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가이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가이거는 독일의 물리학자로, 1882년 9월 30일에 태어나 1945년 9월 24일에 사망했다. 그는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가이거-마스든 실험을 수행하여 알파 입자를 계수하는 데 성공했고, 가이거-너털 법칙을 발견하는 등 원자 구조 연구에 기여했다. 1928년에는 제자인 발터 뮐러와 함께 가이거-뮐러 계수관을 개발하여 방사선 검출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핵무기 연구인 우라늄 클럽에 참여했으나, 나치 정권 하에서 유대인 동료를 돕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발명가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발명가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독일의 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882년 출생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1882년 출생 - 에델 클레이턴
에델 클레이턴은 190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까지 뮤지컬과 영화에서 활동한 미국의 배우로, 무성 영화와 유성 영화 시대 모두에서 활약했으며 사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한스 가이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요하네스 (한스) 빌헬름 가이거 |
출생일 | 1882년 9월 30일 |
출생지 | 노이슈타트안데어바인슈트라세, 팔츠, 독일 제국 |
사망일 | 1945년 9월 24일 |
사망지 | 포츠담, 독일 |
국적 | 독일 |
분야 | 물리학 및 과학 |
근무 기관 |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맨체스터 대학교 |
연구 및 업적 | |
주요 업적 | 가이거 계수관 가이거-마스덴 실험 가이거-뮐러 계수관 가이거-누탈 법칙 보테-가이거 동시 계수 실험 동시 계수법 |
수상 | |
수상 내역 | 휴즈 메달 (1929년) 더들 메달 및 상 (1937년) |
2. 생애
한스 가이거는 1882년 독일 노이슈타트 안 데어 바인슈트라세에서 태어났다. 에어랑겐 대학교 교수였던 아버지 빌헬름 가이거 밑에서 성장했으며, 1902년부터 에어랑겐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하여 1906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알파 입자 검출 실험을 진행, 가이거-마스든 실험(금박 실험)을 수행하여 원자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1911년에는 가이거-너털 법칙을 발견했다.
1912년 독일로 돌아와 물리기술국가연구소(PTR)에서 방사선 연구 책임자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 포병 장교로 복무했다. 전후 킬 대학교 교수가 되었으며, 1928년 발터 뮐러와 함께 가이거-뮐러 계수관을 개발했다. 튀빙겐 대학교와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우주선, 핵분열 등을 연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핵무기 연구 프로젝트인 우라늄 클럽에 참여했으나, 핵무기의 실효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으로 인해 프로젝트는 1942년 와해되었다. 가이거는 나치 정권에 협력했다는 논란이 있지만, 한스 베테와 같은 동료를 돕지 않았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가이거는 베를린 전투와 소련 점령을 겪은 후 포츠담으로 이주하여 1945년 9월 24일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업
한스 가이거는 1882년 독일 노이슈타트 안 데어 하르트(현재 라인란트팔츠주 노이슈타트 안 데어 바인슈트라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에어랑겐 대학교 교수이자 인도학자였던 빌헬름 가이거였다.[1] 가이거는 다섯 형제 중 장남이었으며, 동생 중에는 기상학자인 Rudolf Geiger|루돌프 가이거영어가 있었다.1902년 가이거는 에어랑겐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여 1906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기체를 통한 전기 방전에 관한 것이었다.[2]
이후 그는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연구원 자리를 얻어 아서 슈스터의 조교로 일했다. 1907년 슈스터가 은퇴한 후에는 그의 후임인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가이거는 러더퍼드와 개인적, 직업적으로 평생 동안 우정을 쌓았다. 1908년에는 어니스트 마스든과 함께 유명한 가이거-마스든 실험(금박 실험)을 수행했다.[3][4][5][2] 이 실험을 통해 그들은 알파 입자를 계수할 수 있었고,[3][4][5][2] 이는 러더퍼드가 원자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1911년 가이거와 존 미첼 너털은 가이거-너털 법칙을 발견했고, 이는 러더퍼드 원자 모형으로 이어지는 실험의 기반이 되었다.[6]
2. 2. 맨체스터 대학교에서의 연구 (1907-1912)
가이거는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우정을 쌓기 시작해 평생 동안 개인적 및 직업적 파트너였다.[13] 러더퍼드와 가이거는 알파 입자 검출 실험을 진행했는데, 이 실험은 얇은 금속 박막을 통과하는 알파 입자의 산란을 관찰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섬광 스크린을 이용하여 알파 입자를 관측했고, 분당 수천 번의 섬광을 계산하는 길고 힘든 작업을 수행했다. 가이거는 이 실험을 통해 정확하게 입자를 계수하는 방법을 고안했다.[13]1907년 아서 슈스터가 은퇴한 후, 가이거는 그의 후임인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고, 1908년 어니스트 마스든과 함께 유명한 가이거-마스든 실험(금박 실험)을 수행했다. 이 실험을 통해 그들은 알파 입자를 계수할 수 있었고,[3][4][5][2] 이는 러더퍼드가 원자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1911년, 가이거와 존 미첼 너털은 가이거-너털 법칙을 발견했고, 러더퍼드 원자 모형으로 이어지는 실험을 수행했다.[6]
2. 3. 독일에서의 연구 활동 (1912-1945)
1912년, 가이거는 샬로텐부르크에 있는 물리기술국가연구소(PTR)에서 방사선 연구 책임자가 되었다. 거기서 그는 195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발터 보테와 193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채드윅과 함께 일했다.[7]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서 포병 장교로 복무하면서 그의 연구는 중단되었다.1924년, 가이거와 보테는 보테-가이거 일치 실험을 수행하여 콤프턴 효과를 확인했고, 이는 아서 콤프턴이 192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다.[2] 보테는 가이거 사후인 1954년 그들의 실험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8]
1925년, 그는 킬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시작했고, 1928년 가이거와 그의 제자인 발터 뮐러는 가이거 계수기의 기초가 된 가이거-뮐러 계수관을 만들었다. 이 새로운 장치는 알파 입자뿐만 아니라 베타 입자와 감마 입자도 검출할 수 있었다.[9][10]
1929년 가이거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 겸 연구소장으로 임명되었고, 그곳에서 최초로 우주선 샤워를 관찰했다. 1936년 그는 베를린 공과대학교에 자리를 잡았고, 1945년 사망할 때까지 우주선, 핵분열, 그리고 인공 방사선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2]
1939년 원자 분열이 발견된 후, 가이거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의 핵무기 연구인 우라늄 클럽의 일원이었다. 이 그룹은 1942년 그 구성원들이 (나중에 밝혀진 것처럼 잘못된 판단이었지만) 핵무기가 전쟁 종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게 되면서 와해되었다.[7]
가이거는 나치 정부의 대학 간섭에 반대하는 탄원서에 서명했지만,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해고된 동료 한스 베테(1967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게는 아무런 지원도 하지 않았다.[11][12]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우라늄 클럽
1939년 원자 분열이 발견된 후, 가이거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의 핵무기 연구인 우라늄 클럽의 일원이었다.[7] 이 그룹은 1942년 그 구성원들이 (나중에 밝혀진 것처럼 잘못된 판단이었지만) 핵무기가 전쟁 종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게 되면서 와해되었다.[7]2. 5. 나치 협력 논란
가이거는 나치(Nazi Germany|Nazi government)의 대학 간섭에 반대하는 탄원서에 서명했지만,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해고된 동료 한스 베테(1967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게는 아무런 지원도 하지 않았다.[11][12]나치 정권 하에서 튀빙겐 대학교와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 교수직을 얻었기에 나치와의 관계가 문제시되지만, 가이거는 1945년 사망할 때까지 정치적 발언 기록은 남기지 않았다.
2. 6. 죽음
가이거는 1945년 4월/5월 베를린 전투와 그 후 소련(USSR|Soviet) 점령을 견뎌냈다.[7] 몇 달 후 그는 포츠담으로 이주하여 1945년 9월 24일에 그곳에서 사망했다.[1]3. 수상
1929년 휴즈 메달을 수상했다.[1]
참조
[1]
논문
Hans Geiger: Fiftie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His Doctoral Thesis, 23 July 1906
1956-07
[2]
논문
Hans Geiger—German Physicist and the Geiger Counter
[3]
논문
An electrical method of counting the number of α particles from radioactive substances
https://books.google[...]
[4]
논문
Über eine einfache Methode zur Zählung von α- und β-Strahlen (On a simple method for counting α- and β-rays)
[5]
서적
Rutherford Scientist Supreme, AAS Publications
[6]
논문
The ranges of α particles from uranium
[7]
웹사이트
June 1911: Invention of the Geiger Counter
https://www.aps.org/[...]
[8]
논문
Flashback: Particle Billiards, Captured on Film
https://www.mpg.de/4[...]
2011
[9]
논문
Elektronenzählrohr zur Messung schwächster Aktivitäten (Electron counting tube for the measurement of the weakest radioactivities)
[10]
논문
Demonstration des Elektronenzählrohrs (Demonstration of the electron counting tube)
[11]
웹사이트
Scientific Exodus
https://www.atomiche[...]
[12]
웹사이트
How 2 Pro-Nazi Nobelists Attacked Einstein's "Jewish Science" [Excerpt]
https://www.scientif[...]
[13]
웹사이트
Geiger-Hans
http://www.notablebi[...]
2010-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