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랑 현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랑 현관은 기둥의 수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는 건축 양식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여러 문명에서 사용되었다. 기둥이 4개인 테트라스타일, 6개인 헥사스타일, 8개인 옥타스타일, 10개인 데카스타일 등이 있으며, 고대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 로마의 판테온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현대 건축에서도 건물의 입구를 강조하거나 미적 가치를 높이는 데 활용되며, 한국에서는 서양식 건축 도입과 함께 한국은행 본관, 구 서울역사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가톨릭 건축 - 종탑
    종탑은 시간을 알리거나 종교 의식 등에 사용되는 건축물로, 교회에서 예배나 기도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되며 특별한 경우에도 종을 울리고, 종을 울리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건축 - 스티로폼
    스티로폼은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가볍고 부력이 큰 합성수지로, 건축, 포장,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지만, 생분해되지 않는 폴리스티렌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와 스티렌의 발암 가능성 논란으로 재활용률 향상과 친환경 대체재 개발이 요구된다.
  •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주랑 현관
정의
정의건물의 입구 또는 정면에 있는 지붕이 있는 공간임. 기둥이나 벽으로 지지되며, 건물 본체로 이어지는 현관 역할을 함.
구조 및 기능
기능비바람으로부터 보호
건물의 출입구 강조
휴식 공간 제공
건축 요소
기둥건물을 지지하는 수직 구조물
지붕포치를 덮고 있는 구조물
바닥포치의 바닥면
난간포치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선택 사항)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 그리스 건축에서 유래
용도다양한 문화권에서 주거 및 공공 건축물에 사용됨
디자인
스타일건축 양식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나타남 (예: 고전, 현대)
재료나무, 돌, 금속, 유리 등 다양한 재료 사용
종류
현관 현관건물의 주요 입구에 위치한 포치
베란다 포치건물 외부에 추가된 확장된 포치
차량 포치 (Porte-cochère)차량이 드나들 수 있도록 설계된 포치
기타 용어
주랑 현관 (柱廊玄關)기둥이 있는 현관 (한국어)
포르티코 (Portico)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용어
포르티코일본어 발음 (ポルチコ)
참고
관련 건축 요소현관
베란다
테라스
발코니
로지아
파티오
갤러리
로지아 데이 란치의 포르티코
로지아 데이 란치의 포르티코
아헨 팔라틴 예배당의 포르티코
아헨 팔라틴 예배당의 포르티코
카사 그랄라의 포르티코
카사 그랄라의 포르티코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의 포르티코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의 포르티코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의 포르티코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의 포르티코
세비야 알카사르의 무데하르 양식 포르티코
세비야 알카사르의 무데하르 양식 포르티코
샌호세 선교회의 포르티코
샌호세 선교회의 포르티코

2. 주랑 현관의 종류

주랑 현관은 기둥의 수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스타일" 접미사는 그리스어 στῦλος|스틸로스grc에서 유래한 것으로 "기둥"을 의미한다.[1] 그리스와 로마 건축에서 사원의 프로나오스(전면 현관)는 일반적으로 페디먼트로 덮여 있었다.[2]

기둥 수에 따른 주랑 현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2. 1. 테트라스타일 (사주식)

포르투누스 신전(로마)의 4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이루어진 주랑 현관


로마의 포르투누스 신전, 4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된 사주식 포르티코


사주식(四柱式, tetrastyle)은 기둥이 4개인 형식을 말한다. 고대 그리스와 에트루리아 문명에서 공공 건물이나 쌍주식과 같은 작은 구조물에 흔히 사용되었다.

고대 로마는 가주식 신전인 포르투누스 신전, 쌍주식 신전인 비너스 여신과 로마 여신 신전, 막센티우스 바실리카와 콘스탄티누스 바실리카와 같은 큰 공공 건물의 프로스틸 출입 현관에 사주식 주랑 현관을 선호했다. 로마 속주의 주도인 볼루빌리스의 카피톨 신전에서도 사주식을 채택했다.[8]

미국백악관 북쪽 포르티코는 아마도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사주식 포르티코일 것이다.

2. 2. 헥사스타일 (육주식)

고전 그리스 도리아식 건축에서 헥사스타일(육주식)은 아르카익 시대 기원전 600년~550년에서 페리클레스 시대 기원전 450년~430년까지 표준적인 정면이었다.

그리스 육주식 아그리젠토의 콩코르디아 신전 (기원전 430년경)


고전 도리아식 육주식 그리스 신전의 잘 알려진 예시는 다음과 같다.

신전위치건설 시기비고
헤라 신전, 아폴론 신전, 첫 번째 아테나 신전 ("바실리카"), 두 번째 헤라 신전파이스툼헤라 신전 (기원전 550년경), 아폴론 신전 (기원전 450년경), 첫 번째 아테나 신전 (기원전 500년경), 두 번째 헤라 신전 (기원전 460–440년)
아파이아 신전아이기나기원전 495년경
신전 E셀리누스기원전 465–450년헤라에게 봉헌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올림피아현재는 폐허
아그리젠토의 콩코르디아 신전아그리젠토기원전 430년경거의 모든 주랑과 엔타블레이쳐를 유지, 보존이 가장 잘된 고전 그리스 신전 중 하나
"미완성 신전"세제스타기원전 430년경
헤파이스토스 신전아테네 아크로폴리스 아래기원전 449–444년오랫동안 "테세움"으로 알려짐, 고대에서 살아남은 가장 온전한 그리스 신전 중 하나
포세이돈 신전수니온 곶기원전 449년경



육주식은 또한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레크테이온에 있는 아테나 성소의 프로스타일 현관과 같은 이오니아식 신전에도 적용되었다.

그리스인들의 남부 이탈리아 식민지화와 함께, 헥사스타일은 에트루리아 문명에 의해 채택되었고, 이후 고대 로마인들에게 전해졌다. 로마인들은 높은 기둥이 있는 좁은 가주변주랑과 양쪽 신전 건물, 웅장함을 더하기 위해 기단 위에 세워진 높은 건물들을 선호했다. 프랑스 님에 있는 메종 카레는 고전 시대부터 현존하는 가장 잘 보존된 로마식 헥사스타일 신전이다.

2. 3. 옥타스타일 (팔주식)

아테네에 있는 팔주식 파르테논 신전의 서쪽 면


아테네파르테논 신전 서쪽


팔주식 건물은 기둥이 8개이며, 고대 그리스 건축 캐논에서 육주식 건물보다 훨씬 드물었다. 고대 시대부터 현존하는 가장 잘 알려진 팔주식 건물은 페리클레스 시대(기원전 450–430년)에 지어진 아테네파르테논 신전로마판테온(125년)이다. 아우구스투스 숭배의 중심지였던 로마의 파괴된 디우스 아우구스투스 신전은 2세기 로마 화폐에 팔주식으로 지어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2. 4. 데카스타일 (십주식)

데카스타일(Decastyle)은 10개의 기둥이 있는 주랑 현관을 의미한다. 밀레투스의 아폴론 디디마이오스 신전과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주랑 현관이 이에 해당한다.[1]

하드리아누스가 서기 130년경에 건축한 비너스와 로마 신전은 알려진 유일한 로마 시대 데카스타일 주랑 현관이다.[4]

3. 역사적 변천과 문화적 의의

중국 자금성의 주랑 현관 (베이징, 중국)


르네상스 빌라 카프라 "라 로톤다"의 주랑 현관 (비첸차, 베네토, 이탈리아)


고대 이집트의 세솀네페르 4세의 마스타바에서 주랑 현관의 초기 형태를 볼 수 있다. 미노아 문명의 크노소스 궁전, 고대 그리스 아테네 니케 신전에도 주랑 현관이 나타난다. 에트루리아 사원 모형의 주랑 현관은 현재 국립 에트루리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대 로마 시대의 메종 카레에서도 주랑 현관을 볼 수 있다.

이슬람 카이루안 대사원, 인도 산치 사원 17, 중국 자금성에도 주랑 현관이 나타난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산토 도밍고 데 실로스 수도원, 고딕 양식의 샤르트르 대성당에서도 주랑 현관을 볼 수 있다.

브란코베네스크 양식의 스타브로폴레오스 교회, 르네상스 시대의 빌라 카프라 "라 로톤다"에도 주랑 현관이 있다. 바로크 양식의 루브르 박물관 회랑, 루이 16세 양식의 프티 트리아농 랭 여왕 극장, 신고전주의 양식의 레지옹 도뇌르 궁전|italic=no프랑스어, 루마니아 부흥 양식의 스테판 릴로비치 하우스에도 주랑 현관이 있다. 이탈리아 볼로냐의 산 루카 주랑 현관은 세계에서 가장 긴 주랑 현관일 가능성이 높다.[5]

참조

[1] EB1911 Decastyle
[2]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Taylor and Francis 2013
[3] 서적 Greek Religion 1987
[4] 서적 A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Biographical, Historical and Descriptive Macmillan
[5] 뉴스 Bologna city guide: top five sights https://www.telegrap[...] 2009-01-16
[6] 웹사이트 Turin porticoes https://www.turinepi[...] 2017
[7] 웹사이트 トリノのポルティコ(屋根付き回廊) http://italia-daisuk[...]
[8] 웹사이트 Volubilis http://www.megalithi[...] 2007
[9] 서적 Greek Religion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