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라스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라스터는 벽에 통합된 기둥 형태의 건축 요소로, 구조적 하중을 지지하거나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전 건축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두와 엔타블러처를 갖추고 기둥과 유사한 비율을 가지지만 배흘림이 없는 경우가 많다. 건물 정면의 문틀이나 창문 입구 측면에 주로 배치되며, 모서리에서 만나는 경우 칸톤이라고 불린다.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표현되며, 르네상스, 바로크, 고대 그리스, 로마 건축 등에서 활용되었고, 현대 건축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둥 - 모나스
    모나스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독립 기념탑으로, 수카르노 대통령의 제안으로 건설되었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의 의지를 상징하는 금박 불꽃 조형물과 인도네시아 역사를 보여주는 국립역사박물관이 있다.
  • 기둥 - 카리아티드
    카리아티드는 건축에서 기둥 역할을 하는 여성 조각상으로, 고대 그리스 카리아이 여인들을 묘사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레크테이온 등에서 사용되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필라스터
개요
종류건축 부재
용도장식, 구조 보강
기원고대 건축
상세 정보
형태벽면 부착 기둥 형태
재료석재, 목재, 금속 등
특징완전한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다양한 장식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 그리스 건축
사용 시기고대부터 현재까지
주요 사용 건축신전
궁전
주택
추가 정보
관련 용어
참고 문헌관련 건축 서적 및 논문

2. 정의

필라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건축 자재로, 구조적 하중을 벽에 통합된 벽이나 기둥의 두꺼운 부분이 지지하는 구조적 하중 지지 요소이다.

또한 필라스터는 고전 건축에 사용되는 순전히 장식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기둥의 기능적인 역할을 갖고 있다기 보단 단지 형태적인 요소에 불과하다.[2]

3. 역사

루돌프 비트코버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필라스터를 다시 도입하여 벽 건축에 사용한 것에 대해 "필라스터는 벽을 장식하기 위한 기둥의 논리적 변형이다."라고 썼다.[3] 필라스터는 주두로 나타나며[3] 엔타블러처도 낮은 부조로 조각 되거나 벽에 납작하게 붙은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필라스터는 기둥의 모든 부분과 비율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둥과 달리 필라스터는 일반적으로 엔타시스가 없다.

필라스터는 보통 건물 정면의 문틀이나 창문 입구 측면에 있으며, 때로는 주랑 현관과 같이 벽에서 약간 떨어진 정면에 기둥이 직접 설치되어 그 위에 있는 지붕 구조를 지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수직 요소는 출입구 주변의 움푹 들어간 아치볼트를 지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스터는 엔타블러처를 지지하는 장식용 브래킷이나 출입구 위의 발코니로 대체될 수 있다.

두 벽의 모서리 교차점에 필라스터가 나타나면 이를 '''칸톤'''(canton)이라고 한다.[4]

일반 기둥과 마찬가지로 필라스터는 겉모습이 평평하거나 홈이 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건축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라스터를 사용했다.[5] 통째 오더 필라스터는 2층 높이로 나타나며, 여러 층을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한다.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에서 이 장식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채택되었고, 그리스 부흥 건축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일부 현대 건축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3. 1. 고전 건축

루돌프 비트코버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필라스터를 다시 도입하여 벽 건축에 사용한 것에 대해 논의하면서 "필라스터는 벽을 장식하기 위한 기둥의 논리적 변형이다."라고 썼다.[3]

필라스터는 주두로 나타나며[3] 엔타블러처도 낮은 부조로 조각 되거나 벽에 납작하게 붙은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필라스터는 기둥의 모든 부분과 비율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둥과 달리 필라스터는 일반적으로 엔타시스가 없다.

필라스터는 보통 건물 정면의 문틀이나 창문 입구 측면에 있으며, 때로는 주랑 현관과 같이 벽에서 약간 떨어진 정면에 기둥이 직접 설치되어 그 위에 있는 지붕 구조를 지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수직 요소는 출입구 주변의 움푹 들어간 아치볼트를 지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스터는 엔타블러처를 지지하는 장식용 브래킷이나 출입구 위의 발코니로 대체될 수 있다.

두 벽의 모서리 교차점에 필라스터가 나타나면 이를 '''칸톤'''(canton)이라고 한다.[4]

일반 기둥과 마찬가지로 필라스터는 겉모습이 평평하거나 홈이 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건축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라스터를 사용했다.[5] 통째 오더 필라스터는 2층 높이로 나타나며, 여러 층을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한다.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에서 이 장식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채택되었고, 그리스 부흥 건축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일부 현대 건축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3. 2. 르네상스와 바로크 건축

루돌프 비트코버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필라스터를 다시 도입하여 벽 건축에 사용한 것에 대해 "필라스터는 벽을 장식하기 위한 기둥의 논리적 변형이다."라고 썼다.[3]

필라스터는 주두로 나타나며[3] 엔타블러처도 낮은 부조로 조각되거나 벽에 납작하게 붙은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필라스터는 기둥의 모든 부분과 비율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둥과 달리 필라스터는 일반적으로 엔타시스가 없다.

필라스터는 보통 건물 정면의 문틀이나 창문 입구 측면에 있으며, 때로는 주랑 현관과 같이 벽에서 약간 떨어진 정면에 기둥이 직접 설치되어 그 위에 있는 지붕 구조를 지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수직 요소는 출입구 주변의 움푹 들어간 아치볼트를 지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스터는 엔타블러처를 지지하는 장식용 브래킷이나 출입구 위의 발코니로 대체될 수 있다.

두 벽의 모서리 교차점에 필라스터가 나타나면 이를 '''칸톤'''(canton)이라고 한다.[4]

일반 기둥과 마찬가지로 필라스터는 겉모습이 평평하거나 홈이 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건축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라스터를 사용했다.[5] 통째 오더 필라스터는 2층 높이로 나타나며, 여러 층을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한다.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에서 이 장식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채택되었고, 그리스 부흥 건축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일부 현대 건축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3. 3. 그리스 리바이벌 건축과 현대 건축

루돌프 비트코버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필라스터를 다시 도입하여 벽 건축에 사용한 것에 대해 "필라스터는 벽을 장식하기 위한 기둥의 논리적 변형이다."라고 썼다.[3] 필라스터는 주두로 나타나며[3] 엔타블러처도 낮은 부조로 조각되거나 벽에 납작하게 붙은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필라스터는 기둥의 모든 부분과 비율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둥과 달리 필라스터는 일반적으로 엔타시스가 없다.

필라스터는 보통 건물 정면의 문틀이나 창문 입구 측면에 있으며, 때로는 주랑 현관과 같이 벽에서 약간 떨어진 정면에 기둥이 직접 설치되어 그 위에 있는 지붕 구조를 지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수직 요소는 출입구 주변의 움푹 들어간 아치볼트를 지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스터는 엔타블러처를 지지하는 장식용 브래킷이나 출입구 위의 발코니로 대체될 수 있다. 두 벽의 모서리 교차점에 필라스터가 나타나면 이를 '''칸톤'''(canton)이라고 한다.[4]

일반 기둥과 마찬가지로 필라스터는 겉모습이 평평하거나 홈이 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건축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라스터를 사용했다.[5] 통째 오더 필라스터는 2층 높이로 나타나며, 여러 층을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한다.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에서 이 장식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채택되었고, 그리스 부흥 건축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4. 양식

4. 1. 도리스 양식

4. 2. 이오니아 양식

4. 3. 코린토스 양식

4. 4. 통째 오더

4. 5. 기타 양식

5. 갤러리



6. 한국 건축에서의 필라스터

참조

[1] 서적 The Human Lineag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9-20
[2] 논문 Alberti's Approach to Antiquity in Architecture Warburg Institute 1940
[3] 문서 A useful phrase to identify a section of pilaster without a capital, with only its fluting to identify its relation to a column, is "pilaster strip".
[4] 서적 A Visual Dictionary of Architecture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95
[5] 인용 Mark Jarzombe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