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시는 경상북도 동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구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를 거쳐 진한의 근기국이 있던 곳이다. 신라 시대에는 여러 현으로 나뉘었고,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현재의 행정 구역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995년 영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으며, 현재 북구와 남구로 구분된다. 주요 산업은 포스코를 중심으로 한 철강 산업이며, 수산업과 농업도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죽도시장, 호미곶, 영일대 해수욕장 등이 있으며, K리그1의 포항 스틸러스와 KBO 리그의 삼성 라이온즈가 연고로 하는 스포츠 도시이기도 하다. 국회의원은 김정재, 이상휘이며, 시장은 이강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도시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 포항시 - 포항극동방송
    포항극동방송은 200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포항 도음산 송신소에서 FM 90.3㎒로, 울릉도 삼각산 중계소에서 FM 96.7㎒로 방송을 송출한다.
  • 포항시 - 경북교통방송
    경북교통방송은 FM 103.5MHz와 FM 103.7MHz 주파수로 24시간 방송을 송출하며,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평일 출발! 경북대행진 등이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포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포항시
한글 표기포항시
한자 표기浦項市
로마자 표기Pohang-si
매큔-라이샤워 표기P'ohang-si
위치경상북도
방언경상 방언
면적1,128.76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492,041명
인구 밀도442.40 명/km²
행정 구역2구 15동 4읍 10면
지역 번호+82-54-2xx
시목해송
시화장미
시조갈매기
정치
시장이강덕 (국민의힘)
국회의원 (북구)김정재 (국민의힘)
국회의원 (남구·울릉군)이상휘 (국민의힘)
행정
하위 행정 구역2구 4읍 10면 15동
행정 구역 코드37010
시청 소재지남구 시청로 1(대잠동)
기타 정보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9)
마스코트해(연오), 달(세오)
슬로건창의 융합 혁신 세계로 도약하는 2023 포항
공식 웹사이트포항시청 홈페이지
12경포항 12경

2. 역사

포항 지역은 영일만 일대에서 구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될 정도로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이다. 청동기 시대에는 여러 지역에서 주거지 유적이 확인되었으며, 삼한 시대에는 진한 12국 중 하나인 근기국(根己國)이 이 지역에 위치했다.[36][37] 이후 신라에 편입되어 여러 현(縣)으로 나뉘어 관리되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명칭과 경계에 변화가 있었고, 조선 후기에는 군사적 요충지인 포항진(浦項鎭)과 조세 창고인 포항창(浦項倉)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20세기 초까지 포항은 작은 어촌 마을이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영일군 포항면이 설치되고, 1930년대에 현대식 항만 건설이 시작되면서 변화를 맞이했다.[3] 1931년 포항면은 포항읍으로 승격되었고, 1949년에는 포항시로 승격하여 영일군에서 분리되었다.[3]

한국 전쟁 당시 포항은 유엔군의 주요 상륙 지점이자 격전지로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4] 전쟁 이후, 1960년대까지 인구 5만 명 정도의 소도시였던 포항은[5] 1968년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 건설이 시작되면서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1972년 제철소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포항은 대한민국의 핵심 중공업 도시로 급성장하였고,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가 발전하였다.[3]

1995년 1월 1일, 포항시는 인근 영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 형태의 새로운 포항시로 출범하였다.[38] 21세기에 들어 포항시는 기존의 중공업 중심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환경 보호, 고등 교육 강화, 문화 예술 진흥 등 다각적인 발전을 추구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고 있다.[6][7]

2. 1. 선사 시대 ~ 통일 신라 시대

영일만 일대에서는 구석기 시대 유물이 장기면 산서리, 동해면 임곡리, 기계면 구지리, 하대리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흥해읍 초곡리, 오천읍 원리, 구룡포읍 석병리, 강사리 등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 유적이 다수 확인되고 있으며,[36] 무문토기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300년)의 작은 마을과 거석 매장 유적인 돌멘도 발굴되었다.[3]

삼국지》 위서 오환선비동이전에는 진한 12국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중 근기국(根己國)이 현재의 포항시에 위치했던 나라였다. 근기국의 주민은 토착민과 유이민 세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냉천과 형산강을 중심으로 한 구릉지와 평야에 살던 토착 세력에 해안을 통해 이주해 온 유이민 세력이 더해져 나라를 형성하였다. 근기국은 오늘날 포항시 인덕동, 호동, 오천읍, 대송면, 동해면 및 인근 지역에 형성된 읍락들을 지배하며 소국(小國)을 이루었고, 이 지방의 중심 세력으로 역할을 하였다.

신라 파사이사금 대에 이르러 근기국은 다벌국, 초팔국과 함께 신라에 합병되었고, 이 지역은 신라가 직접 통치하게 되었다.[37] 신라 시대에 이 지역은 퇴화현(退火縣), 지답현(只沓縣), 근오지현(斤烏支縣), 해아현(海阿縣)의 네 개의 으로 구성되었다.

2. 2. 고려 ~ 조선 시대

신라 시대에 포항 지역은 퇴화현(퇴화현|퇴화현한국어), 지답현(지답현|지답현한국어), 근오지현(근오지현|근오지현한국어), 해아현(해아현|해아현한국어)이라는 네 개의 으로 나뉘어 있었다. 고려 시대에 들어서면서 이 네 현은 각각 흥해군( 흥해군|흥해군한국어 ), 장기현( 장기현|장기현한국어 ), 영일현( 영일현|영일현한국어 ), 청하현( 청하현|청하현한국어 )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시대에는 형산강 하구 삼각주해도, 상도, 대도, 송도, 죽도 등 다섯 개의 섬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섬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육지와 연결되거나 서로 합쳐져 오늘날 포항 시가지의 일부가 되었다.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에는 포항진(浦項鎭|포항진한국어)과 포항창(浦項倉|포항창한국어)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 포항이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2. 3. 일제 강점기 ~ 대한민국

오거리에 세워진 포항시민탑. 현재는 철거되었다.


일제 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영일군으로 통폐합되었다. 이때 흥해군 동상면과 연일군 북면을 합쳐 영일군 '''포항면'''이 설치되었다.[24][25] 1917년에는 포항면의 일부를 나누어 형산면을 설치했다. 20세기 초까지 작은 어촌 마을이었던 포항은 1930년 현대식 항구 건설이 시작되면서 점차 발전하기 시작했다.[3]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이 '''포항읍'''으로 승격하였고,[26] 1938년 10월 1일에는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다.[28] 1942년 10월 1일에는 창주면이 구룡포읍으로 승격되었다.[29]

광복 이후인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하며 영일군에서 분리되었고, 다음 날인 8월 15일 '''포항시'''로 이름을 바꾸었다.[3]

한국 전쟁 당시 포항의 도로와 항구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다. 1950년 7월 18일, 유엔군이 포항에 상륙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 이루어진 대규모 상륙 작전이었다. 같은 해 8월부터 9월까지 포항 인근에서는 대한민국 제3보병사단과 북한 제5보병사단 사이에 치열한 포항 전투가 벌어졌다.[4]

1962년 포항은 국제개항장으로 지정되었다. 1968년에는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 건설이 시작되어 1972년부터 생산에 들어갔으며, 1973년 1기 공사가 완료되었다.[3] 제철소 건설과 중공업의 발달은 포항의 급격한 성장을 이끌었다. 1960년대 인구 5만 명의 작은 해안 도시는[5] 20세기 말 철강, 조선, 어업 중심의 산업 도시로 변모했다.[3] 이 과정에서 포항시와 인접한 영일군 연일, 대송, 오천 지역 일부가 1970~80년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포항시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영일군 연일읍 일부가,[31] 1987년 1월 1일에는 영일군 대송면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포항시'''가 출범하였다.[22][38] 이로써 포항시는 도농복합시 형태를 갖추게 되었으며, 북구와 남구의 2개 일반구가 설치되었다.[23][39] 통합 당시 포항시는 2구 4읍 10면 25동 체제였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화와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포스코와 같은 기존 산업 구조의 한계가 지적되기도 했다.[6] 이에 포항시는 환경 보호, 고등 교육 강화, 문화 예술 도시를 지향하며 미래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7] 2010년 1월 1일에는 남구 대보면이 호미곶면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7년 11월 15일에는 포항시 북구 북쪽 9km 지역에서 규모 5.4의 포항 지진이 발생하여 시가지에 피해를 입혔다.

'''주요 행정 구역 변천 (1914년 ~ 현재)'''

날짜내용비고 (영일군 기준, 별도 표기 제외)
1914년 4월 1일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영일군으로 통폐합.17면 체제
1917년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리.18면 체제
1931년 4월 1일포항면이 포항읍으로 승격.[26]1읍 17면 체제
1934년 4월 1일죽남면·죽북면 → 죽장면 통합.
장기면·봉산면 → 지행면 통합.[27]
1읍 15면 체제
1938년 10월 1일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28]1읍 14면 체제
1942년 10월 1일창주면이 구룡포읍으로 승격.[29]2읍 13면 체제
1949년 8월 14일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어 영일군에서 분리.영일군: 1읍 13면 체제
1949년 8월 15일포항부가 포항시로 개칭.
1956년 7월 8일흥해면·곡강면을 의창면으로 통합.1읍 12면 체제
1957년 10월 29일달전면 폐지, 의창면·연일면에 분할 편입.[30]1읍 11면 체제
1973년 7월 1일의창면이 의창읍으로 승격.2읍 10면 체제
1980년 12월 1일연일면이 연일읍으로, 오천면이 오천읍으로 승격.4읍 8면 체제
1983년 2월 15일연일읍 일부(대잠동, 효자동, 지곡동, 이동) 포항시 편입.
의창읍을 흥해읍으로 개칭.[31]
1986년 4월 1일구룡포읍 대보출장소가 대보면으로 승격.
기계면 기북출장소가 기북면으로 승격.
4읍 10면 체제
1987년 1월 1일대송면 일부(호동, 제내동 일부, 송동 일부, 옥명동 일부) 포항시 편입.
1991년 12월 1일지행면을 장기면으로 개칭.
1995년 1월 1일포항시와 영일군 통합, 포항시 출범.
북구, 남구 설치.[22][23]
포항시: 2구 4읍 10면 25동 체제
2010년 1월 1일남구 대보면을 호미곶면으로 개칭.포항시: 2구 4읍 10면


3. 지리

wikitext

구분위치
동단남구 구룡포읍 석병리
서단북구 죽장면 두마리
남단남구 장기면 두원리
북단북구 죽장면 하옥리


3. 1. 지형

경상북도의 동해안 영일만에 위치하며, 지반은 신생대 제3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층으로 덮여 있다. 시가지는 영일만형산강 하구 부근에 발달했는데, 이 지역은 원래 바다였으나 형산강에서 운반된 토사가 쌓여 형성된 삼각주이다. 또한, 연안 조류의 영향으로 사주가 발달하여 반원형의 만 안쪽에는 좁고 긴 모래사장, 즉 사빈해안이 약 30리에 걸쳐 펼쳐져 있다.

시의 서쪽 지역은 구릉이 기복을 이루며 발달해 있는데, 이 구릉의 두 줄기가 해안까지 뻗어 있어 그 사이에 자연스럽게 3개의 저지대가 형성되었다. 북쪽과 중간 저지대는 대부분 농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중간 저지대는 항구와 가까워 최근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시가지는 주로 남쪽 저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형산강까지 평지가 이어져 농지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3. 2. 기후

동해에 면하여 난류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을 띠어 온난하며, 같은 위도상의 황해 연안 지역보다 따뜻하다. 연평균 기온은 14.6°C이며,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2.2°C,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 기온은 26°C이다. 관측 기록(1943년~현재)상 최고 기온은 39.3°C이고, 최저 기온은 -14.4°C이다.[41][42] 연평균 강수량은 1192.4mm이다.[41][42]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난 습윤 기후(Cfa)에 속한다. 가장 건조한 달은 12월로 평균 강수량이 26.1mm이며,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8월로 평균 230.2mm의 비가 내린다.[8]

아래는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포항시(남구 송도동 소재 포항기상관측소[40])의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년값 및 1943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 자료이다.[41][42]

포항시의 기후 (포항기상관측소, 포항시 남구 송도동)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17.5°C24.9°C26.9°C32.8°C36.1°C37.7°C38.6°C39.3°C35.9°C30.5°C28°C21.5°C39.3°C
평균 최고 기온 (°C)6.7°C9°C13.3°C19.1°C23.5°C25.8°C29°C29.5°C25.5°C21.4°C15.4°C8.9°C18.9°C
일평균 기온 (°C)2.2°C4.3°C8.6°C14.1°C18.6°C21.8°C25.4°C26°C21.9°C16.9°C10.6°C4.3°C14.6°C
평균 최저 기온 (°C)-1.5°C0.2°C4.2°C9.6°C14.4°C18.6°C22.5°C23.3°C18.9°C13.1°C6.6°C0.5°C10.9°C
역대 최저 기온 (°C)-14.4°C-13.4°C-9.9°C-2.3°C3.7°C8.2°C10.8°C14°C8.9°C0.6°C-8.3°C-13.1°C-14.4°C
평균 강수량 (mm)39.8mm36.5mm60.5mm81.2mm84.6mm126.8mm200.6mm230.2mm189.3mm76.7mm40.1mm26.1mm1192.4mm
평균 강수일수 (≥ 0.1mm)5.75.98.58.28.59.713.713.511.36.46.24.7102.3
평균 강설일수2.12.21.10.00.00.00.00.00.00.00.21.57.1
평균 상대 습도 (%)48.850.855.457.164.173.978.378.675.365.157.449.962.9
월평균 일조 시간 (시간)191.4185.1203.8219.3230.9189.2168.5178.5160.9199.7185.0191.22303.5
일조율 (%) (1981~2010)60.857.551.254.451.342.036.240.741.555.459.363.050.1



포항시는 지진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3. 3. 지질

포항시는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에 형성된 퇴적 분지인 '''포항 분지''' 및 '''장기 분지''' 상에 위치해 있어,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신생대 제3기퇴적암 지층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43] 포항 분지는 연일층군으로 대표되는 신생대 퇴적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지의 서쪽 경계 부근에는 양산 단층이 지나간다.

포항시 북부와 서부 지역에는 중생대 백악기퇴적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의 가송동층대구층(또는 반야월층) 일부가 분포한다.

'''장기 분지'''는 포항시 동해면, 구룡포읍, 장기면 일대에 걸쳐 발달한다. 이 분지는 신생대의 장기층군과 호미곶층군 그리고 여러 관입암류로 구성된다. 장기 분지의 북서쪽 경계는 북동 30° 방향으로 발달한 오천 단층에 의해 규제된다. 분지 중서부는 북동 방향의 모리령 단층에 의해 단절되어 유천층군 기반암과 경계를 이룬다. 분지 남부에서는 유천층군 기반암과 부정합 관계로 접하며, 이를 통해 남쪽의 어일 분지와 구분된다. 분지의 북동쪽 경계는 기반암인 백악기 퇴적암과 에오세로 추정되는 호미곶층군 화산암류와 대부분 부정합 관계로 접한다.

4. 행정 구역

1995년 포항시와 영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포항시의 행정 구역은 2개의 행정구(북구, 남구)와 그 산하에 4, 10, 1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50만 2916명(북구: 27만 2494명, 남구: 23만 422명), 22만 5693가구이다.[44]

포항시 행정구역


'''북구'''

행정구역한자면적 (km²)인구 (명)세대 (가구)
흥해읍興海邑105.72km240,60417,620
신광면神光面80.17km22,8731,655
청하면淸河面78.2km24,8272,745
송라면松羅面59.4km22,4901,505
기계면杞溪面91.96km24,9202,626
죽장면竹長面235.71km22,7191,678
기북면杞北面52.39km21,290738
중앙동中央洞2.33km215,7438,794
양학동良鶴洞1.98km217,1996,915
죽도동竹島洞1.86km219,70711,018
용흥동龍興洞3.95km222,2959,418
우창동牛昌洞6.2km232,33913,531
두호동斗湖洞1.38km223,1899,120
장량동長良洞11.18km272,75828,442
환여동環汝洞2.37km29,5413,863
북구 소계北區734.8km2272,494119,668


  • 인구·세대는 2020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남구'''

행정구역한자면적 (km²)인구 (명)세대 (가구)
구룡포읍九龍浦邑45.17km27,5684,612
연일읍延日邑36.07km230,63312,093
오천읍烏川邑70.5km254,83924,783
대송면大松面32.62km23,5001,924
동해면東海面43.62km29,9084,702
장기면長鬐面100.27km24,1172,437
호미곶면虎尾串面20.43km21,8871,155
상대동上大洞3.44km224,82013,170
해도동海島洞1.94km217,2569,684
송도동松島洞1.86km212,5076,550
청림동靑林洞6.74km24,6942,511
제철동製鐵洞19.56km22,8391,513
효곡동孝谷洞5.86km230,44010,887
대이동大梨洞4.94km225,41410,004
남구 소계南區393.02km2230,422106,025


  • 인구·세대는 2020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포항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을 '''포항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4. 1. 인구

포항시의 전체적인 연령대별 분포는 일반적인 도시의 연령대별 분포를 따른다. 2023년 7월 1일 기준으로 중장년층이 가장 많으며, 아동·청소년층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구조이다. 1973년 포항제철 준공과 함께 본격적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 20년간 큰 폭으로 인구가 증가하였다. 1995년 시·군 통합 당시 인구는 51만 명이었으며, 2000년대에 감소하였다가, 2010년대에 다시 늘었으나 2016년부터 계속 감소하여 인구 50만 명 선이 무너졌다.

연도총인구비고
1949년225,943명영일군
1955년226,712명포항시(52,379), 영일군(174,333)
1960년253,649명포항시(59,536), 영일군(194,113)
1966년274,274명포항시(65,927), 영일군(208,347)
1970년272,946명포항시(77,690), 영일군(195,256)
1975년328,433명포항시(134,418), 영일군(194,015)
1980년396,383명포항시(201,174), 영일군(195,209)
1985년419,627명포항시(260,691), 영일군(158,936)
1990년482,836명포항시(317,768), 영일군(165,068)
1995년508,899명포항시
2000년515,714명
2005년489,698명
2010년511,390명
2015년511,804명
2019년502,064명


5. 산업

포항운하


포항은 세계적인 철강 기업 포스코(POSCO) 포항제철소를 중심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공업 도시이다. 1970년대 포항종합제철 공장이 완공되면서 본격적인 공업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철강 산업 외에도 식료품, 섬유, 금속 관련 공업이 발달했다. 또한 포도주와 유지 제조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비옥한 평야를 바탕으로 주곡 생산 외에 포도, 등 다양한 농산물이 재배되며, 축산, 양봉, 양계도 활발하다. 특히 오천읍의 양송이 단지가 유명하다.

포항의 대표적인 먹거리 중의 하나인 과메기


수산업 역시 포항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근해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여 어족 자원이 풍부하며, 고등어, 청어, 대구, 오징어, 고래 등의 어획량이 많다. 특히 고등어와 청어를 잡는 건착망 어업과 과거의 고래잡이로 잘 알려져 있다. 구룡포읍과 장기면 등지에서는 전복, 미역, 우뭇가사리 등의 양식이 활발하며, 주요 수산물로는 명태, 꽁치, 대구, 방어, 오징어 등의 어류와 , 미역, 우뭇가사리 같은 해조류가 있다. 수산가공업도 발달하여 통조림, 한천, 제빙, 냉동 제품 생산과 어망 제작, 조선업 등이 이루어진다. 포항에 있는 그물 공장은 경상북도 내에서 유일하다.

포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는 과메기가 있다. 과메기는 청어꽁치를 겨울 동안 바닷바람에 반쯤 말린 것으로, 주로 경상북도 해안 지역에서 즐겨 먹으며 특히 구룡포가 생산지로 유명하다.[46][47][48] 보통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채소와 함께 먹는다. 이 외에도 피데기(반건조 오징어), 오징어, 부추, 시금치, 참기름, 영치자, 표고버섯 등이 지역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상업 활동은 시장이나 백화점 등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포항은 어항으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해수욕장, 해병대 주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다른 도시에 비해 상업 경기가 활발한 편이다.

한편, 포항은 에너지 자원과 관련된 이야기도 가지고 있다. 1976년 1월,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포항 앞바다 시추공에서 석유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하여 큰 기대를 모았으나[34],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포항 시내 지하에는 여전히 석유 및 가스 자원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2017년에는 시추 중이던 우물에서 천연가스가 분출되어 불꽃이 치솟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35]

6. 문화·관광

포항시는 여름철 피서지 및 연말연초 해돋이 관광지로 유명하다.

포항 야경

주요 관광지

  • 죽도시장: 포항시 북구 죽도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통 어시장 중 하나이다. 항구 근처에 있으며, 시장 내에 횟집과 수산물 상점이 많다. 서울이나 대구 등 다른 지역에 비해 해산물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 호미곶: 한반도를 호랑이 형상으로 볼 때 꼬리 부분에 해당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대표적인 해돋이 명소이다. 매년 새해 첫 해돋이를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이곳에는 새천년을 기념하여 1999년 12월에 세워진 상생의 손 조형물이 있다. 바다에는 높이 8.5m의 오른손이, 해맞이 광장에는 5.5m의 왼손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 포항 스페이스워크: 북구 환호동 환호공원 내에 위치한 체험형 조형물이다. 독일의 부부 작가인 하이케 무터와 올리히 겐츠가 디자인하고, 포스코탄소강스테인리스강 317톤을 사용하여 제작·설치하여 포항 시민들에게 기부했다. 2020년 12월 착공하여 2021년 11월 19일에 개장했으며, 마치 롤러코스터처럼 생긴 트랙 위를 걸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3]
  • 영일대 해수욕장 (구 북부해수욕장): 도시 북쪽 두호동에 위치하며, 매년 여름 포항국제불빛축제가 열리는 장소이다. 해변 주변에는 식당, 숙박 시설 등 상업 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 포스코 (POSCO)
  • 형산강 체육공원
  • 환호 해맞이공원
  • 입암 28경
  • 영일 장기읍성
  • 덕동 문화마을
  • 구룡포 적산가옥
  • 이기리 닻 전망대
  • 포항운하
  •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 철길숲&불의정원
  • 장기읍성&유배문화체험촌

해수욕장포항에는 동해를 따라 여러 해수욕장이 있다.

  • 영일대 해수욕장 (상세 내용은 주요 관광지 참고)
  • 구룡포 해수욕장
  • 도구 해수욕장
  • 송도해수욕장
  • 용한리 해수욕장: 북구 흥해읍에 위치하며, 서핑 명소로 알려져 관련 업체와 서퍼들이 많이 찾는다.[49]
  • 월포 해수욕장
  • 칠포 해수욕장
  • 화진 해수욕장

사찰

  • 보경사: 북구 송라면 내연산(해발 710m) 기슭 계곡에 자리한 큰 사찰이다. 근처에 내연산 12폭포가 있으며, 사찰에서 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주변에는 여러 암자도 자리 잡고 있다.
  • 오어사: 남구 대송면 운제산(해발 481m) 기슭 계곡에 위치한 사찰이다. 형산강의 지류인 냉천 옆에 있으며, 신라의 유명한 승려 원효가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법광사: 비학산 자락에 위치한다.

축제 및 행사

  •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축전: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1일까지 호미곶에서 열리는 해맞이 축제이다.
  • 포항국제불빛축제: 매년 여름(2019년부터 5월 마지막 주로 변경) 영일대 해수욕장에서 약 1주일간 열리는 불꽃 축제로, 전국 각지에서 많은 관광객이 모인다.
  • 과메기 축제: 포항의 특산물인 과메기를 주제로 매년 11월 구룡포에서 열린다. 다양한 먹거리와 공연, 전통 문화 체험 행사가 마련된다.
  • 일월문화제
  • 통일기원해변마라톤

박물관 및 문화 시설1995년에 개관한 문화예술회관에서는 다양한 공연과 전시가 열린다.

시설명도로명 주소비고
국립등대박물관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150번길 20
영일민속박물관북구 흥해읍 한동로 51영일민속역사관으로도 불림
포항시립미술관북구 해맞이공원길 10


기타 문화·관광 자원

  • 경상북도수목원
  • 덕동 문화마을
  • 덕실 마을
  • 상옥리 하옥계곡
  • 키-청산수목원
  • 영일만 크루즈
  • 포항 선박 체험

포항 12경포항시는 다음과 같이 포항 12경을 선정하여 홍보하고 있다.

  • 제1경 호미곶 일출
  • 제2경 내연산 12폭포
  • 제3경 운제산 오어사 사계
  • 제4경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 제5경 영일대&포스코 야경
  • 제6경 포항운하
  • 제7경 경상북도수목원 사계
  • 제8경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 제9경 철길숲&불의정원
  • 제10경 죽장 하옥계곡 사계
  • 제11경 장기읍성&유배문화체험촌
  • 제12경 구룡포 일본인 가옥 거리

7. 군사

1959년 3월 12일부터 해병대 제1사단과 해병대 교육훈련단이 주둔하기 시작하면서 대한민국 해병대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는 모든 해병대원의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해병대 외에도 해군 소속의 해군항공사령부와 포항 항만 방어대대 등이 주둔하고 있다. 이러한 주둔 부대들을 통합 지휘하며 포스코월성원자력발전소 같은 국가 중요 시설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령관은 해병대 제1사단장이 겸임한다. 포항시는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주요 주둔지이며, 제1해병사단 사령부가 위치한다.

8. 교통

동해선중앙선 철도가 대구, 경주, 부산, 서울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경주에서는 경부선과 연계된다. 북구 흥해읍에 위치한 포항역에서는 KTX, SRT, 누리로, ITX마음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2015년 4월 2일부터 경부고속선동해선을 잇는 건천연결선을 통해 서울역 방면 KTX가 포항역까지 직접 운행을 시작했다. 동해중부선이 완전히 개통되면 영덕군, 울진군, 삼척시, 동해시, 강릉시로의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포항역


포항역을 중심으로 일반 열차는 무궁화호가 운행되며, 남쪽으로는 부전역(부산) 방면 및 중앙선 진입 열차, 북쪽으로는 영덕역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 월포역도 동해선상의 주요 역 중 하나이다. 화물 운송을 위한 괴동선(효자역~괴동역)과 영일만항선(포항역~영일만항역)도 운영되고 있다. 시간표와 목적지는 [http://info.korail.com/2018/eng/eng_index.jsp 코레일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포항시 철도 노선'''
노선구간
동해선 (부산진 ~ 구포항)부조역(폐역)효자역 ↔ (구)포항역 ↔ 시/종점
동해선 (모량신호장 ~ 영덕)부조신호장 ↔ 포항역월포역장사역
괴동선부조신호장 ↔ 효자역괴동역



1988년 당시 영일군을 관통하였던 구 지방도 제912호선 표지판. 현재의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으로 변경되었다.


도로 교통망으로는 새만금포항고속도로(20호선)와 동해고속도로(65호선)가 포항을 통과한다. 7번 국도, 14번 국도, 20번 국도, 28번 국도, 31번 국도 등 다수의 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 20호선, 68호선, 69호선 및 여러 지방도가 내륙과 해안을 연결한다. 과거에는 7번 국도가 유일한 왕복 4차선 이상 도로여서 교통이 불편했으나, 건포산업로와 고속도로 개통으로 도로 사정이 크게 개선되었다.



버스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가 운행된다. 포항고속버스터미널(해도동 소재, 포항역 남쪽 1km 지점)에서는 서울, 대전, 광주, 마산(창원시) 방면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행 버스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약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 포항시외버스터미널(상도동 소재, 고속버스터미널 남쪽 2km 지점)에서는 부산, 대구 등 인근 대도시를 비롯하여 인천국제공항, 울산, 강릉시 등 전국 각지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특히 부산과 대구행 버스는 낮 시간대에 5~10분 간격으로 자주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각각 약 1시간 20분, 1시간 30분이다.

포항시의 시내버스는 약 20개의 노선이 운행되며, 일부는 산간 지역까지 연결된다. 일반버스와 좌석버스 두 종류가 있으며, 배차 간격은 노선별로 15~25분 정도이다. 버스 노선 정보는 [http://bis.ipohang.org/Guide/LineGuide/# 포항시 버스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포항경주공항에서는 진에어서울(김포)제주를 잇는 항공편을 매일 운항하고 있다.

해상 교통으로는 포항구항, 포항신항, 구룡포항 등 주요 항구가 있다. 특히 포항신항은 세계적인 철강 기업 포스코(POSCO)와 관련 산업체의 물동량을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2006년 기준 연간 물동량이 5,480만 톤에 달했다.[12] 포항구항에 위치한 포항여객선터미널에서는 울릉도(저동항)와 독도를 오가는 여객선이 운항된다. 또한, 일본 마이즈루 및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국제 화객선 항로도 운영되고 있다.

9. 교육

포항시에는 초등학교 62개교, 중학교 33개교, 일반계 고등학교 19개교, 전문계 고등학교 9개교가 있다. 대학교와 대학원이 각각 2곳, 전문대학은 2곳이 있으며, 한국폴리텍6대학 포항캠퍼스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1988년 설립된 명도학교가 있어 지적장애 및 청각장애 학생 교육을 담당한다. 유치원은 총 92곳이 운영 중이다.[50]

대표적인 초등학교로는 1911년 포항제일교회 사설학급으로 시작하여 1913년 사립 영흥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은 학교가 있으며, 이 학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모교이기도 하다.[51] 2000년대 들어 두호고등학교, 포항이동고등학교, 포항장성고등학교 등이 개교하여 고등학교 수가 증가했다.[51]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는 축구 선수 이동국의 모교로 알려져 있다.[51][52]

포항시의 학생 · 교직원 현황 (2012년)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국공립)
중학교
(사립)
일반계고등학교
(국공립)
일반계고등학교
(사립)
특수목적고등학교
(국공립)
특수목적고등학교
(사립)
특성화고등학교
(국공립)
특성화고등학교
(사립)
자율고등학교
(사립)
전문대학대학교대학원기타학교
7,439명29,888명12,693명7,269명5,078명10,810명87명478명2,669명685명1,372명8,351명7,082명2,838명540명
522명1,754명785명419명337명695명25명17명216명58명84명154명290명align="center"|71명
자료 : 포항통계연보[53]


전문대학 (2, 3년제)


4년제 대학교

10. 스포츠

포항 스틸러스의 모태가 된 포항제철소 축구장


포항시는 K리그1포항 스틸러스 축구단의 연고지이다. 포항제철 축구단을 모태로 1973년에 창단된 포항 스틸러스는 한국 최초의 축구 전용 구장인 포항스틸야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포항종합운동장도 이용한다. 포항 스틸러스는 2013년 시즌 종료 시점까지 K리그1 우승 5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3회의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KBO 리그삼성 라이온즈가 제2홈구장으로 사용하는 포항야구장이 있다. 대구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야구단 삼성 라이온즈2012년 7월 포항야구장이 완공되면서 같은 해 8월부터 이곳에서 간혹 1군 및 2군 경기를 치르고 있다. 2013년 7월 19일에는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포항야구장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11. 정치·행정

포항시의 국회의원은 다음과 같다.



현 포항시장은 민선 7대로 당선된 제8대 이강덕 시장이다.

포항시의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포항시의회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12. 공공기관

'''언론'''



'''방송'''

  • 텔레비전·라디오 방송국
  • * KBS포항방송국
  • * 포항문화방송 (포항MBC)
  • ** 대구방송 (TBC, SBS 계열)의 중계국이 설치되어 시청 가능하다.
  • 라디오 방송국
  • * 포항CBS
  • * 포항극동방송 (FEBC)
  • ** 평화방송 (PBS)과 불교방송 (BBS)은 각각 대구 중계국을 통해 청취 가능하다.
  • 케이블 방송국
  • * 현대HCN 경북방송


'''도서관'''

13. 자매 도시

wikitext


14. 교류


  •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12 Views of Pohang https://www.pohang.g[...] 2023-04-21
[3] 웹사이트 WPS - Port of Pohang contact information http://www.worldport[...] 2013-07-12
[4] 웹사이트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https://archive.toda[...] Archive.is 2012-08-02
[5] 웹사이트 KASTN https://web.archive.[...] 2011-06-04
[6] 웹사이트 자동등록방지를 위해 보안절차를 거치고 있습니다 https://web.archive.[...] Esri.handong.edu 2018-09-01
[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9-09-01
[8] 웹사이트 평년값자료(30년) > 국내기후자료 > 기후자료 > 날씨 > 기상청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07-12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0]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s://web.archiv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1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9-05-01
[13] 뉴스 'Space Walk' emerging as popular tourist spot in Pohang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2-01-11
[14] 웹사이트 '김계란 걸밴드' QWER, '1집→1만집, 지구정복 걸밴드 첫 발!'[종합] https://www.etnews.c[...] www.etnews.com 2024-12-13
[15] 웹사이트 福山市の親善友好都市 http://www.city.fuku[...] Fukuyama 2020-06-02
[16]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 http://www.izmit.bel[...] İzmit 2020-06-02
[17] 웹사이트 姉妹・友好都市 https://www.city.joe[...] Jōetsu 2020-06-02
[18] 웹사이트 Sister City Links http://www.ci.pittsb[...] City of Pittsburg 2020-06-02
[19]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www.vlc.ru/ci[...] Vladivostok 2020-06-02
[20] 웹사이트 중 장쑤성 장자강시 방문단 포항서 문화관광 교류 https://www.yeongnam[...] Yeongnam 2016-08-30
[2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2] 법률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13
[23] 법률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01-11
[24]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25] 법률 道令第2号 1914-03-16
[26]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27] 법률 道令第83号 1933-10-06
[2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97号 1938-09-27
[2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243号 1942-09-30
[30] 법률 법률 제451호 지방자치단체의폐치분합및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0-29
[3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 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3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포항(13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3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포항(13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34] 뉴스 산유국의 꿈에 텐타완야 朝日新聞 1976-01-18
[35] 웹사이트 「爆発したらどうする?」と韓国ネットも不安げ=韓国・浦項市、いくら待っても消えない謎の火柱を聖火台型の観光資源に!?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21-01-26
[36] 서적 포항시사 http://ibook.ipohang[...] 2010-05-05
[37] 서적 포항시사 http://ibook.ipohang[...] 2010-05-05
[38] 법률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13
[39] 법률 구청 설치 1995-01-11
[40] 기타
[41]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포항(13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42]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포항(13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43]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행정안전부 2021-01-22
[45]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46] 뉴스 바람과 사랑한 과메기, 겨울별미로 태어나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01-23
[47] 뉴스 바람이 고이 빚어낸 생선회! 포항 구룡포 과메기 http://spn.chosun.co[...] 조선일보 2007-02-13
[48] 뉴스 [코리안 지오그래픽]‘과메기 익는 마을’ 포항시 구룡포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7-12-07
[49] 뉴스 포항 용한리해수욕장, '서핑 성지'로 각광 https://news.naver.c[...] 뉴스원 2017-02-20
[50] 보고서 2008 포항통계연보 - 교육 및 문화
[51] 뉴스 고입 탈락자 문제(RE) http://www.phmbc.co.[...] 포항MBC 1997-12-16
[52] 기타
[53] 보고서 2012년도 학생수 http://www.ipohang.o[...] 포항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