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평군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1409년 함풍현과 모평현의 통합으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1895년 나주부 함평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 함평군으로 변경되었다. 1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평 나비축제로 유명하다. 호남선 철도가 지나가며, 무안광주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가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KIA 타이거즈의 2군 홈구장인 기아 챌린저스 필드가 있으며, 여러 교육 기관과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평군 - 학교면
    학교면은 전라남도 함평군의 면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금동면, 진례면, 좌촌면이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학다리중앙초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와 함평역이 위치하고 쌀, 방울토마토, 동충하초 등의 특산물이 있다.
  • 함평군 - 함평나비대축제
    함평나비대축제는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나비를 테마로 기획된 친환경 축제로서, 농특산물 판매 촉진을 목표로 정부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후원을 받는다.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함평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치
군수이상익 (더불어민주당)
상징
군목은행나무
군화춘란
군조먹황새
상징 동물호랑나비
기타
홈페이지함평군청

2. 역사

함평(咸平)은 본래 백제의 굴내현(屈乃縣)이었는데, 757년에 함풍현으로 개칭하고 무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에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에 감무(監務)를 두면서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모평(牟平)은 본래 백제의 다지현(多只縣)이었는데, 757년에 다기현(多岐縣)으로 개칭하고 무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에 모평현으로 개칭하여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1391년에 나주목의 영풍향(永豐鄕)ㆍ다경부곡(多景部曲)과 영광의 속현인 해제현(海際縣)이 함풍현에 편입되었다. 별호는 기성(箕城)이다.

1409년 함풍현과 모평현을 '''함평현'''(咸平縣)으로 통합하고, 치소를 함풍(지금의 함평읍)에 두었다. 이 해에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함풍에 속해있던 해제현·영풍향·다경부곡이 폐지되어 직촌이 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함평(咸平)은 본래 백제의 굴내현(屈乃縣)이었는데, 757년에 함풍현으로 개칭하고 무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에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에 감무(監務)를 두면서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모평(牟平)은 본래 백제의 다지현(多只縣)이었는데, 757년에 다기현(多岐縣)으로 개칭하고 무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에 모평현으로 개칭하여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1391년에 나주목의 영풍향(永豐鄕)ㆍ다경부곡(多景部曲)과 영광의 속현인 해제현(海際縣)이 함풍현에 편입되었다. 별호는 기성(箕城)이다.

1409년 함풍현과 모평현을 '''함평현'''(咸平縣)으로 통합하고, 치소를 함풍(지금의 함평읍)에 두었다. 이 해에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함풍에 속해있던 해제현·영풍향·다경부곡이 폐지되어 직촌이 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함평군으로 개편하였다.[14][6]

14면 : 동현내면(東縣內面), 서현내면(西縣內面), 평릉면(平陵面), 식지면(食知面), 갈동면(葛洞面), 월악면(月岳面), 대야면(大野面), 해보면(海保面), 대동면(大洞面), 신광면(神光面), 손불면(孫佛面), 영풍면(永豐面, 옛 영풍향), 다경면(多慶面, 옛 다경부곡), 해제면(海際面, 옛 해제현)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함평군으로 개편하였다.[15][7]

1906년 동현내면과 서현내면을 기성면(箕城面)으로 통합하였다. 다경면과 해제면이 무안군에 편입되고, 나주군 대화면, 오산면, 장본면, 적량면, 여황면이 함평군에 편입되었다. (16면)

2. 2. 일제강점기 ~ 현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함평군으로 개편되었고,[14][6]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함평군으로 개편되었다.[15][7] 1906년 동현내면과 서현내면이 기성면으로 통합되었고, 다경면과 해제면이 무안군에 편입되었으며, 나주군 대화면, 오산면, 장본면, 적량면, 여황면이 함평군에 편입되었다. (16면)[15]

1914년 4월 1일, 대화면은 장성군에, 오산면은 광주군에, 장본면·적량면·여황면은 나주군에 편입되었고, 목포부 금동면·진례면·좌촌면·엄다면·신로면이 함평군에 편입되었다.[16][8] 1932년 11월 2일 식지면과 평릉면을 나산면으로 합면하였다.[17][18]

1932년 11월 2일 식지면과 평릉면이 나산면으로 통합되었다. (9면)[17][18] 1963년 1월 1일 함평면이 함평읍으로 승격하였다.[19][9] 1973년 7월 1일 학교면 상옥리, 월송리, 금곡리, 백호리를 대동면에 편입하였다.[20][10] 1987년 1월 1일 함평읍 성남리, 학교면 사거리 각 일부를 엄다면에 편입하였다.[21][11]

3. 지리

함평군은 전라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하여 북으로는 군유산, 불갑산을 경계로 하여 영광군, 장성군과 인접하고, 동으로는 광주광역시, 남으로는 나주시, 무안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황해 바다인 함평만을 서쪽에 끼고 있다.

함평군의 중앙 부위는 노령산맥 일지맥이 천주봉, 고산봉을 이루어 남으로 뻗어 있고, 동부에는 장성호의 수원을 받아 광활한 월야평야를 이루고, 서남부로는 간척지가 산재하고 대동제를 젖줄로 한, 함평평야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다.

함평군의 동편을 껴안고 월야평야로부터 흐르는 고막천(영산강지류)과 서북부에 위치한 대동제를 시점으로 흐르는 함평천은 함평, 학교평야를 지나 영산강에 합류되고 있다.[22]

4. 행정 구역

'''함평군의 행정 구역'''은 1읍 8면 272리 488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함평군의 면적은 392.43km2이며, 인구는 2020년 8월을 기준으로 17,844 세대, 32,238명이다.[23]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
함평읍咸平邑40.234,3338,493
함평군 행정구역도
손불면孫佛面55.271,9473,412
신광면新光面41.061,1051,883
학교면鶴橋面46.422,2783,904
엄다면嚴多面23.311,1711,949
대동면大洞面56.521,7523,140
나산면羅山面55.621,6872,889
해보면海保面39.491,6162,857
월야면月也面34.512,0553,711
함평군咸平郡392.4317,94432,238



각 읍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함평읍함평리, 기각리, 내교리, 수호리, 성남리, 자풍리, 만흥리, 장교리, 옥산리, 가동리, 석성리, 장년리, 진량리, 대덕리
대동면상옥리, 금곡리, 월송리, 백호리, 강운리, 향교리, 덕산리, 용성리, 운교리, 금산리, 서호리, 연암리
월야면계림리, 양정리, 영월리, 예덕리, 외치리, 용암리, 용월리, 용정리, 월계리, 월악리, 월야리, 정산리
손불면학산리, 양재리, 북성리, 월천리, 대전리, 동암리, 죽장리, 죽암리, 궁산리, 석창리, 산남리
신광면동정리, 백운리, 부여리, 복흥리, 삼덕리, 송사리, 원산리, 월암리, 유천리, 함정리, 계천리, 가덕리
나산면나산리, 삼척리, 수하리, 신평리, 송암리, 이문리, 수상리, 용두리, 우치리, 초포리, 월봉리, 원선리, 구산리, 덕림리
해보면광암리, 금계리, 금덕리, 대각리, 대창리, 문장리, 산내리, 상곡리, 용산리, 해보리
엄다면삼정리, 성천리, 송로리, 신계리, 엄다리, 영흥리, 학야리, 화양리
학교면고막리, 곡창리, 금송리, 마산리, 복천리, 사거리, 석정리, 월산리, 월호리, 죽정리, 학교리


5. 인구

함평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24]

연도총인구
1960년127,504명
1966년138,908명
1970년125,006명
1975년119,167명
1980년96,358명
1985년78,178명
1990년63,091명
1995년48,365명
2000년41,292명
2005년36,188명
2010년30,995명


6. 상징

함평군의 군화는 배롱나무이다.[3] 군목은 은행나무이다.[3] 군조는 비둘기이며,[3] 군접은 호랑나비이다.[3]

7. 브랜드 슬로건

함평군은 광범위한 개발 구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슬로건은 "ECO 함평"이다. 이는 지역의 녹색 자연과 창의성을 나타낸다. 또한, 친환경 농업에 종사하는 많은 주민들을 고려하고 있다.

8. 관광

함평은 매년 열리는 함평 나비축제로 유명하며, 이 축제는 대한민국에서 유일무이한 축제이다. 함평군은 이 축제를 위해 수만 마리의 나비를 사육하고 있으며, 곤충을 위한 온실 등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매년 함평 나비축제에는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방문하는데, 함평의 규모를 고려하면 상당히 많은 수치이다. 함평군은 산업자원이나 관광자원이 전무하고, 특별한 특산품이나 먹을 거리도 부족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친환경 지역이라는 특성을 살려 함평에서 생산된 농특산물 판매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군민소득 증대가 절실히 요구되어 지역홍보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함평천 정화사업에 따라 마련된 고수부지 33ha에 만개할 유채꽃을 배경으로 유채꽃 축제를 추진하려고 하였지만 유채로는 경쟁력과 차별화를 기할 수 없어 친환경지역임을 가장 어필할 수 있는 나비를 테마로 축제를 기획하게 되었다. 2011년 제13회 축제를 개최였으며,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대한민국 최우수 축제로 선정되어 4년 연속 문화체육관광부 최우수 축제로 지정되었다. 이 축제를 홍보하기 위해 2005년 당시 군수가 관용차로 폭스바겐 비틀을 구매하기도 했다.

8. 1. 함평나비대축제

함평군은 산업자원이나 관광자원이 전무하고, 특별한 특산품이나 먹을 거리도 부족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친환경 지역이라는 특성을 살려 함평에서 생산된 농특산물 판매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군민소득 증대가 절실히 요구되어 지역홍보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함평천 정화사업에 따라 마련된 고수부지 33ha에 만개할 유채꽃을 배경으로 유채꽃 축제를 추진하려고 하였지만 유채로는 경쟁력과 차별화를 기할 수 없어 친환경지역임을 가장 어필할 수 있는 나비를 테마로 축제를 기획하게 되었다.

2011년 제13회 축제를 개최였으며,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대한민국 최우수 축제로 선정되어 4년 연속 문화체육관광부 최우수 축제로 지정되었다.

이 축제를 홍보하기 위해 2005년 당시 군수가 관용차로 폭스바겐 비틀을 구매하기도 했다. 함평은 매년 열리는 나비축제로 유명하며, 이 축제는 대한민국에서 유일무이한 축제이다. 함평군은 이 축제를 위해 수만 마리의 나비를 사육하고 있으며, 곤충을 위한 온실 등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매년 함평 나비축제에는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방문하는데, 함평의 규모를 고려하면 상당히 많은 수치이다.

8. 2. 기타 관광지

9. 교통

9. 1. 철도

코레일 호남선이 함평군을 지난다.

(전남 나주시) ← 고막원역 - 함평역 → (전남 무안군)

호남선 함평역이 있다.

9. 2. 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동함평 나들목서해안고속도로 함평 나들목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에는 함평 분기점, 함평휴게소(목포 방향, 서울 방향), 함평 나들목이 있다. 무안광주고속도로에는 함평 분기점, 함평 나비휴게소, 동함평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1호선, ,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지난다.

9. 3. 버스

함평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함평시외버스터미널, 학교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0. 스포츠

KIA 타이거즈의 2군 홈구장인 기아 챌린저스 필드가 있다. 기아 챌린저스 필드는 전남 야구장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11. 교육 기관

함평군에는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고등학교로는 나산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함평학다리고등학교, 함평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함평여자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로는 함평손불중학교, 함평신광중학교, 함평여자중학교, 함평월야중학교, 함평중학교, 함평해보중학교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함평영화학교월광기독학교가 있다.

11. 1. 대학교

11. 2. 고등학교

나산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함평학다리고등학교, 함평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함평여자고등학교가 있다.

11. 3. 중학교

함평손불중학교, 함평신광중학교, 함평여자중학교, 함평월야중학교, 함평중학교, 함평해보중학교가 있다.

11. 4. 특수학교

12. 정치

함평군의 행정 구역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함평군의 군수를 선출하는 선거에 대한 내용은 함평군수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

함평경찰서

13. 자매 도시

함평군은 대한민국과 필리핀의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서울특별시 성동구
  • 부산광역시 남구
  • 대구광역시 동구
  • 경상남도 남해군
  • 경상남도 고성군
  • 경상북도 고령군
  • 충청북도 제천시
  • 경기도 안양시
  • 팜팡가주 앙헬레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Welcome to Hampyaong!! http://hampyeong.jeo[...] 2018-04-01 # dead link date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hampyeong.jeo[...] 2008-01-14
[4]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hampyeong.jeo[...] 2008-01-14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법률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7] 법률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9] 법률 法律第1177号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10]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1973-03-12
[11] 법률 大統領令第12017号 1986-12-23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간행물 나주 복암리 유적 출토 목간 문화재청 2009-07-01
[14]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5]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기타
[18] 기타
[19] 법률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20]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21] 법률 대통령령 제12017호 1986-12-23
[22] 서적 함평군 통계연보 2010
[23] 보고서 함평군 2020년 통계연보
[24] 보고서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5] 웹사이트 축제 유래 http://www.hampyeong[...] 2011-08-04 # 확인날짜
[26] 뉴스 제13회 함평나비대축제 입장권 사전 예매 http://news.cnbnews.[...] CNB 뉴스 2011-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