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인리히 렌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렌츠는 1804년 현재 에스토니아 타르투인 도르파트에서 태어난 러시아 제국의 물리학자이다. 타르투 대학교에서 화학과 물리학을 공부하고, 오토 폰 코체부의 세계 일주 탐험에 참여하여 해수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1840년부터 1863년까지 수학 및 물리학 학장을 역임하고, 186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총장을 지냈다. 1833년 전자기 유도 현상에서 유도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는 렌츠의 법칙을 발표했으며, 1842년 줄의 법칙을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줄-렌츠 법칙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전기도금 기술 개발에 기여했으며, 1865년 로마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 달의 렌츠 분화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보니아 출신 - 아돌프 폰 하르나크
    아돌프 폰 하르나크는 독일의 신학자로서, 자유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교회사, 교의사, 신약성서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기독교의 본질》을 저술하고 카이저 빌헬름 협회 초대 총재를 역임하며 기독교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 리보니아 출신 - 아이제이아 벌린
    러시아 태생의 영국 철학자 아이제이아 벌린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문 활동을 하며 자유, 반계몽주의, 가치 다원주의 등의 개념을 통해 20세기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현재에도 그의 사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 러시아의 전기공학자 - 올레크 로세프
    올레크 로세프는 1903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42년 사망한 과학자이며, 접촉식 수정 검출기 연구와 탄화 규소 다이오드에서 빛 방출 현상을 발견하여 LED 연구에 기여했으며, 음저항 다이오드를 활용한 고체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 러시아의 전기공학자 - 니콜라이 메르쿠시킨
    니콜라이 메르쿠시킨은 러시아의 정치인으로, 모르도바 공화국 대통령을 거쳐 사마라주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안정적인 경제 유지와 정시 급여 지급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반대자 출마 제한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교수 - 안드레이 란코프
    안드레이 란코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유학 후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의 정치, 사회, 역사, 특히 권력 구조와 주민 생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NK News, 코리아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Korea Risk Group의 이사로 활동하는 등 북한 관련 연구 및 대중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는 북한학 전문가이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교수 - 블라디미르 프로프
    블라디미르 프로프는 러시아의 민속학자이자 문학 이론가로, 러시아 민담의 구조를 분석하여 31가지 기능과 7가지 역할로 분류한 《옛이야기 형태론》을 통해 민속학 및 구조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론은 다양한 서사 구조 분석 및 창작에 활용되고 있다.
하인리히 렌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하인리히 프리드리히 에밀 렌츠
러시아어 이름에밀리 크리스티아노비치 렌츠
출생1804년 2월 12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리보니아 현 도르파트
사망1865년 2월 10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국적러시아
학력
모교타르투 대학교
경력
직업물리학
근무 기관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렌츠의 법칙
공동 업적줄-렌츠 법칙

2. 생애

러시아 제국 도르파트(현재의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 태어나 타르투 대학교에서 물리학화학을 공부했다. 1823년부터 1826년까지 오토 폰 코체부의 제3차 세계 일주 조사에 참여하여 해수의 수질과 물리적 성질을 연구했다. 귀국 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근무하며 1840년부터 1863년까지 수학 및 물리학 학부장을 역임했다.

1833년 렌츠의 법칙을 발견했고, 1842년 과는 별도로 줄의 법칙을 발견했다.

1865년 2월 10일, 교황령(현재의 이탈리아) 로마에서 60세로 사망했다.[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렌츠는 1804년 당시 러시아 제국 리보니아 현에 속한 도르파트(현재의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 태어났다. 1820년 중등 교육을 마친 후, 타르투 대학교에서 화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3] 1823년부터 1826년까지 항해사 오토 폰 코체부와 함께 세계 일주 탐험에 참여하여, 항해 중 기후 조건과 해수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했다.[4]

2. 2. 세계 일주 탐험

렌츠는 1823년부터 1826년까지 항해사 오토 폰 코체부와 함께 세계 일주 탐험에 참여했다.[3] 항해 중 렌츠는 기후 조건과 해수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했다. 그 결과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회보" (1831)에 게재되었다.[4]

2. 3. 학문적 경력

렌츠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근무하기 시작했으며, 1840년부터 1863년까지 수학 및 물리학 학장을, 1863년부터 1865년 사망할 때까지 총장을 역임했다.[4] 1830년과 1831년에는 페트리슐레와 미하일로프스카야 군사 포병 아카데미에서도 가르쳤다.[4]

1831년에 전자기학 연구를 시작했다.[4] 1842년에는 줄의 법칙(-렌츠 법칙)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4]

모리츠 폰 야코비가 발명한 전기도금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39년, 렌츠는 전주를 사용하여 여러 메달을 제작했고, 같은 해 야코비가 제작한 전주 부조와 함께 전주조형의 첫 번째 사례로 꼽힌다.[5]

3. 주요 업적

1833년 렌츠의 법칙을 발표했고, 1842년에는 제임스 프레스콧 줄과 독립적으로 줄의 법칙(열역학 제1법칙)을 발견하여 "줄-렌츠 법칙"이라고도 불린다.[4] 모리츠 폰 야코비의 전기도금 기술 개발에 참여, 1839년 전주를 이용해 여러 메달을 제작했다.[5]

3. 1. 렌츠의 법칙

1833년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코일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코일을 관통하는 자력선의 변화에 비례하며, 발생하는 전류의 방향은 자력선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이 된다는 렌츠의 법칙을 발표했다.[5]

3. 2. 줄의 법칙 (줄-렌츠 법칙)

렌츠는 1831년 전자기학 연구를 시작했다. 1842년에는 제임스 프레스콧 줄과 독립적으로 줄의 법칙(열역학 제1법칙)을 발견했는데, 이 문제에 대한 그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줄-렌츠 법칙"이라고도 불린다.[4]

3. 3. 전기도금 기술 개발

렌츠는 친구이자 동료인 모리츠 폰 야코비가 발명한 전기도금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5] 1839년, 렌츠는 전주를 사용하여 여러 메달을 제작했으며, 같은 해 야코비가 제작한 전주 부조와 함께 전주조형의 첫 번째 사례로 꼽힌다.[5]

4. 사망

렌츠는 뇌출혈로 고통받은 후 교황령(후의 이탈리아) 로마에서 1865년 사망했다.[5]

5. 기타

달 뒷면의 렌츠 분화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5. 1. 렌츠 (크레이터)

달의 뒷면에 있는 렌츠 분화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참조

[1]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Volume 2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논문 Ueber die Bestimmung der Richtung der durch elektodynamische Vertheilung erregten galvanischen Ströme http://gallica.bnf.f[...]
[3] 간행물 Lenz, Emil Khristianovich (Heinrich Fridrich Emil) https://archive.org/[...] DSB
[4] 서적 German Naturalists in the Pacific around 1800: Entanglement, Autonomy, and a Transnational Culture of Expertise Berghahn Books
[5] 웹사이트 History of electroplating in the 19th century Russia http://www.galteh.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