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순은 언어유형론에서 주어(S), 목적어(O), 동사(V)의 배열 방식을 의미하며, 언어에 따라 고정되거나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본 어순은 SOV, SVO, VSO 등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SOV가 가장 흔하고 SVO가 그 다음으로 많다. 어순은 격, 격조사, 정보 구조 등을 나타내는 수단이 되기도 하며, 동일 언어 내에서도 통사적 환경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어순은 문장의 의미와 화자의 의도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번역이나 시와 같은 문학 작품에서도 활용된다. 언어의 어순은 역사적으로 변화하며, 고대 영어의 어순 유연성이 현대 영어에서는 사라진 것처럼 언어 변화의 중요한 측면을 보여준다.

2. 어순 유형론

언어유형론에서는 여러 어순이 가능한 경우, 그 중 하나를 '''기본 어순'''(basic word order) 또는 '''지배적 어순'''(dominant [word] order)이라고 한다.[37]

라틴어핀란드어는 정형화된 어순이 없지만, 경향상 전자는 SOV형, 후자는 SVO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처럼 유연한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표시하는 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일본어처럼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에서는 격조사가 이 역할을 한다. 헝가리어체코어와 같이 어순이 주제·초점 등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언어도 있다.

기본 어순을 하나로 정할 수 없는 언어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 호주의 눙구부유어[39]처럼 거의 모든 어순이 똑같이 자주 사용되는 언어가 있는가 하면, 독일어네덜란드어처럼 주절에서는 SVO가 우세하지만 종속절에서는 SOV가 되는 언어도 있다.[40]

2. 1. 주어, 목적어, 동사의 어순 유형

타동사절에서 주어(S), 목적어(O), 동사(V)의 배열 순서에는 6가지 유형이 있다.

Dryer(2011a)의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1377개 언어를 조사한 결과 SOV형이 565개로 가장 많았고, SVO형(488개), VSO형(95개) 순으로 나타났다. 목적어가 주어보다 먼저 나오는 OVS형OSV형은 매우 드물다.

주어, 목적어, 동사의 어순 유형별 언어 수
유형언어 수
SOV565
SVO488
VSO95
VOS25
OVS11
OSV4
기본 어순 없음189
1377

2. 2. 구(Phrase) 수준의 어순

절(Clause) 수준뿐 아니라 구(Phrase) 수준에서도 기본적인 어순을 살펴볼 수 있다. 주요 요소로는 부치사(전치사나 후치사)와 명사구, 명사와 형용사, 명사와 소유격, 명사와 관계절 등이 있다.

자주 다루어지는 요소들의 어순은 다음과 같다.

  • 부치사(전치사나 후치사)와 그것이 취하는 명사구
  • 명사와 그것을 수식하는 형용사
  • 명사와 그것의 소유자를 의미하는 요소 (속격 명사구 등)
  • 명사와 그것을 수식하는 관계절


예를 들어, 한국어는 《명사구 - 후치사》, 《형용사 - 명사》, 《소유자 - 명사》, 《관계절 - 명사》 어순을 갖는다.[46][47] 반면, 영어는 《전치사 - 명사구》, 《형용사 - 명사》(전치 수식), 《명사 - 관계절》(후치 수식)의 어순이며, 소유자에 관해서는 소유자가 대명사 또는 소유격 (-'s)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는 《소유자 - 명사》, 또는 《명사 - of(전치사) - 소유자》가 된다.

  • 수식어 + 피수식어: 형용사 + 명사, 부사 + 동사 등. SOV형에 많다.
  • 피수식어 + 수식어: 명사 + 형용사, 동사 + 부사 등. VSO형에 많으며, SVO형에도 비교적 많다.


일본어는 종합적으로 볼 때 항상 "수식어 + 피수식어"의 어순이다. 예를 들어, "'''일본어는 종합적으로 볼 때 항상 "수식어 + 피수식어"의 어순이다'''"라는 문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이다'''」 - 무엇이 "이다"인가?
  • 「'''어순'''이다」 - 어떤 어순인가?
  • 「'''"수식어 + 피수식어"의''' 어순이다」 - 어떤 때 그런 어순인가?
  • 「'''항상''' "수식어 + 피수식어"의 어순이다」 - 어떤 관점에서인가?
  • 「'''종합적으로 볼 때''' 항상 "수식어 + 피수식어"의 어순이다」 - 어떤 언어가 그런가?
  • 「'''일본어는''' 종합적으로 볼 때 항상 "수식어 + 피수식어"의 어순이다」


위와 같이, 항상 수식어(한정어·구)가 피수식어(피한정어·구)에 선행한다. "돈을 잃었다!"를 "잃었다, 돈을!"이라고 도치하는 것은, 화자가 흥분해서 말을 더듬을 때나, 강조하는 효과를 노리고 의도적으로 할 때 정도밖에 없다.

3. 어순과 관련된 요인

언어유형론에서 여러 어순이 가능한 경우, 그 중 하나를 '''기본 어순'''(basic word order) 또는 '''지배적 어순'''(dominant [word] order)이라고 한다.[37] 라틴어핀란드어처럼 정형화된 어순이 없는 언어도 있지만, 경향상 전자는 SOV형, 후자는 SVO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표시하는 을 갖거나, 격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헝가리어체코어처럼 어순이 주제·초점 등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수단이 되는 언어도 있다.[40]

고정 어순은 문장 의미의 모호성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격 표시, 일치 등의 문법적 표지는 구성 성분에 정보를 제공하여 어순의 제약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1]

담화에서는 기존 정보(화제)가 새로운 정보(설명)보다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행위 주체는 행동을 겪는 대상보다 더 많이 언급되는 경향이 있다. 행위 주체가 종종 화제이고, 화제가 문장 초반에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면, 이는 행위 주체가 문장 초반에 표현되는 경향, 즉 주어로 문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3]

기본 어순을 하나로 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눙구부유어[39]처럼 거의 모든 어순이 동일하게 사용되는 언어도 있고, 독일어네덜란드어처럼 통사적 환경에 따라 기본 어순이 바뀌는 언어도 있다.

드라이어의 연구(2005년[11] 1228개 언어 조사, 2013년[8] 1377개 언어 조사)와 함마스트룀(2016)[12]의 연구(5252개 언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순 조사 결과
어순드라이어 (2005)드라이어 (2005)드라이어 (2013)드라이어 (2013)함마스트룀 (2016)함마스트룀 (2016)함마스트룀 (2016)
비율비율언어 수비율계통 수
SOV49740.5%56541.0%227543.3%239
SVO43535.4%48835.4%211740.3%55
VSO856.9%956.9%5039.5%27
VOS262.1%251.8%1743.3%15
OVS90.7%110.8%400.7%3
OSV40.3%40.3%190.3%1
고정되지 않음17214.0%18913.7%1242.3%26



함마스트룀의 연구에서는 SOVSVO가 거의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언어 계통별로 분류했을 때는 다수의 계통이 SOV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3. 1. 의미와 어순

많은 언어에서 표준 어순은 질문을 하거나 강조를 위해 바뀔 수 있다. 영어독일어에서는 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동사 도치가 일어난다. 헝가리어처럼 거의 모든 어순이 가능하지만, 화자의 의도에 따라 강조점이 달라지는 언어도 있다.[28]

독일어와 달리 영어는 매우 엄격한 어순을 가지고 있다. 독일어에서 어순은 독립절에서 구성 요소를 문장의 시작으로 이동시켜 강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독일어가 V2(동사 두 번째) 언어의 정의적 특징이며, 독립절에서 유한 동사는 항상 두 번째에 오고 단 하나의 구성 요소가 앞에 온다. 닫힌 질문에서는 V1(동사 첫 번째) 어순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종속절은 동사 종결 어순을 사용한다.

헝가리어 문장의 어순은 화자의 의사 전달 의도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헝가리어의 어순은 문장의 정보 구조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유롭지 않다. 즉, 새로운 정보를 담고 있는 강조 부분(레메)과 새로운 정보를 거의 또는 전혀 담고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테마)을 구분해야 한다. 헝가리어 문장에서 초점의 위치는 동사 바로 앞이다. 즉, 문장의 강조 부분과 동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케이트가 '''케이크 한 조각을 먹었다'''"에 대한 가능한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 "Kati '''megevett''' ''egy szelet tortát''." (영어와 동일한 어순) ["Kate '''ate''' ''a piece of cake.''"]

# "''Egy szelet tortát'' Kati '''evett meg'''." (주어[케이트] 강조) ["''A piece of cake'' Kate '''ate.'''"] (''케이크 한 조각은 케이트가 먹었다.'')

# "Kati '''evett meg''' ''egy szelet tortát''." (또한 주어[케이트] 강조) ["Kate '''ate''' ''a piece of cake.''"] (''케이트가 케이크 한 조각을 먹었다.'')

# "Kati ''egy szelet tortát'' '''evett meg'''." (목적어[케이크] 강조) ["Kate ''a piece of cake'' '''ate'''."] (''케이트는 케이크 한 조각을 먹었다'' – 빵 한 조각이 아니라.)

# "''Egy szelet tortát'' '''evett meg''' Kati." (수량[한 조각, 즉 한 조각만] 강조) ["''A piece of cake'' '''ate''' Kate."] (''케이트는 케이크 한 조각만 먹었다.'')

# "'''Megevett''' ''egy szelet tortát'' Kati." (행위의 완전성 강조) ["'''Ate''' ''a piece of cake'' Kate."] (''케이트가 케이크 한 조각을 다 먹었다.'')

# "'''Megevett''' Kati ''egy szelet tortát''." (행위의 완전성 강조) ["'''Ate''' Kate ''a piece of cake.''"] (''케이트는 케이크 한 조각을 다 먹었다.'')

헝가리어 어순에서 유일한 자유는 초점 위치와 동사 외부의 부분 순서가 문장의 의사 전달 초점에 아무런 변화 없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 문장 2와 3, 그리고 문장 6과 7에서 볼 수 있다. 이 문장 쌍은 동사 바로 앞 부분이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일한 정보 구조를 가지며 화자의 동일한 의사 전달 의도를 표현한다.

강조는 문장 1, 6, 7에서 볼 수 있듯이 행동(동사) 자체에 있을 수 있으며, 문장 2, 3, 4, 5에서 볼 수 있듯이 행동(동사) 이외의 부분에 있을 수도 있다. 강조가 동사에 있지 않고 동사에 공기동사(위의 예에서 'meg')가 있는 경우, 공기동사는 동사에서 분리되어 항상 동사 뒤에 온다. 또한 후치사 ''-t''는 직접 목적어를 표시한다: 'torta' (케이크) + '-t' -> 'tortát'.

포르투갈어에서는 약어 대명사와 쉼표를 통해 다양한 어순을 허용한다.

  • "Eu '''vou entregar''' a você amanhã." ["나는 '''내일 당신에게 전달할 것이다''."] (영어와 동일한 어순)
  • '''''"''Entregarei''' a você amanhã." ["{나는} '''내일 당신에게 전달할 것이다''."]
  • "Eu lhe '''entregarei''' amanhã." ["나는 당신에게 '''내일 전달할 것이다''."]
  • "'''Entregar'''-lhe-ei amanhã." ["'''당신에게 내가 전달할 것이다''' 내일."] (중간철어)
  • "A ti, eu '''entregarei''' amanhã." ["너에게, 나는 '''내일 전달할 것이다''."]
  • "A ti, '''entregarei''' amanhã." ["너에게 {나는} '''전달할 것이다''' 내일."]
  • "Amanhã, '''entregar-te-ei'''" ["내일 {나는} '''당신에게 전달할 것이다''."]
  • "Poderia '''entregar''', eu, a você amanhã?" ["'''전달할 수 있을까''' 내가 당신에게 내일?"]


위에서 중괄호 (''{ }'')는 포르투갈어에서 생략될 수 있는 주어 대명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문법적 굴절 때문에, 문법적 인칭을 알 수 있다.

고전 라틴어에서 명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의 어미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매우 유연한 어순을 허용한다. 라틴어에는 관사가 없다. 주어, 동사, 목적어는 라틴어 문장에서 어떤 순서로든 올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특히 종속절에서) 동사가 마지막에 온다.[24] 주제와 초점과 같은 실용적인 요소가 어순을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알바니아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에 적용되는 문법적 격(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탈격, 그리고 경우에 따라 또는 방언에 따라 호격과 처격)의 존재로 인해 다양한 단어 순서 조합을 허용한다. 구어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S-V-O(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의 대안적인 순서가 화자가 단어에 강조점을 두어 의미에 미묘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돕는다.

3. 2. 방언과 어순

안데스 스페인어처럼 방언에 따라 선호하는 어순이 다른 경우가 있다. 페루에서 사용되는 안데스 스페인어가 그 예시이다. 스페인어는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로 분류되지만,[35] 페루 스페인어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사용하는 케추아어와 아이마라어의 영향을 받았다.[36] 이로 인해, 모국어(L1) 화자 중 일부는 예상보다 더 많은 문장에서 목적어-동사(OV) 어순을 사용하게 되었다. 페루의 L2 화자들 또한 이 어순을 사용한다.

3. 3. 시(Poetry)와 어순

시에서는 문장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어순을 바꾸는 도치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케이트는 마크를 사랑한다"라는 문장은, 대상(object)을 강조하기 위해 "마크를 케이트가 사랑한다"와 같이 OSV 어순으로 바뀔 수 있다.[28]

3. 4. 번역과 어순

어순의 차이는 번역과 언어 교육을 복잡하게 만든다. 개별 단어의 변경 외에도 어순을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번역과 교육과 관련된 언어학 분야는 언어 습득이다. 단어의 재배열은 이야기를 옮겨 적을 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운율 구성이 변경될 수 있으며 단어의 의미도 바뀔 수 있다. 이는 특히 시를 번역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4. 어순의 유연성

언어유형론에서 여러 어순이 가능한 경우, 그중 하나를 '''기본 어순''' 또는 '''지배적 어순'''이라고 한다. 라틴어, 핀란드어처럼 정형화된 어순이 없는 언어도 있지만, 경향상 전자는 SOV형, 후자는 SVO형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유연한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표시하는 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일본어는 격조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헝가리어체코어처럼 어순이 주제·초점 등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수단이 되는 언어도 있다.

일부 언어는 고정된 어순을 가지지 않으며, 논항의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형태론적 표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폴란드어, 헝가리어, 스페인어, 라틴어, 알바니아어, 오오담어 등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언어에서는 다양한 어순을 통해 주제와 설명을 구별하기도 한다.[15]

4. 1. 힌디어-우르두어

힌디어-우르두어(힌두스탄어)는 기본적으로 동사 종결형(SOV) 언어이지만, 후치사가 명사구를 문장의 다른 구성 요소와 명시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갖는다.[16] 힌두스탄어의 어순은 일반적으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다.[17] 구성 요소는 다양한 정보 구조 구성을 표현하거나 문체상의 이유로 뒤섞일 수 있다. 문장에서 첫 번째 구문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토픽[18][17]이며, 이는 특정 조건에서 일본어의 토픽 마커 '''は''' (wa)와 유사하게 "'''''to'''''" (तो / تو) 입자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19][20][21][22]

문장에서 단어의 위치를 지배하는 몇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 형용사는 수정하는 명사 앞에 나타난다. 그러나 소유 및 반사 대명사 형용사는 설명하는 명사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나타날 수 있다.
  • 부정은 부정하는 동사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나타나야 한다. 보조 동사 또는 조동사를 사용하는 동사 구성의 경우 부정은 첫 번째 동사의 왼쪽, 동사 사이 또는 두 번째 동사의 오른쪽에 나타날 수 있다(보조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기본 위치가 주요 동사의 왼쪽이고, 복합 동사를 형성할 때는 기본 동사와 보조 동사 사이이다).
  • 부사는 일반적으로 수식하는 형용사 앞에 나타나지만, 수단격 후치사 '''''se''''' (से /سے)를 사용하여 구성된 부사(동사를 수식)의 경우 문장 내 위치가 자유로워진다. 그러나 수단격과 탈격은 모두 동일한 후치사 "'''''se'''''" (से /سے)로 표시되므로 문장에 둘 다 있는 경우 수정하는 양이 서로 인접하게 나타날 수 없다.[23][17]
  • 예/아니오 질문 마커인 "'''''kyā''''' " (क्या / کیا) "무엇"은 절의 시작 또는 끝에 나타나며, 이는 표시되지 않은 위치이지만 동사 앞을 제외한 문장의 어느 곳에나 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대신 의문문 "무엇"으로 해석된다.


"'''소녀'''는 소년으로부터 ''생일에'' 선물을 받았다."라는 문장의 가능한 모든 단어 순열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4. 2. 오오담어

오오담어는 미국 남부 애리조나주와 멕시코 북부 소노라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자유로운 어순을 가지며, 오직 조동사만이 한 자리에 고정된다.[28] 다음은 직역된 예시이다.

  • "Wakial 'o g wipsilo ha-cecposid." (카우보이가 송아지들에게 낙인찍고 있다.)
  • "Wipsilo 'o ha-cecposid g wakial."
  • "Ha-cecposid 'o g wakial g wipsilo."
  • "Wipsilo 'o g wakial ha-cecposid."
  • "Ha-cecposid 'o g wipsilo g wakial."
  • "Wakial 'o ha-cecposid g wipsilo."


위 예시들은 모두 "카우보이가 송아지들에게 낙인찍고 있다"라는 문장에 대한 문법적으로 유효한 변형이지만, 자연스러운 대화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며, 문법성에서 논의된다.

4. 3. 불연속 구성 요소

구성 요소가 불연속이어도 되는 언어가 있다.

와르피리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48]

와와리|wawariwbp kapirna panti-rni 얄룸푸|yalumpuwbp (와르피리어) "나는 그 캥거루를 창으로 쏠 것이다"

'''캥거루''' 조동사 창으로 쏘다-비과거 '''그'''

5. 언어 변화와 어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언어는 변화한다. 언어 변화가 언어의 구문론적 변화를 수반할 때, 이를 통사 변화라고 한다.[29] 고대 영어는 한때 자유로운 어순을 가지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를 잃어버린 예시이다.[29] 고대 영어에서는 다음 두 문장이 모두 문법적으로 올바른 것으로 간주되었다.


  • "Martianus hæfde his sunu ær befæst" Martianus had his son earlier established영어 (마르티아누스는 그의 아들을 더 일찍 정했다.)
  • "gif heo þæt bysmor forberan wolde" if she that disgrace tolerate would영어 (만약 그녀가 그 수치를 참아낸다면.)


이러한 유연성은 초기 중세 영어까지 이어지다가 사용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30]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빈번하게 OV 어순을 사용하는데,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다.

  • "It was our selfe thou didst abuse." It was our selfe thou didst abuse.영어[31] (그것은 바로 너가 학대한 우리 자신이다.)


현대 영어 사용자는 이 문장을 문법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어체로 인식할 것이다. 하지만, 이 형식으로 완전히 허용되는 동사도 있다.

  • "Are they good?" Are they good?영어[32] (그들은 좋은가요?)


이것은 현대 영어 사용자에게 허용되며 고어체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는 조동사이자 본동사 역할을 하는 동사 "to be"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조동사와 조동사도 VSO 어순을 허용한다("Must he perish?" - 그는 멸망해야 하는가?). 조동사나 조동사가 아닌 동사는 현대 사용법에 맞게 조동사를 삽입해야 한다("Did he buy the book?" - 그는 그 책을 샀는가?). 셰익스피어의 어순 사용은 당대의 영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이미 적어도 한 세기 전에 OV 어순을 버렸다.[33]

이러한 고어체와 현대체의 변이는 이집트 기독교 교회의 언어인 콥트어에서 VSO에서 SVO로의 변화에서도 나타난다.[34]

참조

[1] 서적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syntax and morph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2] 서적 Study Skills for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3] 서적 Non-verbal predication Mouton de Gruyter
[4] 논문 Das Nomen – eine universale Kategorie?
[5] 논문 Word Classes: Word Classes 2007-11
[6] 서적 The Noun Phras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Universals of Human Language MIT Press
[8] 서적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9] 서적 Basic Word Order: Functional Principles Croom Helm
[10] 서적 Serbo-Croatian Lincom Europa
[11] 서적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2005
[12] 논문 Linguistic diversity and language evolution 2016
[13] 논문 The Greenbergian word order correlations 1992
[14] 서적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Syntax and Morph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서적 Pragmatics of Word Order Flexibility
[16] 서적 Hindi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7] 서적 Theoretical Perspectives on Word Order in South Asian Languages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CSLI) 1994
[18] 학위논문 The East Indian speech community in Guyana: a sociolinguistic stud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ine formation 1984
[19] 문서 Kuno 1981
[20] 문서 Kidwai 2000
[21] 논문 Focus, Word Order and Intonation in Hindi https://ojs.ub.uni-k[...] 2008-11-17
[22] 서적 The Yearbook of South Asian Languages and Linguistics (2004)
[23] 서적 The Proceedings of the LFG '05 Conference https://web.stanford[...]
[24] 학위논문 A Probabilistic Approach in Historical Linguistics. Word Order Change in Infinitival Clauses: from Latin to Old French 2015-06
[25] 문서 Constituent Order in Classical Latin Prose 2010
[26] 문서 Latin Word Order 2006
[27] 논문 Some Facts of Latin Word-Order 1918
[28] 서적 Pragmatics of Word Order Flexibility
[29] 논문 The interaction of syntactic change and information status effects in the change from OV to VO in English 2011-12-01
[30] 서적 From OV to VO in Early Middle English
[31] 서적 Henry V 2020-02-04
[32] 서적 Much Ado about Nothing Ginn and Company
[33] 서적 Think on my Words: Exploring Shakespeare's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Stability, Variation and Change of Word-Order Patterns over Time
[35]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36] 간행물 Variation and change in Peruvian Spanish word order: language contact and dialect contact in Lima 2011-12-01
[37] 문서 用語集
[38] 문서 大辞典
[39] 서적 A Functional Grammar of Nunggubuyu Humanities Press /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Studies 1984
[40] 문서 ドイツ語およびオランダ語は、基底にただ一つの語順を仮定する[[生成文法]]の分析では SOV型に分類される。[[V2語順]]も参照。
[41] 문서 ここでは、[[主語]]・[[目的語]]は厳密な文法用語ではなく、他動詞の二つの[[項 (言語学)|項]]のうち行為者を表すもの(=主語)と行為の対象を表すもの(=目的語)という意味で用いられている (Dryer 2011a)。
[42] 문서 Dryer 2011a
[43] 웹사이트 Dryer (2011a) による言語地図 http://wals.info/fea[...]
[44] 서적 Hixkaryana North-Holland 1979
[45] 서적 Nadëb John Benjamins 1994
[46] 문서 Song 2011
[47] 문서 Dryer 2005a
[48] 서적 Gengo ruikei ron nyūmon : Gengo no fuhensei to tayōsei https://www.worldcat[...] Iwanami Shote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