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춘 포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춘 포위전은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 간의 국공내전 중 1948년 5월부터 10월까지 지린성 창춘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만주 지역의 전략적 요충지였던 창춘을 두고 공산당군이 국민당군을 포위하면서, 공중 보급을 차단하고 도시 내 식량 부족을 유발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민간인이 사망했고, 국민당군의 항복과 함께 창춘은 공산당에게 넘어갔다. 이 사건은 중국 공산당의 승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민간인 희생과 관련된 논란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전투 - 까오방 전투 (1949년)
까오방 전투는 1949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군과 베트민 간의 전투로, 프랑스군이 패배하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발발과 탈식민주의 흐름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에서 일어난 학살 - 훈춘 사건
훈춘 사건은 1920년 10월 2일 지린성 훈춘의 일본 영사관 공격 사건으로, 일본은 한국 독립군의 소행으로 규정하고 만주 군사 개입을 확대했으며, 한국 측에서는 일본의 조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진실 공방이 이어졌다. - 중국에서 일어난 학살 - 조조의 서주 침공
조조의 서주 침공은 193년과 194년에 조조가 도겸의 서주를 공격한 사건으로, 조숭의 피살을 계기로 발생하여 대규모 학살과 피해를 야기했으며, 유비의 성장과 조조에 대한 반감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창춘 포위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투 명칭 (중국어 간체) | 长春围困战 |
전투 명칭 (중국어 정체) | 長春圍困戰 |
전투 명칭 (로마자 표기) | Chángchūn Wéikùnzhàn |
전투 개요 | |
전투 장소 | 중화민국 지린성 창춘시 및 인근 지역 |
기간 | 1948년 5월 23일 - 1948년 10월 19일 |
관련 전투 | 국공 내전 랴오선 전역의 일부 |
결과 | 중국 공산당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중화민국 육군 |
교전국 1 상세 | 제60군 신 제7군 |
교전국 2 | 중국 인민해방군 |
교전국 2 상세 | 동북야전군 (제4야전군) 화북야전군 |
지휘관 및 병력 | |
중화민국 지휘관 | 정둥궈 |
인민해방군 지휘관 | 린뱌오 샤오진광 |
중화민국 병력 | 약 100,000명 |
인민해방군 병력 | 100,000명 |
사상자 | |
중화민국 사상자 | 15,000명 |
인민해방군 사상자 | 16,078명 |
민간인 사상자 | 기근으로 약 150,000명 - 200,000명 사망 |
2. 배경
중일전쟁 이후 소련은 만주를 점령했다. 소련군이 철수한 후, 국민당군과 공산당군은 만주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동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국민당군은 초기에 공산당을 상대로 승리하며 1946년 5월 23일 창춘을 장악했다.[5] 그러나 장제스가 6월 6일 중국공산당과 휴전을 선언하면서 국민당군의 공세는 정지되었고, 이 휴전으로 공산당군은 손실을 회복할 수 있었다.[6] 1948년 3월 중순, 공산당군은 만주 대부분을 점령하여 선양시, 창춘시, 진저우 등 여러 도시에 국민당군을 고립시켰다.[7]
2. 1. 전략적 중요성
중일전쟁이 끝난 직후, 중국국민당(KMT)과 중국공산당(CCP) 간의 국공내전이 다시 시작되었다. 만주는 양측 모두 이 지역을 장악하려 하면서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1] 특히 창춘은 지린성의 성도이자, 만주국의 수도였으며 중일전쟁 당시 관동군의 본거지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도시였다. 일본은 점령 기간 창춘을 "이상적인 현대 도시"로 개발하였다.[2][3][4]2. 2. 국공내전의 전개
중일전쟁이 끝난 직후,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 간의 국공내전이 다시 시작되었다. 만주는 양측이 모두 이 지역의 지배권을 얻으려 하면서 갈등의 중심지가 되었다.[1] 특히 창춘은 지린성의 성도이자, 이전에는 만주국의 수도였으며 중일전쟁 당시 관동군의 본거지였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이 도시는 일본에 의해 점령 기간 동안 "이상적인 현대 도시"로 개발되었다.[2][3][4]소련의 만주 침공이후 소련이 철수한 후, 국민당군과 공산당군은 만주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동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국민당군은 만주 전역 초기에는 공산당을 상대로 연이은 승리를 거둔 후 1946년 5월 23일 창춘을 장악했다.[5] 그러나 장제스가 6월 6일 중국공산당과 휴전을 선언하면서 국민당군의 공세가 정지되었다. 이 휴전으로 공산당군은 손실을 회복할 수 있었다.[6] 1948년 3월 중순까지 공산당군이 만주 대부분을 점령하여 선양시, 창춘시, 진저우 등 여러 도시에 국민당군을 고립, 포위시켰다.[7]
3. 전투 준비
1947년 화북 동계공세 기간 중국 공산당 동북군 사령관 린뱌오는 만주에서 국민당군에 대한 총공세를 계획했다. 공격 목표 후보는 창춘, 선양, 진저우였으며,[1] 다른 공산당군 장교들과 논의한 후 창춘이 첫 목표로 선택되었다.[2] 1948년 3월, 동북야전군이 쓰핑을 점령하면서 창춘으로 가는 길이 열렸다.[3] 그러나 창춘의 도시 방어망이 잘 구축되어 있어 린뱌오는 포위 작전을 여러 차례 중단시켰다. 린뱌오는 병참 문제에 있어 완벽주의자였기 때문에, 창춘과 선양의 국민당군을 포위하는 데 병력을 집중하면 동북 지역 전체의 공산당 작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4]
3. 1. 린뱌오의 전략
1947년 화북 동계공세 기간 중국 공산당 동북군 사령관 린뱌오는 만주에서 국민당군에 대한 총공세를 위해 먼저 공격할 세 곳, 창춘, 선양, 진저우를 후보로 검토했다.[1] 다른 공산당군 장교들과 논의한 후 창춘을 첫 번째 목표로 정했다.[2] 1948년 3월, 동북야전군이 쓰핑을 점령하면서 창춘으로 가는 길이 열렸다.[3] 그러나 창춘의 방어 시설이 잘 갖춰져 있었기 때문에 린뱌오는 동북군의 창춘 포위 작전을 여러 차례 중단시켰다. 린뱌오는 병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완벽주의자였기 때문에, 공산당군이 창춘과 선양의 국민당군을 포위하는 데 집중하면 병력이 한 곳에 묶여 동북 지역 전체의 공산당군 공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4]3. 2. 쓰핑 전투
1948년 3월, 동북야전군은 쓰핑 시를 점령하여[1] 창춘으로 가는 길이 열렸다.[1]4. 포위전 전개
1948년 5월 23일, 린뱌오의 동북야전군이 창춘을 포위하면서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샤오진광이 1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해 창춘을 공격했으나 실패하자, 도시 포위를 강화했다.[5]
9월 중순, 동북해방군이 진저우 전역에서 진저우를 포위하자 정둥궈가 2개 사단을 동원해 창춘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6] 10월 중순 진저우가 함락되면서, 선양과 창춘의 국민당군은 육로가 완전히 단절되었다.[6]
10월 14일, 진저우 전투에서 공산당군이 승리한 후 창춘 포위 공격은 더욱 빨라졌다. 10월 16일, 정둥궈는 지휘관 회의를 열어 다음 날 새벽 창춘을 돌파해 남하하기로 결정했다.[7] 그러나 그날 저녁, 국민혁명군 제60군 군단장 쩡쩌성이 휘하 3개 사단 26,000명을 이끌고 공식적으로 공산당군에 귀순, 시내에 있던 신제7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8] 정둥궈는 공산군의 항복 압박에도 항복을 꺼리고 창춘 중앙은행 청사에서 농성하기로 결정했으나, 신제7군도 이미 10월 19일 공산당군과 합의를 마쳤고, 10월 20일 신제7군 군단장 리훙이 군사령부와 3개 사단을 이끌고 중국공산당에 항복했다.[9] 10월 21일 오전 4시, 정둥궈의 사령부도 저우언라이의 귀순 요청으로 항복했다.[10]
4. 1. 국민당군의 상황
창춘 포위전 당시 창춘의 국민당군은 제60군과 신제7군으로 구성되었으며, 1947년 겨울부터 사기가 저하된 상태였다.[1] 1948년 5월 23일, 린뱌오가 지휘하는 동북인민해방군(동북야전군)이 창춘 외곽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하면서, 창춘은 국민당 관할 지역과 완전히 단절되었다.[2] 가장 가까운 곳에 있던 국민당군은 진저우에 주둔한 판한제의 제6군이었다.[2]창춘 시내에서는 식량 배급이 어려워지면서 국민당군 제60군과 신제7군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으며, 신제7군은 보급품 공수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비난을 받았다.[3] 공산당군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국민당군이 탈영하도록 부추겼으며, 9월까지 13,700명의 국민당군이 탈영하여 공산당군에 귀순했다.[4]
4. 2. 공산당군의 봉쇄
1948년 5월 23일, 린뱌오가 지휘하는 동북인민해방군이 창춘 외곽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다.[1] 얼마 지나지 않아 창춘은 국민당군이 장악한 다른 지역과 완전히 단절되었다.[2] 가장 가까운 국민당군은 진저우에 있던 판한제의 제6군이었다.[2]창춘으로 향하는 공중 보급을 막기 위해, 포위군 사령관 샤오진광은 5월 하순 다팡선 공항을 점령하고[3] 활주로를 폭파하여 사용할 수 없게 만들고 공항을 강력하게 방어했다.[4] 국민정부는 창춘에 보급품을 공수하려 시도했으나, 근처에 공산당군의 대공포가 늘어나면서 제한적인 보급만 가능했다.[5]
4. 3. 민간인의 피해
150일간의 봉쇄로 창춘의 민간인 50만 명 중 많은 수가 굶어 죽었다.[3] 중국 공산당은 민간인들의 도시 이탈을 막아 식량난을 더욱 악화시켰다.5. 창춘 함락
10월 중순, 진저우가 함락되면서 창춘의 국민당군은 완전히 고립되었다.[7] 국민당군 지휘관 정둥궈는 공산군의 항복 압박에도 항복을 거부하고 창춘 중앙은행 청사에서 농성했으나, 10월 21일 오전 4시에 저우언라이의 귀순 요청을 받고 항복했다.[7]
5. 1. 국민당군의 분열과 투항
창춘 시내에서는 식량 배급이 어려워지면서 국민당 제60군과 신제7군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는데, 신제7군은 공수 물품을 우선적으로 받는다는 비난을 받았다.[1] 공산군은 이 상황을 이용하여 국민당 군인들의 투항을 장려했고, 9월 중순까지 13,700명의 국민당 군인이 투항했다.[2] 진저우 전투에서 10월 14일 공산군에 패배한 후, 공산군의 창춘 포위는 빠르게 강화되었다. 10월 16일 저녁, 국민당 제60군은 공식적으로 공산군으로 전향하여 시내에서 신제7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3] 정둥궈는 항복을 꺼렸지만, 신제7군 장교들은 이미 공산군과 합의를 마쳤고, 신제7군은 결국 10월 20일에 무기를 내려놓았다.[4][5][6]6. 여파
국민정부는 창춘 포위전으로 국민당이 더 이상 만주 지역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9] 이후 선양과 만주 나머지 지역도 빠르게 인민해방군에 장악되었다.[10] 동북 지역에서 인민해방군의 포위전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이 때문에 국민당군 병력이 크게 줄어들어 힘의 균형이 바뀌었다.
창춘 포위전에서 귀순한 쩡쩌성의 국민혁명군 제60군은 인민해방군 제50군으로 개편되었다.
민간인 사망자는 약 15만 명으로 추정된다.[9] 공산당은 국민당군의 식량 보급을 끊기 위해 민간인들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막았고, 그 결과 수만 명이 도시 안에서 굶어 죽었다.[10] 공산당은 8월 초까지 민간인 난민의 도시 이탈을 계속 막았다. 결국 15만 명의 민간인이 창춘을 떠났지만, 이 중 일부는 고의로 민간인을 굶겨 죽인다는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요원이나 스파이로 다시 들어간 사람도 있었다. 민간인들이 열악한 대우를 받은 이유 중 하나는 당시 창춘이 국민당이나 공산당 양쪽 모두와 정치적 연관이 없던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역사학자 해럴드 A. 태너는 창춘 포위전으로 발생한 많은 민간인 사망자가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평가했다. 이 사건은 1989년 장정룽(전 중국 인민해방군 군인)의 저서 《설백혈홍》을 통해 중국 대중에게 알려졌으나, 곧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검열되었고, 저자는 체포, 책은 금서가 되었다.[4][5]
일본에서는 이 사건을 경험한 엔도 호마레가 1983년 단편 다큐멘터리 《부조리의 저편》을 발표하고, 이듬해 장편 작품 《卡子》(차즈, 검문소를 의미)를 출판했다.[6] 이 책은 2022년 《또 하나의 제노사이드 창춘의 참극 "차즈"》로 복간되었다.
2017년에는 중국의 민주 활동가 두빈이 양측 자료와 생존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창춘 아사전: 중국 국공 내전 가장 참혹한 포위 1947.11.4 ~ 1948.10.19》(창춘 굶어 죽는 전쟁 중국 국공 내전의 가장 참혹한 포위전)을 대만에서 출판했으나,[7] 저자는 체포되어 소식이 끊겼다.[5] 같은 해, 중국 공산당의 중국 인민 출판사가 《포위된 창춘》을 출판하여 대량 아사자의 원인이 국민당 정부 측에 있다고 주장했다.[8]
6. 1. 전황의 변화
국민정부는 창춘 포위전으로 국민당이 더 이상 만주 지역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9] 창춘 포위전 이후 선양과 만주 나머지 지역도 빠르게 인민해방군에 장악되었다.[10] 동북 지역에서 보여준 인민해방군의 포위전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이 때문에 국민당군 병력이 크게 줄어들어 힘의 균형이 바뀌었다.창춘 포위전에서 귀순한 쩡쩌성의 국민혁명군 제60군은 인민해방군 제50군으로 개편되었다.
6. 2. 민간인 피해와 논란
창춘 포위전으로 인한 민간인 사망자는 약 15만 명으로 추정된다.[9]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군의 식량 보급을 끊기 위해 민간인들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막았고, 그 결과 수만 명이 도시 안에서 굶어 죽었다.[10]중국 공산당은 8월 초까지 민간인 난민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계속 막았다. 결국 전투 기간 중 15만 명의 민간인이 창춘시를 떠났지만, 이 중 일부는 공산당군이 고의적으로 민간인을 굶어 죽인다는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 안으로 요원이나 스파이로 들여보낸 사람도 포함되었다. 민간인들이 열악한 대우를 받은 이유 중 하나는 당시 창춘이 국민당이나 공산당 양쪽 모두와 정치적 연관이 없던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역사학자 해럴드 A. 태너는 창춘 포위전으로 발생한 많은 민간인 사망자가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평가했다. 창춘 포위전으로 인한 민간인 사망자 문제는 1989년 서적 《설백혈홍》이 발간되기 전까지 중국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 서적도 발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검열되었다.[10]
6. 3. 전후 처리
창춘에서 귀순한 쩡쩌성의 국민혁명군 제60군은 인민해방군 제50군으로 개편되었다.[4] 제50군은 이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창춘 포위전으로 발생한 민간인 사망자 수는 약 15만 명으로 추정된다.[9] 공산당은 국민당군의 식량 보급을 끊기 위해 민간인들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막았고, 그 결과 수만 명이 도시 안에서 굶어 죽었다.[9] 공산당은 8월 초까지 민간인 난민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계속 막았다.[9] 결국 전투 기간 15만 명의 민간인 난민이 창춘시를 떠났지만, 이 중 일부는 공산당군이 고의적으로 민간인을 굶어 죽인다는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 안으로 요원이나 스파이로 들여보냈다가 나간 사람도 포함되었다.[9] 민간인이 전투 기간 열악한 대우를 받은 이유 중 하나는 이전까지 창춘이 국민당이나 공산당 양쪽 모두와 연관이 없던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9] 역사학자 해럴드 A. 태너는 창춘 포위전으로 발생한 많은 민간인 사망자가 중국공산당의 정당성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말했다.[9] 창춘 포위전으로 발생한 민간인 사망자는 1989년 서적 《설백혈홍》이 발간되기 전까지 중국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 서적도 발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검열했다.[10]
6. 4. 역사적 평가 및 기록
창춘 포위전은 중국 현대사의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민간인 사망자 수는 약 15만 명으로 추정되며,[9] 중국공산당이 국민당군의 식량 보급을 끊기 위해 민간인들의 도시 이탈을 막아 수만 명이 굶어 죽었다.[10] 역사학자 해럴드 A. 태너는 이 사건이 중국공산당의 정당성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평가했다.[10]이 사건은 1989년 장정룽(전 중국 인민해방군 군인)의 저서 《설백혈홍》(눈처럼 흰 피처럼 붉은 중국 혁명 투쟁 보고 문학 총서 요심전역 편)을 통해 중국 대중에게 알려졌으나, 이 책은 곧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검열되었고, 저자는 체포, 책은 금서가 되었다.[4][5]
일본에서는 이 사건을 경험한 엔도 호마레가 1983년 단편 다큐멘터리 《부조리의 저편》을 발표하고, 이듬해 장편 작품 《卡子》(차즈, 검문소를 의미)를 출판했다.[6] 이 책은 2022년 《또 하나의 제노사이드 창춘의 참극 "차즈"》로 복간되었다.
2017년에는 중국의 민주 활동가 두빈이 양측 자료와 생존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창춘 아사전: 중국 국공 내전 가장 참혹한 포위 1947.11.4 ~ 1948.10.19》(창춘 굶어 죽는 전쟁 중국 국공 내전의 가장 참혹한 포위전)을 대만에서 출판했으나,[7] 저자는 체포되어 소식이 끊겼다.[5] 같은 해, 중국 공산당의 중국 인민 출판사가 《포위된 창춘》을 출판하여 대량 아사자의 원인이 국민당 정부 측에 있다고 주장했다.[8]
참조
[1]
뉴스
Red Army Starved 150,000 Chinese Civilians, Books Says
https://archive.seat[...]
The Seattle Times
2009-10-02
[2]
논문
China is Wordless on Traumas of Communists' Rise
https://www.nytimes.[...]
2009-10-01
[3]
뉴스
Red Army Starved 150,000 Chinese Civilians, Books Says
http://community.sea[...]
The Seattle Times
2009-10-02
[4]
논문
China is Wordless on Traumas of Communists' Rise
https://www.nytimes.[...]
2009-10-01
[5]
뉴스
もう一つのジェノサイド「チャーズ」の真相を書いた中国人は次々と逮捕される
https://news.yahoo.c[...]
ヤフーニュース
2022-06-28
[6]
서적
生き神の思想史
岩波書店
2010
[7]
웹사이트
長春餓殍戰:中國國共內戰最慘烈的圍困1947.11.4 ~ 1948.10.19
https://www.kingston[...]
金石堂
[8]
뉴스
許せない習近平の歴史改ざん_もう一つのジェノサイド「チャーズ」
https://news.yahoo.c[...]
ヤフーニュース
2022-06-27
[9]
뉴스
Red Army Starved 150,000 Chinese Civilians, Books Says
http://community.sea[...]
The Seattle Times
2009-10-02
[10]
논문
China is Wordless on Traumas of Communists' Rise
https://www.nytimes.[...]
2009-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