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표지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지 단백질은 단백질의 검출, 정제, 고정화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백질에 부착하는 짧은 아미노산 서열 또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친화성 태그, 펩타이드 태그, 공유 결합 태그, 기타 태그 등으로 분류되며, His 태그, FLAG 태그, GFP 등이 널리 사용된다. 표지 단백질은 친화성 정제, 단백질 칩, 웨스턴 블롯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단백질의 가용성 증가 및 폴딩 지표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화학 검출 기법 - 펠링 용액
    펠링 용액은 헤르만 폰 펠링이 발명한 알데히드와 환원당 검출 시약으로, 환원성 물질과 반응하여 산화 구리(I)의 적색 침전을 생성하며, 베네딕트 시약이 개발되었음에도 높은 반응 민감도를 유지한다.
  • 생화학 검출 기법 - LAMP법
    LAMP법은 등온 핵산 증폭 기술로서, 2~3세트의 프라이머와 중합효소를 사용하여 60–65°C의 일정한 온도에서 특정 유전자를 증폭하여 검출하며, 현장 진단에 활용된다.
  • 단백질 기법 - 녹색 형광 단백질
    녹색 형광 단백질(GFP)은 해파리에서 발견된 단백질로,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녹색 형광을 방출하며, 자체 발색단 형성 능력과 유전자 조작을 통한 개량형 개발로 생물학 연구에서 리포터 유전자로 널리 사용되지만, 실험 결과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고 대체 기술 또한 개발 중이다.
  • 단백질 기법 - 크산토프로테인 반응
    크산토프로테인 반응은 단백질 내 방향족 아미노산이 진한 질산에 의해 니트로화되어 황색으로 변하고, 알칼리성 조건에서 등황색으로 변하는 단백질 검출 및 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반응이다.
  • 실험 기술 - 승화 (화학)
    승화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직접 변하는 물리적 변화 과정으로,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와 같은 물질에서 나타나며 동결건조, 지문 검출, 고순도 물질 정제 등에 활용된다.
  • 실험 기술 - 염석
    염석은 수용액에서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등의 용질 용해도가 감소하여 침전되는 현상으로, 단백질 정제, 식품 제조 등에 활용된다.
표지단백질
개요
정의단백질 표지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표적 단백질에 융합된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서열임.
목적단백질의 정제 또는 검출을 용이하게 함.
다양한 생화학적 연구에 활용됨.
종류
짧은 펩타이드 표지His-tag: 니켈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됨.
Flag-tag: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강 및 웨스턴 블롯에 사용됨.
Strep-tag: 스트렙타비딘 친화성을 이용한 정제에 사용됨.
HA-tag: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에서 유래, 항체를 이용해 검출.
큰 단백질 표지GST (Glutathione S-transferase): 글루타티온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됨.
MBP (Maltose-binding protein): 말토오스 친화성을 이용한 정제에 사용됨.
GFP (Green Fluorescent Protein): 형광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 및 localization 연구에 사용됨.
활용
단백질 정제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표지에 특이적인 리간드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리.
면역침강: 항체를 사용하여 표지된 단백질 복합체를 분리.
단백질 검출웨스턴 블롯: 항체를 사용하여 표지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
면역형광: 형광 표지된 항체를 사용하여 세포 내 단백질 위치를 확인.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Co-immunoprecipitation: 표지된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을 함께 분리하여 분석.
Yeast two-hybrid system: 표지를 이용하여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검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연구NMR spectroscopy: 표지를 도입하여 단백질의 구조 정보를 얻음.
X-ray crystallography: 표지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결정화를 용이하게 함.
장단점
장점간편하고 효율적인 단백질 정제 및 검출 가능.
다양한 단백질 연구에 적용 가능.
단점표지가 단백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표지 제거 과정이 필요할 수 있음.
추가 정보
제거 가능 표지특정 효소 (예: TEV protease)에 의해 절단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표지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경우 제거할 수 있음.
형광 단백질GFP 외에도 다양한 색상의 형광 단백질이 개발되어 다중 표지에 사용될 수 있음.

2. 친화성 태그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화학적 성질 (A-Z 아미노산 코드 참조)

표지 단백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다른 분자와의 특이적 친화성(결합성, 어피니티)을 이용한 어피니티 태그이다. 이것들은 태그를 붙인 단백질 자체의 단리나, 그것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단백질을 회수하는 방법(풀다운법: 공동 면역 침강법과 같은 원리)에, 또는 단백질을 고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 단백질의 단리·정제에는 개별 단백질에 맞는 방법을 실험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하지만, 유전공학적으로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처음에 어피니티 태그를 붙여두면 그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쉽게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태그와 목적 단백질 사이를 특정 프로테아제로 잘라낼 수 있도록 한 태그도 자주 사용된다. 태그를 통해 흡착된 단백질을 프로테아제 처리하면, 목적 단백질 부분만 떨어져 나와 회수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His 태그 (히스티딘 태그)가 있다. 이것은 히스티딘 잔기를 6개 정도 이은 짧은 펩타이드로, 니켈 등의 금속이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이 있다. 니켈 이온을 킬레이트 수지에 고정해 두고, His 태그가 붙은 단백질 용액을 흘려보내면, 단백질은 수지에 흡착된다. 여기에 니켈 이온 또는 이미다졸 등 니켈 이온과 결합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흘려보내면, 단백질은 수지에서 떨어져 나와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 S-전달효소 (GST)나 Maltose-binding protein영어 (MBP)처럼, 저분자 화합물 (각각 글루타치온, 말토스)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이용한 태그가 있다.

게다가 현재 많이 사용되는 것이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에피토프 태그"로, 특정 항원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에피토프)를 태그로 붙여두면, 그것에 대한 항체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는 HA 태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의 펩타이드 서열을 이용), myc 태그, FLAG 태그 등이 있으며, 위의 His 태그, GST나 GFP 등 많은 태그도 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높은 특이성으로 정제가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제작 방법으로, 비오틴 카르복실 캐리어 단백질(BCCP) 태그 (비오틴화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비오틴을 통해 단백질을 고정화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태그는 대장균의 아실 CoA 카르복실라제에서 유래하는 단백질로, 세포 내 비오틴 리가아제에 의해 그 리신 잔기에 비오틴이 공유 결합된다. 스트렙토아비딘을 고정해 두면 이것이 비오틴을 강력하게 결합하므로, 여기에 목적 단백질이 고정된다. 이 외에도 공유 결합에 의해 직접 고정되는 태그가 개발되고 있다.

2. 1. 펩타이드 태그

펩타이드 태그는 단백질에 융합되어 특정 성질을 부여하거나, 단백질의 검출, 정제, 고정화 등을 용이하게 하는 짧은 아미노산 서열이다.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펩타이드 태그가 개발되었다. ALFA-tag는 헬리컬 펩타이드 태그(SRLEEELRRRLTE)로, 다양한 단일 도메인 항체에 의해 인식된다.[4] AviTag는 효소 BirA에 의한 비오틴화를 허용하는 펩타이드(GLNDIFEAQKIEWHE)로, 스트렙타비딘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에 사용된다. C-tag는 파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개발된 단일 도메인 낙타 항체에 결합하는 펩타이드(EPEA)이다.[5][6] 칼모듈린 태그는 단백질 칼모듈린(KRRWKKNFIAVSAANRFKKISSSGAL)에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i''CapTag™는 자체 제거 펩타이드 기반 태그(MIKIATRKYLGKQNVYGIGVERDHNFALKNGFIAHN)로, pH 변화(일반적으로 pH 8.5 ~ pH 6.2)에 의해 제어된다.[7][8][9] 폴리글루탐산 태그는 음이온 교환 수지에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EEEEEE)이며,[2] 폴리알지닌 태그는 양이온 교환 수지에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5~9개의 연속 R)이다. E-tag는 항체(GAPVPYPDPLEPR)에 의해 인식되는 펩타이드이다. FLAG-tag는 항체(DYKDDDDK)에 의해 인식되는 펩타이드이다.[10] HA-tag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혈구 응집소에서 유래한 펩타이드(YPYDVPDYA)로 항체에 의해 인식된다.[11] His-tag는 5-10개의 히스티딘(HHHHHH)으로 구성되며 니켈 또는 코발트 킬레이트에 결합한다. Gly-His-tag는 N-말단 His-Tag 변형체(예: GHHHH, GHHHHHH 또는 GSSHHHHHH)이다.[12] Myc-tag는 c-myc에서 유래한 펩타이드(EQKLISEEDL)로 항체에 의해 인식된다. NE-tag는 18개의 아미노산 합성 펩타이드(TKENPRSNQEESYDDNES)이다.[13] Rho1D4-tag는 소 로돕신의 세포 내 C-말단의 마지막 9개의 아미노산을 나타낸다(TETSQVAPA). S-tag는 리보뉴클레아제 A에서 유래한 펩타이드(KETAAAKFERQHMDS)이다. SBP-tag는 스트렙타비딘에 결합하는 펩타이드(MDEKTTGWRGGHVVEGLAGELEQLRARLEHHPQGQREP)이다.[14] Softag 1은 포유류 발현용(SLAELLNAGLGGS)이고, Softag 3은 원핵생물 발현용(TQDPSRVG)이다. Spot-tag는 나노바디에 의해 인식되는 펩타이드(PDRVRAVSHWSS)이다. Strep-tag는 스트렙타비딘 또는 스트렙타틴이라는 변형된 스트렙타비딘에 결합하는 펩타이드(Strep-tag II: WSHPQFEK)이다.[15] T7-tag는 T7 유전자의 T7 주요 캡시드 단백질에서 유래한 에피토프 태그(MASMTGGQQMG)이다.[16] TC tag는 FlAsH 및 ReAsH 비소 화합물에 의해 인식되는 테트라시스테인 태그(CCPGCC)이다. Ty tag (EVHTNQDPLD) V5 tag는 항체(GKPIPNPLLGLDST)에 의해 인식되는 펩타이드이다.[17] VSV-tag는 항체(YTDIEMNRLGK)에 의해 인식되는 펩타이드이다. Xpress tag (DLYDDDDK)는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펩타이드이다.

이러한 펩타이드 태그는 다른 분자와의 특이적 결합성을 이용한 어피니티 태그로 활용된다. 어피니티 태그는 태그 부착 단백질 자체를 분리하거나, 상호작용하는 다른 단백질을 회수(풀다운, 공동 면역 침강법 등)하거나, 단백질을 고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는 실험적인 비교 검토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지만, 유전공학적으로 발현 시 어피니티 태그를 부착하면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고순도 단백질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특정 프로테아제로 절단 가능한 태그를 목적 단백질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태그를 통해 흡착된 단백질을 프로테아제 처리하면 목적 단백질 부분만 분리되어 회수할 수 있다.

His 태그(히스티딘 태그)는 대표적인 펩타이드 태그로, 히스티딘 잔기 6개 정도가 이어진 짧은 펩타이드이다. 니켈 등의 금속이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니켈 이온이 킬레이트 수지에 고정된 컬럼에 His 태그 부착 단백질 용액을 흘려 단백질을 흡착시킨다. 이후 니켈 이온 또는 이미다졸 등 니켈 이온과 결합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흘려 단백질을 수지에서 분리하여 회수한다.

글루타치온 S-전달효소(GST)나 Maltose-binding protein영어(MBP)처럼 저분자 화합물(글루타치온, 말토스)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이용한 태그도 있다.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에피토프 태그"는 특정 항원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에피토프)를 태그로 부착하여 항체를 통해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HA 태그(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펩타이드 서열 이용), myc 태그, FLAG 태그 등이 있으며, His 태그, GST, GFP 등도 에피토프 태그로 사용 가능하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제작에는 비오틴 카르복실 캐리어 단백질(BCCP) 태그(비오틴화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비오틴을 통해 단백질을 고정화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태그는 대장균의 아실 CoA 카르복실라제에서 유래하는 단백질로, 세포 내 비오틴 리가아제에 의해 리신 잔기에 비오틴이 공유 결합된다. 스트렙토아비딘을 고정해 두면 비오틴과 강력하게 결합하여 목적 단백질이 고정된다. 이 외에도 공유 결합을 통해 직접 고정되는 태그가 개발되고 있다.

2. 2. 단백질 태그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화학적 성질 (A-Z 아미노산 코드 참조)

  • BCCP(Biotin Carboxyl Carrier Protein), BirA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변형되어 스트렙타비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단백질 도메인
  • 브로모태그(BromoTag), Brd4, Brd4-BD2 L387A의 두 번째 브로모도메인의 "범프 앤 홀(bump-and-hole)" 변형 버전
  • FAST(Fluorescence-Activating and absorption-Shifting Tag), 특이적인 형광성 리간드와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변형된 광활성 황색 단백질(PYP)
  • CL7-태그, 고정된 면역 단백질 7(Im7)에 대한 강한 결합 친화도와 특이성을 갖는 콜리신 E7의 변형된 변종
  • 글루타티온-S-전달효소-태그, 고정된 글루타티온에 결합하는 단백질
  • 녹색 형광 단백질-태그, 자발적으로 형광성을 띠며 나노바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단백질
  • HaloTag, 할로알케인 기질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세균성 할로알케인 탈할로겐화효소
  • SNAP-tag, 벤질구아닌 유도체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진핵생물 DNA 메틸전달효소
  • CLIP-tag, 벤질시토신 유도체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진핵생물 DNA 메틸전달효소
  • HUH-태그, 표적 서열에 공유 결합하는 서열 특이적 단일 가닥 DNA 결합 단백질
  • 말토스 결합 단백질-태그, 아밀로스 아가로스에 결합하는 단백질
  • Nus-tag
  • 티오레독신-태그
  • Fc-태그, 면역글로불린 Fc 도메인에서 파생되어 이량체화 및 가용화를 허용한다. 단백질 A 세파로스 상에서 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
  • 무질서 촉진 아미노산(P, E, S, T, A, Q, G 등)을 포함하는 설계된 본질적으로 무질서한 태그
  •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 또는 CRDSAT-태그, 락토스 아가로스 또는 세파로스에 결합하는 단백질


표지 단백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다른 분자와의 특이적 친화성(결합성, 어피니티)을 이용한 어피니티 태그이다. 이것들은 태그를 붙인 단백질 자체의 단리나, 그것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단백질을 회수하는 방법(풀다운법: 공동 면역 침강법과 같은 원리)에, 또는 단백질을 고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 단백질의 단리·정제에는 개별 단백질에 맞는 방법을 실험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하지만, 유전공학적으로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처음에 어피니티 태그를 붙여두면 그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쉽게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태그와 목적 단백질 사이를 특정 프로테아제로 잘라낼 수 있도록 한 태그도 자주 사용된다. 태그를 통해 흡착된 단백질을 프로테아제 처리하면, 목적 단백질 부분만 떨어져 나와 회수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His 태그 (히스티딘 태그)가 있다. 이것은 히스티딘 잔기를 6개 정도 이은 짧은 펩타이드로, 니켈 등의 금속이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이 있다. 니켈 이온을 킬레이트 수지에 고정해 두고, His 태그가 붙은 단백질 용액을 흘려보내면, 단백질은 수지에 흡착된다. 여기에 니켈 이온 또는 이미다졸 등 니켈 이온과 결합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흘려보내면, 단백질은 수지에서 떨어져 나와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 S-전달효소 (GST)나 Maltose-binding protein영어 (MBP)처럼, 저분자 화합물 (각각 글루타치온, 말토스)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이용한 태그가 있다.

게다가 현재 많이 사용되는 것이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에피토프 태그"로, 특정 항원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에피토프)를 태그로 붙여두면, 그것에 대한 항체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는 HA 태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의 펩타이드 서열을 이용), myc 태그, FLAG 태그 등이 있으며, 위의 His 태그, GST나 GFP (아래) 등 많은 태그도 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높은 특이성으로 정제가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제작 방법으로, 비오틴 카르복실 캐리어 단백질(BCCP) 태그 (비오틴화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비오틴을 통해 단백질을 고정화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태그는 대장균의 아실 CoA 카르복실라제에서 유래하는 단백질로, 세포 내 비오틴 리가아제에 의해 그 리신 잔기에 비오틴이 공유 결합된다. 스트렙토아비딘을 고정해 두면 이것이 비오틴을 강력하게 결합하므로, 여기에 목적 단백질이 고정된다. 이 외에도 공유 결합에 의해 직접 고정되는 태그가 개발되고 있다.

3. 공유 결합 태그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화학적 성질의 A-Z 아미노산 코드를 참조한다.[18][19][20][22][23]


  • 아이소펩타그는 필린-C 단백질(TDKDMTITFTNKKDAE)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 스파이태그는 스파이캐처 단백질(AHIVMVDAYKPTK)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 스눕태그는 스눕캐처 단백질(KLGDIEFIKVNK)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2세대 스눕태그Jr(KLGSIEFIKVNK)는 스눕캐처 또는 도그태그(스눕리게이즈 매개)에 결합하도록 개발되었다.
  • 도그태그는 도그캐처(DIPATYEFTDGKHYITNEPIPPK)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며, 스눕리게이즈에 의해 매개되어 스눕태그Jr에도 공유 결합할 수 있다.
  • SdyTag는 SdyCatcher 단백질(DPIVMIDNDKPIT)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SdyTag/SdyCatcher는 SpyTag/SpyCatcher와 속도론적 의존적인 교차 반응성을 갖는다.

  • BCCP(Biotin Carboxyl Carrier Protein)는 BirA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변형되어 스트렙타비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단백질 도메인이다.
  • 브로모태그(BromoTag)는 Brd4, Brd4-BD2 L387A의 두 번째 브로모도메인의 "범프 앤 홀(bump-and-hole)" 변형 버전으로, 태그 특이적 PROTAC 분해제 AGB1에 의해 매우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브로모태그된" 단백질과 E3 리가제 VHL 사이의 삼원 복합체를 형성하여 태그된 단백질의 유비퀴틴화와 그에 따른 세포 내에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프로테아좀 분해를 유도한다.
  • FAST(Fluorescence-Activating and absorption-Shifting Tag)는 특이적인 형광성 리간드와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변형된 광활성 황색 단백질(PYP)이다.
  • CL7-태그는 고정된 면역 단백질 7(Im7)에 대한 강한 결합 친화도와 특이성을 갖는 콜리신 E7의 변형된 변종이다.
  • 글루타티온-S-전달효소-태그는 고정된 글루타티온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 녹색 형광 단백질-태그는 자발적으로 형광성을 띠며 나노바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단백질이다.
  • HaloTag는 할로알케인 기질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세균성 할로알케인 탈할로겐화효소이다.
  • SNAP-tag는 벤질구아닌 유도체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진핵생물 DNA 메틸전달효소이다.
  • CLIP-tag는 벤질시토신 유도체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진핵생물 DNA 메틸전달효소이다.
  • HUH-태그는 표적 서열에 공유 결합하는 서열 특이적 단일 가닥 DNA 결합 단백질이다.
  • 말토스 결합 단백질-태그는 아밀로스 아가로스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 Nus-tag
  • 티오레독신-태그
  • Fc-태그는 면역글로불린 Fc 도메인에서 파생되어 이량체화 및 가용화를 허용한다. 단백질 A 세파로스 상에서 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
  • 무질서 촉진 아미노산(P, E, S, T, A, Q, G 등)을 포함하는 설계된 본질적으로 무질서한 태그
  •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 또는 CRDSAT-태그는 락토스 아가로스 또는 세파로스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3. 1. 펩타이드 태그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화학적 성질의 A-Z 아미노산 코드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18][19][20][22][23]

  • 아이소펩타그는 필린-C 단백질(TDKDMTITFTNKKDAE)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 스파이태그는 스파이캐처 단백질(AHIVMVDAYKPTK)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 스눕태그는 스눕캐처 단백질(KLGDIEFIKVNK)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2세대 스눕태그Jr(KLGSIEFIKVNK)는 스눕캐처 또는 도그태그(스눕리게이즈 매개)에 결합하도록 개발되었다.
  • 도그태그는 도그캐처(DIPATYEFTDGKHYITNEPIPPK)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며, 스눕리게이즈에 의해 매개되어 스눕태그Jr에도 공유 결합할 수 있다.
  • SdyTag는 SdyCatcher 단백질(DPIVMIDNDKPIT)에 공유 결합하는 펩타이드이다. SdyTag/SdyCatcher는 SpyTag/SpyCatcher와 속도론적 의존적인 교차 반응성을 갖는다.

3. 2. 단백질 태그


  • BCCP(Biotin Carboxyl Carrier Protein)는 BirA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변형되어 스트렙타비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단백질 도메인이다.
  • 브로모태그(BromoTag)는 Brd4, Brd4-BD2 L387A의 두 번째 브로모도메인의 "범프 앤 홀(bump-and-hole)" 변형 버전으로, 태그 특이적 PROTAC 분해제 AGB1에 의해 매우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브로모태그된" 단백질과 E3 리가제 VHL 사이의 삼원 복합체를 형성하여 태그된 단백질의 유비퀴틴화와 그에 따른 세포 내에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프로테아좀 분해를 유도한다.
  • FAST(Fluorescence-Activating and absorption-Shifting Tag)는 특이적인 형광성 리간드와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변형된 광활성 황색 단백질(PYP)이다.
  • CL7-태그는 고정된 면역 단백질 7(Im7)에 대한 강한 결합 친화도와 특이성을 갖는 콜리신 E7의 변형된 변종이다.
  • 글루타티온-S-전달효소-태그는 고정된 글루타티온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 녹색 형광 단백질-태그는 자발적으로 형광성을 띠며 나노바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단백질이다.
  • HaloTag는 할로알케인 기질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세균성 할로알케인 탈할로겐화효소이다.
  • SNAP-tag는 벤질구아닌 유도체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진핵생물 DNA 메틸전달효소이다.
  • CLIP-tag는 벤질시토신 유도체에 공유 결합하는 변형된 진핵생물 DNA 메틸전달효소이다.
  • HUH-태그는 표적 서열에 공유 결합하는 서열 특이적 단일 가닥 DNA 결합 단백질이다.
  • 말토스 결합 단백질-태그는 아밀로스 아가로스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 Nus-tag
  • 티오레독신-태그
  • Fc-태그는 면역글로불린 Fc 도메인에서 파생되어 이량체화 및 가용화를 허용한다. 단백질 A 세파로스 상에서 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
  • 무질서 촉진 아미노산(P, E, S, T, A, Q, G 등)을 포함하는 설계된 본질적으로 무질서한 태그
  •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 또는 CRDSAT-태그는 락토스 아가로스 또는 세파로스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4. 기타 태그

아미노산 코드(A-Z)를 참조하여 다양한 태그를 활용할 수 있다.

'''HiBiT 태그'''는 Promega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11개 아미노산 펩타이드 태그이다. 단백질의 N-말단, C-말단, 또는 내부 위치에 융합될 수 있으며, 작은 크기 덕분에 CRISPR/Cas9 기술을 통해 다른 단백질과 빠르게 결합시킬 수 있다.[29]

형광을 이용해 단백질 분자를 표지하고 검출하기 위해 GFP를 태그로 사용하는 방법은 단분자 세포 생물학 및 생체 영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융합 단백질을 가용성으로 만들기 위해 MBP, GST, 티오레독신 태그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태그는 단백질의 인공적 발현 시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불용성화를 방지하여 정제 및 활성화를 돕는다.

GFP 태그는 목적 단백질의 C 말단 쪽에 연결하여 폴딩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목적 단백질(N 말단 쪽)이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지 않으면 응집되거나 분해되어 GFP가 형광 기능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5. 응용 분야

표지단백질은 친화성 정제, 단백질 칩, TimeSTAMP 단백질 표지, 웨스턴 블롯 등의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형광을 이용해 단백질 분자를 표지하고 검출하기 위해 GFP를 태그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단분자 세포 생물학 · 생체 영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융합 단백질을 가용성으로 만들기 위해 태그가 사용되기도 한다. 단백질을 인공적으로 발현시킬 때 단백질 응집으로 인해 불용성이 되는 경우가 많아 정제 및 활성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MBP, GST, 티오레독신 태그 등을 사용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융합 단백질의 폴딩 지표로도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FP 태그를 목적 단백질의 C 말단 쪽에 연결하면, 목적 단백질(N 말단 쪽이므로 먼저 만들어짐)이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지 않을 경우 응집되거나 분해되어 GFP가 형광 기능을 나타내지 않게 되므로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6. 한국의 단백질 태그 연구 및 산업 동향

참조

[1] 논문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the tag-assisted protein purification techniques: Application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ttps://www.scienced[...] 2020-12
[2] 논문 Plug-and-play pairing via defined divalent streptavidins 2014-01
[3] 논문 Creating new fluorescent probes for cell biology
[4] 논문 The ALFA-tag is a highly versatile tool for nanobody-based bioscience applications
[5] 논문 Structure and Properties of a Complex of α-Synuclein and a Single-Domain Camelid Antibody https://biblio.vub.a[...] 2010-09
[6] 웹사이트 CaptureSelect C-tag Affinity Matrix - Thermo Fisher Scientific https://www.thermofi[...]
[7] 논문 A Convenient Split-Intein Tag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Tagless Target Proteins https://onlinelibrar[...] 2018
[8] 논문 The Evolution of Intein-Based Affinity Methods as Reflected in 30 years of Patent History 2022
[9] 웹사이트 "iCapTag™ Technology - Protein Capture Science" https://www.proteinc[...]
[10] 논문 The FLAG™ peptide, a versatile fusion tag for the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11] 논문 Orai1 is an essential pore subunit of the CRAC channel
[12] 논문 N-Terminal Modification of Gly-His-Tagged Proteins with Azidogluconolactone https://resolver.cal[...] 2021-11-16
[13] 논문 "Assessment of cellular estrogenic activity based on estrogen receptor-mediated reduction of soluble-form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expression in an ELISA-based system."
[14] 논문 One-Step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Using a Nanomolar-Affinity Streptavidin-Binding Peptide, the SBP-Tag
[15] 논문 Molecular Interaction Between the Strep-tag Affinity Peptide and its Cognate Target, Streptavidin
[16] 웹사이트 Epitope Tags & Fusion Proteins – antibodies-online https://www.antibodi[...]
[17] 논문 Catalytic Activity is Not Required for Secreted PCSK9 to Reduce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s in HepG2 Cells
[18] 논문 Spontaneous Intermolecular Amide Bond Formation between Side Chains for Irreversible Peptide Targeting
[19] 논문 Peptide tag forming a rapid covalent bond to a protein, through engineering a bacterial adhesin
[20] 논문 Programmable polyproteams built using twin peptide superglues
[21] 논문 SnoopLigase Catalyzes Peptide–Peptide Locking and Enables Solid-Phase Conjugate Isolation https://ora.ox.ac.uk[...] 2018-02-14
[22] 논문 DogCatcher allows loop-friendly protein-protein ligation 2021-07
[23] 논문 Kinetic Controlled Tag-Catcher Interactions for Directed Covalent Protein Assembly 2016-10-26
[24] 논문 Development of BromoTag: A "Bump-and-Hole"–PROTAC System to Induce Potent, Rapid, and Selective Degradation of Tagged Target Proteins 2021-10
[25] 서적 Affinity Chromatography 2022
[26] 논문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and one-step purification of bifunctional hybrid proteins which bind maltose. Export of the Klenow polymerase into the periplasmic space 1988-02
[27] 논문 Designing disorder: Tales of the unexpected tails
[28] 논문 CRDSAT Generated by pCARGHO: A New Efficient Lectin-Based Affinity Tag Method for Safe, Simple, and Low-Cost Protein Purification. https://hal.archives[...] 2018-10
[29] 논문 CRISPR-Mediated Tagging of Endogenous Proteins with a Luminescent Peptide 2018-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