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 대학교는 1665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트룹 공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에 의해 설립된 독일의 대학교이다. 종교 개혁 이후 대학 설립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665년 옛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에서 '크리스티아나 알베르티나'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1773년 덴마크 지배 하에 번영하기 시작하여, 1867년 프로이센 지배 이후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나치 시대에는 획일화를 겪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건물 피해를 입었으나, 전후 재건을 거쳐 현재 약 25,000~30,000명의 학생 수를 유지하고 있다. 8개의 학부와 다양한 연구소를 운영하며,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많은 저명 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킬의 교육 - 킬 응용학문대학
킬 응용학문대학교는 독일 킬에 위치한 응용과학 대학으로, 공학, 정보과학, 경영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취업 및 창업, 국제 교류, 그리고 벙커 D와 같은 문화 시설 운영을 통해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 킬의 건축물 - 킬 응용학문대학
킬 응용학문대학교는 독일 킬에 위치한 응용과학 대학으로, 공학, 정보과학, 경영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취업 및 창업, 국제 교류, 그리고 벙커 D와 같은 문화 시설 운영을 통해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킬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킬 대학교 |
독일어 이름 | 크리스티안-알브레히트 대학교 킬 |
라틴어 이름 | Academia Holsatorum Chiloniensis sive Christiana Albertina |
표어 | Pax optima rerum |
표어 (영어) | Peace is the greatest good |
설립일 | 1665년 |
대학 종류 | 공립 대학 |
예산 | 2억 6870만 유로 (2021년) |
제3자 자금 | 6500만 유로 |
총장 | 시모네 풀다 |
교수진 | 433명 (2021년) |
교직원 수 | 3,681명 (2021년, UKSH 제외) |
학생 수 | 27,455명 (2021년) |
도시 | 킬 |
주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국가 | 독일 |
캠퍼스 | 도시형 |
대학 웹사이트 | www.uni-kiel.de |
대학 색상 | 보라색 흰색 |
로고 및 문장 | |
![]() | |
![]() |
2. 역사
1665년 10월 5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트룹 공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에 의해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라는 이름으로 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킬 시민들은 처음에는 학생들을 의심했지만, 도시의 경제적 이점을 고려하여 신성 로마 제국 독일 지역 최북단의 대학이 되었다.
1773년 킬이 덴마크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대학은 번영하기 시작했고, 1867년 프로이센의 지배하에 들어갔을 때 대학은 급속도로 규모가 확장되었다. 대학은 독일 최초의 식물원(현재는 Alter Botanischer Garten (Kiel)|킬 구 식물원de)을 개설하였고, 건축가 마르틴 그로피우스는 증가하는 학생들을 위해 새로운 건물들을 설계하였다.
1933년 킬 대학교는 나치당의 강제 동일화 정책을 따른 최초의 대학 중 하나였으며, 페르디난트 텐츠와 Felix Jacoby|펠릭스 야코비영어 등 많은 교수와 학생들을 배제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킬 대학교는 큰 피해를 입어 의과대학을 포함한 몇몇 오래된 건물들은 다른 장소에 재건되었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역사 (1665년-1773년)
종교 개혁 시기, 잘 교육된 성직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행정 업무에 시민들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공작령 내에 대학을 설립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커졌다. 그러나 17세기 초의 전쟁과 공작, 국왕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이러한 계획은 지연되었다.[28][29]결국 프리드리히 3세 공작은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에게 대학 설립을 추진하도록 위임하였다. 1660년,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는 이 계획을 실현하여 킬을 대학의 위치로 선정하였다. 1665년 10월 5일, 옛 프란치스코회 수도원 건물에 4개의 강의실과 도서관을 갖춘 '크리스티아나 알베르티나'(Christiana Albertina)라는 이름으로 대학교가 개교하였다. 당시 17명의 교수가 신학, 의학, 법학, 교양 과목을 가르쳤다.[28][29]
2. 2. 성장과 발전 (1773년-1867년)
예카테리나 대제 치하에서 킬 대학교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고, 자주색과 흰색의 대학 색상을 받았다.[28] 1773년 공작령 통합 이후, 킬 대학교는 독일 최북단이자 스칸디나비아 최남단 대학교로서 지속적으로 번영하였다.[28] 같은 해 킬이 덴마크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대학은 번영하기 시작했고, 독일 최초의 식물원(현재는 Alter Botanischer Garten (Kiel)|킬 구 식물원de)을 개설하였다.[4]2. 3. 프로이센 편입과 정체기 (1867년-1918년)
1867년 킬이 프로이센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킬 대학교는 발전이 정체되는 시기를 맞았다. 그러나 대학은 독일 최초의 식물원(현재는 키일 구 식물원)을 개설하였고, 건축가 마르틴 그로피우스는 증가하는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건물들을 많이 설계하였다. 1870년부터 학생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1908년에는 여학생의 입학이 허용되었다.2. 4.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18년-1945년)
나치 정권 하에서 킬 대학교는 획일화를 겪었고, 유대인 교수들이 추방되었으며, 반체제 인사들은 박해를 받았다.[2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공습으로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었는데, 1942년에는 대학 도서관도 피해를 입었다.[4]킬 대학교는 1933년 나치당의 강제 동일화 정책을 따른 최초의 대학 중 하나였으며, 철학·사회학 교수 페르디난트 텐츠와 고전학·문헌학 교수 Felix Jacoby|펠릭스 야코비영어 등 많은 교수와 학생들을 배제하는 데 동의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킬 대학교는 큰 피해를 입어 의과대학을 포함한 몇몇 오래된 건물들은 다른 장소에 재건되었다.
2. 5. 전후 재건과 현대 (1945년-현재)
영국의 지원으로 1945년 11월에 수업이 재개되었는데, 처음에는 선박에서 이루어졌다.[28] 1960년대에 킬 베스트링에 새로운 캠퍼스가 개발되었다. 1960년대 후반의 학생 시위는 대학 구조의 현대화로 이어졌다. 1972년에는 올스하우젠 거리의 건물들과 새로운 체육 시설로 캠퍼스가 확장되었고, 1991년에는 킬-가르덴에 공과대학이 개설되었다.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약 25,000명에서 30,000명에 이른다. 크리스티안-알브레히트 대학은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대학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킬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가 되었다.[28]3. 학부
킬 대학교는 현재 다음과 같은 8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6]
4. 연구소
- 독일-노르웨이 연구센터(Deutsch-Norwegisches Studienzentrum, DNSZ)
- 통합 신경과학 연구센터(Forschungszentrum Integrative Neurowissenschaften, FZIN)
- 킬 헬름홀츠 해양연구센터(Helmholtz-Zentrum für Ozeanforschung Kiel)
- 안보 정책 연구소(Institut für Sicherheitspolitik, ISPK)
- 세계 경제 연구소(Institut für Weltwirtschaft)
- 라이프니츠 과학 교육·수학 연구소(Leibniz-Institut für die Pädagogik der Naturwissenschaften und Mathematik, IPN)
- 로렌츠 폰 슈타인 행정학 연구소(Lorenz-von-Stein-Institut für Verwaltungswissenschaften)
- 아시아·아프리카 연구센터(Zentrum für asiatische und afrikanische Studien, ZAAS)
- 생화학·분자생물학 센터(Zentrum für Biochemie und Molekularbiologie, ZBM)
- 윤리학 센터(Zentrum für Ethik)
- 중요 기술 자격 센터(ZFS)
- 해부학 연구소
- 임상 해부학 센터
- 교사 교육 센터(ZFL)
- 분자생물과학 센터(ZMB)
- 북미 연구센터(ZNAS)
- 동유럽 연구센터(ZOS)
5. 저명한 동문 및 교수
킬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과 교수진을 배출했다.
- 프란츠 보아스(1858–1942): 인류학자[7]
- 앨리스 보타(1979년생): 언론인
- 게오르크 폰 다델젠(1918–2007): 음악학자, ''신 바흐 판''
- 마티아스 폰 다비어: 심리측정학자, 학자, 발명가, 작가
- 안드레 프랑케: 유전학자
- 마렌 가울케(1955년생): 파충류학자
- 요하나 헬만(1889–1982): 외과의
- 마레일레 횔프너: 텔레비전 진행자[8]
- 도리스 쾨니히: 현직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사
- 볼프강 쿠비키: 정치인, 자유민주당(FDP) 부위원장,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의회 의원, 독일 연방의회 의원
- 오스왈드 포흘(1892–1951): 나치 친위대 장교, 전쟁 범죄로 사형 집행
- 빅토리아 슈미트-린젠호프(1944–2013): 독일 미술사가, 교수
- 게르하르트 슈톨텐베르크: 정치인, 전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총리, 전 독일 재무장관
- 페어 슈타인브뤽: 정치인, 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총리, 전 독일 재무장관
- 에리히 발터 슈테른베르크: 작곡가
- 지빌레 케살-울프: 현직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사
- 수르야 허르마완: 인도네시아 페트라 기독교 대학교 강사
- 테오도르 슈토름: 작가
- 리하르트 조르게: 언론인, 소련 간첩
- 클라우스 푹스: 이론물리학자, 원자폭탄 스파이
- 다니엘 파울리: 수산학자
교수진으로는 발터 안데르손, 로베르트 알렉시, 요헨 블라이켄, 하르트무트 부크만, 프리드리히 블루메, 한스 게르하르트 크로이츠펠트, 파울 도이센, 빌헬름 딜타이,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야코프 크리스토프 루돌프 에커만, 칼-디트리히 에르트만de, 프리드리히 폰 에스마르크,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시우스, 파울 요한 안젤름 폰 파우어바흐, 한스 가이거, 헤르베르트 기어슈, 빌헬름 그리징거, 베른하르트 하름스, 하인리히 헤르츠, 알프레트 호이스, 펠릭스 야코비, 오토 얀, 모지브 라티프, 아우구스트 레스키엔, 다니엘 게오르크 모르호프, 테오도르 묄름젠, 다니엘 파울리, 막스 플랑크, 에르빈 로데, 에리히 슈나이더, 알베르트 헤넬, 발터 쉬킹, 프리츠 슈타인, 페르디난트 튈니스, 하인리히 폰 트라이치케, 프리드리히 베게너, 오토 베르너,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필립 로젠슈틸 등이 있다.
5. 1. 노벨상 수상자
수상자 | 출생 | 사망 | 킬 대학교 재학 기간 | 킬 대학교 직책 | 노벨상 |
---|---|---|---|---|---|
테오도어 몬젠 | 1817년 가르딩 | 1903년 샤를로텐부르크 | 1838년–1844년 | 법학과 학생, 법학박사 | 노벨 문학상, 1902년 |
필립 레나르트 | 1862년 브라티슬라바 | 1947년 메젤하우젠 | 1898년–1907년 | 정교수, 물리학 | 노벨 물리학상, 1905년 |
에두아르트 부흐너 | 1860년 뮌헨 | 1917년 포카샤니 | 1893년–1896년 | 사강사, 생화학 | 노벨 화학상, 1907년 |
막스 플랑크 | 1858년 킬 | 1947년 괴팅겐 | 1885년–1889년 | 준교수, 이론물리학 | 노벨 물리학상, 1918년 |
오토 마이어호프 | 1884년 하노버 | 1951년 필라델피아 | 1912년–1924년 | 박사후연구원, 준교수, 생리학 | 노벨 생리학·의학상, 1922년 |
게르하르트 도마크 | 1895년 라고우 | 1964년 부르크베르크 | 1914년–1921년 | 킬에서 의학 공부, 킬 대학교 의학 학위 취득[9] | 노벨 생리학·의학상, 1939년 |
발터 루돌프 헤스 | 1881년 프라우엔펠트, 스위스 | 1973년 무랄토, 스위스 | 의학과 학생[10] | 노벨 생리학·의학상, 1949년 | |
오토 디엘스 | 1876년 함부르크 | 1954년 킬 | 1916년–1945년 | 정교수, 유기화학 | 노벨 화학상, 1950년 |
쿠르트 알더 | 1902년 크니히히테 | 1958년 쾰른 | 1924년–1936년 | 준교수, 유기화학 | 노벨 화학상, 1950년 |
바실리 레온티예프 | 1905년 뮌헨 | 1999년 뉴욕, 미국 | 1927년–1928년 | 연구 조교, 경제학 | 노벨 경제학상, 1973년 |
볼프강 파울 | 1913년 로렌츠키르히 | 1993년 본 | 1937년–1942년 | 연구 조교, 물리학 | 노벨 물리학상, 1989년 |
귄터 블로벨 | 1936년 발터스도르프 | 2018년 뉴욕, 미국 | 의학과 학생[11] | 노벨 생리학·의학상, 1999년 |
5. 2. 기타 저명인사
- 프란츠 보아스 (1858–1942), 인류학자[7]
- 앨리스 보타 (1979년생), 언론인
- 게오르크 폰 다델젠 (1918–2007), 음악학자, ''신 바흐 판''
- 마티아스 폰 다비어, 심리측정학자, 학자, 발명가, 작가
- 게르하르트 도마크, 세균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안드레 프랑케, 유전학자
- 마렌 가울케 (1955년생), 파충류학자
- 요하나 헬만 (1889–1982), 외과의
- 마레일레 횔프너, 텔레비전 진행자[8]
- 도리스 쾨니히, 현직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사
- 볼프강 쿠비키, 정치인,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그리고 1996년부터 독일 자유민주당(FDP) 부위원장, 1996년부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의회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의회) FDP 의원, 독일 연방의회 의원
- 오스왈드 포흘 (1892–1951), 나치 친위대 장교, 전쟁 범죄로 사형 집행
- 빅토리아 슈미트-린젠호프 (1944–2013), 독일 미술사가이자 교수
- 게르하르트 슈톨텐베르크, 정치인, 전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총리, 전 독일 재무장관
- 페어 슈타인브뤽, 정치인, 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총리, 전 독일 재무장관
- 에리히 발터 슈테른베르크, 작곡가
- 지빌레 케살-울프, 현직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독일 최고 법원) 판사
- 수르야 허르마완, 인도네시아 페트라 기독교 대학교 강사
- 발터 헤스 - 194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테오도르 슈토름
- 리히하르트 졸게
- 클라우스 푹스
- 다니엘 폴리
6. 학술 출판
킬 대학교에서 발행되는 『민족지학-고고학 저널』(Ethnographisch-Archaeologische Zeitschrift, EAZ)[15]은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인간 사회를 연구하는 학제 간 학술지이다.[15][16][17][18] 고고학, 인류학, 철학을 연결하고 사회 불평등, 기후 변화, 원주민 자치권과 같은 주제를 다룬다. EAZ는 1953년부터 1959년까지 발행된 『민족지학-고고학 연구』(Ethnographisch-Archäologische Forschungen)의 후속으로 1960년에 설립되었다.[19] 1960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처음 발행되었고,[19] 2010년 라이프치히로 이전되었으며,[20] 2023년부터 킬 대학교에서 발행되고 있다.[17]
7. 기타
킬 대학교 식물원은 킬 대학교의 식물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Statistische Eckdaten
https://www.uni-kiel[...]
2022-07-05
[3]
서적
Geschichte des öffentlichen Rechts in Deutschland
C.H. Beck
2002
[4]
웹사이트
350 Jahre Uni Kiel: Vom Kloster zum Campus
https://www.ndr.de/g[...]
2024-05-23
[5]
웹사이트
Christian-Albrechts-Universität – Gesellschaft für Schleswig-Holsteinische Geschichte
https://geschichte-s[...]
2024-05-23
[6]
웹사이트
Faculties & joint facilities
https://www.uni-kiel[...]
2023-07-20
[7]
웹사이트
SwRI Radiation Assessment Detector (RAD) Homepage
http://www.boulder.s[...]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2011-01-19
[8]
웹사이트
Mareile Höppner
https://web.archive.[...]
2021-07-09
[9]
웹사이트
Lebenslauf von Gehard Domagk
https://www.leopoldi[...]
2017-10-30
[10]
웹사이트
Lebenslauf von Walter Rudolf Hess
https://www.leopoldi[...]
2017-10-30
[11]
웹사이트
Lebenslauf von Günter Blobel
https://www.leopoldi[...]
2017-10-30
[1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7-16
[1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3-09-27
[14]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8-15
[15]
웹사이트
EAZ – Ethnographisch-Archaeologische Zeitschrift
https://www.eaz-jour[...]
2023-08-01
[16]
간행물
Ethnographisch-Archäologische Zeitschrift
eaz-journal.org
2023-06-12
[17]
뉴스
A forum for human diversity: New start for the "Ethnographisch-Archaeologische Zeitschrift" at Kiel University
https://idw-online.d[...]
2023-07-06
[18]
학술지
Editorial: A Space for Difference
https://www.eaz-jour[...]
2023-03-30
[19]
학술지
Editorial
1960
[20]
학술지
Editorial
https://www.eaz-jour[...]
2010-03-24
[21]
웹사이트
Holsteiner Studienpreis 2023/2024 » Chronik
https://www.studienp[...]
[22]
웹사이트
Uni Kiel – Preise und Stipendien
https://www.uni-kiel[...]
[23]
웹사이트
Holsteiner Studienpreis 2023/2024 » Kriterien
https://www.studienp[...]
[24]
웹사이트
Holsteiner Studienpreis 2023/2024 » Merkblatt
https://www.studienp[...]
[25]
웹사이트
Holsteiner Studienpreis 2023/2024 » Kuratorium
https://www.studienp[...]
[26]
웹인용
Startschuss für das Wintersemester
https://web.archive.[...]
2021-07-03
[27]
서적
Geschichte des öffentlichen Rechts in Deutschland
C.H. Beck
2002
[28]
웹인용
350 Jahre Uni Kiel: Vom Kloster zum Campus
https://www.ndr.de/g[...]
2024-05-23
[29]
웹인용
Christian-Albrechts-Universität – Gesellschaft für Schleswig-Holsteinische Geschichte
https://geschichte-s[...]
2024-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