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산경제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산경제학상은 한국경제신문이 한국 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학자들의 공로를 기리고 학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정약용의 실학사상을 기려 1982년 창간 기념일에 제정되었으며, 매년 시상하지만 합당한 수상자가 없을 경우 시상하지 않기도 한다. 1982년부터 2021년까지 여러 경제학자들이 수상했으며, 2012년부터는 젊은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다산 젊은경제학자상'을 수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약용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정약용 - 목민심서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지방관의 덕목과 정책을 제시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청렴과 애민 정신을 강조하며 12강 72조로 구성되어 지방관의 자세, 행정 실무, 빈민 구제 정책 등을 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상 -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되어 영화, TV, 연극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며, 1965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현재는 JTBC에서 중계 방송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상 - 동아연극상
    동아연극상은 동아일보가 주최하여 대한민국의 연극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작품을 시상하는 연극상이다.
다산경제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다산경제학상
다산경제학상 로고
다산경제학상 로고
기본 정보
분야경제학
주최다산학술문화재단, 매일경제신문
후원한국 경제학회
시상 시작1982년
웹사이트다산학술문화재단
역대 수상자
1회 (1982년)김준, 박우희, 변형윤, 안병직, 유승근, 이만기, 조순
2회 (1983년)김광수, 김세원, 김정호, 남상구, 이영섭, 정운찬
3회 (1984년)강철규, 김도훈, 김주한, 박재윤, 손원익, 신영철, 이창녕
4회 (1985년)구본호, 김균, 김대환, 이성순, 장하성, 조동성
5회 (1986년)김인철, 나성린, 박원암, 서상목, 윤명현, 이영선, 정갑영
6회 (1987년)강명헌, 김경환, 문희철, 오세억, 우승제, 최병선
7회 (1988년)권영준, 김기원, 김태기, 서중해, 윤창현, 이두원
8회 (1989년)강정모, 김홍균, 박종구, 성병문, 이근, 임봉수
9회 (1990년)김용민, 김정식, 박대근, 신동천, 안국신, 최도성
10회 (1991년)구자춘, 김도훈, 박기영, 신인석, 이종원, 홍기택
11회 (1992년)김승희, 배형환, 서용원, 성태윤, 윤윤진, 정진욱
12회 (1993년)강신규, 권오규, 김광두, 김학균, 이준구, 조하현
13회 (1994년)강형기, 고영선, 김창록, 박우규, 이원우, 장세진
14회 (1995년)김재홍, 문성현, 박성훈, 신관호, 이영기, 정선주
15회 (1996년)구정모, 김양생, 박상수, 오형욱, 이재형, 조윤제
16회 (1997년)김기수, 김도훈, 박대위, 오상봉, 윤덕룡, 최인범
17회 (1998년)권혁승, 김병연, 남주하, 유경원, 이창수, 홍훈
18회 (1999년)김원규, 김태윤, 민성환, 송의영, 신성환, 안세영
19회 (2000년)김창진, 박윤수, 손욱, 윤성주, 이종욱, 조문범
20회 (2001년)강웅수, 구천서, 김진우, 박기백, 신보성, 조영준
21회 (2002년)김성현, 김세직, 박종평, 정재식, 조성훈, 최승주
22회 (2003년)구본창, 김석영, 민세진, 송치영, 심상달, 정창수
23회 (2004년)강창희, 김병국, 박경민, 손태원, 윤지웅, 최윤재
24회 (2005년)김정동, 박성준, 서민교, 신장섭, 이형탁, 홍석우
25회 (2006년)강동수, 권용수, 김영식, 박영렬, 유철규, 황성현
26회 (2007년)김도훈, 문창권, 박인옥, 신동엽, 이동기, 최용민
27회 (2008년)강승모, 구승회, 김규판, 박명섭, 이철인, 조성찬
28회 (2009년)고려대, 김완진, 박종안, 성백남, 이정민, 정후열
29회 (2010년)곽승준, 김성훈, 박대근, 손양훈, 이윤석, 최정규
30회 (2011년)김주형, 박찬수, 신현한, 윤상호, 정선호, 조용승
31회 (2012년)강현주, 김창욱, 박태규, 오종현, 이한상, 홍기현
32회 (2013년)김진일, 박정호, 송헌재, 신관호, 이동은, 정창영
33회 (2014년)강창묵, 김세완, 박준용, 이원기, 정재호, 최기영
34회 (2015년)구태용, 김종석, 박상언, 이재원, 정영호, 홍정효
35회 (2016년)김병조, 김정욱, 박기성, 윤태영, 이형석, 주병기
36회 (2017년)김용진, 박경서, 성명재, 윤창현, 최윤정, 황인학
37회 (2018년)강동헌, 김성준, 박창균, 백웅기, 이정동, 조성익
38회 (2019년)남수현, 노형탁, 문우식, 박형주, 이인호, 임효창
39회 (2020년)구정모, 김대욱, 민인식, 안재욱, 정동욱, 최슬기
40회 (2021년)강남욱, 김현철, 박진, 신용상, 이영민, 하준경
41회 (2022년)강승훈, 김도훈, 박준, 안상훈, 윤준만, 최지혜

2. 제정 배경 및 의의

1980년대 초, 국내 경제학계에는 정치권을 노리는 '폴리페서'들이 많았지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연구에 매진하며 세계적인 논문을 발표하고 한국 경제학 발전에 기여하는 학자들도 있었다. 한국경제신문은 이러한 학자들의 공로를 치하하고 학술 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다산경제학상을 제정하였다. 다산경제학상은 한국 경제학 발전에 기여하고, 경제 위기 극복과 올바른 경제 정책 방향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3. 역대 수상자

다산경제학상은 경제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2010년대 이후에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젊은 경제학자들의 수상이 두드러진다.

3. 1. 1~10회 (1982년~1991년)

1~10회 (1982년~1991년) 다산경제학상 수상자
회차수상자학력 및 주요 경력
1회
(1982년)
조기준일본 상지대 경제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경제학 박사, 고려대 경상대 교수·정경대학장, 한국경제사학회장 역임
1회
(1982년)
조순서울대학교 상대 졸업, 미 캘리포니아대 경제학 박사, 미 뉴햄프셔대 조교수,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장, 한국국제경제학회장,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 서울특별시장 역임
2회
(1983년)
고승제일본 입교대 졸업, 경제학 박사, 서울대·고려대·연세대 교수, 한양대행정대학원장, 한국경제학회 명예회장 역임
2회
(1983년)
김준보일본 구주대 졸업, 전북대학교 명예 농업경제학 박사, 전북대 총장, 서울대·고려대 교수·한신대 대우교수 역임
3회
(1984년)
김옥근서울대 상대 및 대학원 졸업, 경제학 박사, 경성대학교 교수, 경성대 대학원장 역임
3회
(1984년)
임원택동경제대 중퇴, 서울대 문리대 및 대학원 졸업, 경제학 박사, 서울대·성균관대학교 교수 역임
4회
(1985년)
이기준서울대 상대 졸업, 영국 옥스퍼드대 졸업, 경제학 박사, 서울대·국민대학교 교수, 한국개발연구원 이사장,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이사 역임
5회
(1986년)
권병탁경북대학교 법정대 졸업, 경제학 박사, 대구대학교 교수, 영남대학교 상경대학장 역임
5회
(1986년)
김윤환고려대 경상대 졸업, 경제학 박사, 고려대·미 하버드대 교환교수 역임
6회
(1987년)
박광순전남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박사, 목포대학교 학장, 전남대 경영대학원장·교무처장 역임
6회
(1987년)
변형윤서울대 상대 졸업, 경제학 박사, 서울대 경제연구소 소장·상대학장·회계학회장 역임
7회
(1988년)
주종환일본 동경대 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수료, 동국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제학 박사, 동국대 농대학장, 한국농업경제학회장 역임
8회
(1989년)
박우회서울대 상대 졸업, 동경대 경제학 박사,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장, 국제경제학 회장 역임
10회
(1991년)
김병태중앙대학교 경상대 졸업, 한국경제학회 부회장, 건국대학교 대우교수 역임


3. 2. 11~20회 (1992년~2001년)

회차수상자학력주요 경력
11회 (1992년)김영호경북대학교 경상대 졸업, 大阪市立大学|오사카시립대일본어 경제학 박사경북대학교 교수
12회 (1993년)전철환서울대학교 상대 졸업, 영국 맨체스터대 대학원 수료, 제12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충남대학교 교수
14회 (1995년)김일곤부산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경제학과 수료, 경제학 박사금융통화운영위원, 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교수, 부산발전연구원 원장
15회 (1996년)윤석범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연세대학교 상경대학장,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교수, 금융통화운영위원회 위원
16회 (1997년)김종현일본 専修大学|센슈대일본어 경제학과 졸업, 早稲田大学|와세다대일본어 경제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 경제학부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겸 일본 新潟経営大学|니가타 경영대일본어 교수
18회 (1999년)정병휴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경제학 박사서울대학교 상대 교수, 조선대학교 총장, KDI 이사장
19회 (2000년)김병주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프린스턴대 경제학 박사서강대학교 경제정책 대학원장
20회 (2001년)홍원탁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 경제학 박사미국 위스콘신대 교수, 서울대학교 지역종합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원장


3. 3. 21~30회 (2002년~2011년)

3. 4. 31~40회 (2012년~2021년)

2010년대 이후에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젊은 경제학자들의 수상이 두드러진다.

회차수상자주요 경력
31박준용서울대 자연과학대 졸업, 예일대 경제학 박사, 성균관대 교수, 미국 인디애나대 석좌교수
32김선구서울대 국제경제학과 졸업, 미국 UCLA 경제학 박사, 홍콩과기대 경제학부 부교수, 금융발전심의위원회 위원,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33최재필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미국 컬럼비아대 부교수, 미국 미시간주립대 교수, 한미경제학회 회장, 연세대 교수
34이종화고려대 교수 (2015)
35최인서강대 교수 (2016)
36황윤재서울대 교수 (2017)
37전병헌고려대 교수 (2018)
38이인호서울대 교수 (2019)
39신관호고려대 교수 (2020)
40장용성서울대 교수 (2021)


4. 다산 젊은경제학자상

2012년부터 만 45세 이하의 젊은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다산 젊은경제학자상'을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연도수상자소속
2012년이석배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3년이지홍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4년홍재화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5년김진우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6년서경원서울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2017년이수형서강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7년황성하KAIST 경영공학부 부교수
2018년최승주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9년김윤정서강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20년박웅용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21년고영우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