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 부는 소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리 부는 소년은 에두아르 마네가 1866년에 제작한 그림이다. 마네는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스페인 군대의 피리 연주자를 모델로 삼아 제작했으며, 배경을 단순화하여 인물을 부각하는 자신만의 화풍을 선보였다. 이 작품은 살롱 드 파리에 낙선하고 대중의 조롱을 받기도 했으나, 이후 여러 소장가를 거쳐 프랑스 정부 소유가 되었고, 현재는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에서 전시되기도 했다. 그림 속 소년은 나폴레옹 3세 친위대 소속 군악대 연주병으로, 마네는 이 소년을 모델로 하여 그림을 그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6년 프랑스 - 병인양요
병인양요는 1866년 프랑스가 조선의 천주교 박해를 명분으로 개항과 이권 획득을 시도하며 강화도를 침략했으나, 조선군의 저항에 부딪혀 실패하고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한 채 철수하여 쇄국정책을 강화하고 외세와의 갈등을 심화시킨 사건이다. - 1866년 프랑스 - 세상의 기원 (회화)
《세상의 기원》은 귀스타브 쿠르베가 1866년에 그린 여성의 나체를 극사실적으로 묘사한 회화 작품으로,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노골적인 묘사로 인해 검열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 에두아르 마네 그림 - 풀밭 위의 점심 식사
에두아르 마네의 유화 풀밭 위의 점심 식사는 옷을 입은 남성들과 나체의 여성이 숲 속에서 식사하는 장면을 묘사하여 발표 당시 논란을 일으켰으며, 아카데미 미술의 전통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고 후대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에두아르 마네 그림 - 올랭피아 (마네)
에두아르 마네의 유화 올랭피아는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적인 매춘부의 모습을 묘사, 전통적인 회화의 관습에 도전하며 외설 논란을 일으킨 현대 미술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현재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1866년 회화 작품 - 정원의 여인들
클로드 모네가 1866년에 완성한 《정원의 여인들》은 그의 연인 카미유 동시외를 모델로 임대한 정원을 배경으로 빛과 분위기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유화 작품으로, 파리 살롱 출품 당시 거절되었으나 프레데리크 바지유가 구매하여 현재는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1866년 회화 작품 - 카미유 (모네)
클로드 모네가 그의 아내 카미유 동시외를 그린 그림으로, 빛이 들어오는 창가에 앉아 녹색과 검은색 줄무늬 드레스와 깃털 장식 카포티를 착용한 카미유를 묘사하며 자연광이 그녀를 중심으로 퍼져 나가 얼굴과 의상을 밝게 비추는 작품이다.
| 피리 부는 소년 | |
|---|---|
| 작품 정보 | |
![]() | |
| 제목 | 피리 부는 소년 |
| 원어 제목 | 르 주에르 드 피프르 (Le Joueur de fifre) |
| 화가 | 에두아르 마네 |
| 제작 연도 | 1866년 |
| 종류 | 유화 |
| 크기 | 가로 97cm, 세로 160cm |
| 소장 | 오르세 미술관 |
| 위치 | 파리 |
2. 역사
1865년 스페인 여행 중, 에두아르 마네는 프라도 미술관에서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작품을 접하고 큰 영감을 받았다.[11][1] 1866년 파리로 돌아온 마네는 스페인 군대의 무명 피리 연주자를 모델로 하여 이 작품을 제작했다.[11][1] 마네는 벨라스케스의 궁정 초상화 형식을 차용하면서도, 배경을 단순화하여 인물을 더욱 부각시키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였다. 특히 무채색의 뒷배경을 알아볼 듯 말 듯한 정도로 뭉개놓아, 인물의 크기, 나아가 무게감까지도 가늠하려는 시선을 방해하고 있다.[11]
1866년, 에두아르 마네는 《피리 부는 소년》을 살롱 드 파리에 출품하였으나 낙선하였다.[11][1] 마네의 작품을 지지해 왔던 에밀 졸라는 심사단의 결정에 격분하여, 신문 《레베느망》(L'Évenement)에 마네의 사실주의적 양식과 현대적인 주제 의식을 칭찬하는 연속 기사를 투고하였다.[11][1]
1867년 5월, 마네는 귀스타브 쿠르베의 전례를 따라 사비를 들여 만국박람회 전시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하고 《피리 부는 소년》을 전시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특이한 필치와 공간 설정이 헤아리기 어렵다는 이유로 대중 언론의 조롱을 받았다.[11][1]
《피리 부는 소년》은 1872년 미술상 뒤랑뤼엘이 구매하였고, 1873년에는 마네의 친구이자 작곡가 장바티스트 포레에게 넘어갔다가 1893년 다시 뒤랑뤼엘에게 팔렸다.[11][1] 1884년 마네가 사망한 후 열린 대규모 회고전에 출품되기도 하였다. 그 후 여러 소장가를 거쳐 수집가 이사크 드 카몽도의 소유가 되었는데, 1911년 세금 납부 형식으로 프랑스 정부에 접수되어 국가 소유가 되었다.[11][1]
1914년부터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전시되던 이 작품은 1947년 죄드폼 미술관으로 옮겨졌으며,[11][1] 1983년 마네 사망 100주년을 기념해 그랑 팔레에서 열린 대규모 회고전에 전시되었다. 1986년에는 국립 근대미술 박물관으로 신설된 오르세 미술관으로 넘어가 현재까지 소장되어 있다.[11][1]
이 작품은 오르세 미술관 순회 전시에 참여하기도 하는데, 2007년에는 예술의전당 오르세 미술관 전을 통해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11] 2017년과 2018년에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루브르 아부다비에 대여 전시되기도 하였다.[11][12][1]
2. 1. 제작 배경
1865년 스페인 여행 중, 에두아르 마네는 프라도 미술관에서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작품을 접하고 큰 영감을 받았다.[11][1] 1866년 파리로 돌아온 마네는 스페인 군대의 무명 피리 연주자를 모델로 하여 이 작품을 제작했다.[11][1] 마네는 벨라스케스의 궁정 초상화 형식을 차용하면서도, 배경을 단순화하여 인물을 더욱 부각시키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였다. 특히 무채색의 뒷배경을 알아볼 듯 말 듯한 정도로 뭉개놓아, 인물의 크기, 나아가 무게감까지도 가늠하려는 시선을 방해하고 있다.[11]2. 2. 살롱 낙선과 졸라의 옹호
1866년, 에두아르 마네는 《피리 부는 소년》을 살롱 드 파리에 출품하였으나 낙선하였다.[11][1] 마네의 작품을 지지해 왔던 에밀 졸라는 심사단의 결정에 격분하여, 신문 《레베느망》(L'Évenement)에 마네의 사실주의적 양식과 현대적인 주제 의식을 칭찬하는 연속 기사를 투고하였다.[11][1]2. 3. 개인전 개최와 대중의 반응
1866년, 에두아르 마네는 《피리 부는 소년》을 살롱 드 파리에 출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에밀 졸라는 심사단의 결정에 격분하여, 신문 《레베느망》(L'Évenement) 지에 마네의 사실주의적 양식과 모던한 내용물에 찬사를 보내는 기사를 기고하였다.[11][1] 1867년 5월, 마네는 귀스타브 쿠르베의 전례를 따라 사비를 들여 만국박람회 전시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하고 《피리 부는 소년》을 전시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특이한 필치와 공간 설정이 헤아리기 어렵다는 이유로 대중 언론의 조롱을 받았다.[11][1]2. 4. 소장 이력
《피리 부는 소년》은 1872년 미술상 뒤랑뤼엘이 구매하였고, 1873년에는 마네의 친구이자 작곡가 장바티스트 포레에게 넘어갔다가 1893년 다시 뒤랑뤼엘에게 팔렸다.[11][1] 1884년 마네가 사망한 후 열린 대규모 회고전에 출품되기도 하였다. 그 후 여러 소장가를 거쳐 수집가 이사크 드 카몽도의 소유가 되었는데, 1911년 세금 납부 형식으로 프랑스 정부에 접수되어 국가 소유가 되었다.[11][1]1914년부터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전시되던 이 작품은 1947년 죄드폼 미술관으로 옮겨졌으며,[11][1] 1983년 마네 사망 100주년을 기념해 그랑 팔레에서 열린 대규모 회고전에 전시되었다. 1986년에는 국립 근대미술 박물관으로 신설된 오르세 미술관으로 넘어가 현재까지 소장되어 있다.[11][1]
이 작품은 오르세 미술관 순회 전시에 참여하기도 하는데, 2007년에는 예술의전당 오르세 미술관 전을 통해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11] 2017년과 2018년에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루브르 아부다비에 대여 전시되기도 하였다.[11][12][1]
3. 분석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작품과 같이 마네는 이 그림에서 수직 수평면이 거의 흐릿하게 처리된, 얕은 깊이감을 보여주었다.[13][2] 페터 H. 파이스트에 따르면, 마네는 "선명한 윤곽과 배경 표면 앞에 배치된 커다란 단일 인물의 장식적인 효과"를 《피리 부는 소년》에서 보여주었다.[14][3] 회색 바탕을 뒤로 한 가운데, 한정된 팔레트색으로 칠해진 두터운 임파스토가 날카로운 검정색 겉옷과 신발, 붉은색 바지, 흰색 끈과 스패츠를 만들어내며 인물을 진하게 강조한다. 그 결과 그림 속 인물은 "단단하고 매끈하며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서 있게 된다.[15][13][4][2]
마네의 작품은 무명의 인물을 대상으로 그린 것인데, 이 역시 벨라스케스의 작품을 닮았다. 그림 속의 소년은 나폴레옹 3세 황제 친위대 소속 군악대의 10대 연주병으로, 마네가 르존 중령에게 부탁해 데려온 인물이다.[16] 소년은 "스페인의 귀족을 모시듯 했다"고 전해진다.[13][2] 다만 소년만 묘사한 게 아니라 다른 모델도 참고했다는 설도 있는데, 소년의 얼굴과 형체에서 마네의 아들 레옹 리노프와 전문 모델 빅토린 뫼랑과 닮았다고 한다.[17][6]
3. 1. 벨라스케스의 영향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작품과 같이 마네는 이 그림에서 수직 수평면이 거의 흐릿하게 처리된, 얕은 깊이감을 보여주었다.[13][2] 페터 H. 파이스트에 따르면, 마네는 "선명한 윤곽과 배경 표면 앞에 배치된 커다란 단일 인물의 장식적인 효과"를 《피리 부는 소년》에서 보여주었다.[14][3] 회색 바탕을 뒤로 한 가운데, 한정된 팔레트색으로 칠해진 두터운 임파스토가 날카로운 검정색 겉옷과 신발, 붉은색 바지, 흰색 끈과 스패츠를 만들어내며 인물을 진하게 강조한다.[15] 그 결과 그림 속 인물은 "단단하고 매끈하며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서 있게 된다.[15][13][4][2]마네의 작품은 무명의 인물을 대상으로 그린 것인데, 이 역시 벨라스케스의 작품을 닮았다. 그림 속의 소년은 나폴레옹 3세 황제 친위대 소속 군악대의 10대 연주병으로, 마네가 르존 중령에게 부탁해 데려온 인물이다.[16] 소년은 "스페인의 귀족을 모시듯 했다"고 전해진다.[13][2] 다만 소년만 묘사한 게 아니라 다른 모델도 참고했다는 설도 있는데, 소년의 얼굴과 형체에서 마네의 아들 레옹 리노프와 전문 모델 빅토린 뫼랑과 닮았다고 한다.[17][6]
3. 2. 모델
그림 속 소년은 나폴레옹 3세 황제 친위대 소속 군악대의 10대 연주병으로, 마네가 르존 중령에게 부탁해 섭외한 모델이다.[16] 마네는 소년을 "스페인의 귀족을 모시듯 했다"고 전한다.[13][2] 일각에서는 마네의 아들 레옹 리노프와 모델 빅토린 뫼랑의 모습도 소년에게서 엿보인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17][6]4. 대중문화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Hogan's Heroes''의 에피소드 "Hogan's Sake를 위한 예술"에서 이 그림은 나치 장군에 의해 루브르 박물관에서 도난당하고, 연합군 포로들이 프랑스 지하 조직과 협력하여 되찾는 소재로 사용되었다.[7]
참조
[1]
뉴스
Louvre Abu Dhabi, a Cultural Cornerstone Where East Meets West
https://www.nytimes.[...]
2017-11-07
[2]
웹사이트
El pífano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0-01-03
[3]
서적
El impresionismo
Taschen
[4]
서적
Historia del arte: El realismo. El impresionismo
Salvat / El País
[5]
서적
Historia del arte: El realismo. El impresionismo
Salvat / El País
[6]
서적
"Manet's Le Déjeuner sur l'hérb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문서
An assertive Gen. Burkhalter "requisitions" the famous Édouard Manet painting, "The Fife Player," from the Louvre museum in Paris to give to Hermann Goering as a birthday present. Undaunted by seemingly impossible logistics, Hogan and LeBeau decide to steal it back.
[8]
간행물
『芸術新潮』2018年6月号、新潮社、 16頁。
[9]
문서
有地京子『オルセーはやまわり』(中央公論新社)によれば、マネは弟のピアノ教師だったシュザンヌ・リーンホフと恋に落ち、1852年にレオンが生まれている。ブルジョワで厳格な父オーギュストは生涯2人の結婚を許さなかったが、死後の1863年に結婚。しかし、レオンを認知しておらず、父オーギュストの子ではないかという説もある。
[10]
웹사이트
ららら♪クラシック(NHK Eテレ)
https://www.nhk.or.j[...]
[11]
웹사이트
https://www.donga.co[...]
[12]
뉴스
Louvre Abu Dhabi, a Cultural Cornerstone Where East Meets West
https://www.nytimes.[...]
2017-11-07
[13]
웹인용
El pífano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0-01-03
[14]
서적인용
El impresionismo
Taschen
[15]
서적인용
Historia del arte: El realismo. El impresionismo
Salvat / El País
[16]
서적인용
Historia del arte: El realismo. El impresionismo
Salvat / El País
[17]
서적
"Manet's Le Déjeuner sur l'hérb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