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오페이아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시오페이아자리는 고대부터 알려진 별자리로, W자 모양의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속한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오만함 때문에 하늘에서 영원히 돌게 된 왕비 카시오페이아의 이야기와 연관된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북반구 중위도 이상에서 밤하늘에서 항상 볼 수 있으며, 북극성을 찾는 데 활용된다. 주요 별로는 셰다르, 카프, 루크바, 세긴 등이 있으며, M52, M103과 같은 산개성단과 거품 성운, 심장 성운, 영혼 성운 등 다양한 성운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초신성 잔해인 카시오페이아 A와 티코의 초신성 잔해가 위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목동자리
목동자리는 큰곰자리를 향한 사람의 모습을 한 별자리로, 아르크투루스를 포함하며, 신화 속 쟁기를 발명하거나 곰을 지키는 인물로 묘사되며, 다중성, 변광성, 외계 행성계, 유성우 복사점, 구상 성단, 은하 등을 포함한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카시오페이아자리 | |
---|---|
기본 정보 | |
![]() | |
약자 | Cas |
제니티브 | Cassiopeiae |
발음 | Cássiopéia, esp. for the constellation also }} Cássiópeia; genitive }} |
기호 | 앉아있는 여왕 |
일본어 이름 | 카시오페야자 (カシオペヤ座) |
로마자 표기 | Kasiopêya-za |
위치 (적경) | – |
위치 (적위) | – |
남중 시각 | 20시 |
남중 날짜 | 12월 상순 |
사분면 | NQ1 |
영역 | 598 |
영역 순위 | 25위 |
주요 별 개수 | 5 |
Bayer/Flamsteed 별 개수 | 53 |
행성 보유 별 개수 | 14 |
밝은 별 개수 | 4 |
가까운 별 이름 | η Cas (아치르드)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광년) | 19.42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 | 5.95 |
가장 밝은 별 이름 | α Cas (스케다르) |
가장 밝은 별 밝기 | 2.24 |
메시에 천체 개수 | 2 |
유성우 |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
인접 별자리 | 기린자리 케페우스자리 도마뱀자리 안드로메다자리 페르세우스자리 |
소속 | |
별자리 그룹 | 페르세우스자리 가족 |
관측 조건 | |
최대 위도 | 90 |
최소 위도 | 20 |
최적 관측 시기 | 11월 |
음성 정보 | |
기타 | |
학술 용어집 | 1994 |
참고 | |
지도 정보 |
2. 역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고대부터 알려진 별자리 중 하나이다.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천문학자 에우독소스의 기록에도 등장하며,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이자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포함된다.[41] 아라토스는 이 별자리의 특징적인 형태를 "열쇠"에 비유하기도 했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88개 별자리를 확정할 때 그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Cassiopeia", 약칭은 "Cas"로 정해졌다.
서양에서는 약 5000년 전 바빌로니아 지역 유목민들이 밤하늘의 별들을 서로 이어 여러 가지 동물의 이름을 붙인 것이 별자리의 시초로 여겨진다. 그 후 그리스로 전해져 별자리 이름에 그리스 신화 속 인물, 동물, 도구 등의 이름이 붙여졌다.
2. 1. 명칭과 어원
라틴어 학명 'Cassiopeia'에 해당하는 별자리 이름은 일본에서 '''카시오페이아'''로 정해졌다.[1] 현대 중국에서는 '''선후좌'''(仙后座)라고 불린다.[2]1874년(메이지 7년), 문부성에서 간행한 천문서 『성학첩경』에는 「'''카시오페이아'''」라는 표기와 함께 「'''의자에 앉은 여왕'''」이라는 설명이 있었다. 1879년(메이지 12년)에 번역, 간행된 노먼 로키어의 『낙씨천문학』에서는 상권에 「'''카시오페이아'''」, 하권에 「'''가시아숙'''(카시오페이아)」으로 소개되었다. 1908년(메이지 41년) 일본천문학회 회보 『천문월보』 창간호에는 「'''카시오페이아'''」라는 표기가 사용되었고, 1925년(다이쇼 14년) 초판 간행된 『이과연표』에도 「'''카시오페이아'''」로 계승되었다. 1944년(쇼와 19년) 천문학 용어 재검토 때도 「'''카시오페이아'''」가 유지되었다.
동아천문학회의 야마모토 카즈키요 등은 다른 읽기를 사용했다. 1928년(쇼와 3년) 간행된 『천문연감』 제1호에서는 'Cassiopeia'에 대해 「'''카시오페아'''」라는 읽기를 사용했지만, 1929년(쇼와 4년) 제2호에서는 「'''카시오페이아'''」로 수정되었고, 이후에도 이 표기가 계속 사용되었다. 야마모토는 1934년 『천계』 4월호 기사에서, 'Cassiopeia'는 프랑스어로는 'Cassiopée'이므로 이전에는 「카시오페」라고 썼지만, 여성 명사로서 「카시오페이아」가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여 고쳤다고 설명했다.
1952년(쇼와 27년) 7월, 일본천문학회는 별자리 이름을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하기로 결정하면서, Cassiopeia의 일본어 이름을 「'''카시오페이아'''」로 변경했다. 이후 「카시오페이아」라는 표기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3]
현재 학술 용어로서의 별자리 이름은 '''카시오페이아''' 또는 '''카시오페이아''' 표기가 사용되며, '''카시오페이아'''로 통일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국어사전에서는 '''카시오페아자리'''를 표제어로 싣기도 한다.
2. 2. 다양한 문화권에서의 인식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에티오피아의 여왕 카시오페이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카시오페이아는 케페우스[1] 왕의 왕비이자 안드로메다 공주의 어머니였다. 그녀는 자신의 딸 안드로메다가 네레이스들보다 아름답다고 자랑하여 포세이돈의 분노를 샀다.[2]
17세기에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들에 바세바, 드보라, 마리아 막달레나 등 다양한 성경 인물들이 묘사되었다.[3] 하와이에서는 알파, 베타, 감마 카시오페이아의 이름을 각각 ''Poloahilani'', ''Polula'', ''Mulehu''라고 불렀다. 푸카푸카 사람들은 카시오페이아를 ''Na Taki-tolu-a-Mataliki''라는 별개의 별자리로 보았다.[7]
2. 2. 1.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카시오페이아는 아이티오피아의 왕비이자 안드로메다 공주의 어머니였다. 자랑하기를 좋아했던 왕비는 딸 안드로메다가 바다 요정보다 아름답다고 자랑하여 포세이돈의 분노를 샀고, 이로 인해 이티오피아에 큰 재앙이 일어났다.[2] 신탁에 따라 안드로메다는 괴물 고래에게 산 제물로 바쳐져 해안에 사슬로 묶였다. 페르세우스가 메두사를 물리치고 페가수스를 타고 가던 중, 안드로메다를 구출했다.[3][4]카시오페이아는 하늘에 올라가 별자리가 되었지만, 포세이돈은 그녀가 바다에 내려와 쉬는 것을 허락하지 않아 항상 하늘 위에서 계속 돌고 있다고 한다.[2]
북극성 주변의 세페우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페르세우스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페가수스자리, 고래자리 등은 모두 그리스 신화 속에서 서로 연관되어 있다.
2. 2. 2. 다른 문화권
페르시아에서는 알 수피가 카시오페이아를 오른손에 초승달을 든 여왕이자 왕관을 쓰고 혹부리 낙타를 탄 모습으로 그렸다.[3] 중국 천문학에서는 카시오페이아를 구성하는 별들이 자미원(紫微垣), 현무(北方玄武), 백호(西方白虎)의 세 영역에 걸쳐 있었다. 중국 천문학자들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여러 형상을 보았는데, 카시오페이아 каппа(카파), 에타, 뮤는 왕의 다리라는 별자리를 형성했고, 알파와 베타 별과 함께 보면 큰 전차 ''Wang-Liang''을 형성했다. 마부의 채찍은 카시오페이아 감마로 나타내었는데, 때때로 "Tsih"라고 불렸으며, 이는 중국어로 "채찍"을 의미한다.[3]힌두교 신화에서 카시오페이아는 샤르미슈타라는 인물과 연관되어 있다. 샤르미슈타는 악마 왕 브리슈파르바의 딸이자 데바야니(안드로메다)의 친구였다.
웨일스 신화에서 ''Llys Dôn''(직역하면 "돈의 궁정")은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전통적인 웨일스어 이름이다. 돈의 아이들 중 적어도 세 명은 천문학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카에르 휘디온("휘디온의 요새")은 은하수의 전통적인 웨일스어 이름이며, 카에르 아리안로드("아리안로드의 요새")는 북쪽왕관자리이다.[5]
일부 아랍 아틀라스에서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들에 "색칠된 손"이라는 인물이 나타났다. 이는 쪽으로 붉게 염색된 여자의 손이나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피 묻은 손으로 여겨진다. 이 손은 알파 카시오페이아, 베타 카시오페이아, 감마 카시오페이아, 델타 카시오페이아, 엡실론 카시오페이아, 에타 카시오페이아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은 알파 페르세우스, 감마 페르세우스, 델타 페르세우스, 엡실론 페르세우스, 에타 페르세우스, 누 페르세우스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3]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들을 포함한 또 다른 아랍 별자리는 낙타였다. 낙타의 머리는 람다, 캅파, 아이오타, 파이 안드로메다로 구성되고, 혹은 베타 카시오페이아, 몸통은 나머지 카시오페이아, 다리는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별들로 구성되었다.[3]
다른 문화권에서는 손이나 엘크의 뿔을 형상으로 본다.[6] 여기에는 카시오페이아의 W자 형태가 엘크의 뿔을 형성하는 사미족이 포함된다. 시베리아의 추크치족은 주요 다섯 개의 별을 다섯 마리의 순록 수사슴으로 보았다.[3] 마셜 제도의 사람들은 카시오페이아를 거대한 돌고래 별자리의 일부로 보았다. 카시오페이아의 주요 별들은 꼬리를, 안드로메다와 삼각형자리는 몸통을, 양자리는 머리를 형성한다.[3]
3. 특징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북반구 중위도 이상에서는 대부분 밤하늘에 항상 떠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 북극성을 찾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아라비아에서는 이 별자리를 '사막에 웅크리고 앉아있는 낙타'라고 불렀는데, 저녁 무렵 이 별자리가 'M' 모양이 되어 웅크린 낙타처럼 보이기 때문이었다.
은하수 중간에 위치한 카시오페이아자리에는 성운과 성단이 많이 존재한다. 메시에 천체로는 서쪽 끝에 있는 M52와 δ별인 루크바(Ruchbar)의 북동쪽에 보이는 M103이 있으며, 모두 산개성단이다.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유명한 산개성단은 NGC457, NGC663, 메시에 52, 메시에 103, NGC 129, NGC 225, NGC 7789 등이 있다. 성운으로는 거품 성운이라 불리는 NGC 7635가 가장 유명하고, 그 밖에 하트 성운, 영혼 성운, 팩맨 성운 등이 있다.
은하수 위에 있는 별자리답지 않게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은하가 존재하는데, 바로 IC10 은하이다. 국부 은하군에 불확실하게 속하는 이 은하는 겉보기 등급이 10.4등급이며, 거리는 약 250만 광년이다.
카시오페이아자리에는 카시오페이아 A라는 초신성(SN 1572)가 있었다.
598.4제곱도를 차지하며 하늘의 1.451%를 차지하는 카시오페이아자리는 면적에 있어 88개의 별자리 중 25번째로 크다.[8] 북쪽과 서쪽에는 케페우스자리, 남쪽과 서쪽에는 안드로메다자리, 남동쪽에는 페르세우스자리, 동쪽에는 기린자리가 있으며, 서쪽에는 작게 도마뱀자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한 이 별자리의 세 글자 약어는 "Cas"이다.[9] 1930년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델포르트가 설정한 공식적인 별자리 경계는 30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정의된다. 적도 좌표계에서 이 경계의 적경 좌표는 과 사이에 있으며, 적위 좌표는 77.69°와 46.68° 사이에 있다.[11] 북쪽 천구에 위치하고 있어 남위 12°보다 북쪽에 있는 관측자에게는 별자리 전체가 보인다.[8] 북쪽 하늘 높이 위치하여 영국 제도, 캐나다, 미국 북부의 관측자에게는 주극성(밤하늘에서 절대 지지 않는다)이다.[12]
동쪽은 기린자리, 북서쪽은 케페우스자리, 남서쪽은 도마뱀자리, 남쪽은 안드로메다자리, 남동쪽은 페르세우스자리에 둘러싸여 있다. 20시 남중은 12월 상순경이며, 북반구에서는 가을 별자리로 여겨진다. 북위 44°보다 북쪽 지역에서는 별자리 전체가 수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 주극성이 된다.
α・β・γ・δ・ε의 5개의 별이 이루는 「W」자 모양은 북극성을 찾는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본 각지에는 특징적인 '''W'''자 모양을 이루는 다섯 별의 총칭으로 전해지는 명칭이 있다. 구성하는 별의 수, 별의 배열, 천구상의 움직임, 신앙 등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종류 | 명칭 | 지역 |
---|---|---|
별의 갯수 | ||
별의 배열 | ||
천구상의 움직임 | 야라이노호시(夜来の星, 밤에 오는 별) | 아이 |
닻 | ||
신앙 | ||
기타 |
3. 1. 북극성 찾는 방법
카시오페이아자리는 북두칠성과 함께 북극성을 찾는 중요한 길잡이별 역할을 한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을 하고 있는데, W자의 양 끝 선분, 즉 알파별과 베타별을 이은 선과 델타별과 엡실론별을 이은 선을 연장한 후, 둘의 교차점과 감마별을 이어서 약 5배 늘리면 북극성이 나오게 된다. 북두칠성은 봄철 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가을철 별자리로 북극성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을 관측하기 힘들어도 다른 쪽을 관측하여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4. 주요 천체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은하수 중간에 위치하여 다양한 성운과 성단을 포함하고 있다.
- '''산개성단'''
- M52 (NGC 7654): 100여 개의 별이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 아름다운 산개성단이다.[33]
- M103 (NGC 581): 약 25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에서 8,000광년에서 9,500광년 사이에 위치해 있다.[34] 60여 개의 별이 쐐기 모양으로 퍼져 있으며, 이중성이 포함되어 있다.
- NGC 457: 약 8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밝은 구성원은 5.0등급의 흰색 초거성인 카시오페이아자리 ϕ이다. 'E.T. 외계인 성단', '올빼미 성단', 캘드웰 13으로도 불린다.
- NGC 663: 약 8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구에서 8,200광년 떨어져 있다.
- 기타: NGC 129, NGC 225, NGC 7789 등
- '''성운'''
- NGC 7635 (거품 성운): 산광성운으로, 그 모습 때문에 '버블 성운'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심장 성운과 영혼 성운: 약 7,500광년 떨어진 두 개의 인접한 발광 성운이다.
- NGC 281 (팩맨 성운): 발광성운이다.
- '''초신성 잔해'''
- 티코의 초신성 (3C 10): 1572년 티코 브라헤가 관측한 초신성의 잔해로, 현재는 전파 스펙트럼에서 밝은 천체로 존재한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A: 태양계 외부에서 관측 가능한 가장 강력한 전파원으로, 약 300년 전에 발생한 초신성의 잔해이다.
- '''은하'''
- IC 10: 국부 은하군에 속하는 불규칙 은하로, 겉보기 등급은 10.4등급이며, 거리는 약 250만 광년이다.
- NGC 185: 9.2등급의 E0형 타원 은하이다.
- NGC 147: 9.3등급의 타원 은하이다.



4. 1. 항성
카시오페이아자리 ρ (ρ Cas)와 카시오페이아자리 V509 (V509 Cas)는 우리은하에서 매우 밝은 황색 초거성으로, 준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된다.[28]카시오페이아자리 η는 19.4 광년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이중성으로, 황색의 태양과 비슷한 왜성과 귤색 왜성으로 구성되어 있다.[26]
항성 이름 | 겉보기 등급 | 스펙트럼형 | 거리 (광년) | 기타 |
---|---|---|---|---|
α별 (셰다르) | 2.23 | K0-IIIa | 231 | 거성 |
β별 (카프) | 2.27 | F2III | 54.7 | 거성 |
δ별 (루크바) | 2.680 | A5IV | 102 | 준거성 |
ε별 (세긴) | 3.37 | B3Vp_sh | 466 | B형 주계열성 |
ζ별 (푸루) | 3.66 | B2IV | 355 | 준거성 |
η별 (아키르드) | 3.44 | F9V | 19.3 | 주계열성 |
γ별 (츠이) | 2.39 | B0.5IVpe | 382 | 화학적 특이별, 거스 그리섬의 미들 네임에서 유래한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짐 |
μ별 | 5등성 | - | 25 | G형 주계열성 A와 적색왜성 B로 구성된 쌍성계 |
ρ별 | 4.59 | G2_0 | - | 황색 초거성 |
R별 | - | - | 568 | 미라형 변광성 |
V509별 | 5.13 | G4_0 | - | 황색 초거성 |
HD 221568 (오자와 스타) | 7.55 | A0p | 773 | A형 특이성 |
4. 2. 성단 및 성운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은하수 중간에 위치하여 다양한 성운과 성단을 포함하고 있다.- 산개성단
- M52 (NGC 7654): 100여 개의 별이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 아름다운 산개성단이다.[33]
- M103 (NGC 581): 약 25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에서 8,000광년에서 9,500광년 사이에 위치해 있다.[34] 60여 개의 별이 쐐기 모양으로 퍼져 있으며, 이중성이 포함되어 있다.
- NGC 457: 약 8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밝은 구성원은 5.0등급의 흰색 초거성인 카시오페이아자리 ϕ이다. 'E.T. 외계인 성단', '올빼미 성단', 캘드웰 13으로도 불린다.
- NGC 663: 약 8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구에서 8,200광년 떨어져 있다.
- 기타: NGC 129, NGC 225, NGC 7789 등
- 성운
- NGC 7635 (거품 성운): 산광성운으로, 그 모습 때문에 '버블 성운'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심장 성운과 영혼 성운: 약 7,500광년 떨어진 두 개의 인접한 발광 성운이다.
- NGC 281 (팩맨 성운): 발광성운이다.
- 초신성 잔해
- 티코의 초신성 (3C 10): 1572년 티코 브라헤가 관측한 초신성의 잔해로, 현재는 전파 스펙트럼에서 밝은 천체로 존재한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A: 태양계 외부에서 관측 가능한 가장 강력한 전파원으로, 약 300년 전에 발생한 초신성의 잔해이다.
- 은하
- IC 10: 국부 은하군에 속하는 불규칙 은하로, 겉보기 등급은 10.4등급이며, 거리는 약 250만 광년이다.
- NGC 185: 9.2등급의 E0형 타원 은하이다.
- NGC 147: 9.3등급의 타원 은하이다.
참조
[1]
백과사전
Cassiopeia
Encyclopædia Britannica
[2]
서적
A Constellation Album: Stars and Mythology of the Night Sky
Sky
[3]
논문
[4]
논문
[5]
서적
Celtic Myth and Legend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3
[6]
서적
Sky Stories Ancient and Modern
Nova Science Publishers
[7]
서적
The Morning Star Rises: an account of Polynesian astronomy
Yal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6-12-02
[9]
논문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0]
웹사이트
Constellation boundaries: How the modern constellation outlines came to be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6-06-01
[11]
논문
Cassiopeia,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12-02
[12]
서적
The Photographic Atlas of the Star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
[13]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14]
웹사이트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www.skyandtel[...]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15-06-06
[15]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16]
웹사이트
SHEDAR (Alpha Cassiopeiae)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0-02-22
[17]
논문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18]
논문
Colder and Hotter: Interferometric Imaging of β Cassiopeiae and α Leonis
2011
[19]
웹사이트
Caph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6-12-05
[20]
논문
Properties and nature of Be stars. XX. Binary nature and orbital elements of gamma Cas
[21]
논문
Spectroscopic atlas of Hα and Hβ in a sample of northern Be stars
2013
[22]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7-30
[23]
논문
Quantitative studies of the optical and UV spectra of Galactic early B supergiants. I. Fundamental parameters
[24]
웹사이트
The bow shock of Kappa Cassiopeiae, a massive, hot supergiant
http://phys.org/news[...]
Phys.org
2016-12-06
[25]
논문
E-BOSS: An Extensive stellar BOw Shock Survey. I. Methods and first catalogue
[26]
논문
The Initial Mass Function Based on the Full-sky 20 pc Census of ∼3600 Stars and Brown Dwarfs
2024-04-01
[27]
논문
Fundamental stellar parameters for nearby visual binary stars: eta Cas, XI Boo, 70 OPH and 85 Peg
1998
[28]
논문
Yellow Hypergiants Show Long Secondary Periods?
[29]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2005-08-01
[30]
논문
Distance and Proper Motion Measurement of the Red Supergiant, Pz Cas, in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H2O Maser Astrometry
[31]
논문
Masses and luminosities of O- and B-type stars and red supergiants
[32]
서적
Astronomy and Cosmogon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33]
논문
The orbits of open clusters in the Galaxy
2009-11-01
[34]
논문
Photometric and kinematic studies of open star clusters. I. NGC 581 (M 103)
1999
[35]
논문
B-Type Variables in the Young Open Cluster Ngc 457
[36]
서적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Firefly Books
2006
[37]
논문
Evidence for an interaction in the nearest starbursting dwarf irregular galaxy IC 10
[38]
논문
The Local Group and Other Neighboring Galaxy Groups
2005
[39]
간행물
Mapping Meteoroid Orbits: New Meteor Showers Discovered
2012-09-00
[40]
웹사이트
Cassiopeia
https://bearsintrees[...]
2023-09-01
[41]
웹사이트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https://www.kasi.re.[...]
한국천문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