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철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철하는 대한민국의 조직신학자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평안남도 강서군 출생으로,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에 입학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유학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창립을 주도하고, 칼빈신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장 칼뱅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는다. 저서로는 『고대기독교사상』 등이 있으며, 칼뱅의 기독교 강요 번역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철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철하 |
| 별칭 | 학성(鶴聲) |
![]() | |
| 출생일 | 1924년 6월 10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강서군 |
| 사망일 | 2018년 3월 18일 |
| 사망지 | 서울아산병원 |
| 국적 | 대한민국 |
| 교파 | 칼뱅교 |
| 학력 | |
| 학교 | 서울대학교 |
| 대학원 |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개인 정보 | |
| 자녀 | 한상화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수) |
2. 생애
한철하는 평안남도 강서군 출신으로,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에 입학했으나 서울대학교 개편 후 철학과로 전과하여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신학 박사 학위(Th.D.)를 취득했다.[1] 한국복음주의신학회(KETS) 창립을 주도하고 한국칼빈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칼뱅신학 발전에 기여했다.[2] 장 칼뱅 연구의 권위자이자 존 웨슬리 신학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며 두 신학의 공통점을 모색했다.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조직신학 전공으로 2009년 칼빈공로자로 선정되었다.[3] 아들 한상화 박사는 아신대학교 교수, 사위 김추성 박사는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아버지 한석을과 어머니 이인숙 사이에서 태어났다. 1937년 기양 보통학교 4학년 때 평양 상수보통학교로 전학하여 그곳에서 졸업하였다. 1942년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44년 일본 야마구치(山口) 고등학교 이과를 졸업하였다. 그 해에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에 입학하여 1946년 서울대학교로 개편되면서 철학과로 전과하여 졸업했다. 194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 입학하고 1950년에 졸업하여 석사(M.A.)를 받았다. 1955년 미국으로 건너가 맥코믹 신학교에서 1년간 공부하고 1958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2년간 공부한 후, 1960년 버지니아 유니온 신학교에서 “칼케돈 기독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Th.D.)를 취득하였다.[1]2. 2. 학문 및 목회 활동
한철하는 한국복음주의신학회(KETS) 창립을 주도했으며, 아세아신학협의회(ATA), 한국신학대학협의회(KAATS), 한국칼빈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 신복윤, 정성구 박사와 함께 한국의 칼뱅신학을 주도했고,[2] 장 칼뱅의 1559년 판 기독교 강요를 번역했으며 칼뱅 관련 연구와 학회 활동으로 한국 신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장 칼뱅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이지만 존 웨슬리 신학의 긍정적 관점을 강조하며, 칼뱅과 웨슬리의 신학적 공통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했다.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총장을 역임했고, 전공은 조직신학이다. 2009년 요한칼빈탄생500주년기념사업회에서 칼빈공로자로 선정되었다.[3] 그의 제자로는 박해경, 장훈태 박사 등 많은 장 칼뱅 연구가들이 있다.3. 학문 활동 및 업적
한철하 박사의 저서 『고대기독교사상』은 교부들의 원전에 근거한 저서로 25판을 출간했으며, 수백 편의 논문을 통해 국내외 신학계에 공헌하였다. 그의 박사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ristologies of Cyril of Alexandria and Nestorius"는 미국 시리아학술원에서 기독론 연구 도서로 선정되었다.[4] "A Critical Evaluation of Western Theology toward a Reappraisal of the Biblical Faith"는 미국 국회도서관에서 소장 허락을 요청받았고, "칼빈과 바르트의 기도론 비교"는 스위스 바젤 대학교의 참고 논문으로 채택되어 신학지에 게재 허락을 요청받았다.[4]
한철하 박사는 90세가 넘는 고령에도 제네바 유럽입자물리연구소, 하버드 대학교 천체물리연구소를 방문하여 과학적 역사로서 기독교 창조론을 연구하고 논문을 발표했다.[4]
4. 경력
- 서울대학교
- 연세대학교 대학원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 유니온 장로교 신학교 (박사)
5. 평가
손봉호 박사는 한철하의 신학이 하나님, 은혜, 죄와 용서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철저한 믿음, 순수한 감사, 뜨거운 열정으로 가득했으며, 성경적 보수신학과 칼뱅주의를 강조하고 가르쳤다고 평가했다.[5] 김명혁 박사는 한철하의 신학적 입장이 칼빈주의적 하나님 중심주의와 회개와 믿음에 근거한 단순한 구원의 복음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칼뱅의 기독교 강요를 아신대학교 교수들에게 매우 소중한 신학적 유산으로 강조했다.[6]
참조
[1]
뉴스
한국신학계 거목 한철하 박사, 94세로 별세
http://www.christian[...]
크리스챤투데이
[2]
서적
한국칼빈학회 50년의 발자취: 회고와 전망
북코리아
2014
[3]
뉴스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국교회 치유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1-07-24
[4]
서적
현대인을 위한 칼빈의 기독교강요해설과 토론, 저자소개 한철하
http://www.yes24.com[...]
[5]
뉴스
손봉호, "그가 남긴 보수신학의 유산, 우리가 이어가자”
http://www.christian[...]
크리스챤투데이
2018-03-20
[6]
간행물
김명혁칼럼, 나의 사고와 삶에 깊은 영향을 끼친 한철하 박사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05-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