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피스아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피스아이는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하는 공중 조기 경보 통제기인 보잉 737 AEW&C의 별칭이다. 대한민국은 E-X 사업을 통해 보잉 737 AEW&C 4대를 도입했으며, 2010년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를 창설하여 운용을 시작했다. 피스아이는 북한의 순항미사일 탐지에 실패한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 성능 개량 및 추가 구매를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2. 역사

대한민국E-X 사업에서 이스라엘의 엘타 G-550(IAI EL/W-2085) 기종을 제치고 보잉 737 AEW&C가 최종 선정되었다.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된 명칭은 '피스 아이'로, "한반도의 평화를 수호하는 감시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2. 1. 도입 배경

대한민국은 2006년 11월 7일 보잉사와 계약하여 2012년까지 보잉 737 AEW&C 기종 4대를 16억 달러에 인도받기로 했다.[1] 이 계약에는 국내 업체 참여(30% 이상), 후속 군수 지원 및 핵심 기술 획득(21% 이상)을 대한민국에 제공하는 절충 교역 조건이 포함되었다.[3] 보잉은 최초에 4대 가격으로 24억 달러를 제시했다.

2. 2. 도입 과정

2006년 11월 7일, 대한민국은 보잉 사와 계약하여 총 4대의 보잉 737 AEW&C를 16억달러2012년까지 인도받기로 했다.[3] 대한민국 공군은 입찰 과정에서 작전운용성능(ROC·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2]을 포함한 1천여 가지의 요구 조건을 제시했으며, 절충교역으로 국내 업체 참여(30% 이상), 후속 군수지원 및 핵심 기술 획득(21% 이상)을 대한민국에 제공하는 조건을 포함했다.[3] 보잉은 최초에 4대 가격으로 24억달러를 제시했다.

2. 3. 도입 이후

대한민국 공군2010년 10월 피스아이 체계를 운용할 부대로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를 창설하고, 2011년 9월 21일 김해국제공항에서 피스아이 1호기를 인수했다.[1] 2013년 기준으로, 공군은 피스아이를 총 4대 운용하고 있다.

3. 장비

E-737 피스아이는 노스롭그루먼의 다기능 전자주사식 위상배열(MESA) 레이더를 탑재하여 360도 전방위 감시가 가능하다.[4] 대한민국 공군은 공중급유 기능을 추가하여 작전 반경과 체공 시간을 늘렸다.[4] 주변국인 중국, 러시아 등에 비해 E-737 조기경보기 4대는 적은 전력이므로, 2~3대 추가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

3. 1. 기체

보잉 737-700 항공기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안테나를 장착한 형태이다. 12.5km 상공에서 8시간 동안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요격관제 등 임무를 수행하는 콘솔은 10개이다. 2004년 대한민국 공군은 레이다가 한번 빔을 쏘아 370km 밖에서 비행하는 표적을 잡아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고, 보잉 737 AEW&C는 한 번에 최대 481km까지 탐지했다.[4] MESA 특성상 30도 각도로 좁힌 집중 탐지 시 최대 740km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잉은 보잉 737 AEW&C를 장기적으로 지상 표적에 대한 공격을 지휘하는 항공기인 JSTARS과 통신감청 항공기인 RC-135의 기능까지 통합한다는 발전 가능성도 제시했다. 대한민국은 당초 ROC에 없었던 공중급유기능을 추가했다.

3. 2. 레이더

E-737 피스아이는 노스롭그루먼의 다기능 전자주사식 위상배열(MESA)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MESA 레이더는 360도 전방위 감시가 가능하다.[4] 2004년 대한민국 공군은 레이더가 한 번 빔을 쏘아 370km 밖에서 비행하는 표적을 잡아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고, E-737은 한 번에 최대 481km까지 탐지했다.[4] MESA 특성상 30도 각도로 좁힌 집중 탐지 시 최대 740km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잉은 E-737을 장기적으로 지상 표적에 대한 공격을 지휘하는 항공기인 JSTARS와 통신감청 항공기인 RC-135의 기능까지 통합한다는 발전 가능성도 제시했다.

3. 3. 기타 장비

대한민국 공군은 피스아이에 공중급유 기능을 추가하여 작전 반경과 체공 시간을 늘렸다.[4] 대한민국 공군은 조기경보기 2~3대를 추가 구매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4. 운용 현황

대한민국 공군피스아이 조기경보기 4대를 운용하고 있다.[4] E-737 기종을 항공통제기로 운영하는 국가는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튀르키예 등 3개국이다.[4]

4. 1.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은 피스아이 조기경보기 4대를 운용하고 있다.[4] 2004년 대한민국 공군은 레이다가 한 번 빔을 쏘아 370km 밖에서 비행하는 표적을 잡아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고, 피스아이는 한 번에 최대 481km까지 탐지했다.[4] MESA 특성상 30도 각도로 좁힌 집중 탐지 시 최대 740km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공군은 ROC에 없었던 공중급유 기능을 추가했다.

4. 2. 해외 운용 현황

E-737 기종을 항공통제기로 운영하는 국가는 대한민국 , 오스트레일리아, 튀르키예 등 3개국이다.[4]

5. 정비 및 성능 개량

2015년 9월, 미국은 2020년부터 피아식별 장치를 교체하겠다고 한국군에 통보했다. 교체 대상은 피스아이뿐만 아니라 F-16, F-15K 전투기 등 공중 전력 540여 대, 대공포 등 방공 전력 1600여 대, 함정 등 해상 전력 270여 대 등 한국군 전체 전력의 25%에 달했다. 교체 비용은 최소 1조에서 최대 10조가 거론되었다.

2020년 10월, 방추위는 E-737 피아식별장비(IFF) 및 링크-16 성능개량 사업을 미 보잉을 통해 2025년까지 추진하기로 했다. 보잉이 원제작사였기 때문에 다른 업체는 참여가 어려웠다. 방사청 소식통에 따르면, 2020년 말 이후 보잉이 예상보다 비싼 비용을 요구하여 방사청 고위 관계자들이 격앙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2021년, 공군은 E-737 조기경보기 성능개량(2023~2030년)을 추진하는데, 피아식별장비(IFF) 및 Link-16 데이터 링크 성능개량 등이 핵심 내용이라고 한다.

2021년 8월 현재, 공군은 보통 피스아이 4대 중 2대를 정비하고 2대만 운용한다. 그런데 2020년 부품 단종 등으로 가동률이 62%로 떨어졌다. 피스아이 윗부분에 달린 길이 4m가량의 메사(MESA)라는 안테나 성능이 크게 저하돼 4대 중 1대의 안테나가 교체 시점에 도달했다. 나머지 3대는 안테나 칩만 교체하면 성능이 보장된다고 한다.

5. 1. 정비 문제

2017년,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 중인 미국 보잉사의 E-737 ‘피스아이’ 항공통제기 2호기가 239일 동안 정비를 받아, 1년 동안 운용한 기간이 100일도 채 되지 않았다.[1]

5. 2. 성능 개량

2015년, 미국은 2020년부터 피아식별 장치를 교체하겠다고 한국군에 통보했다.[1] 2020년, 대한민국 방추위는 E-737 피아식별장비(IFF) 및 링크-16 성능개량 사업을 2025년까지 49억을 들여 추진하기로 결정했다.[2] 2021년, E-737 조기경보기 성능개량(2023~2030년) 비용이 도입 비용과 유사한 1.5조가량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4]

6. 추가 구매 논란

조기경보기 2차 사업은 미 보잉사의 E-737 개량형, 스웨덴 사브사의 글로벌 아이, 이스라엘 IAI사의 EL/W-2085 CAEW 등이 경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E-737 기종을 항공통제기로 운영하는 국가는 한국, 호주, 터키이다. 미국은 최첨단 무기 가격을 책정할 때 다른 동맹국들에도 거의 비슷하게 높은 가격을 요구하는 관행이 있으며, 뚜렷한 대안이 없어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가격 횡포를 부리고 있다. 최첨단 무기는 주기적으로 성능을 개량해야 하는데, 신제품이 나왔다면서 신제품 구매를 유도하고, 성능 개량 비용과 신제품 구입 비용을 비슷하게 만드는 식의 마케팅을 하고 있다.

6. 1. 추가 구매 계획

대한민국은 2022년 7월, 당초 ‘항공통제기 2차 사업추진기본전략’을 통해 2027년까지 항공통제기 2대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4대를 추가 도입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변경했다.[1]

6. 2. 경쟁 기종

대한민국 공군의 조기경보기 2차 사업은 미 보잉사의 E-737 개량형, 스웨덴 사브사의 글로벌 아이, 이스라엘 IAI사의 EL/W-2085 CAEW 등이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E-737 개량형은 3세대로, 공군의 기존 2세대 E-737에 비해 여러 부문에서 성능이 향상된다.

사브와 IAI의 조기경보기는 애초에 공군의 작전요구성능(ROC) 중 360도 탐지 기능을 충족하지 못했다. 그래서 보잉사가 선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보잉사가 높은 가격과 정비 독점 등의 횡포를 부리고 있어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사브는 ROC 수정을 요구했고, 이에 따라 국산 개발도 논의 중이다.

원래 2차 사업도 보잉사로 선정하려 했으나, 보잉사가 정비나 성능개량에서 과도한 요구를 하여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실질적인 공개경쟁입찰로 바꾸는 기류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사브사와 IAI는 전 세계에서 보잉사만 충족하는 공군의 높은 ROC 성능요구조건을 대폭 낮춰야만 경쟁이 가능하다.

6. 3. 논란

사브사와 IAI사의 조기경보기는 애초에 공군의 ROC 중 360도 탐지 기능을 충족하지 못했다.[1] 그래서 보잉사가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데, 보잉사가 너무 비싼 가격에, 정비 독점 등의 횡포를 부리고 있어서,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1] 사브는 ROC 수정을 요구했으며,[1] 국산 개발도 논의 중이다.[1]

당초 2차 사업도 보잉사로 선정하려 했으나, 보잉사의 정비 및 성능 개량 횡포가 심해 한국 국방부가 분노했다.[1] 이에 따라 실질적인 공개경쟁입찰로 전환하려는 기류가 있지만, 사브사와 IAI는 전 세계에서 보잉사만이 유일하게 충족하는 공군의 높은 ROC 성능 요구 조건을 대폭 낮춰야만 경쟁이 가능한 상황이다.[1]

미국의 최첨단 무기 가격 횡포는 한국뿐 아니라 다른 동맹국에도 거의 비슷하게 적용되는 관행이다.[1] 뚜렷한 대안이 없어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서 가격 횡포가 발생하며, 최첨단 무기는 주기적인 성능 개량이 필요한데, 신제품이 나왔다며 신제품 구매를 유도하고, 성능 개량 비용과 신제품 구입 비용이 비슷하게 만드는 식의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1]

7. 북한 순항미사일 탐지 실패 논란

2023년 2월 23일, 북한은 화살-2형 순항미사일 4발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다.[1] 노동신문은 순항미사일이 동해에 설정된 2000km 거리의 타원형·8자형 비행 궤도를 따라 약 2시간가량 비행해 표적을 명중 타격했다고 보도했다.[1]

당시 피스아이가 가동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순항미사일이 2시간 넘게 비행하는 동안 전혀 포착하지 못했다.[1] 이 때문에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발표가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일각에서는 피스아이의 탐지 능력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1]

참조

[1] 뉴스 피스아이 공군 실전배치, 한반도 상황 손바닥보듯 훤히 꿰뚫어본다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1-09-22
[2] 간행물 방산칼럼-ROC<작전운용성능>로 수출 경쟁력 높인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1-09-23
[3] 뉴스 조기경보기 사업 미국 보잉·이스라엘 엘타사 2파전 압축 세계일보 2005-10-27
[4] 뉴스 2조 공중조기경보기 구매사업 3파전 양상 세계일보 2005-10-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