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0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03년은 북송, 요나라, 일본, 서하, 리 왕조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한 해이다. 이 해에는 고려 숙종, 북송 휘종, 요 천조제 등이 재위했으며, 러시아 대공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폴로프치인을 상대로 승리하고, 교토에서 대지진이 발생했다. 또한, 캔터베리 대주교 앤설름이 잉글랜드 국왕 헨리 1세와 분쟁을 벌여 망명했으며, 스코틀랜드의 마틸다가 헨리 1세의 아들 윌리엄 애설린을 낳았다. 안티오크 공국의 보에몽 1세가 석방되고, 십자군이 트리폴리를 고립시켰으며, 룬드가 룬드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도바 천황, 악비 등이 태어났고, 미헬스베르크의 프루톨프, 오도 1세, 에릭 1세, 마그누스 3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103년
기본 정보
기년법간지: 계해년
단기: 3436년
불기: 1647년
황기: 1763년
히브리력: 4863–4864
로마 숫자MCIII
연도별
12세기1100년대
1100년대1100년, 1101년, 1102년, 1103년, 1104년, 1105년, 1106년, 1107년, 1108년, 1109년
12세기1110년, 1111년, 1112년, 1113년, 1114년, 1115년, 1116년, 1117년, 1118년, 1119년
십진법1103
이진법10001001111
십육진법44F

2. 연호

3. 기년

국가연호
고려숙종 8년계미
북송숭녕 2년휘종 3년
건통 3년천조제 3년
서하정관 3년숭종 18년
리 왕조롱푸 3년인종 32년
일본고와 5년, 황기 1763년
대리국천정 원년


4. 사건

4. 1. 아시아


  • 러시아 대공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폴로프치인에게 승리했다.
  • 송나라 휘종 황제 재위 기간 동안, 이계가 중국 건축에 관한 기술 논문인 ''영조법식''을 출판했다.
  • 4월 22일, 교토에서 강진(대지진)이 발생했다. 이후 4월 24일, 5월 1일, 7월 16일, 10월 26일, 11월 26일, 12월 20일에 지진이 발생했다.( 백련초 권5, 전력(殿暦), 소외기 중헌기(少外記重憲記) 등에서).[1]

4. 2. 유럽

4. 3. 중동 및 레반트


  • 봄 - 안티오크 공의 공작 보에몽 1세가 니크사르 감옥에서 의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 그가 없는 동안 탕크레드(보에몽의 조카)는 킬리키아에서 타르수스, 아다나, 모프수에스티아를 비잔틴으로부터 다시 점령했다. 탕크레드는 보에몽이 돌아오자 영지를 잃었지만, 안티오크 공국 내의 작은 봉토를 받았다.[1]
  • 레몽 4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베카 계곡을 침공하여 토르토사를 점령하고 트리폴리를 고립시켰다. 레몽은 오론테스 강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몽 페레그리누스 요새에 성을 짓기 시작했고, 이는 트리폴리 포위전에 도움이 되었다(1102년 참조).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십자군을 지원하기 위해 비잔틴 함대(10척)를 파견하여 트리폴리 항구를 봉쇄했다.[2]
  • 여름 - 보에몽 1세와 쿠르트네의 조슬랭이 이끄는 십자군은 보급품을 얻기 위해 알레포 지역을 습격했다. 그들은 무슬리미야 마을을 점령하고 막대한 공물을 징수했다. 알레포의 셀주크 통치자인 술탄 파크르 알 물크 라드완은 십자군에게 7000GOLD와 말 10마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고, 보에몽은 무슬리미야에서 포획한 모든 셀주크 포로를 석방하기로 합의했다.[3]

4. 4. 종교

스웨덴 스카니아 지방의 룬드는 가톨릭교회의 교구인 룬드 대교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5. 탄생

6. 사망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1951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1951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195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