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키파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키파스키는 1941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태어난 언어학자이다. 앨라배마 칼리지, 헬싱키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65년 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부터 1984년까지 MIT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1984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 인문과학대학의 베이스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역사 언어학, 어휘 음운 형태론, 역사 통사론, 시의 운율, 파니니 연구, 의미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예테보리 대학교와 콘스탄츠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고 훔볼트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대학 교수 - 유하 얀후넨
유하 얀후넨은 북아시아 언어, 특히 몽골어족, 우랄어족, 거란 소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몽골어족 관련 저서와 거란 소자 연구 참여, 일본어 기원에 대한 독자적인 가설 제시 등의 활동을 했다. - 형태론자 - 레너드 블룸필드
레너드 블룸필드는 구조주의 언어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미국의 언어학자로, 과학적 방법론을 언어 연구에 도입하고 형식적인 데이터 분석 절차를 강조했으며, 미국 언어학회 창립에 기여하고 《언어》 등의 저서를 통해 언어학 이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형태론자 - 파니니
파니니는 고대 인도의 언어학자로, 고전 산스크리트어 문법서 《아슈타디야이》를 저술하여 현대 언어학과 컴퓨터 과학에 영향을 미쳤다. - 핀란드의 언어학자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는 핀란드어 연구, 정치 활동, 외교관 경력을 가진 인물로, 핀란드어 통사론 연구를 시작으로 헬싱키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핀란드어 연구에 기여했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외무부 장관을 거쳐 덴마크와 헝가리 주재 특명전권대사를 지냈다. - 핀란드의 언어학자 - 유시 할라아호
유시 할라아호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언어학자로, 핀란드인당 대표, 헬싱키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민 정책 비판과 정치적 견해 피력으로 인종차별 혐의를 받기도 했다.
폴 키파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르네 폴 빅토르 키파르스키 |
출생일 | 1941년 1월 28일 |
출생지 | 헬싱키 |
국적 | 미국 |
분야 | 언어학 |
소속 기관 | 스탠퍼드 대학교 |
모교 | MIT |
지도교수 | 모리스 할레 |
제자 | 샤론 인켈라스 |
수상 | 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 상 (1993년) 스웨덴 학술원 상 (2013년) |
업적 | |
주요 업적 | 어휘 음운론 및 형태론 |
2. 생애 및 학력
폴 키파스키는 1941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태어났다. 앨라배마 칼리지(현재의 몬테발로 대학교), 헬싱키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MIT에서 모리스 할레의 제자였으며, 1965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5] 1965년부터 1984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1984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 인문과학대학의 베이스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5]
헬싱키에서 태어난 폴 키파스키는 앨라배마 칼리지(현재의 몬테발로 대학교), 헬싱키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MIT에서 모리스 할레의 제자였으며, 1965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5] 1965년부터 1984년까지 20년 동안 MIT에서 가르쳤고, 1984년부터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인문과학대학의 베이스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5]
Paul Kiparsky영어는 예테보리 대학교 (1985년)와 콘스탄츠 대학교 (2008년)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3년 훔볼트 상을 수상했다.[5] 2011년에는 콘스탄츠 대학교 미래대학 시니어 펠로우십을 받았다.[7]
예테보리 대학교 (1985)와 콘스탄츠 대학교 (2008)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훔볼트 상 (1993)을 수상했다. 2011년에는 콘스탄츠 대학교의 미래대학 시니어 펠로우십을 받았다.[7]
3. 학문적 경력
예테보리 대학교(1985)와 콘스탄츠 대학교(2008)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훔볼트 상(1993)을 수상했다. 2011년에는 콘스탄츠 대학교의 미래대학 시니어 펠로우십을 받았다.[7]
1965년 박사 학위 논문 "음운 변화"와 그에 따른 연구를 통해 생성 문법적 입장에서의 역사 음운론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 분석 대상은 그리스어를 시작으로 고트어, 라틴어에 이르렀다.[8] 1980년대에는 어휘 음운 형태론(Lexical Phonology and Morphology, LPM) 모델을 제창하여 후대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8] 1990년대에는 인도유럽어족에서의 어순 변화를 연구하여 역사 통사론 발전에 기여했다. 언어학적 관점에서 시의 운율 연구, 파니니 연구, 의미론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했다.[9]
4. 수상 및 영예
5. 저서
참조
[1]
간행물
Elsewhere in Phonology
Indiana University Linguistics Club
1973
[2]
서적
Abstractness, opacity and global rules (Part 2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okyo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of Language
1973
[3]
간행물
Opacity and Cyclicity
2000
[4]
간행물
The phonological basis of sound change
2003
[5]
웹사이트
Biography of Paul Kiparsky
http://linguistics.b[...]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6]
논문
Retrospect and Prospect
https://www.annualre[...]
2023
[7]
웹사이트
Zukunftskolleg | University of Konstanz
https://www.zukunfts[...]
[8]
서적
The handbook of English linguistics
Wiley Blackwell
[9]
서적
The nature of the word : studies in honor of Paul Kiparsky
MI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