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핑진 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핑진 전역은 1948년 말부터 1949년 초까지 중국 북부에서 벌어진 중국 공산당과 중화민국 간의 군사 작전이다. 린뱌오와 뤄룽환이 이끄는 공산군이 랴오선 전역에서 승리한 후, 베이핑, 톈진, 장자커우를 방어하려는 국민당 군과 대치했다. 주요 전투로는 장자커우 전투, 신바오안 전투, 톈진 전투가 있었으며, 특히 톈진 전투에서 국민당 군 13만 명이 사상하거나 포로로 잡혔다. 톈진 함락 후, 베이핑의 국민당 군은 고립되었고, 푸쭤이는 공산당과의 평화 협정을 통해 도시를 넘겨주었다. 핑진 전역은 공산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베이핑은 무혈 점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중국 - 화이하이 전역
    화이하이 전역은 1948년 11월부터 1949년 1월까지 중화민국과 중국 공산당 간에 벌어진 국공 내전의 주요 전역으로, 공산당이 화둥 및 중원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전세를 역전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1948년 중국 - 창춘 포위전
    창춘 포위전은 국공내전 중 공산당이 국민당 점령하의 창춘을 포위하여 벌어진 전투로, 도시 봉쇄 과정에서 대규모 아사자가 발생하며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1949년 중국 - 구닝터우 전투
    구닝터우 전투는 1949년 10월 인민해방군의 금문도 공격을 중화민국 국군이 성공적으로 방어한 전투로, 구 일본군 고문단의 작전 지도와 M5 스튜어트 전차 활용이 승리에 기여했으며, 중화민국 국군의 사기 진작과 양안 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1949년 중국 - 화이하이 전역
    화이하이 전역은 1948년 11월부터 1949년 1월까지 중화민국과 중국 공산당 간에 벌어진 국공 내전의 주요 전역으로, 공산당이 화둥 및 중원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전세를 역전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1949년 분쟁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1949년 분쟁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봉기 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남로당 무장봉기와 미군정 및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으며, 현재 진상 규명 노력과 국가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졌으나 폭동과 항쟁이라는 시각이 대립하며 논쟁이 진행 중이다.
핑진 전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중국인민해방군이 베이핑에 진입
중국인민해방군이 베이핑에 진입
일부중국 국민 내전
기간1948년 11월 29일 – 1949년 1월 31일
장소중국 허베이성
결과중국 공산당의 승리
점령 지역베이핑, 톈진, 화베이 평야의 대부분이 공산당에 항복
교전 세력
교전국 1중화민국
군대중화민국 육군
교전국 2중국 공산당
군대중국인민해방군
지휘관
지휘관 1푸쭤이 (항복)
천창제
지휘관 2[[File:People's Liberation Army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22px|중국인민해방군]] 린뱌오
[[File:People's Liberation Army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22px|중국인민해방군]] 뤄룽환
[[File:People's Liberation Army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22px|중국인민해방군]] 녜룽전
병력
병력 1600,000명
병력 21,000,000명
사상자
사상자 1약 520,000명 (비전투 손실 포함)
사상자 239,000명 (중국 자료 출처)

2. 배경

1948년 겨울,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 북부에서 우세를 점하고 있었다. 린뱌오뤄룽환이 이끄는 제4야전군이 랴오선 전역을 마치고 허베이에 진입하자, 푸쭤이난징중화민국 정부는 청더, 바오딩, 산하이관, 친황다오를 포기하고 베이핑, 톈진, 장자커우로 병력을 후퇴시켜 이 지역의 방어를 강화했다. 중화민국 국군은 전력을 보존하여 화이하이 전역이 벌어지고 있는 쑤저우를 지원하거나, 필요에 따라 쑤이위안성으로 후퇴할 계획을 세웠다.

3. 전개 과정

제2차 국공 내전 중 핑진 전역 상황


제2차 국공 내전 3대 전역 중 하나로서의 핑진 전역을 나타낸 지도


핑진 전역을 준비하기 위해 중국 인민해방군제1야전군의 타이위안 진격을 중단시켰다. 제3야전군이 내몽골자치구 우란차부 시 지닝 구에서 베이핑으로 재배치됨에 따라 후허하오터 공격도 미뤄졌다.[1]

1948년 11월 29일, 인민해방군은 장자커우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고, 푸쭤이는 베이핑의 국민당 제35군과 화이라이의 제104군에게 장자커우를 증원하라고 명령했다. 이후 인민해방군과 국민당군은 장자커우, 신바오안, 톈진에서 전투를 벌였다.

톈진이 공산군에게 함락된 후 베이핑의 국민당 수비대는 사실상 고립되었다. 푸쭤이는 1월 21일 평화 협정을 협상하기로 결정했고, 국민당 군대는 즉각적인 항복을 예상하고 도시를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1월 31일, 중국 인민해방군 제4야전군이 베이핑에 진입하여 도시를 접수함으로써 이 작전은 종료되었다.[1]

3. 1. 장자커우 전투

1948년 11월 29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장자커우를 공격했다. 푸쭤이는 즉시 베이핑의 국민당군 제35군과 화이라이의 제104군에게 장자커우 증원을 명령했다. 12월 2일, 인민해방군 제2야전군은 쭤루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12월 5일, 인민해방군 제4야전군은 미윈을 점령하고 화이라이로 진격했다. 한편, 제2야전군은 쭤루 남쪽으로 진격했다. 베이핑이 포위될 위험에 처하자 푸쭤이는 장자커우에서 제35군과 제104군을 소환하여 인민해방군에 의해 "포위되어 파괴"되기 전에 베이핑 방어를 지원하도록 했다.[1]

3. 2. 신바오안 전투

중화민국 국군 제35군은 허베이성 장자커우 시 화이라이 현 신바오안 진(현재 신바오안)에서 공산군에게 포위되었다. 베이핑 주둔 중화민국 국군은 공산군에 가로막혔다.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푸쭤이는 12월 14일 중국 공산당과 평화합의를 타결하고자 했으나 12월 19일 끝내 거절됐다. 그러고 나서 공산군은 12월 21일 공격했고 다음날 저녁에 점령했다. 제35군 사령관 궈징윈은 공산군이 진입했을 때 자살했고 중화민국 국군 잔군은 장자커우로 후퇴하려고 했지만 전멸했다.[1]

장자커우에서 철수하는 도중 제35군은 신바오안에서 공산당군에 포위되었다. 베이핑에서 온 원군은 공산당군에 의해 저지당해 도착할 수 없었다. 전황이 악화되자 푸쭤이는 12월 14일에 중국 공산당과의 협상을 은밀히 시도했지만, 결국 12월 19일에 거부당했다. 그 후, 인민해방군은 12월 21일에 공격을 시작하여 다음 날 밤에 점령했다. 공산당군이 도시 내부로 진입하자 제35군 사령관 궈징윈은 자살했고, 남은 국민정부군은 장자커우로 철수하려다 괴멸되었다.[1]

3. 3. 톈진 전투

중국 인민해방군은 장자커우와 신바오안을 점령한 후 1949년 1월 2일부터 톈진 지역 주변에 병력을 집결시키기 시작했다. 남쪽의 화이하이 전역이 끝나자마자 인민해방군은 1월 14일 톈진에 대한 최종 공격을 시작했다. 29시간의 전투 끝에 천창제 사령관을 포함한 중화민국 국군 제62군과 제86군, 10개 사단 총 13만 명이 사망하거나 포로로 잡혔다. 1월 17일, 전투에 참여한 제17집단군과 제87군의 나머지 중화민국 국군 병력은 해상으로 남쪽으로 후퇴했다.

3. 4. 베이핑 무혈 점령

공산군이 톈진에 진입한 후 베이핑(현 베이징)의 중화민국 국군 사령부는 고립되었다. 그동안 공산군은 푸쭤이 주변에 많은 첩자들을 침투시켰는데, 그의 장녀인 푸둥쥐 역시 공산당의 첩자였다. 푸둥쥐는 고립무원의 처지에 놓인 푸쭤이에게 '평화적으로 도시를 공산군에 내줘야 도시가 파괴되는 재앙을 피할 수 있다'며 설득했고, 푸쭤이는 결국 1949년 1월 21일 평화협정을 맺고 도시를 공산당군에 무혈로 넘기기로 결심했다. 그 다음 주 중화민국 국군 26만 병력은 도시를 후퇴하기 시작했다. 1949년 1월 31일, 공산군 제4야전군이 베이핑에 진입하며 핑진 전역이 끝났다.

4. 대중 문화

중국 드라마 《신세계》는 포위된 베이핑을 배경으로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