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MP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AMP법은 등온 핵산 증폭 기술로, 특정 유전자를 증폭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다. 2개 또는 3세트의 프라이머와 중합효소를 사용하여 60–65°C의 일정한 온도에서 DNA를 증폭하며, PCR보다 높은 DNA 생성량을 보인다. 다양한 검출 방법을 통해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며, 단순성, 견고성,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현장 진단에 활용된다. LAMP는 프라이머 설계의 제약, 멀티플렉싱의 어려움, 위양성 가능성, 온도 조건 등에서 한계를 가지지만, RHAM과 같은 연구를 통해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에이켄 화학의 Loopamp 시리즈와 같이 다양한 감염성 질환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화학 검출 기법 - 펠링 용액
펠링 용액은 헤르만 폰 펠링이 발명한 알데히드와 환원당 검출 시약으로, 환원성 물질과 반응하여 산화 구리(I)의 적색 침전을 생성하며, 베네딕트 시약이 개발되었음에도 높은 반응 민감도를 유지한다. - 생화학 검출 기법 -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제한 효소 절편길이 다형성(RFLP)은 제한 효소를 이용해 DNA를 절단하고, 절단된 DNA 절편의 길이 차이를 분석하여 유전적 변이를 검출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술로, 유전자 분석, 부계 확인, 범죄 수사 등에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른 기술로 대체되고 있다. - DNA 복제 - 반보존적 복제
반보존적 복제는 DNA 복제 시 원래 DNA 가닥을 주형으로 새로운 가닥을 합성하여, 각 복사본이 원래 가닥과 새로운 가닥을 하나씩 포함하는 메커니즘으로, 메셀슨-스탈 실험으로 증명되었으며, DNA 복구 및 유전적 다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DNA 복제 - 텔로머레이스
텔로머레이스는 진핵세포 염색체 말단의 텔로미어 DNA 반복 서열을 연장하는 역전사 효소로, 세포 분열 시 텔로미어 단축을 막아 세포 수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RNA 구성 요소(TERC)와 역전사 효소(TERT) 복합체로 구성되어 세포 노화, 암, 유전 질환 연구와 관련이 있고, 텔로미어와 텔로머레이스 기능 연구로 엘리자베스 블랙번, 캐럴 W. 그리더, 잭 W. 쇼스택이 200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유전학 - 우생학
우생학은 인간의 유전적 특질 개선을 목표로 19세기 후반 골턴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긍정적·부정적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나,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과 결부되어 비판받으며 쇠퇴하였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유전자 선별과 관련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전학 - 행동유전학
행동유전학은 행동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프랜시스 골턴의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나 우생학 논란을 겪었으며, 가족 연구, 쌍둥이 연구 등을 통해 발전해 왔지만 사회적 논쟁과 방법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LAMP법 | |
---|---|
개요 | |
명칭 | 루프 매개 등온 증폭 |
영어 명칭 |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일본어 명칭 | LAMP法(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한국어 명칭 | LAMP법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기술 정보 | |
기술 종류 | DNA 증폭 기술 |
특징 | 단일 튜브 내에서 수행 등온 조건에서 반응 진행 |
필요 효소 | DNA 중합 효소 |
프라이머 개수 | 4-6개 |
온도 | 60-65°C |
반응 시간 | 1시간 이내 |
활용 | |
응용 분야 | 유전자 검사 진단 분자 생물학 연구 |
장점 | 빠른 반응 속도 높은 특이성 간편한 과정 저렴한 비용 |
단점 | 프라이머 설계의 복잡성 오염에 민감 |
2. 증폭 원리
LAMP에서, 표적 서열은 프라이머 2개 또는 3세트와 높은 가닥 치환 활성을 가진 중합효소를 사용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증폭된다. 일반적으로 4개의 다른 프라이머가 표적 유전자에서 6개의 서로 다른 영역을 증폭하는데 사용되어 특이성을 높인다. "루프 프라이머"의 추가 쌍은 반응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4] LAMP에서 생성되는 DNA의 양은 PCR 기반 증폭보다 상당히 높다.[3]
2. 1. 프라이머 설계
LAMP에서, 표적 서열은 프라이머 2개 또는 3세트와 복제 활성 외에 높은 가닥 치환 활성을 가진 중합효소 (예: Bst Klenow fragment)를 사용하여 60–65°C의 일정한 온도에서 증폭된다.[4] 일반적으로, 4개의 다른 프라이머가 표적 유전자에서 6개의 서로 다른 영역을 증폭하는 데 사용되어 특이성을 높인다. "루프 프라이머"의 추가 쌍은 반응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4] LAMP에서 생성되는 DNA의 양은 PCR 기반 증폭보다 상당히 높다.[3]프라이머 설계는 [https://primerexplorer.jp/e/ PrimerExplorer], [http://morphocatcher.ru/ MorphoCatcher],[5] 및 [https://lamp.neb.com/ NEB LAMP Primer Design Tool]과 같은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보존적이고 종 특이적인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의 스크리닝의 경우, 대부분의 진단 응용 분야에서 PrimerExplorer와 MorphoCatcher의 조합이 매우 유용하다. 이는 반응의 특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 특이적 뉴클레오티드의 3'-말단을 프라이머에 국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2. 2. 증폭 과정
LAMP에서 표적 서열은 프라이머 2개 또는 3세트와 복제 활성 외에 높은 가닥 치환 활성을 가진 중합효소 (예: Bst Klenow fragment)를 사용하여 60–65°C의 일정한 온도에서 증폭된다.[4] 일반적으로, 4개의 다른 프라이머가 표적 유전자에서 6개의 서로 다른 영역을 증폭하는 데 사용되어 특이성을 높인다. "루프 프라이머"의 추가 쌍은 반응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4] LAMP에서 생성되는 DNA의 양은 PCR 기반 증폭보다 상당히 높다.[3]3. 검출 방법
LAMP 증폭 산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다.
증폭 산물은 증폭의 부산물로 용액 내 마그네슘 피로인산염 침전에 의해 발생하는 혼탁도를 측정하여 광도 측정법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7] 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시각화하거나 소량의 부피에 대해 간단한 광도 측정 감지 방식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반응은 혼탁도를 측정하거나[8] SYTO 9와 같은 삽입 염료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9]
SYBR 그린과 같은 염료를 사용하면 고가의 장비 없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인 색상 변화를 만들거나, 기기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응을 만들 수 있다. 염료 분자는 DNA를 삽입하거나 직접 표지하며, 결과적으로 처음에 존재하는 복제본의 수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LAMP도 정량적일 수 있다. 망간이 로딩된 칼세인을 사용하여 LAMP DNA 증폭을 시험관 내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이 칼세인은 시험관 내 DNA 합성이 진행되는 동안 피로인산염에 의해 망간이 복합체를 형성하면 형광을 낸다.[10]
육안으로 LAMP 증폭 산물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또 다른 방법은 증폭 산물이 상보적인 금 나노 입자(AuNP) 결합 단일 가닥 DNA(ssDNA)와 혼성화될 수 있다는 점을 기반으로 하며, 이를 통해 금 입자의 염 유도 응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적색에서 자색-청색으로의 색상 변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AuNP에 의한 증폭 산물 감지가 결합된 LAMP 방법은 검사 시간 단축, 혼성화를 통한 증폭 산물 확인, 더 간단한 장비 사용(즉, 열 순환기, 전기 영동 장치 또는 UV 투과 조사 장치 불필요) 측면에서 다른 방법에 비해 장점을 가질 수 있다.[11][12]
페놀 레드와 같은 pH 의존적 염료 지표는 DNA 증폭 시 반응의 pH 값이 감소하면 분홍색에서 노란색으로의 색상 변화를 유도한다.[13] 이러한 뚜렷한 색상 변화로 인해, 이는 RT-LAMP 분석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판독값이다.[13] 그러나 pH 변화에 따른 판독값은 완충액이 약한 반응 용액이 필요하며, 이는 가변적인 pH를 가진 조잡한 샘플 입력을 사용할 때 큰 문제로 이어진다.[13] 두 번째 색상 측정 분석법은 자유 Mg2+ 이온의 감소에 따라 자주색에서 파란색으로 색상이 변하는 금속 이온 지표인 하이드록시나프톨 블루 (HNB)를 사용하며, 이는 DNA 증폭 시 Mg-피로인산염 침전을 형성한다.[13]
3. 1. 광도 측정법
증폭 산물은 증폭 부산물로 용액 내 마그네슘 피로인산염 침전에 의해 발생하는 혼탁도를 측정하여 광도 측정법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7] 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시각화하거나 소량의 부피에 대해 간단한 광도 측정 감지 방식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반응은 혼탁도를 측정하거나[8] SYTO 9와 같은 삽입 염료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9] SYBR 그린과 같은 염료를 사용하면 고가의 장비 없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인 색상 변화를 만들거나, 기기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응을 만들 수 있다.페놀 레드와 같은 pH 의존적 염료 지표는 DNA 증폭 시 반응의 pH 값이 감소하면 분홍색에서 노란색으로의 색상 변화를 유도한다.[13] 자유 Mg2+ 이온의 감소에 따라 자주색에서 파란색으로 색상이 변하는 금속 이온 지표인 하이드록시나프톨 블루 (HNB)를 사용하여 검출할수도 있다.[13]
3. 2. 형광 측정법
증폭 산물은 광도 측정법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용액 내 마그네슘 피로인산염 침전에 의해 발생하는 혼탁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7] 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시각화하거나 간단한 광도 측정 감지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은 혼탁도를 측정하거나,[8] SYTO 9와 같은 삽입 염료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9]SYBR 그린과 같은 염료를 사용하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색상 변화를 만들거나, 기기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염료 분자는 DNA를 삽입하거나 직접 표지하며, 처음에 존재하는 복제본의 수와 연관될 수 있다. 망간이 포함된 칼세인을 사용하면 시험관 내 DNA 합성이 진행되는 동안 피로인산염에 의해 망간이 복합체를 형성하면서 형광을 내어 LAMP DNA 증폭을 시험관 내에서 감지할 수 있다.[10]
3. 3. 색상 변화 측정법
LAMP법은 DNA 증폭 시 발생하는 pH 변화 또는 Mg-피로인산염 침전 형성을 이용하여 색상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pH 의존적 염료 지표인 페놀 레드는 DNA 증폭 과정에서 반응 용액의 pH 값이 감소함에 따라 분홍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한다.[13] 이러한 색상 변화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RT-LAMP 분석에 널리 사용된다.[13] 다만, 약한 완충 용액이 필요하며, pH 변화가 심한 샘플을 사용할 때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3]
금속 이온 지표인 하이드록시나프톨 블루(HNB)는 DNA 증폭 시 Mg-피로인산염 침전이 형성되면서 자유 Mg2+ 이온이 감소함에 따라 자주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한다.[13]
금 나노 입자(AuNP) 결합 단일 가닥 DNA(ssDNA)와의 혼성화를 이용하는 방법은, 증폭 산물이 AuNP와 결합하여 염 유도 응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적색에서 자색-청색으로의 색상 변화를 막는 원리를 이용한다.[11][12] 이 방법은 검사 시간 단축, 혼성화를 통한 증폭 산물 확인, 간편한 장비 사용(열 순환기, 전기 영동 장치, UV 투과 조사 장치 불필요) 등의 장점이 있다.[11][12]
증폭 산물은 광도 측정법을 통해 혼탁도를 측정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7] 이는 육안으로 확인하거나[8] SYTO 9와 같은 삽입 염료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9] SYBR 그린과 같은 염료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상 변화를 유도하거나, 기기를 통해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10]
4. 활용 및 장점
LAMP는 비교적 새로운 DNA 증폭 기술로, 단순성, 견고성,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주요 이점을 제공한다.[14] LAMP는 현장이나 임상의의 현장 진료에서 간단한 스크리닝 검사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14] LAMP는 등온 반응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PCR에 사용되는 고가의 열 순환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감염성 질환 진단에 특히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15] LAMP는 사상충증,[16] 지카 바이러스,[17] 결핵,[18] 말라리아,[19][20][21] 수면병,[22] 그리고 SARS-CoV-2와 같은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해 널리 연구되고 있다.[23][24] 개발도상국에서는 다른 일반적인 병원체에 대해 광범위하게 검증되지 않았다.[14]
LAMP는 복잡한 시료, 예를 들어 혈액 내의 억제제에 대해 PCR보다 덜 민감한(더 저항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다른 DNA 중합 효소(일반적으로 PCR에서와 같이 ''Taq'' 중합 효소가 아닌 ''Bst'' – ''Bacillus stearothermophilus'' – DNA 중합 효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여러 보고서에서 열처리된 혈액과 같이 최소한으로 처리된 시료,[25][26] 또는 임상 시료 매트릭스 존재하에서의 병원체 검출 성공 사례가 보고되었다.[27] LAMP의 이러한 특징은 진단 검사 전에 기존의 DNA 또는 RNA 추출이 비실용적일 수 있는 저자원 또는 현장 환경에서 유용할 수 있다.
LAMP는 또한 체액 식별을 돕는 데 사용되어 왔다. 단순성 덕분에 연구자들은 적은 시간으로 하나 이상의 샘플을 테스트할 수 있어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자들은 또한 금속 지시약 염료와 페놀 레드를 포함하여 식별을 더욱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하여 스마트폰과 육안으로 각각 결과를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28][29][30]
4. 1. 현장 진단
LAMP는 등온 반응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PCR에 사용되는 고가의 열 순환 장치가 필요 없다.[15] 따라서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감염성 질환 진단에 특히 유용하며, 현장이나 임상의의 현장 진료에서 간단한 스크리닝 검사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14][15]LAMP는 사상충증,[16] 지카 바이러스,[17] 결핵,[18] 말라리아,[19][20][21] 수면병,[22] SARS-CoV-2[23][24]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 검출에 널리 활용된다.
LAMP는 혈액 내 억제제와 같은 복잡한 시료에 대해 PCR보다 덜 민감하지만,[25][26] 열처리된 혈액과 같이 최소한으로 처리된 시료나 임상 시료 매트릭스 존재 하에서도 병원체 검출에 성공한 사례가 보고되었다.[27] 이러한 특징은 DNA 또는 RNA 추출이 어려운 저자원 또는 현장 환경에서 유용하다.
LAMP는 체액 식별에도 활용되며, 금속 지시약 염료나 페놀 레드를 추가하여 스마트폰이나 육안으로 결과를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28][29][30]
4. 2. 간편성 및 신속성
LAMP는 비교적 새로운 DNA 증폭 기술로, 단순성, 견고성,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주요 이점을 제공한다.[14] 현장이나 임상의의 현장 진료에서 간단한 스크리닝 검사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으며,[14] 등온 반응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PCR에 사용되는 고가의 열 순환 장치가 필요 없다. 따라서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감염성 질환 진단에 특히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15]LAMP는 복잡한 시료, 예를 들어 혈액 내의 억제제에 대해 PCR보다 덜 민감한(더 저항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Bst'' DNA 중합 효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열처리된 혈액과 같이 최소한으로 처리된 시료,[25][26] 또는 임상 시료 매트릭스 존재하에서의 병원체 검출 성공 사례가 보고되었다.[27] 이러한 특징은 진단 검사 전에 기존의 DNA 또는 RNA 추출이 비실용적일 수 있는 저자원 또는 현장 환경에서 유용할 수 있다.
LAMP는 체액 식별을 돕는 데도 사용되어 왔다. 단순성 덕분에 연구자들은 적은 시간으로 하나 이상의 샘플을 테스트할 수 있어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금속 지시약 염료와 페놀 레드를 포함하여 식별을 더욱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하여 스마트폰과 육안으로 각각 결과를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28][29][30]
5. 한계점
LAMP는 가장 잘 확립된 핵산 증폭 기술인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보다 다재다능함이 떨어진다. LAMP는 주로 진단 또는 검출 기술로 유용하지만, PCR로 가능한 클로닝 또는 기타 많은 분자 생물학 응용 분야에는 유용하지 않다.
프라이머 설계 제약LAMP는 게놈의 비교적 작은 부분 내에서 6(또는 8)개의 영역을 표적으로 하는 4(또는 6)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프라이머 설계에 많은 제약 조건이 있기 때문에 LAMP용 프라이머 세트를 "직관적으로" 설계하기가 어렵다.[31] 자유롭고 오픈 소스 또는 상용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일반적으로 LAMP 프라이머 설계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지만, 프라이머 설계 제약 조건으로 인해 PCR보다 표적 부위를 선택하는 데 자유도가 떨어진다.
진단 응용 분야에서는 이를 적절한 표적(예: 매우 변동성이 큰 바이러스 게놈의 보존된 부위 또는 특정 병원체 균주에 특이적인 표적)을 선택해야 할 필요성과 균형을 맞춰야 한다. 동일 종의 다양한 변이 균주를 포괄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변성 서열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 혼합물의 결과는 증폭 후반 단계에서 비특이적 증폭이 일어날 수 있다.
멀티플렉싱의 어려움LAMP에 대한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다중 반응) 방식은 PCR보다 덜 개발되었다. LAMP에서 표적당 더 많은 수의 프라이머를 사용하면 멀티플렉싱된 표적 세트에 대한 프라이머 간의 상호 작용 가능성이 증가한다. LAMP의 산물은 표적 영역의 일련의 컨캐터머(concatemer)로, PCR과 같은 단일 밴드가 아닌 젤에서 특징적인 "래더(ladder)" 또는 밴딩 패턴을 나타낸다. 이는 단일 표적을 LAMP로 검출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젤에서 밴드의 크기로 표적의 정체를 확인하는 "전통적인"(종점) 멀티플렉스 PCR 응용 분야는 LAMP로 실현할 수 없다. LAMP에서의 멀티플렉싱은 제한 효소 부위가 있는 표적 영역을 선택하고 젤에서 실행하기 전에 절단하여 각 산물이 뚜렷한 크기의 단편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었다.[32] 하지만 이 접근 방식은 실험 설계 및 프로토콜에 복잡성을 더한다.
LAMP에서 가닥 치환 DNA 중합 효소를 사용하면 5'-3' 엑소뉴클레아제 활성에 의존하는 TaqMan 프로브와 같은 가수분해 프로브의 사용도 배제된다. 형광 퀜처(quencher, 소광제)를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인 실시간 멀티플렉싱 방식이 보고되었다.[33]
위양성 가능성SYBR Green 염료를 첨가하여 실시간으로 LAMP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증폭 후반 단계에서 프라이머-이량체(primer-dimer) 증폭은 위양성 신호에 기여할 수 있다. 무기 피로인산분해효소를 SYBR 반응 혼합물에 사용하면 용융 분석을 사용하여 정확한 증폭을 구별할 수 있다.[34]
이 방법을 기반으로 한 분석에서 위양성 결과를 위한 다양한 완화 전략이 제안되었지만, 온도 게이팅(gating) 메커니즘의 부재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비특이적 증폭은 루프 매개 등온 증폭의 주요 제한 사항 중 하나이다.[35][36]
온도 조건LAMP는 유지된 높은 배양 온도(60–65 °C)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종의 가열 메커니즘, 온도 조절기 및/또는 절연체가 필요하다(반드시 열 사이클러가 필요한 것은 아님).
5. 1. 프라이머 설계 제약
LAMP는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보다 프라이머 설계가 어렵고, 표적 부위 선택의 자유도가 떨어진다.[31] LAMP 프라이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자유, 오픈 소스 또는 상용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사용되지만, 프라이머 설계 제약으로 인해 표적 부위 선택에 제약이 따른다.진단 응용 분야에서, 매우 변동성이 큰 바이러스 게놈의 보존된 부위나 특정 병원체 균주에 특이적인 표적을 선택해야 한다. 동일 종의 다양한 변이 균주를 포괄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변성 서열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증폭 후반 단계에서 비특이적 증폭을 유발할 수 있다.
5. 2. 멀티플렉싱의 어려움
LAMP는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보다 다재다능함이 떨어지며, 멀티플렉싱(다중 반응) 방식이 덜 개발되어 여러 표적을 동시에 검출하기 어렵다.[31] LAMP는 4개(또는 6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프라이머 설계에 많은 제약 조건이 있어 표적 부위 선택의 자유도가 PCR보다 떨어진다.LAMP에서의 멀티플렉싱은 제한 효소 부위를 가진 표적 영역을 선택하고 절단하여 각 산물이 뚜렷한 크기의 단편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었지만,[32] 이 방식은 실험 설계 및 프로토콜에 복잡성을 더한다. 또한, LAMP에서 가닥 치환 DNA 중합 효소를 사용하면 TaqMan 프로브와 같은 가수분해 프로브 사용이 불가능하며, 형광 퀜처(quencher) 기반의 실시간 멀티플렉싱 방식이 보고되었다.[33]
5. 3. 위양성 가능성
LAMP에서 SYBR Green 염료를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지만, 증폭 후반 단계에서 프라이머-이량체 증폭으로 인해 위양성 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34] 무기 피로인산분해효소를 SYBR 반응 혼합물에 사용하면 용융 분석을 통해 정확한 증폭과 위양성을 구별할 수 있다.[34]비특이적 증폭은 LAMP의 주요 제한 사항 중 하나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완화 전략이 제안되고 있다.[35][36]
5. 4. 온도 조건
LAMP는 유지해야하는 높은 배양 온도(60–65 °C)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종의 가열 메커니즘, 온도 조절기 및/또는 절연체가 필요하다.[31] 이러한 요구사항은 LAMP가 이상적으로 실온에서 작동하는 현장, 현장 진단에 덜 적합하게 만든다.6. 연구 동향
RHAM (아르엔에이즈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어시스티드 앰플리피케이션/RNase Hybridization-Assisted Amplification영어)은 LAMP를 RNase HII 매개 형광 보고와 통합한 방법이다. 일반적인 LAMP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표적 서열을 기하급수적으로 증폭시킨 다음, 리보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를 증폭 생성물에 하이브리드화한다. 그러면 RNase HII가 프로브를 절단하여 감지할 수 있는 형광 신호를 방출한다.[37][38]
6. 1. RHAM (RNase Hybridization-Assisted Amplification)
RHAM (RNase Hybridization-Assisted Amplification)은 LAMP를 RNase HII 매개 형광 보고와 통합한 방법이다. 일반적인 LAMP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표적 서열을 기하급수적으로 증폭시킨 다음, 리보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를 증폭 생성물에 하이브리드화한다. 그러면 RNase HII가 프로브를 절단하여 감지할 수 있는 형광 신호를 방출한다.[37][38]7. 응용 분야
에이켄 화학에서 Loopamp 시리즈로 다양한 감염증 검사 시약 키트를 상품화하였다. 여기에는 결핵균군, 백일해균, 마이코플라즈마 P, 레지오넬라, H1 pdm 200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 아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ARS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SARS-CoV-2) 검출 시약 키트 등이 포함된다.
LAMP법은 레지오넬라(재향군인병),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알디아 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7. 1. 체외 진단용 의약품
에이켄 화학에서 Loopamp 시리즈로 다양한 감염증 검사 시약 키트를 상품화하였다. 여기에는 결핵균군, 백일해균, 마이코플라즈마 P, 레지오넬라, H1 pdm 200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 아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ARS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SARS-CoV-2) 검출 시약 키트 등이 포함된다.7. 2. 환경 위생 검사
LAMP법은 레지오넬라(재향군인병),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알디아 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참조
[1]
특허
Process for synthesizing nucleic acid
2002-06-25
[2]
학술지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of DNA
[3]
학술지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The Better Sibling of PCR?
2021-07
[4]
학술지
Accelerated reaction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using loop primers
[5]
학술지
MorphoCatcher: a multiple-alignment based web tool for target selection and designing taxon-specific primers in th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2019-04-26
[6]
학술지
Monitoring Genetic Population Biomarkers for Wastewater-Based Epidemiology
2017-09-19
[7]
학술지
Detection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eaction by turbidity derived from magnesium pyrophosphate formation
[8]
학술지
Real-time turbidimetry of LAMP reaction for quantifying template DNA
[9]
학술지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Trypanosoma brucei rhodesiense
[10]
학술지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of gene sequences and simple visual detection of products
[11]
학술지
Double-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D-LAMP) using colourimetric gold nanoparticle probe for rapid detection of infectious Penaeus stylirostris densovirus (PstDNV) with reduced false-positive results from endogenous viral elements
2019-08
[12]
학술지
Rapid and sensitive colorimetric detection of microsporidian Enterocytozoon hepatopenaei (EHP) based on spore wall protein (SWP) gene using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combined with DNA 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as probes
2021-02
[13]
학술지
A Rapid, Highly Sensitive and Open-Access SARS-CoV-2 Detection Assay for Laboratory and Home Testing
2022
[14]
서적
Environmental microbiology : current technology and water application
Caister Academic Press
2011
[15]
서적
Global health diagnostics: research, development and regulatio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Workshop Report
http://tbevidence.or[...]
Academy of Medical Sciences (Great Britain)
2014-05-05
[16]
학술지
Colorimetric tests for diagnosis of filarial infection and vector surveillance using non-instrumented nucleic aci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NINA-LAMP)
2017
[17]
학술지
Rapid colorimetric detection of Zika virus from serum and urine specimens by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2017
[18]
학술지
Efficacy of loop 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ssay for the laboratory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in a resource limited setting
[19]
학술지
Sensitive and inexpensive molecular test for falciparum malaria: detecting Plasmodium falciparum DNA directly from heat-treated blood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20]
웹사이트
Molecular detection of Plasmodium with Loop 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nd sensitivity comparison to PET-PCR assay
http://www.ilmar.org[...]
2015
[21]
웹사이트
null
http://www.ilmar.org[...]
2015
[22]
학술지
African trypanosomiasis: sensitive and rapid detection of the sub-genus Trypanozoon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of parasite DNA
[23]
뉴스
UK coronavirus test with 20-minute wait being triall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5-21
[24]
학술지
Development of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s Targeting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2020
[25]
학술지
Rapid detection of HIV-1 by reverse-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26]
학술지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for rapid diagnosis of malaria infections in an area of endemicity in Thailand
[27]
학술지
Robustness of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eaction for diagnostic applications
[28]
학술지
A novel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four body fluids with smartphone detection
2020-03
[29]
학술지
Optimization of novel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with colorimetric image analysis for forensic body fluid identification
https://onlinelibrar[...]
2021
[30]
학술지
Rapid screening method for male DNA by using th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https://doi.org/10.1[...]
2018-07-01
[31]
학술지
LAVA: an open-source approach to designing LAMP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DNA signatures
[32]
학술지
Development of a multiplex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LAMP)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bovine Babesia parasites
2007-12
[33]
학술지
Simultaneous multiple target detection in real-tim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2012-08
[34]
학술지
Enhancing melting curve analysis for the discrimination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roducts from four pathogenic molds: Use of inorganic pyrophosphatase and its effect in reducing the variance in melting temperature values
2017-01
[35]
학술지
Molecular diagnostic assays for COVID-19: an overview
[36]
논문
LAMP Diagnostics at the Point-of-Care: Emerging Trends and Perspectives for the Developer Community
[37]
논문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SARS-CoV-2 using the RHAM technology
2023-12
[38]
논문
Performances of two rapid LAMP-based techniques for the intrapartum detection of Group B Streptococcus vaginal colonization
2024-04
[39]
논문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of DNA
http://www.pubmedcen[...]
[40]
특허
US6410278
https://patents.goog[...]
[41]
저널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of DNA
http://www.pubmedcen[...]
[42]
특허
US6410278
https://www.googl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