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산 이중 나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산 이중 나선은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에 의해 처음 발표된 DNA의 구조 모델이다. 이 모델은 로잘린드 프랭클린 등의 연구와 염기쌍 화학 정보를 바탕으로 구축되었으며, 유전 정보 저장 및 복제의 메커니즘을 밝혀 20세기 가장 중요한 과학적 발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DNA는 혼성화, 융해 과정을 통해 상보적인 염기쌍 결합을 형성하며, A-DNA, B-DNA, Z-DNA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B-DNA는 세포 내에서 가장 우세한 형태로, 굽힘, 지속 길이, 슈퍼코일, 위상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선 - 이중 나선
    이중 나선은 DNA의 구조로서,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오른손잡이 나선 구조를 이루며, 상보적인 염기쌍이 수소 결합으로 연결되고 주구와 부구라는 고랑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나선 - DNA
    DNA는 생물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으로, 이중나선 구조를 가지며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의 네 종류 염기로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자기 복제 능력을 통해 유전 정보를 전달하며 진화의 원동력이 되는 물질이다.
  • 생물물리학 - 이중 나선
    이중 나선은 DNA의 구조로서,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오른손잡이 나선 구조를 이루며, 상보적인 염기쌍이 수소 결합으로 연결되고 주구와 부구라는 고랑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생물물리학 - 생물리학
    생물리학은 물리학 및 물리화학적 원리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분자 수준부터 생태계 수준까지 다양한 연구를 포괄하며 통계물리학, 계산 생물학, 의료 물리학 등과 연관되지만 생명 현상의 복잡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 분자기하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분자기하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핵산 이중 나선
분자 구조
DNA 이중 나선 구조의 애니메이션
DNA 이중 나선 구조의 애니메이션
구성 요소두 개의 핵산 가닥
상보적 염기쌍아데닌 (티민 또는 유라실과 결합)
구아닌 (시토신과 결합)
골격당-인산 골격
나선 방향일반적으로 오른쪽 방향 (B-DNA 형태)
구조적 특징
나선이중 나선
염기쌍 간 거리약 0.34 나노미터
회전당 염기쌍 수약 10.4 ~ 10.5 염기쌍 (용액 상태)
주요 홈과 보조 홈단백질 결합 부위 제공
상호 작용
안정화 힘수소 결합 (염기쌍 사이)
반 데르 발스 힘 (염기 스태킹)
단백질 상호 작용DNA 결합 단백질, 효소 (예: DNA 중합효소)
기능적 중요성
유전 정보 저장유전 코드
복제 및 전사유전 정보 전달의 기초
유전자 발현 조절단백질 결합 부위 제공
추가 정보
발견제임스 왓슨, 프랜시스 크릭, 로잘린드 프랭클린, 모리스 윌킨스
관련 연구DNA 구조 결정
참고 문헌

2. 역사

DNA 구조의 이중 나선 모델은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학술지 ''네이처''에 처음 발표했다.[6] 1954년에는 X, Y, Z 좌표를 발표했다.[7] 이는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그녀의 학생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한 "사진 51"로 명명된 DNA의 결정적인 X선 회절 사진[8][9], 모리스 윌킨스, 알렉산더 스토크스, 허버트 윌슨[10], 에르빈 차가프의 염기쌍 화학 및 생화학 정보[11][12][13][14][15][16]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보다 앞서, 라이너스 폴링과 그의 협력자 로버트 코리는 이미 단백질 2차 구조 모티프의 구조를 정확하게 특성화했지만, DNA가 삼중 가닥 구조를 취할 것이라고 잘못 추정했다.[17]

DNA 구조가 이중 나선이라는 사실은 유전 정보가 생물체 내에서 염기쌍 결합 메커니즘으로 저장되고 복제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과학적 발견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진다. 크릭, 윌킨스, 왓슨은 이 발견에 기여한 공로로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각각 3분의 1씩 받았다.[18]

3. 핵산 혼성화

핵산 혼성화는 상보적 염기쌍이 결합하여 이중 나선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3. 1. 핵산 융해

혼성화는 상보적 염기쌍이 결합하여 이중 나선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융해는 이중 나선의 가닥 간의 상호 작용이 끊어져 두 핵산 가닥이 분리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결합은 약하며, 가벼운 가열, 효소 또는 기계적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된다. 융해는 핵산의 특정 지점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한다.[19] ''T''와 ''A''가 풍부한 영역은 ''C''와 ''G''가 풍부한 영역보다 융해되기 쉽다. 일부 염기 계단(쌍)도 DNA 융해에 취약하며, 예를 들어 ''T A''와 ''T G''가 있다.[20] 이러한 기계적 특징은 많은 유전자의 시작 부분에 있는 ''TATA''와 같은 서열을 사용하여 RNA 중합 효소가 전사를 위해 DNA를 융해하는 것을 돕는 데 반영된다.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가벼운 가열에 의한 가닥 분리는 분자가 약 10,000개의 염기쌍(10킬로베이스 쌍 또는 10 kbp) 미만인 경우 간단하다. DNA 가닥의 얽힘은 긴 부분을 분리하기 어렵게 만든다.[21] 세포는 DNA 융해 효소(헬리케이스)가 다른 가닥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다른 가닥의 인산 골격을 화학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토포이소머라아제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이 문제를 피한다.[22] 헬리케이스는 DNA 중합 효소와 같은 서열 판독 효소의 진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닥을 푼다.[23]

3. 2. DNA 융해와 관련된 효소

혼성화는 상보적 염기쌍이 결합하여 이중 나선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융해는 이중 나선의 가닥 간의 상호 작용이 끊어져 두 핵산 가닥이 분리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결합은 약하며, 가벼운 가열, 효소 또는 기계적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된다. 융해는 핵산의 특정 지점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한다.[19] ''T''와 ''A''가 풍부한 영역은 ''C''와 ''G''가 풍부한 영역보다 융해되기 쉽다. 일부 염기 계단(쌍)도 DNA 융해에 취약하며, 예를 들어 ''T A''와 ''T G''가 있다.[20] 이러한 기계적 특징은 많은 유전자의 시작 부분에 있는 ''TATA''와 같은 서열을 사용하여 RNA 중합 효소가 전사를 위해 DNA를 융해하는 것을 돕는 데 반영된다.

세포는 DNA 융해 효소(헬리케이스)가 다른 가닥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다른 가닥의 인산 골격을 화학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토포이소머라아제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가벼운 가열에 의한 가닥 분리 문제를 피한다.[22] 헬리케이스는 DNA 중합 효소와 같은 서열 판독 효소의 진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닥을 푼다.[23]

4. 염기쌍 기하학

염기쌍 기하학


염기쌍 기하학은 시프트, 슬라이드, 라이즈, 틸트, 롤, 트위스트 등 6가지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값들은 핵산 분자에서 나선 축을 따라 이전 염기 또는 염기쌍의 공간적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정의하며, 분자의 나선 구조를 특징짓는다. DNA 또는 RNA의 특정 영역에서 이러한 값의 변화는 구조적 파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4][25][26]

각 염기쌍은 이전 염기쌍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기하학적 특징을 가진다.

  • '''전단'''
  • '''스트레치'''
  • '''엇갈림'''
  • '''버클'''
  • '''프로펠러''': 같은 염기쌍 내에서 한 염기가 다른 염기에 대해 회전한다.
  • '''오프닝'''
  • '''시프트''': 작은 홈에서 큰 홈으로 향하는 첫 번째 염기쌍 평면에 수직인 축을 따라 이동한다.
  • '''슬라이드''': 한 가닥에서 다른 가닥으로 향하는 염기쌍 평면의 축을 따라 이동한다.
  • '''라이즈''': 나선 축을 따라 이동한다.
  • '''틸트''': 시프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 '''롤''': 슬라이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 '''트위스트''': 라이즈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 '''x-변위'''
  • '''y-변위'''
  • '''기울기'''
  • '''팁'''
  • '''피치''': 나선의 완전한 회전당 높이이다.


이 중 라이즈와 트위스트는 나선의 손상도와 피치를 결정하며, 나머지 좌표는 0이 될 수 있다. 슬라이드와 시프트는 B-DNA에서는 작지만, A-DNA와 Z-DNA에서는 큰 값을 가진다. 롤과 틸트는 염기쌍을 덜 평행하게 만들며, 일반적으로 작은 값을 가진다.

과학 문헌에서 "틸트"는 종종 다르게 사용되는데, 이는 첫 번째 가닥 간 염기쌍 축이 나선 축에 수직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나선 기반 좌표에서 "기울기"에 해당한다.

4. 1. 염기쌍 기하학의 변수

염기 또는 염기쌍 단계의 기하학은 시프트, 슬라이드, 라이즈, 틸트, 롤, 트위스트의 6가지 좌표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값들은 핵산 분자에서 나선 축을 따라 이전 염기 또는 염기쌍의 공간적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정의한다. 이들은 함께 분자의 나선 구조를 특징짓는다. "정상" 구조가 파괴된 DNA 또는 RNA 영역에서 이러한 값의 변화는 이러한 파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각 염기쌍에 대해 이전 염기쌍과 관련하여 다음의 염기쌍 기하학을 고려해야 한다.[24][25][26]

  • '''전단'''
  • '''스트레치'''
  • '''엇갈림'''
  • '''버클'''
  • '''프로펠러''': 동일한 염기쌍 내에서 한 염기가 다른 염기에 대해 회전하는 것.
  • '''오프닝'''
  • '''시프트''': 작은 홈에서 큰 홈으로 향하는 첫 번째 염기쌍 평면에 수직인 축을 따라 이동.
  • '''슬라이드''': 한 가닥에서 다른 가닥으로 향하는 염기쌍 평면의 축을 따라 이동.
  • '''라이즈''': 나선 축을 따라 이동.
  • '''틸트''': 시프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
  • '''롤''': 슬라이드 축을 중심으로 회전.
  • '''트위스트''': 라이즈 축을 중심으로 회전.
  • '''x-변위'''
  • '''y-변위'''
  • '''기울기'''
  • '''팁'''
  • '''피치''': 나선의 완전한 회전당 높이.


라이즈와 트위스트는 나선의 손상도와 피치를 결정한다. 반대로 다른 좌표는 0이 될 수 있다. 슬라이드와 시프트는 일반적으로 B-DNA에서는 작지만 A-DNA 및 Z-DNA에서는 상당하다. 롤과 틸트는 연속적인 염기쌍을 덜 평행하게 만들며 일반적으로 작다.

"틸트"는 과학 문헌에서 종종 다르게 사용되었으며, 첫 번째 가닥 간 염기쌍 축이 나선 축에 수직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연속적인 염기쌍 간의 슬라이드에 해당하며, 나선 기반 좌표에서는 "기울기"라고 제대로 불린다.

5. 나선 기하학

A-DNA, '''B-DNA''', Z-DNA는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 가지 DNA 구조이다.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기술한 B형 DNA는 세포 내에서 가장 우세한 것으로 여겨진다.[27]

A-DNA와 Z-DNA는 B-DNA와 기하학적 구조 및 치수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만, 모두 나선형 구조를 띈다. A-DNA는 실험실에서 탈수된 DNA 샘플이나 DNA와 RNA 가닥의 하이브리드 결합에서 주로 발견되었지만, 최근에는 생체 내에서도 발견되어 생물학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Z-DNA는 세포가 조절 목적으로 메틸화한 DNA 세그먼트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A-DNA 및 B-DNA와 반대 방향으로 나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단백질-DNA 복합체에서도 Z-DNA 구조가 형성된다는 증거가 존재한다.

A-DNA, B-DNA, C-DNA, E-DNA,[28] L-DNA(D-DNA의 거울상 이성질체),[29] P-DNA,[30] S-DNA, Z-DNA 등 다양한 DNA 구조가 설명되었지만,[31] F, Q, U, V, Y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32][33] 삼중 가닥 DNA와 G-사중체, i-모티프와 같은 사중체 형태도 존재한다.

A-, B-, Z-DNA의 구조.


A-, B-, Z-DNA의 나선 축.


DNA의 세 가지 주요 형태의 구조적 특징[34][35][36]
기하학적 특성A-DNAB-DNAZ-DNA
나선 방향오른쪽오른쪽왼쪽
반복 단위1 bp1 bp2 bp
회전/bp32.7°34.3°60°/2
bp/회전1110.512
축에 대한 bp의 기울기+19°-1.2°-9°
축을 따라 bp당 상승2.3Å3.32Å3.8Å
나선 피치/회전28.2Å33.2Å45.6Å
평균 프로펠러 비틀림+18°+16°
배당체 각도antiantiC: anti,
G: syn
당 고리C3'-endoC2'-endoC: C2-endo,
G: C2
-exo
직경23Å20Å18Å


5. 1. DNA의 다양한 형태

자연계에는 A-DNA, '''B-DNA''', Z-DNA를 비롯한 최소 세 가지 DNA 구조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기술한 ''B'' 형태는 세포 내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27] B-DNA는 너비가 23.7Å이며 염기쌍(bp) 10개당 34Å 뻗어 있다. 이중 나선은 용액 상태에서 10.4~10.5 염기쌍마다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를 돈다. 이러한 비틀림 빈도(나선 ''피치''라고 함)는 각 염기가 사슬 내 이웃에 가하는 적층력에 크게 의존한다. 염기의 절대 배열은 주어진 구조에 대한 나선형 곡선의 방향을 결정한다.

A-DNA와 Z-DNA는 B-DNA와 기하학적 구조와 치수에서 크게 다르지만, 여전히 나선형 구조를 형성한다. A 형태는 오랫동안 실험실에서 DNA의 탈수된 샘플, 예를 들어 결정학적 실험에 사용되는 샘플 및 DNA와 RNA 가닥의 하이브리드 결합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DNA 탈수는 생체 내에서 발생하며, A-DNA가 이제 생물학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가 조절 목적으로 메틸화한 DNA의 세그먼트는 Z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가닥은 A-DNA와 B-DNA와 반대 방향으로 나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단백질-DNA 복합체가 Z-DNA 구조를 형성한다는 증거도 있다.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A-DNA, B-DNA, C-DNA, E-DNA,[28] L-DNA(D-DNA의 거울상 이성질체),[29] P-DNA,[30] S-DNA, Z-DNA 등이 지금까지 설명되었다.[31] F, Q, U, V, Y 문자만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DNA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32][33]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대부분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삼중 가닥 DNA 형태와 G-사중체 및 i-모티프와 같은 사중체 형태도 있다.

DNA의 세 가지 주요 형태의 구조적 특징[34][35][36]
기하학적 특성A-DNAB-DNAZ-DNA
나선 방향오른쪽 나선오른쪽 나선왼쪽 나선
반복 단위1 bp1 bp2 bp
회전/bp32.7°34.3°60°/2
bp/회전1110.512
축에 대한 bp의 기울기+19°−1.2°−9°
축을 따라 bp당 상승2.3Å3.32Å3.8Å
나선 피치/회전28.2Å33.2Å45.6Å
평균 프로펠러 비틀림+18°+16°
배당체 각도antiantiC: anti,
G: syn
당 고리C3'-endoC2'-endoC: C2-endo,
G: C2
-exo
직경23Å20Å18Å


5. 2. 큰 홈과 작은 홈

DNA 이중 나선은 두 가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지 않아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홈, 즉 큰 홈과 작은 홈을 가진다. 큰 홈의 너비는 22Å이고, 작은 홈의 너비는 12Å이다.[38]

DNA의 큰 홈과 작은 홈. 작은 홈은 염료 Hoechst 33258의 결합 부위이다.


작은 홈은 폭이 좁아 염기의 가장자리가 큰 홈에서 더 잘 보인다. 따라서 전사 인자와 같이 DNA 이중 나선의 특정 서열에 결합하는 단백질은 주로 큰 홈에 노출된 염기 측면에 접촉한다.[5] 이러한 상황은 세포 내 DNA의 특이한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큰 홈과 작은 홈은 DNA가 일반적인 B 형태로 다시 꼬여 있을 때 나타나는 크기 차이를 반영하여 이름 붙여졌다.[39]

6. DNA의 굽힘

DNA는 비교적 뻣뻣한 고분자로, 벌크 체인으로 모델링된다. DNA의 굽힘은 세포 내에서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는 굽힘, 꼬임, 압축의 세 가지 자유도를 가지는데, 이 중 굽힘-축 강성은 DNA 감싸기, 환상화 및 단백질 상호 작용에 중요하다.[42]

DNA 분자는 염기 서열에 따라 선호하는 굽힘 방향, 즉 이방성 굽힘을 갖는 경우가 많다. 무작위 서열은 선호하는 굽힘 방향이 없는 등방성 굽힘을 갖는다. 선호하는 DNA 굽힘 방향은 각 염기가 다음 염기 위에 쌓이는 안정성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불안정한 염기 쌓임 단계가 DNA 나선의 한쪽에서 항상 발견되면 DNA는 그 방향으로 굽힘을 선호한다. 굽힘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체적 방해와 서로 상대적으로 잔기를 회전시키는 능력도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작은 홈에서 중요하다. ''A''와 ''T'' 잔기는 굽힘 안쪽의 작은 홈에서 주로 발견된다.[46]

다음은 염기쌍 간 쌓임 안정성을 나타낸 표이다.

염기쌍 간 쌓임 안정성 (B DNA)[46]
염기쌍쌓임 ΔG
(kcal/mol)
T A-0.19
T G 또는 C A-0.55
C G-0.91
A G 또는 C T-1.06
A A 또는 T T-1.11
A T-1.34
G A 또는 T C-1.43
C C 또는 G G-1.44
A C 또는 G T-1.81
G C-2.17



예외적인 굽힘 선호를 가진 DNA 분자는 본질적으로 굽어질 수 있다. 이는 ''G''와 ''C''가 풍부한 섹션으로 분리된 4-6개의 ''T'' 및 ''A'' 잔기의 스트레치를 포함하는 특정 서열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서열은 A 및 T 잔기를 분자의 한쪽 작은 홈과 위상이 맞도록 유지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GATTCCCAAAAATGTCAAAAATAGGCAAAAATGCCAAAAATCCCAAAC



본질적으로 굽은 구조는 염기 쌍이 서로 상대적으로 '프로펠러 트위스트'에 의해 유도되어 염기 단계 사이에 특이한 분기 수소 결합을 허용한다. 이방성으로 굽는 DNA는 평균적으로 더 긴 지속 길이와 더 큰 축 강성을 갖는다.

6. 1. 지속 길이

용액 내 DNA는 열 진동과 물 분자와의 충돌로 인해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하므로, 강성 척도를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DNA의 굽힘 강성은 지속 길이로 측정된다. 지속 길이는 고분자의 굽힘 유연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길이보다 작으면 고분자가 강성 막대처럼 행동한다.[42]

원자력 현미경을 사용하여 DNA 분자를 직접 이미징하여 지속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수용액에서 평균 지속 길이는 약 50nm (150 염기쌍)이다.[43] 더 넓게는 45nm~60nm[44] 또는 132–176 염기쌍(DNA의 지름은 2nm)으로 관찰되었다.[45] 이는 온도, 수용액 조건 및 DNA 길이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44]

DNA 한 부분의 지속 길이는 서열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염기 쌍 쌓임 에너지와 작은 홈 및 큰 홈으로 확장되는 잔기의 영향 때문이다.

염기쌍 간 쌓임 안정성 (B DNA)[46]
염기쌍쌓임 ΔG
(kcal mol−1)
T A-0.19
T G 또는 C A-0.55
C G-0.91
A G 또는 C T-1.06
A A 또는 T T-1.11
A T-1.34
G A 또는 T C-1.43
C C 또는 G G-1.44
A C 또는 G T-1.81
G C-2.17



예시 염기 서열과 지속 길이 (B DNA)
염기 서열지속 길이 (염기쌍)
임의154±10
(CA)반복133±10
(CAG)반복124±10
(TATA)반복137±10



지속 길이보다 큰 길이에서 DNA의 엔트로피 유연성은 ''Kratky-Porod'' 벌레형 사슬 모델과 같은 표준 고분자 물리학 모델과 일치한다.[47] DNA를 구부리는 것은 매우 작은 힘에서 훅의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지속 길이보다 짧은 DNA 분절의 경우, 굽힘력은 일정하며, 동작은 벌레형 사슬 예측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효과는 작은 DNA 분자를 고리화하는 데 용이하고, DNA의 굽어진 부분을 발견할 확률을 높인다.[48]

6. 2. 굽힘 선호도

DNA 분자는 선호하는 굽힘 방향, 즉 이방성 굽힘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는 DNA 서열을 구성하는 염기의 특성 때문이다. 무작위 서열은 선호하는 굽힘 방향이 없는 등방성 굽힘을 갖는다.

선호하는 DNA 굽힘 방향은 각 염기가 다음 염기 위에 쌓이는 것의 안정성에 의해 결정된다. 불안정한 염기 쌓임 단계가 DNA 나선의 한쪽에서 항상 발견되면 DNA는 그 방향으로 굽힘을 선호한다. 굽힘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체적 방해와 서로 상대적으로 잔기를 회전시키는 능력도 역할을 하며, 특히 작은 홈에서 그렇다. ''A''와 ''T'' 잔기는 굽힘 안쪽의 작은 홈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러한 효과는 뉴클레오솜 입자와 같이 DNA-단백질 결합에서 빡빡한 DNA 굽힘이 유도될 때 특히 관찰된다.[46]

다음은 염기쌍 간 쌓임 안정성을 나타낸 표이다.

염기쌍 간 쌓임 안정성 (B DNA)[46]
염기쌍쌓임 ΔG
(kcal/mol)
T A-0.19
T G 또는 C A-0.55
C G-0.91
A G 또는 C T-1.06
A A 또는 T T-1.11
A T-1.34
G A 또는 T C-1.43
C C 또는 G G-1.44
A C 또는 G T-1.81
G C-2.17



예외적인 굽힘 선호를 가진 DNA 분자는 본질적으로 굽어질 수 있다. 이것은 처음 트리파노소마류 키네토플라스트 DNA에서 관찰되었다. 이를 유발하는 전형적인 서열은 ''G''와 ''C''가 풍부한 섹션으로 분리된 4-6개의 ''T'' 및 ''A'' 잔기의 스트레치를 포함하며, 이는 A 및 T 잔기를 분자의 한쪽 작은 홈과 위상이 맞도록 유지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GATTCCCAAAAATGTCAAAAAATAGGCAAAAATGCCAAAAATCCCAAAC



본질적으로 굽은 구조는 염기 쌍이 서로 상대적으로 '프로펠러 트위스트'에 의해 유도되어 염기 단계 사이에 특이한 분기 수소 결합을 허용한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이 구조가 변성되어 본질적인 굽힘이 사라진다.

이방성으로 굽는 모든 DNA는 평균적으로 더 긴 지속 길이와 더 큰 축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증가된 강성은 분자가 등방성으로 작용하게 만드는 무작위 굽힘을 방지하는 데 필요하다.

7. DNA의 환형화

DNA의 환형화는 분자의 축 방향(굽힘) 강성과 비틀림(회전) 강성에 모두 달려 있다. DNA 분자가 성공적으로 환형화되려면 전체 원으로 쉽게 구부러질 만큼 충분히 길어야 하고, 결합이 발생하도록 끝 부분이 올바른 회전을 하도록 올바른 수의 염기를 가져야 한다. DNA 환형화에 최적의 길이는 약 400개의 염기쌍(136 nm)이며, DNA 이중 나선의 정수배, 즉 10.4개 염기쌍의 배수이다. 정수가 아닌 회전수를 가지면 환형화에 상당한 에너지 장벽이 생긴다. 예를 들어 312개 염기쌍(10.4 x 30) 분자는 317개 염기쌍(10.4 x 30.5 ≈) 분자보다 수백 배 더 빠르게 환형화된다.[49]

짧은 환형 DNA 분절의 굽힘은 균일하지 않다. 오히려 지속 길이에 미치지 못하는 환형 DNA 분절의 경우 DNA 굽힘은 AT가 풍부한 분절에서 우선적으로 형성되는 1~2개의 꺾임으로 국한된다. 만약 닉이 존재한다면, 굽힘은 닉 부위에 국한될 것이다.[48]

8. DNA의 신장

DNA의 더 긴 가닥은 장력 하에서 엔트로피 탄성을 보인다. DNA가 용액에 있으면 용매의 열적 욕조에서 사용 가능한 에너지로 인해 지속적인 구조적 변화를 겪는다. 이는 분자의 열 진동과 물 분자와의 지속적인 충돌 때문이다. 엔트로피적인 이유로, 더 조밀하고 이완된 상태가 늘어난 상태보다 열적으로 접근 가능하며, 따라서 DNA 분자는 거의 보편적으로 엉킨 이완된 형태로 발견된다. 이러한 이유로, 하나의 DNA 분자는 힘을 받으면 늘어나 펴지게 된다. 광학 핀셋을 사용하여 DNA의 엔트로피적 늘어짐 거동을 연구하고 고분자 물리학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DNA는 생리적으로 접근 가능한 에너지 규모에서 주로 ''Kratky-Porod'' 웜 같은 사슬 모델과 유사하게 거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충분한 장력과 양의 토크 하에서 DNA는 염기가 바깥쪽으로 펼쳐지고 인산기가 가운데로 이동하는 상전이를 겪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과도하게 늘어난 DNA에 대해 제안된 구조는 DNA의 가능한 구조로 처음 제시한 라이너스 폴링을 기려 ''P-형 DNA''라고 불린다.[30]

토크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DNA를 기계적으로 늘리는 실험으로부터, 일반적으로 ''S-형 DNA''라고 불리는 추가적인 구조로 이어지는 전이 또는 전이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구조들은 가해진 힘 하에서 용액 내에서 원자 수준의 이미징을 수행하는 어려움 때문에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많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가 이루어졌다.[50][51]

제안된 S-DNA 구조에는 염기쌍 스태킹과 수소 결합을 유지하면서 기울임으로써 확장을 완화하는 구조(GC-rich)와, 염기-염기 결합이 전반적으로 유지되면서 염기 스택의 부분적인 용융이 일어나는 구조(AT-rich)가 포함된다.

3bp마다 한 번씩(따라서 세 bp-bp 단계 중 하나) 염기쌍 스택의 주기적인 파괴가 염기 스태킹의 평면성을 유지하고 적절한 양의 확장을 방출하는 규칙적인 구조로 제안되었으며,[52] "Σ-DNA"라는 용어가 기억어로 도입되었는데, 시그마 문자의 세 개의 오른쪽을 향하는 점은 세 개의 그룹화된 염기쌍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Σ-형은 GNC 가설에 따라 진화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GNC 모티프에 대한 서열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53]

9. 슈퍼코일과 위상

낮은 와이드(writhe)를 가진 원형 DNA 분자의 초나선 구조. DNA 이중 나선의 나선형 측면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DNA 슈퍼코일은 DNA 가닥이 과도하게 감기거나(양성) 덜 감겨서(음성) 비틀림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생체 내 DNA는 일반적으로 음성 슈퍼코일 상태이며, 이는 RNA 전사 과정에서 이중 나선이 풀리는 것을 돕는다.

DNA의 위상적 구조는 연결 수(L), 비틀림(T), 와이드(W)라는 세 가지 값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연결 수(L)는 한 DNA 가닥이 다른 가닥을 감는 횟수를 나타내며, 비틀림(T)은 이중 나선의 총 회전 수, 와이드(W)는 슈퍼나선 축을 중심으로 한 이중 나선의 회전 수를 의미한다. 이들은 ''L'' = ''T'' + ''W'' 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이중 가닥 DNA가 원형으로 연결되면 위상적으로 매듭지어진 상태가 된다. 이 매듭을 푸는 것은 토포아이소머라제라는 효소가 담당하며, 이 효소는 DNA 가닥을 일시적으로 절단하여 다른 가닥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매듭 풀기는 DNA 복제 및 재조합 과정에 필수적이다.[55]

9. 1. 연결 수

B형 DNA 이중 나선은 비틀림 변형이 없을 때 10.4-10.5 염기쌍(bp)당 360° 회전한다. 그러나 많은 분자 생물학적 과정이 비틀림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나선형 꼬임을 가진 DNA 세그먼트는 각각 양성 또는 음성 슈퍼코일이라고 한다. ''생체 내'' DNA는 일반적으로 음성 슈퍼코일되어 RNA 전사에 필요한 이중 나선의 풀림(용융)을 촉진한다.

세포 내에서 대부분의 DNA는 위상적으로 제한된다. DNA는 일반적으로 위상적으로 닫힌 루프(예: 원핵생물의 플라스미드) 또는 확산 계수가 효과적으로 위상적으로 닫힌 도메인을 생성하는 매우 긴 분자로 발견된다. DNA의 선형 부분은 또한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물리적 구조(예: 막)에 결합되어 닫힌 위상 루프를 형성한다.

프랜시스 크릭은 DNA 슈퍼코일을 고려할 때 연결 수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1976년에 발표된 논문에서 크릭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닫힌 이중 가닥 DNA 분자에 의해 형성된 슈퍼코일을 고려할 때 연결 수 및 비틀림과 같은 특정 수학적 개념이 필요하다. 닫힌 리본에 대한 이러한 의미와 닫힌 곡선의 와이드 수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몇 가지 간단한 예가 제시되며, 그 중 일부는 염색질의 구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54]

DNA 위상 분석은 세 가지 값을 사용한다.

  • ''L'' = 연결 수 - 한 DNA 가닥이 다른 가닥을 감는 횟수. 닫힌 루프의 경우 정수이며 닫힌 위상 도메인의 경우 상수이다.
  • ''T'' = 비틀림 - 이중 가닥 DNA 이중 나선의 총 회전 수. 이것은 일반적으로 위상적으로 열린 이중 가닥 DNA 이중 나선이 용액에서 자유롭게 만드는 회전 수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즉, 염기 수/10.5, 삽입제(예: 에티듐 브로마이드) 또는 DNA의 강성을 수정하는 기타 요소가 없다고 가정한다.
  • ''W'' = 와이드 - 슈퍼나선 축 주위의 이중 가닥 DNA 이중 나선의 회전 수
  • ''L'' = ''T'' + ''W'' 및 Δ''L'' = Δ''T'' + Δ''W''


닫힌 위상 도메인에서 T가 변경되면 W가 변경되어야 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DNA의 고차 구조를 초래한다. 와이드가 0인 원형 DNA 분자는 원형이 된다. 이 분자의 비틀림이 슈퍼코일링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와이드가 적절하게 변경되어 분자가 플렉토네믹 또는 토로이드형 초나선 코일링을 겪게 된다.

이중 가닥 나선형 DNA 조각의 양쪽 끝이 원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면 가닥이 위상적으로 매듭진다. 이것은 단일 가닥이 가닥을 끊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과정(예: 가열)으로는 분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위상적으로 연결된 DNA 가닥의 매듭을 푸는 작업은 토포아이소머라제라고 하는 효소에 속한다. 이 효소는 다른 이중 또는 단일 가닥 세그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가닥 또는 양쪽 가닥을 절단하여 원형 DNA의 매듭을 푸는 데 전념한다. 이 매듭 풀기는 원형 DNA의 복제 및 유사한 위상 제약이 있는 선형 DNA의 다양한 유형의 재조합에 필요하다.

수년 동안 진핵생물 게놈에서 잔류하는 초나선 구조의 기원은 불분명했다. 이 위상학적 퍼즐은 일부에서 "연결 수의 역설"이라고 불렸다.[55] 그러나, 뉴클레오솜의 실험적으로 결정된 구조가 히스톤 옥타머 주위에 과도하게 꼬인 좌선형 DNA 랩을 나타내면서,[56][57] 이 ''역설''은 과학계에서 해결된 것으로 여겨졌다.

9. 2. 슈퍼코일과 관련된 효소

B형 DNA 이중 나선은 비틀림 변형이 없을 때 10.4-10.5 bp당 360° 회전한다. 그러나 많은 분자 생물학적 과정이 비틀림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나선형 꼬임을 가진 DNA 세그먼트는 각각 양성 또는 음성 슈퍼코일이라고 한다. ''생체 내'' DNA는 일반적으로 음성 슈퍼코일되어 RNA 전사에 필요한 이중 나선의 풀림(용융)을 촉진한다.

세포 내에서 대부분의 DNA는 위상적으로 제한된다. DNA는 일반적으로 위상적으로 닫힌 루프(예: 원핵생물의 플라스미드) 또는 확산 계수가 효과적으로 위상적으로 닫힌 도메인을 생성하는 매우 긴 분자로 발견된다. DNA의 선형 부분은 또한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물리적 구조(예: 막)에 결합되어 닫힌 위상 루프를 형성한다.

프랜시스 크릭은 DNA 슈퍼코일을 고려할 때 연결 수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54]

DNA 위상 분석은 세 가지 값을 사용한다.

  • ''L'' = 연결 수 - 한 DNA 가닥이 다른 가닥을 감는 횟수.
  • ''T'' = 비틀림 - 이중 가닥 DNA 이중 나선의 총 회전 수.
  • ''W'' = 와이드 - 슈퍼나선 축 주위의 이중 가닥 DNA 이중 나선의 회전 수
  • ''L'' = ''T'' + ''W'' 및 Δ''L'' = Δ''T'' + Δ''W''


이중 가닥 나선형 DNA 조각의 양쪽 끝이 원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면 가닥이 위상적으로 매듭진다. 위상적으로 연결된 DNA 가닥의 매듭을 푸는 작업은 토포아이소머라제라고 하는 효소에 속한다. 이 효소는 다른 이중 또는 단일 가닥 세그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가닥 또는 양쪽 가닥을 절단하여 원형 DNA의 매듭을 푸는 데 전념한다. 이 매듭 풀기는 원형 DNA의 복제 및 유사한 위상 제약이 있는 선형 DNA의 다양한 유형의 재조합에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Double Helix http://demonstration[...] The Wolfram Demonstrations Project
[2] 논문 What Rosalind Franklin truly contributed to the discovery of DNA's structure 2023-04
[3] 서적 The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4] 논문 Helical repeat of DNA in solution 1979-01
[5] 논문 Protein-DNA recognition
[6] 논문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1953-04
[7] 논문 The Complementary Structure of Deoxyribonucleic Acid
[8] 논문 Due credit 2013-04
[9] 논문 The forgotten scientists who paved the way to the double helix
[10] 논문 Molecular structure of deoxypentose nucleic acids 1953-04
[11] 논문 On the desoxyribonucleic acid content of sea urchin gametes 1952-04
[12] 논문 Composition of the desoxypentose nucleic acids of four genera of sea-urchin 1952-03
[13] 논문 The composition of the deoxyribonucleic acid of salmon sperm 1951-09
[14] 논문 Some recent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nucleic acids 1951-07
[15] 논문 The separation and estimation of ribonucleotides in minute quantities 1950-09
[16] 논문 Chemical specificity of nucleic acids and mechanism of their enzymatic degradation 1950-06
[17] 논문 A Proposed Structure For The Nucleic Acids 1953-02
[18] 웹사이트 Nobel Prize - List of All Nobel Laureates http://nobelprize.or[...]
[19] 논문 Predicting DNA duplex stability from the base sequence 1986-06
[20] 웹사이트 DNA melting temperature - How to calculate it? http://www.owczarzy.[...] owczarzy.net 2008-08-28
[21] 서적 Chromosome 16: PV92 PCR Informatics Kit https://citeseerx.is[...] Bio-Rad Laboratories
[22] 서적 CH450 and CH451: Biochemistry – Defining Life at the Molecular Level Western Oregon University 2022-06-10
[23]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2002
[24] 논문 Definitions and nomenclature of nucleic acid structure components 1989-03
[25] 논문 Resolving the discrepancies among nucleic acid conformational analyses 1999-01
[26] 논문 A standard reference frame for the description of nucleic acid base-pair geometry 2001-10
[27] 논문 The structure of DNA in the nucleosome core 2003-05
[28] 논문 The extended and eccentric E-DNA structure induced by cytosine methylation or bromination 2000-09
[29] 논문 Application of L-DNA as a molecular tag
[30] 논문 Stretched and overwound DNA forms a Pauling-like structure with exposed bases 1998-11
[31] 웹사이트 List of 55 fiber structures http://rutchem.rutge[...] Rutgers University
[32] 논문 DNA structure: Revisiting the Watson-Crick double helix
[33] 논문 A glossary of DNA structures from A to Z 2003-04
[34] 논문 The chemistry and biology of left-handed Z-DNA
[35] 서적 DNA structure and function Academic Press 1994-01-15
[36] 논문 The non-B-DNA structure of d(CA/TG)n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Z-DNA 1994-09
[37] 웹사이트 Double Helix https://www.genome.g[...] 2022-06-10
[38] 논문 Crystal structure analysis of a complete turn of B-DNA 1980-10
[39] 서적 Principles of Nucleic Acid Structure Elsevier 2022
[40] 논문 The double helix and the warped zipper--an exemplary tale 1982-05
[41] 논문 Response to 'Variety in DNA secondary structure' http://cs-test.ias.a[...] 2004-05-25
[42] 논문 Strongly Bent Double-Stranded DNA: Reconciling Theory and Experiment 2019-11
[43] 논문 The persistence length of DNA is reached from the persistence length of its null isomer through an internal electrostatic stretching force 2006-11
[44] 논문 Atomic Force Microscopy Investiga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MCM Helicase and DNA 2021-02
[45] 논문 Packaging the genome: the structure of mitotic chromosomes 2008-02
[46] 논문 Stacked-unstacked equilibrium at the nick site of DNA 2004-09
[47] 논문 Ring-Closure Probabilities for Twisted Wormlike Chains. Application to DNA
[48] 논문 Identifying Physical Causes of Apparent Enhanced Cyclization of Short DNA Molecules with a Coarse-Grained Model 2019-08
[49] 논문 DNA dynamics: bubble 'n' flip for DNA cyclisation? 2005-05
[50] 논문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DNA stretching is consistent with the tension observed for extension and strand separation and predicts a novel ladder structure.
[51] 논문 Structural basis of pathway-dependent force profiles in stretched DNA 2009-11
[52] 논문 A stretched conformation of DNA with a biological role? 2017-01
[53] 논문 DNA partitions into triplets under tension in the presence of organic cations, with sequence evolutionary age predicting the stability of the triplet phase 2017-01
[54] 논문 Linking numbers and nucleosomes 1976-08
[55] 논문 A topological approach to nucleosome structure and dynamics: the linking number paradox and other issues 1998-05
[56]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nucleosome core particle at 2.8 A resolution 1997-09
[57] 논문 Solvent mediated interactions in the structure of the nucleosome core particle at 1.9 a resolution 2002-06
[58] 웹인용 Double Helix http://demonstration[...] The Wolfram Demonstrations Proje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