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센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이센 신화는 13세기 튜턴 기사단에 의해 정복당하기 전 프로이센인들이 믿었던 다신교 신앙 체계이다. 기사단은 프로이센 신화를 기록하지 않았지만, 1248년 크리스트부르크 조약, 페터 폰 두스부르크의 연대기, 튜턴 기사단의 공식 문서 등에서 단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종교 개혁 이후, 프로이센 공국에서 프로이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도비안 서'와 시몬 그루나우의 연대기가 중요한 자료로 등장했지만, 그 신뢰성은 논쟁의 대상이 된다. 주요 신으로는 오코피르무스, 수아익스틱스, 아우슈아우츠, 포트림포, 페르쿠나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로마 신화의 신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로이센 신화 | |
---|---|
신화 개요 | |
신화 체계 | 발트 신화 |
해당 문화권 | 프로이센인 |
지역 | 프로이센 |
주요 신 | |
남성 신 | 오코파르니스 파트림파스 페르쿠나스 피콜스 |
여성 신 | 라우메 메데이나 |
기타 | |
관련 항목 | 로무바 크리베 바이드루트 |
2. 역사적 배경 및 사료
튜턴 기사단은 1220년대에 프로이센 십자군을 시작하여 이교도였던 프로이센인들을 정복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들은 통나무와 돌로 요새를 건설했는데, 프로이센인들은 다섯 번의 프로이센 봉기를 일으켰지만 결국 1280년대에 정복당했다. 독일인,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폴란드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이 지역에 다시 정착했다. 1400년경에는 프로이센인들이 독일화와 동화의 대상이 되었으며, 16세기 이후에는 결국 멸망했다.
기사단은 이교주의를 악으로 여기고 완전히 근절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에 지역 관습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프로이센 신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신과 전통에 대한 단편적인 언급들은 1248년의 크리스트부르크 조약, 페터 폰 두스부르크의 연대기, 교황과의 서신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종교 개혁 이후 튜턴 기사단 수도국은 루터교 프로이센 공국으로 변모했다. 종교 분쟁은 이교 프로이센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수도비안 서''와 시몬 그루나우의 연대기라는 프로이센 문화에 대한 두 가지 연구가 이루어졌다. ''수도비안 서''의 저작권, 연대, 신뢰성에 대해서는 학문적 논쟁이 있다. 시몬 그루나우(1530년경 사망)는 조작된 자료를 사용하고 상상을 더했다는 비판을 받지만, 그의 연대기는 비데부토, 로무바 사원, 이교 삼위일체(페콜스, 포트림포, 페르쿠나스), 이교 대사제(''크리베-크리바이트''), 여성 ''와이델린스''(로마의 베스탈과 유사) 등 몇 가지 주요 전설을 소개했다.
2. 1. 튜턴 기사단의 기록
튜턴 기사단은 1220년대에 프로이센 십자군을 시작하여 이교도 프로이센인들을 정복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기사단은 통나무와 돌로 요새를 건설했고, 다섯 번의 프로이센 봉기에도 불구하고 1280년대에 프로이센 정복을 완료했다. 독일인,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폴란드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황폐해진 지역에 다시 정착했다. 1400년경 프로이센인들은 독일화와 동화의 대상이 되었고, 16세기 이후에 멸망했다. 기사단은 이교주의를 연구할 가치가 없다고 여겼고, 프로이센 신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신과 전통에 대한 단편적인 언급들은 1248년의 크리스트부르크 조약, 페터 폰 두스부르크의 연대기, 교황과의 서신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전 가톨릭 요새인 튜턴 기사단 수도국은 1525년 루터교 프로이센 공국으로 변모했다. 종교 분쟁은 이교 프로이센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수도비안 서''와 시몬 그루나우의 연대기라는 프로이센 문화에 대한 두 가지 근본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수도비안 서''의 저작권, 연대, 신뢰성에 대해서는 학문적 논쟁이 있다. 시몬 그루나우(1530년경 사망)는 조작된 자료를 사용하고 상상을 더했다는 비판을 받지만, 그의 연대기는 비데부토, 로무바 사원, 이교 삼위일체(페콜스, 포트림포, 페르쿠나스), 이교 대사제(''크리베-크리바이트''), 여성 ''와이델린스''(로마의 베스탈과 유사) 등 몇 가지 주요 전설을 소개했다.
2. 2. 《수도비안 서》와 시몬 그루나우의 연대기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은 전 가톨릭 요새인 튜턴 기사단 수도국은 1525년 루터교 프로이센 공국으로 변모했다. 종교 분쟁은 이교 프로이센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바로 그 시기에 프로이센 문화에 대한 두 가지 근본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바로 ''수도비안 서''와 시몬 그루나우의 연대기였다.''수도비안 서''의 저작권, 연대, 신뢰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학문적 논쟁이 있다. 대부분의 현대 리투아니아 학자들은 빌헬름 만하르트를 따라 이 책을 1530년에 교회 시노드가 준비하여 출판한 의식서인 ''Constitutiones Synodales''를 준비하는 데 사용된 신뢰할 수 있고 독립적인 자료로 취급한다. 또 다른 학설은 그 반대라고 주장한다. 즉, ''수도비안 서''는 ''Synodales''의 왜곡된 사본이며, 이는 다시 그루나우를 기반으로 준비되었으며, 이 모든 것이 "발명"과 "위조"로 거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몬 그루나우(1530년경 사망)는 의심스럽고 조작된 자료를 사용하고, 종종 사실에 자신의 상상을 더한 점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았다. 현대 학자들은 종종 그의 연대기를 허구로 치부하지만, 리투아니아 연구자들은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여 그 장점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이 작품은 6세기 왕 비데부토, 로무바 사원, 이교 삼위일체(페콜스, 포트림포, 페르쿠나스), 이교 대사제(''크리베-크리바이트''), 여성 ''와이델린스''(로마의 베스탈과 유사) 등 몇 가지 주요 전설을 소개하고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다양한 후대 작가들은 그루나우와 ''수도비안 서''에서 정보를 단순히 복사했으며, 새로운 정보를 거의 또는 전혀 추가하지 않았다.
2. 3. 후대 연구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은 튜턴 기사단 수도국은 1525년 루터교 프로이센 공국으로 변모했다. 종교 분쟁은 이교 프로이센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바로 그 시기에 프로이센 문화에 대한 두 가지 근본적인 연구인 ''수도비안 서''와 시몬 그루나우의 연대기가 나타났다.''수도비안 서''의 저작권, 연대, 신뢰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학문적 논쟁이 있다. 대부분의 현대 리투아니아 학자들은 빌헬름 만하르트를 따라 이 책을 1530년에 교회 시노드가 준비하여 출판한 의식서인 ''Constitutiones Synodales''를 준비하는 데 사용된 신뢰할 수 있고 독립적인 자료로 취급한다. 또 다른 학설은 그 반대라고 주장한다. 즉, ''수도비안 서''는 ''Synodales''의 왜곡된 사본이며, 이는 다시 그루나우를 기반으로 준비되었으며, 이 모든 것이 "발명"과 "위조"로 거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몬 그루나우(1530년경 사망)는 의심스럽고 조작된 자료를 사용하고, 종종 사실에 자신의 상상을 더한 점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았다. 현대 학자들은 종종 그의 연대기를 허구로 치부하지만, 리투아니아 연구자들은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여 그 장점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이 작품은 6세기 왕 비데부토, 로무바 사원, 이교 삼위일체(페콜스, 포트림포, 페르쿠나스), 이교 대사제(''크리베-크리바이트''), 여성 ''와이델린스''(로마의 베스탈과 유사) 등 몇 가지 주요 전설을 소개하고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다양한 후대 작가들은 그루나우와 ''수도비안 서''에서 정보를 단순히 복사했으며, 새로운 정보를 거의 또는 전혀 추가하지 않았다.
3. 프로이센의 신들
시몬 그루나우가 언급한 프로이센 신들인 페콜스, 페르쿠나스, 포트림포의 삼위일체 외에도, Wurschayto 또는 Borszkayto와 Szwaybrotto는 Widewuto와 Bruteno의 의인화였고, Curcho는 음식의 신이었다.[1]
Constitutiones Synodaleslt에는 10명의 프로이센 신이 열거되어 있으며, 그들의 고전적인 로마에 상응하는 신들을 제공한다. 이들 중 여신은 없으며, 쿠르체는 목록에서 빠져 있다. 이 목록은 Sudovian Booklt에도 거의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수아익스틱스''' (다른 표기: ''수아익티스'', ''스웨이스트릭스'', ''슈웨이테스틱스'', ''스와익틱스'', ''스웨이그틱스'', ''슈베익스둑스'')[1]는 역사적 자료에서 "빛의 신" (''Gott des Lichts'') 또는 별의 신으로 묘사된다.[5][6] 그의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별을 뜻하는 단어와 어원이 같을 것으로 추정되며, 재구성된 형태는 ''*zvězda''이다.[7] 그는 또한 발트어에서 "별"을 뜻하는 단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리투니아어 ''žvaigždė''와 라트비아어 ''zvaigzne''.[8] 이 신의 이름은 프러시아어 어간 ''-swaigst-''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swaigst-an'' (아마도 독일어 ''Schein'', "빛"과 관련됨)과 동사 ''er-schwaigstinai'' ( "[그것은] 비춘다.")에 나타난다.[7]
한편, 빛의 신이라는 해석과 일치하게 로만 자로프는 다른 발트어의 민족지학적, 민속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수아익스틱스''가 태양신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0]
3. 1. 초기 기록에 나타나는 신들

1249년 크리스트부르크 조약에는 추수 축제 기간 동안 숭배된 우상인 쿠르체에 대한 언급이 있다. 학자들은 그 성별, 기능 또는 어원을 확실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제안된 다양한 기능으로는 음식의 신(시몬 그루나우), 대장장이의 신(슬라브 신화의 스바로그 및 그리스 신화의 헤파이스토스와 유사), 창조의 신(관련된 리투아니아어 단어 ''kurti'' – 창조하다에서 파생됨), 추수와 곡물의 신, 악령, 불의 신 등이 있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그것이 신이 맞는지 의문을 품고 짚인형에게 주어진 이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1418년 바르미아 주교가 교황 마르티노 5세에게 보낸 각서(''Collato Episcopi Varmiensis'')에는 프로이센인들을 기독교화하려는 튜턴 기사단의 업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이 더 이상 ''파톨루''와 ''나트림페''를 숭배하지 않았다고 언급되어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것을 두 명의 다른 신으로 해석하지만, ''파톨루''는 ''나트림페''를 묘사하는 형용사(사악한, 지옥 같은)일 수도 있다. 이후의 저작들을 바탕으로, ''파톨루''는 일반적으로 저승의 분노의 신인 페콜스로, ''나트림페''는 바다 또는 곡물의 신인 포트림포로 식별된다.
그루나우는 페콜스, 포트림포, 페르쿠나스의 삼위일체 외에도 세 명의 하위 신을 언급했는데, Wurschayto 또는 Borszkayto와 Szwaybrotto는 Widewuto와 Bruteno의 의인화였고, Curcho는 음식의 신이었다(크리스트부르크 조약에서 차용).
3. 2. 《수도비안 서》와 《Constitutiones Synodales》의 신들
Constitutiones Synodaleslt은 10명의 프로이센 신을 열거하고 있으며, 그들의 고전적인 로마에 상응하는 신들을 제공한다. 이들 중 여신은 없으며, 쿠르체는 목록에서 빠져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목록은 Sudovian Booklt에도 거의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Constitutiones Synodaleslt | Sudovian Booklt | 기능 | 로마 상응 신 |
---|---|---|---|
오코피르무스(Occopirmus) | 오코피르무스(Ockopirmus) | 최고 하늘 신 | 사투르누스 |
수아익스틱스(Suaixtix) | 베커(Becker) | 빛의 신 | 솔 |
아우슈아우츠(Ausschauts) | 아우슈아우츠(Auschauts) | 병의 신 | 아스클레피오스 |
아우트림푸스(Autrympus) | 아우트림푸스(Autrimpus) | 바다의 신 | 카스토르 |
포트림푸스 | 포트림푸스(Potrimpus) | 흐르는 물의 신 | 폴룩스 |
바르도야스(Bardoyas) | 바르도야츠(Bardoayts) | 배의 신 | 넵투누스 |
페르그루브리우스(Pergrubrius) | 식물의 신 | ||
필루위티스(Piluuytus) | 필니티스(Pilnitis) | 풍요의 신 | 케레스 |
파르쿤스 | 파르쿤스(Parkuns) | 천둥의 신 | 유피테르 |
페콜스와 포콜스 | 페콜스와 포콜스(Peckols and Pockols) | 지옥의 신, 악령 | 플루토, 푸리에스 |
푸슈카이츠(Puschkayts) | 땅의 신 | ||
바르스투케와 마르코폴레(Barstucke and Markopole) | 푸슈카이츠의 하인 |
3. 3. 주요 신들에 대한 추가 정보
1249년 크리스트부르크 조약에는 추수 축제 기간 동안 숭배된 우상인 쿠르체에 대한 언급이 있다. 학자들은 그 성별, 기능 또는 어원을 확실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제안된 다양한 기능으로는 음식의 신(시몬 그루나우), 대장장이의 신(슬라브 신화의 스바로그 및 그리스 신화의 헤파이스토스와 유사), 창조의 신(관련된 리투아니아어 단어 ''kurti'' – 창조하다에서 파생됨), 추수와 곡물의 신, 악령, 불의 신 등이 있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그것이 신이 맞는지 의문을 품고 짚인형에게 주어진 이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1418년 바르미아 주교가 교황 마르티노 5세에게 보낸 각서(''Collato Episcopi Varmiensis'')는 또 다른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이다. 이 편지는 교황에게 프로이센인들을 기독교화하려는 튜턴 기사단의 업적을 상기시켰으며, 이들은 더 이상 ''파톨루''와 ''나트림페''를 숭배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것을 두 명의 다른 신으로 해석하지만, ''파톨루''는 ''나트림페''를 묘사하는 형용사(사악한, 지옥 같은)일 수도 있다. 이후의 저작들을 바탕으로, ''파톨루''는 일반적으로 저승의 분노의 신인 페콜스로, ''나트림페''는 바다 또는 곡물의 신인 포트림포로 식별된다.
그루나우는 페콜스, 포트림포, 페르쿠나스의 삼위일체 외에도 세 명의 하위 신을 언급했는데, Wurschayto 또는 Borszkayto와 Szwaybrotto는 Widewuto와 Bruteno의 의인화였고, Curcho는 음식의 신이었다(크리스트부르크 조약에서 차용). ''헌법''은 10명의 프로이센 신을 열거하고 있으며, 그들의 고전적인 로마에 상응하는 신들을 제공한다. 이들 중 여신은 없으며, 쿠르체는 목록에서 빠져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목록은 ''수도비안 서(Sudovian Book)''에도 거의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시노달 헌법(Constitutiones Synodales) | 수도비안 서(Sudovian Book) | 기능 | 로마 상응 신 |
---|---|---|---|
오코피르무스(Occopirmus) | 오코피르무스(Ockopirmus) | 최고 하늘 신 | 사투르누스 |
수아익스틱스(Suaixtix) | 베커(Becker) | 빛의 신 | 솔 |
아우슈아우츠(Ausschauts) | 아우슈아우츠(Auschauts) | 병의 신 | 아스클레피오스 |
아우트림푸스(Autrympus) | 아우트림푸스(Autrimpus) | 바다의 신 | 카스토르 |
포트림푸스 | 포트림푸스(Potrimpus) | 흐르는 물의 신 | 폴룩스 |
바르도야스(Bardoyas) | 바르도야츠(Bardoayts) | 배의 신 | 넵투누스 |
페르그루브리우스(Pergrubrius) | 식물의 신 | ||
필루위티스(Piluuytus) | 필니티스(Pilnitis) | 풍요의 신 | 케레스 |
파르쿤스 | 파르쿤스(Parkuns) | 천둥의 신 | 유피테르 |
페콜스와 포콜스 | 페콜스와 포콜스(Peckols and Pockols) | 지옥의 신, 악령 | 플루토, 푸리에스 |
푸슈카이츠(Puschkayts) | 땅의 신 | ||
바르스투케와 마르코폴레(Barstucke and Markopole) | 푸슈카이츠의 하인 |
'''수아익스틱스''' (다른 표기: ''수아익티스'', ''스웨이스트릭스'', ''슈웨이테스틱스'', ''스와익틱스'', ''스웨이그틱스'', ''슈베익스둑스'')[1]는 역사적 자료에서 "빛의 신" (''Gott des Lichts'') 또는 별의 신으로 묘사된다.[5][6] 그의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별을 뜻하는 단어와 어원이 같을 것으로 추정되며, 재구성된 형태는 ''*zvězda''이다.[7] 그는 또한 발트어에서 "별"을 뜻하는 단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리투니아어 ''žvaigždė''와 라트비아어 ''zvaigzne''.[8] 이 신의 이름은 프러시아어 어간 ''-swaigst-''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swaigst-an'' (아마도 독일어 ''Schein'', "빛"과 관련됨)과 동사 ''er-schwaigstinai'' ( "[그것은] 비춘다.")에 나타난다.[7]
한편, 빛의 신이라는 해석과 일치하게 로만 자로프는 다른 발트어의 민족지학적, 민속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수아익스틱스''가 태양신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0]
참조
[1]
간행물
Das “gemischte” slawisch-baltische Pantheon von Christian Knauthe
http://resbalticae.f[...]
1995
[2]
간행물
Osteuropäische Götternamen. Ein Beitrag Zur Vergleichenden Mythologie
http://www.jstor.org[...]
2021-06-25
[3]
서적
Lietuvių mitologija
Mintis
[4]
간행물
The Ancient Religion of the Balts
1962
[5]
서적
Encyklopedie baltské mytologie
Libri
[6]
간행물
Das “gemischte” slawisch-baltische Pantheon von Christian Knauthe
http://resbalticae.f[...]
1995
[7]
간행물
The Baltic god of light and the Balto-Slavic word for star
http://resbalticae.f[...]
1996
[8]
서적
Encyklopedie baltské mytologie
Libri
[9]
간행물
Das “gemischte” slawisch-baltische Pantheon von Christian Knauthe
http://resbalticae.f[...]
1995
[10]
간행물
Some aspects of pre-Christian Baltic religion
https://www.academia[...]
Lingva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