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항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시의 시내버스는 2007년 간·지선제, 시내순환, 간선급행버스 노선체계를 구축하여 운영되고 있다. 2020년 마을버스 노선이 신설되어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가 담당하며, 현재 간선버스, 좌석버스, 급행버스, 마을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 급행버스는 5000번과 9000번이 있으며, 순환버스는 110번, 111번, 120번, 121번, 130번, 131번이 운행된다. 간선버스는 206번, 207번, 209번, 216번, 219번, 302번, 305번, 306번, 308번, 800번 등이 있으며, 좌석버스는 600번, 700번, 900번이 있다. 지선버스는 코리아와이드포항 마을버스와 금아여행에서 운행하며, 다양한 노선으로 포항 시내 외곽 지역과 읍면 지역을 연결한다. 2021년 6월 기준, 시내버스와 좌석버스의 기본 운임은 어른 1,200원(카드), 청소년 900원(카드), 어린이 600원(카드)이며, 환승 제도가 운영된다. 시내버스 운행 업체는 코리아와이드포항과 코리아와이드포항 마을버스이다.

2. 노선 체계

2007년 3월부터 8월까지 55개 전 노선에 1억 8천만원의 사업비를 투입, 간·지선제 및 시내순환, 간선급행버스 등의 시내버스 노선체계를 구축하였다.[3] 2020년 7월 개편으로 마을버스가 신설되었으며, 코리아와이드포항 마을버스라는 신설 법인이 담당한다.

코리아와이드포항은 대부분의 노선을 운행하며, 공영차고지가 있는 문덕리와 양덕동에서 주로 출발한다. 두 차고지에는 모두 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2020년 7월에는 양덕동 공영차고지와 덕수동 도심환승센터에 전기버스 충전기를 설치하여 경상북도 내 업체들 중에서는 최초로 플러그인식 전기버스 운용을 시작했다.[5]

현재 간선버스, 좌석버스, 급행버스, 순환버스, 지선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

2. 1. 급행버스

모든 노선은 코리아와이드포항에서 운행한다. 2008년 11월 1일 포항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2020년 현재 급행버스 2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4]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5000문덕보경사문덕사거리, 한일철강, 장흥동사거리, 덕천빌딩, 영일고등학교, 연일지구대,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죽도파출소, 죽도시장, 선린병원, 포항역, 흥해환승센터, 청하환승센터, 월포역22~30포항역 (KTX) 경유
일부 시간대 필화, 남천 경유(문덕방면)
구 500번과 510번
9000양덕구만2리환호해맞이그린빌, 영일대해수욕장, 여객선터미널, 유성여고, 포항역, 도심환승센터, 죽도어시장, 포항고속버스터미널, 해도119안전센터, 포스코, 영남상가, 구룡포, 호미곶, 호미곶사무소35~36포항역 (KTX) 경유


2. 2. 순환버스

코리아와이드포항에서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 2008년 11월 1일 포항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2020년 현재까지 순환버스는 다음 노선들이 운행 중이다.[4]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10송도송도송도교, 죽도어시장, 도심환승센터, 쌍용아파트, 대흥초교, 용흥우방아파트, 동지재단 → 포항의료원, 포항남부초등학교, 양학시장, 양학초등학교19~20저상버스 운행
111
120양덕양덕남광하우스토리, 삼구3차, 장량5단지, 포항교육지원청, 중성리, 흥해환승센터, 흥해읍행정복지센터, 초곡지구, 선린대입구, 포항역, 중앙고교, 유성여고15~16저상버스 운행
121
130문덕문덕문덕사거리, 인덕복지회관, 포스코기술연구소, 남구보건소, 해도신협, 송도교, 죽도동민복지회관, 죽도시장, 육거리, 도심환승센터, 서산사거리16~17저상버스 운행
131


2. 3. 간선버스

코리아와이드포항에서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 2008년 11월 1일 포항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2020년 현재 간선버스 15개 노선, 좌석버스 4개 노선, 급행버스 2개 노선, 마을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4]

공영차고지가 있는 문덕리와 양덕동에서 대부분 출발하며, 두 차고지에는 모두 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2020년 7월에는 양덕동 공영차고지와 덕수동 도심환승센터에 전기버스 충전기를 설치하여 경상북도 내 업체들 중에서는 최초로 플러그인식 전기버스 운용을 시작했다.[5]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06양덕위덕대포항대학교, 상지프라자, 장성고등학교, 창포사거리, 세화고등학교, 도심환승센터, 포항시외버스터미널15~17구 109번, 저상버스 운행
207양덕지곡환호여중, 장성초등학교, 영일대해수욕장,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영일대, 승리아파트10~12구 105번, 저상버스 운행
209양덕동해포항대학교, 양덕지구, 환호여중, 영일대해수욕장, 포항고속버스터미널, 찬내다리, 청림초등학교14~15구 101번, 저상버스 운행
216양덕유강창포사거리, 영일대해수욕장, 북구청, 육거리, 죽도시장, 양학16~18구 108번, 저상버스 운행
219도심환승센터동해육거리, 죽도시장, 포항고속버스터미널, 포스코, 남구보건소, 코아루블루인시티1일 9회구 110번, 219번은 2024년 1월 1일부로 폐선되고, 동해지선마을버스로 격하됨
302양덕문덕환호여중, 장성초등학교, 창포사거리, 우현경로당, 포항고속버스터미널, 상대시장, 형산로타리14~15구 102번, 저상버스 운행
305문덕달전국민빌라, 문덕사거리, 문덕초등학교, 오천환승센터, 동해빌라, 청림삼거리, 형산로타리15~16구 175번, 저상버스 운행
306문덕유강원동, 오천, 남구보건소, 포스코, 포항시외버스터미널, 포항시청, 지곡21~23저상버스 운행
308문덕흥해문덕온천, 문덕사거리, 덕천빌딩, 포항시외버스터미널, 포항고속버스터미널, 죽도시장, 도심환승센터, 포항역17~18구 107번, 저상버스 운행
800도심감포고속버스터미널, 현대제철, 근로자복지회관, 문덕사거리, 오천초등학교, 정천리, 장성백이, 학곡리, 금오리, 장기중학교, 양포삼거리40~501일 4회 척사 경유


2. 4. 좌석버스

모든 노선을 코리아와이드포항에서 운행한다. 2008년 11월 1일 포항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래로 2020년 현재 좌석버스 4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4]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600양덕산대포항시외버스터미널, 유강, 강동면사무소, 인동, 산대초등학교, 새터, 안강삼도타운90 ~ 100
700양덕기계영일대해수욕장, 도심환승센터, 서산사거리, 죽도파출소, 포항시외버스터미널, 대잠사거리, 포항시청28
900양덕구룡포영일대해수욕장, 포항시외버스터미널, 문화예술회관, 형산로타리, 현대제철, 포스코, 남구보건소, 청림초교, 해병대북문, 남부소방서, 포항경주공항, 동해면사무소15구 200번


2. 5. 지선버스

코리아와이드포항에서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4]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580포항마을농협포항지시부하옥산장하옥, 상옥, 유계, 명안, 청하4회구 청하5번
770포항마을오거리죽장기계3회구 기계7번
2회 운행 시 가사, 석계까지 운행
용흥1금아여행도심환승센터포항시외버스터미널나루끝, 대동우방, 전자여고, 대흥초교, 용흥동주민센터, 죽도파출소30~40
창포1금아여행도심환승센터두호동나루끝, 대동우방, 신동아베르디, 유성여고, 우현더힐, 두호주공40~60
양덕1포항마을양덕양덕북부장애인복지회관, 장량하수처리장, 양덕체육공원, 풍림아이원, 남광하우스토리, 상지프라자, 장량6단지, 삼구4차, 장량휴먼시아16rowspan=2 |
양덕2
양덕3포항마을송도칠포해수욕장송도교, 죽도시장, 북부시장, 포항세관, 죽천2리, 죽천1리7회구 176번
죽장5포항마을기계죽장5회2회 운행 시 두마, 봉계, 월평까지 운행
청하1포항마을송라면 행정복지센터지경3리마을회관화진1리, 화진3리, 지경2리, 지경3리마을회관, 대전리, 화진3리, 방석리7회방석, 화진 해안가 왕복 경유
청하2포항마을송라중산2리필하.용두, 월포, 조사리10
청하3청하환승센터청하면복지회관상송, 울전, 하대3회
청하4흥해환승센터청하환승센터곡강, 용천, 칠포, 월포역19
흥해환승센터청하사거리, 월포역, 소소정
곡강, 용천, 칠포, 월포역금장 경유
기계1포항마을기계환승센터안강내단, 노당, 양월16
기계2기계환승센터죽장, 도마, 봉계, 월평5회감곡 경유(기계 방면), 지동, 감곡 경유(죽장 방면)
죽장일광, 감곡, 구지, 지가
기계3기계환승센터내단2리3회
봉계2리남계
기계5기계환승센터문성, 학야, 화계4회
기북


3. 운임

2021년 6월 1일 기준 포항시의 시내버스와 좌석버스 기본 운임은 다음과 같다.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
좌석어른 (만 19세 이상)1,3001,2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000900
어린이 (만 7세 ~ 12세)700600
시내어른 (만 19세 이상)1,3001,2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000900
어린이 (만 7세 ~ 12세)700600



2016년 4월 1일부터 간선버스는 하차 후 30분(100번과 700번 버스는 40분), 20시 이후 간선-간선 환승은 40분 이내에 환승할 수 있다. 지선버스는 하차 후 2시간 이내에 승차하면 환승 혜택을 받는다. 환승하려면 하차 시 카드를 태그해야 한다. 수도권과 달리 환승 후 하차 시에는 태그하지 않아도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서울 대중교통은 환승 시간을 30분에서 33분, 60분에서 66분으로 10% 더 여유 시간을 주지만, 포항시내버스는 여유 시간을 주지 않는다.[6] 일반버스에서 좌석버스로 환승할 때는 일반 요금을 제외한 차액만 지불하면 된다.

4. 운행 업체

코리아와이드포항은 포항시의 시내버스를 독점 운행하고 있으며, 마을버스 업체로는 코리아와이드포항 마을버스와 금아여행이 있다.[1]


  • 코리아와이드포항
  • 코리아와이드포항 마을버스

5. 사진

포항 시내버스 도착 안내기

참조

[1] 문서
[2] 문서
[3] 웹사이트 포항시의 교통 일반현황 http://www.ipohang.o[...]
[4] 웹인용 포항 문화관광 시내버스 페이지 https://web.archive.[...] 2009-08-29
[5] 문서
[6] 문서
[7]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