 것은, 결과적으로 서진의 멸망을 가속화했다는 지적도 있다.3. 3. 종합적 평가
장궤는 혼란한 시대에 뛰어난 통치력과 현실적인 판단으로 서북 지역을 안정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행적은 중앙 권력의 약화와 지방 세력의 성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후손들이 전량을 건국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장궤가 낙양 조정에서 벼슬할 때, 중서감 장화는 장궤의 경서 해석과 정치 이해 능력, 언어 구사력과 인품을 높이 평가하며, 구품관인법의 2품과 비교해도 매우 우수하다고 보았다. 또한, 장화와 같은 인재가 묻혀 있었던 점을 통해 안정군 중정관의 직무 수행 능력 부족을 지적했다.
- 장궤가 양주를 다스릴 때, 비서감 무세징과 소부 지우는 밤에 천문을 관측하며 "천하는 어지러워져 피난할 곳은 오직 양주(간쑤성 중서부)뿐이다. 장 양주(장궤)는 덕행과 도량이 모두 비범하여, 과연 남 위에 설 인물이 아닌가"라고 칭찬했다.
- 『진서』의 저자 방현령 등은 '주공(두융의 자)은 이 땅을 보존함으로써 공적을 세웠고, 사언(장궤의 자)도 또한 이 땅을 옹호하며 장생을 베풀었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장궤의 세력이 번영한 것은) '단지 지세에 의한 것만이 아니라, 천도에 부합했기 때문'이라고 평했다. 찬에서는 '장군(장궤와 그의 자손)은 진실에 귀의했다. 안으로는 유려(난민)를 위무하고, 밖으로는 포구(유적)를 제거했다. 천리·인심에 거스르지 않고 기업을 이루었으므로, 개천이 돕는 바가 되었다'라고 평했다.
- 『자치통감』 주석자 호삼성은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사람들은 스스로를 온전히 보존하는 것을 생각했지만, 두융·장궤는 하서로 나아가 온전을 구했고, 온전을 얻을 수 있었다. 두융·장궤는 시종일관 한·진을 숭상했고, 영원한 복록을 얻은 것은 당연하며, 자손에게도 (행복이) 남겨졌다.'라고 평가했다.
4. 가족 관계
5. 기타
전한 초기 조나라 왕 장 이의 17대손으로 여겨지며[10], 그 가문은 대대로 효렴으로 추천되었고, 유학을 전공한 것으로 유명했다.
어린 시절부터 명민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그 재능과 명망으로 세상의 평판이 자자했다고 한다. 또한, 용모와 태도, 몸가짐은 예의와 규칙에 따랐다고 한다.
전국 각지에서 난이 발생하자, 제후들 중 많은 이들이 조정의 명령을 점차 가볍게 여기게 되었고, 사신의 왕래도 끊기게 되었다. 그러나, 장궤는 사신을 계속 보내 조공을 1년 내내 끊이지 않았으므로, 조정은 이를 칭찬하며 여러 차례 옥새(천자의 조서)를 내려 그 노고를 위로했다.
문사로서도 유명하여, 아직 낙양에서 벼슬할 때 친교가 있던 두예에게, 직접 『역』에 주석을 더한 서적을 증정했다. 또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역의』 전 10권을 저술했다.
장궤와 관련된 일화는 다음과 같다.
- 장궤가 낙양의 혼란을 피해 양주(涼州)로 도망갈 생각을 하게 되자, 그 길흉을 점치기 위해 점을 쳤다. 그러자 육십사괘 중 태괘와 관괘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에 장궤는 시(占)를 던지며 "이는 패자의 길조이다"라고 말하며 크게 기뻐하며 양주로의 이주를 결단했다고 한다.
- 후한 말기, 금성군 출신의 양성원이 태수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키자, 같은 군 출신의 풍충은 태수의 시신 앞에서 크게 울부짖으며 피를 토하고 죽었다. 또 같은 시기에, 장액군 출신의 오영은 호강교위(護羌校尉) 마현으로부터 소집을 받아 그 좌리(佐吏)가 되었고, 이어서 태위 방참의 연이 되었다. 후에 마현과 방참이 대립하게 되자, 서로 죄상을 날조하여 함정에 빠뜨리고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말다툼을 했다. 두 사람은 오영을 불러 증언을 요구했지만, 오영은 쌍방의 이치에 맞출 수 없음을 깨닫고, 우울함에 빠져 자결해 버렸다. 마현과 방참은 매우 이를 후회했고, 이윽고 상호 화해했다. 후에 장궤가 이 이야기를 듣고 풍충과 오영의 묘를 제사하고, 그들의 자손을 현창했다고 한다.
- 313년, 태부참군 삭보는 장궤에게 다음과 같이 진언했다. "고대에 금과 조개 껍질의 가피가 통화로 사용되면서, 식량과 직물이 교환품으로 소모되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전한·후한 시대에는 오수전(五銖錢)이 만들어져 무역이 막히는 일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태시 연간(265년 - 274년)에 이르러 하서는 황폐해지고, 점차 돈은 다시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포(布)를 돈 대신 사용하며, 잘라내 그 가치의 등급을 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직물이 쇠퇴하고, 교역 또한 어려워졌습니다. 여공(女工)의 일도 쇠퇴하여, 옷을 만드는 것조차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는 매우 심각한 폐해입니다. 지금, 중원은 난에 빠져 있지만, 양주(涼州)는 안정되어 있습니다. 부디 오수전을 부활시켜 상업을 유통시키도록 해주십시오" 장궤는 이 제안에 동의하여 비단을 기준으로 돈과 교역하는 제도를 정했다. 이 돈은 크게 유통되었고, 양주의 백성들은 그 은혜를 입었다고 한다.
참조
[1]
서적
Book of Jin
[2]
간행물
十六国春秋
[3]
간행물
漢晋春秋
[4]
간행물
漢晋春秋
[5]
간행물
十六国春秋
[6]
서적
晋書
[7]
서적
晋書
[8]
문서
[9]
서적
資治通鑑
[10]
서적
晋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