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상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상복은 1940년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태어난 해양학자이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석사, 플린더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수산과학원 등에서 해양학, 해양과학 분야에 종사했으며,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에서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해양학에서 본 한국학》, 《측우기의 발명과 국가관측망》, 《한국의 우량 관측 역사》, 《독도와 동해》 등이 있으며, 국회도서관 등에 연구 자료를 기증하였다. 2023년 5월 17일에 암으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중학교 동문 - 김덕규
    김덕규는 대한민국의 5선 국회의원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정계에 입문한 후 여러 정당에서 활동하며 서울 중랑구 을 지역구에서 3선을 역임하고 국회부의장 등 주요 직책을 수행했다.
  • 무주중학교 동문 - 김세웅
    김세웅은 전라북도의회 의원, 무주군수를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주군수 선거 낙선 및 선거비용 미반납 논란 등의 이력이 있다.
한상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상복
원어이름韓相復
출생일1940년 11월 12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무주군
사망일2023년 5월 17일
직업연구원, 저술가
장르해양학, 해양물리학
주요 작품《해양학에서 본 한국학》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학력서울대학교
종교성공회
수상국민훈장 동백장
부모부친 한창석(韓彰錫, 1896년 ~ 1957년)
모친 지복례(池福禮, 1911년 ~ 1999년)
배우자최현주(崔賢珠, 1945년 ~ )
자녀1남 1녀
활동 기간1965년 ~ 2023년
웹사이트블로그 한수당연구원

2. 생애

1940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면에서 태어났다.[3] 1963년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74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1987년 호주 플린더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서울대학교 해양물리학 강사, 이화여대 사범대학 강사 등을 거쳐 한국해양과학기술, 국립수산진흥원 등 기관에서 해양학, 해양과학 분야에 다년간 종사하였다.[3] 2000년 퇴직 후,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에서 위원장으로 관련 분야 연구에 매진하였다.[3]

국회도서관 독도자료실,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천해양박물관 등에 연구 및 수집 자료를 여러 차례 기증하였다.[4][5][6] 2023년 5월 17일에 암으로 별세하였다.[7]

3. 학력

한상복은 1953년 무주국민학교를, 1956년 무주중학교를, 1959년 대구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63년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4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해양물리학 석사, 1987년 플린더스 대학교에서 해양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8]

3. 1. 국내 학력

3. 2. 해외 학력

1974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해양물리학 석사 학위(이학석사)를 취득하였고, 1987년 6월 호주 플린더스 대학교에서 해양물리학 박사 학위(이학박사)를 취득하였다.[8]

4. 경력

한상복은 1963년 2월 포병 소위로 임관(ROTC 1기)하여 육군 제27사단에서 1965년 3월까지 복무했다.[9] 서울대학교 해양학과 조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및 서해수산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며 해양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9][10][11] 국회도서관 독도자료실 운영위원회 해양수산분과위원장을 맡아 독도 관련 자료 수집 및 연구에 기여했다.[12]

4. 1. 군 복무

1963년 2월, 포병 소위로 임관(ROTC 1기)하여 제27사단에서 복무하였고, 1965년 3월 31일에 소집해제되었다.[9]

4. 2. 연구 경력

4. 3. 기타 경력

2001년 9월 12일부터 2014년 4월 21일까지 국회도서관 독도자료실 운영위원회 해양수산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12]

5. 상훈


  • 1964년 8월, 보병 제27사단장 공로표창 (군사검열 유공, 표창번호 제178호)
  • 2000년 4월 1일, 해양수산부 장관 표창 (제2466호)
  • 2020년 3월 23일, 국민훈장 동백장[13]

6. 주요 저작

한상복은 1980년부터 현재까지 《韓水堂硏究資料集|한수당연구자료집중국어》 (제1권 ~ 제675권)을 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해양학에서 본 한국학》(1988년, 해조사), 《측우기의 발명과 국가관측망》(1996년,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한국의 우량 관측 역사》(1999년,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독도동해》(2000년,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등이 있다.

6. 1. 저서


  • 1988년, 《해양학에서 본 한국학》, 해조사
  • 1996년, 《측우기의 발명과 국가관측망》,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 1999년, 《한국의 우량 관측 역사》,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 2000년, 《독도동해》,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6. 2. 연구 자료집


  • 1980년 ~ , 韓水堂硏究資料集|한수당연구자료집중국어 (제1권 ~ 제675권)
  • 1988년, 《해양학에서 본 한국학》, 해조사(海潮社)
  • 1996년, 《측우기의 발명과 국가관측망》,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 1999년, 《한국의 우량 관측 역사》,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 2000년, 《독도동해》,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4] 웹인용 "<소식> 한상복 한수당연구원장, '서구식 최초 Carl Gottsche 논문' 기증 및 세미나 개최" https://www.donga.co[...] 2015-04-14
[5] 웹인용 "<기사> 광복 직후 육필로 쓰인 해양연구 자료, 수산과학원으로 귀환" https://www.hankyung[...] 2022-04-20
[6] 웹인용 "<소식> KIOST에 266개의 해양 자료 '선물'이 도착했습니다." https://www.kiost.ac[...] 2022-08-01
[7] 기타
[8] 논문 Physical structure of the waters of the South Australian continental shelf Flinders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1986-11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