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상작전헬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상작전헬기는 해상에서의 작전 수행을 위해 운용되는 헬기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은 해상작전헬기 도입 사업을 통해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1차 도입 사업에서는 영국 AW159 와일드캣 8대를 2016년까지 도입했으며, 2차 사업에서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12대의 해상작전헬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미국, 일본, 대한민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영국, 스페인 등 여러 국가에서 해상작전헬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미국이 500대로 가장 많은 해상작전헬기를 보유하고 있다.

2. 대한민국의 해상작전헬기 도입 사업

대한민국 해군은 노후화된 슈퍼링크스 해상작전헬기를 대체하고, 증가하는 해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해상작전헬기 도입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사업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차 도입 사업에서는 영국의 와일드캣이 선정되어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총 8대가 도입되었다. 당초 미국의 시호크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가격 협상 문제로 와일드캣이 최종 선정되었다.[1] 와일드캣은 대한민국 해군에 도입되면서 음향 탐지 장비 설계 및 체계 통합 기술 등 선진 핵심 기술도 함께 이전받았다.[2]

2차 도입 사업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진행되며, 총 12대의 해상작전헬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2017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는 긴급 소요에 따라 12대를 직도입하기로 결정했으며, 총사업비는 9000억이다.[10]

2. 1. 1차 도입 사업

수리온 해상형 개발에 앞서, 대한민국 해군은 시급한 해상작전헬기 8대를 2013년에 수입 발주하였다. 미국의 MH-60R 시호크와 영국의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159(와일드캣)이 입찰에 참여했으며, 1차 선정에서는 시호크가 선정되었으나 최종 가격 협상에 실패하였다. 2013년 1월 15일 김관진 국방장관 주재 하에 열린 제64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와일드캣이 최종 선정되었다.[1]

1차 도입 사업 기간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였으며, 총 8대를 5890억에 도입하였다. 대한민국은 와일드캣 도입 시 음향 탐지 장비 설계 및 체계 통합 기술 등 선진 핵심 기술도 이전받았다.[2]

2016년 6월 13일, 수락 검사를 통과한 와일드캣 1차분 4대가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되었으며, 나머지 4대도 같은 해에 인도되어 2017년에 전력화가 완료될 예정이었다.

2. 1. 1. 1차 사업 후보기종

미국 시콜스키사가 제작한 시호크는 육군의 블랙호크를 개조한 것으로, 최대이륙중량 10톤으로 아파치 헬기와 무게가 같은 대형 헬기이다. 미국 해군일본 해군이 사용한다. 미국의 무기가 항상 그러하듯이, 고성능은 장점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가격이 문제가 되었다. 50 kg 헬파이어 미사일 8발을 장착하여 탱크킬러의 역할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시호크는 대함, 대잠 작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지만, 무장능력에 한계가 있는 와일드캣은 1회 출격 때 둘 중 하나만 수행할 수 있다.[3]

와일드캣은 영국한국 해군이 사용중인 슈퍼링크스 헬기를 업그레이드 한 제품이다. 최대이륙중량이 5.3톤에서 6.0톤으로 슈퍼링크스보다 약간 커졌다. 한국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에 탑재한 슈퍼링크스에서 해군 UDT 저격수가 소말리아 해적을 향해 저격하는 뉴스가 보도되었었다. 와일드캣에는 50 kg 헬파이어 미사일은 장착하지 않으나, 13 kg LMM 대전차 미사일을 개발해 장착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파이어 미사일이 처음 개발된 70년대 보다 기술이 발전하여, 요즘은 13 kg으로도 세계의 대부분의 탱크를 관통하는 같은 사거리의 대전차 미사일이 가능해졌다.

시호크는 대당 1500억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정부의 전체예산을 초과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와일드캣은 5890억보다 저렴한 값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가격은 공개하지 않았다.[4]

2006년 6월 22일, 영국 국방부는 10억파운드(1.7조)에 70대의 와일드캣을 주문했다. 대략 대당 242억이다. 영국 육군에 40대, 영국 해군에 30대, 그리고 옵션으로 육해군에 각각 5대를 주문했다.[5] 2008년 12월 영국 국방부는 주문을 62대로 줄였다.[6] 2009년 중반, 프로그램 비용은 17억파운드(2.89조)로 올랐다.[7]

2. 2. 2차 도입 사업

2019년부터 2025년까지 2차 사업이 진행되어 해상작전헬기 12대를 전력화한다.

2016년 6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유럽 항공기 회사 에어버스(AH)와 협력하여 국산 기동헬기 수리온(KUH-1)을 바탕으로 해상작전헬기 개발을 추진한다.[8][9]

향후 10년간 세계 자유진영의 해상작전 헬기 총 예상 수요는 300여 대로 예측되며, 수리온 해상작전헬기가 개발되면 이 가운데 30%(약 100여 대) 이상의 시장 점유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 베놈(Sea Venom)과 스파이크 NLOS 유도미사일을 장착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함정에서 원활한 해상작전을 운용할 수 있도록 주날개를 포함한 동체 일부까지도 접는(폴딩) 기술도 적용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수리온 해상형 시제기로 지상 시험용 1대, 비행 시험용 2대를 제작한다.

2017년 1월, 긴급 소요에 따라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직도입을 결정했다. 총사업비는 9000억이며 12대를 도입한다.[10]

3. 세계의 해상작전헬기 보유 현황

국가보유 대수
미국500대
일본100대
대한민국60대
프랑스40대
영국30대
스페인20대
러시아40대
중국40대


참조

[1] 뉴스 https://news.naver.c[...]
[2] 뉴스 https://news.naver.c[...]
[3] 뉴스 https://news.naver.c[...]
[4] 뉴스 https://news.naver.c[...]
[5] 웹사이트 AgustaWestland Awarded Future Lynx Contract http://www.agustawes[...] 2011-07-07
[6] 간행물 UK cuts Future Lynx deal, delays new carriers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2008-12-12
[7] 웹사이트 Wildcat helicopter row turns hostile. https://archive.toda[...] defencemanagement.com 2013-01-21
[8] 뉴스 http://news1.kr/arti[...]
[9] 웹인용 날개 등 동체 접히는 국산 해상작전헬기 `수리온` 만든다 http://www.dt.co.kr/[...] 2016-06-17
[10] 웹사이트 http://www.edaily.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