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경제신문은 1963년 8월 15일 스포츠 일간지 <일간스포츠신문>으로 창간된 이후 일간경제신문, 현대경제일보를 거쳐 1980년 11월 26일 현재의 제호로 변경되었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창달을 사시로 하며, 다산경제학상 등을 제정하여 시상한다. 현대자동차, 삼성, LG, SK 등 194개 기업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주 6일제 신문을 발행한다. 한국경제TV, 한경닷컴, 한경매거진, 한경BP, 텐아시아 등을 계열사로 두고 미디어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TESAT을 주관하고 포천힐스CC를 소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신문 - 매일경제신문
매일경제신문은 1966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경제 신문으로, 봉황대상 제정, 매경 오픈 골프 선수권 대회 개최, 매경 전자신문 서비스 시작, 매일경제TV(MBN) 개국 등을 통해 사업을 확장했으며, 현재는 경제지 중 가장 많은 독자를 보유하고 세계지식포럼 등을 개최하며 글로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경제신문 - 아시아경제신문
- 1964년 창간 - 더 선
더 선은 1964년 창간되어 루퍼트 머독 인수 후 타블로이드로 변모한 영국의 대중지로, 여러 논란과 정치적 지지 변경, 선정적 보도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영국 총선과 국민투표에 영향력을 행사해왔고, '3면' 누드 모델 게재 중단 및 발행 부수 감소를 겪고 있다. - 1964년 창간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수영복 특집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수영복 특집은 스포츠 일정이 적은 겨울철을 위해 기획된 연례 특집호로, 많은 모델을 배출하고 여성의 성적 매력과 상품화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일간신문 - 서울신문
서울신문은 1904년 창간된 대한매일신보의 역사를 잇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종합일간지로, 일제강점기 총독부 기관지 시기를 거쳐 광복 후 민족 언론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노력했으며, 온라인 뉴스 공급 시스템 구축, 사회 사업, 주 5일 발행 체제 도입 등 변화를 시도해왔으나 과거 정부 편향적 보도 논란도 있었다. - 대한민국의 일간신문 -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는 1969년 한국일보 자매지로 창간된 스포츠 신문으로, 스포츠호치와의 제휴, 코스닥 상장, 중앙일보 계열사 편입, JTBC PLUS 합병, KG그룹 매각 등 소유권 변동과 구조조정을 겪으며 경영 및 편집 방향에 변화를 겪었다.
한국경제신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경제신문 |
유형 | 일간 경제 신문 |
형태 | 브로드시트 |
창간일 | 1964년 10월 12일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
발행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웹사이트 | 한국경제 글로벌 한국경제신문 |
한글 표기 | 한국경제신문 |
한자 표기 | 韓國經濟新聞 |
로마자 표기 | Hanguk Gyeongje Sinmun |
약칭 | 한경 |
가격 | 1부당 1000원/1개월 정기구독 20000원 |
발행 법인 | 한국경제신문사 |
로고 | |
![]() | |
정치 성향 | |
정치적 스펙트럼 | 보수주의 |
위치 정보 | |
2. 역사
1963년 8월 15일 국내 최초 스포츠 일간지 <일간스포츠신문>으로 창간되었으나,[3] 스포츠 신문 시장의 미성숙으로 구독률이 낮았다. 1964년 10월 12일 '''일간경제신문'''(日刊經濟新聞)으로, 1965년 10월 12일 '''현대경제일보'''(現代經濟日報)로 제호를 변경하였다. 1980년 11월 26일 현재의 '''한국경제신문'''으로 제호가 변경되었다.[3]
1987년 4월 한국 최초의 전자신문인 케텔(KETEL, PC통신 하이텔의 전신)을 개발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뉴스를 제공했고, 1990년 12월에는 신문제작 전산시스템(CTS)을 전면 도입했다. 1997년 현재의 신사옥을 준공하였다.
2008년 12월 1일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상징하는 워드마크 CI를 도입하고 지면을 개편하였으며,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 중국경제일보(经济日报|경제일보중국어 The Economic Daily)와 제휴하고 있다.[3]
2. 1. 창간 초기
1963년 8월 15일 국내 최초 스포츠 일간지 <일간스포츠신문>으로 창간되었으나,[3] 스포츠 신문 시장의 미성숙으로 구독률이 낮았다. 1964년 10월 12일 '''일간경제신문'''(日刊經濟新聞)으로 제호를 변경하였으며, 1965년 10월 12일 '''현대경제일보'''(現代經濟日報)로 다시 제호를 변경하였다.2. 2. 한국경제신문으로의 변화
1980년 11월 26일 현재의 '''한국경제신문'''으로 제호가 변경되었다.[3] 1987년 4월 한국 최초의 전자신문인 케텔(KETEL, PC통신 하이텔의 전신)을 개발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뉴스를 제공했다. 1990년 12월 한국 언론사로는 선도적으로 신문제작 전산시스템(CTS)을 전면 도입했다. 1997년 현재의 신사옥을 준공하였다. 2008년 12월 1일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상징하는 워드마크 CI를 도입하고 지면을 개편하였다.2. 3. 국제 협력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 중국경제일보(经济日报|경제일보중국어 The Economic Daily)와 제휴하고 있다.[3]3. 사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창달을 사시로 삼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실사구시 정신을 계승한다는 취지에서 다산경제학상, 다산경영상, 다산기술상, 다산금융상 등을 제정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4. 주주
2006년 1월 기준으로 현대자동차, 삼성, LG, SK 등 194개 기업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납입 자본금은 934억원이다.
5. 지면
주 6일제 신문을 발행한다. 매주 일요일에는 신문을 발행하지 않고[4]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평일과 토요일에는 종합·경제뉴스 섹션(A)과 기타·경제 정보 섹션(B 이상)을 발행한다.
6. 계열사
한국경제신문사는 신문 외에 계열사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사업을 펼치고 있다. 증권과 경제 전문 케이블 TV 방송인 한국경제TV, 인터넷 미디어인 한경닷컴, 경제 전문 주간·월간지를 발행하는 한경매거진, 경제·경영 도서를 출판하는 한경BP, 글로벌 연예 매체인 텐아시아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자체적으로 고교생 경제 신문인 생글생글과 바이오 투자자를 위한 한경바이오인사이트를 발간하고 있다. 글로벌 독자들을 겨냥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한국 기업 뉴스를 서비스하는 'The Korea Economic Daily Global Edition'을 창간했다. 국가 공인 경제이해력 검증 시험인 TESAT을 주관하고 있다. 대중제 골프장인 포천힐스CC도 소유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Internet Election Campaigns in the United States,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2]
뉴스
Company Overview of The Korea Economic Daily
https://archive.toda[...]
2013-11-20
[3]
뉴스인용
日刊(일간)「스포츠」新聞(신문)8月(월)15日(일)부터發刊(발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4-09-01
[4]
문서
설날·추석에 한정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5월1일 궂긴 소식
4월28일 궂긴 소식
3월12일 궂긴 소식
2월28일 궂긴 소식
2월18일 궂긴 소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