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화 에너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반응물 분자가 넘어야 하는 에너지 장벽으로,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활성화 에너지가 낮을수록 반응 속도는 빨라지며, 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레니우스 식은 활성화 에너지와 반응 속도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며, 깁스 자유 에너지와도 관련이 있다. 일부 반응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 속도가 감소하는 음의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뿐만 아니라 핵반응 등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촉매 반응 - 광촉매
광촉매는 빛을 받아 촉매 작용을 하는 물질로, 이산화티타늄이 주로 사용되며 유기물 분해, 수질 및 대기 정화 등에 응용되지만 가시광선 효율 향상 및 과장 광고 문제가 있다. - 촉매 반응 - 효소
효소는 생체 내에서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생체촉매로서, 기질 선택성과 반응 선택성을 가지며 활성이 조절되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며,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인공 효소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물리화학 - 전해질
전해질은 용액에서 이온으로 해리되어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생체 내에서 세포막 전위 유지 및 신경-근육 기능 조절에 필수적이며, 농도와 해리 정도에 따라 강전해질과 약전해질로 나뉜다. - 물리화학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활성화 에너지 | |
---|---|
활성화 에너지 | |
정의 |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
기호 | Ea |
측정 단위 | 줄(J) 또는 몰당 킬로줄(kJ/mol) |
관련 개념 | 전이 상태 |
반응 속도와의 관계 | 활성화 에너지가 높을수록 반응 속도는 느려짐 |
화학 반응 | |
반응 진행 | 반응물이 활성화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 생성물 형성 가능 |
촉매 | 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 속도를 증가시킴 |
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활성화 에너지 장벽을 넘기 쉬워짐 |
아레니우스 방정식 | |
식 | k = Ae^(-Ea/RT) (k: 속도 상수, A: 빈도 인자, Ea: 활성화 에너지, R: 기체 상수, T: 온도) |
의미 | 활성화 에너지와 온도 변화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 설명 |
응용 | |
촉매 설계 | 활성화 에너지를 조절하여 효율적인 촉매 개발 |
반응 조건 최적화 | 온도 조절을 통해 반응 속도 및 효율 향상 |
효소 반응 | 효소는 생체 내 화학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생촉매 역할 |
2. 활성화 에너지의 개념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 분자들이 유효 충돌을 일으켜야 하는데, 이때 특정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 한다. 이 에너지 장벽을 활성화 에너지라고 한다.[23]
2. 1. 활성화 에너지와 반응 속도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활성화 에너지가 작으면 그 에너지보다 높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 수가 많아져 반응 속도가 빨라지고, 활성화 에너지가 크면 그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입자가 적어져 반응 속도가 느려진다.[23] 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촉매가 있다. 정촉매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을 빠르게 하고, 부촉매는 반대로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 반응을 느리게 한다. 촉매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적 관계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반응 속도에만 영향을 준다.[23]2. 1. 1. 아레니우스 식
아레니우스 식은 활성화 에너지와 반응 속도의 관계에 대한 정량적 기초를 제공한다. 이 식으로부터 활성화 에너지는 다음 관계식으로 구할 수 있다.:k = A exp(-Ea/RT)
여기서 ''A''는 반응의 지수 전 인자,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 온도(보통 켈빈 단위), ''k''는 반응 속도 상수이다. ''A''를 알지 못하더라도 아레니우스 식의 타당성 범위 내에서 온도의 함수로서 반응 속도 상수의 변화를 통해 ''E''a를 평가할 수 있다.
좀 더 고급 수준에서, 아레니우스 식으로부터 얻어지는 순 아레니우스 활성화 에너지 항은 반응 속도의 온도 민감도를 나타내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매개변수로 가장 잘 간주된다. 이 활성화 에너지를 기본 반응의 문턱 장벽과 연관 짓는 데에는 두 가지 반론이 있다. 첫째, 반응이 한 단계로 진행되는지 여부가 종종 불분명하다. 모든 기본 단계에 걸쳐 평균화된 문턱 장벽은 이론적 가치가 거의 없다. 둘째, 연구 중인 반응이 기본 반응이라 하더라도, 수십억 개의 분자를 포함하는 벌크(용기) 실험에서 얻은 속도 상수에는 다양한 반응물 충돌 기하학 및 각도, 서로 다른 병진 에너지 및 (어쩌면) 진동 에너지를 갖는 개별 충돌의 스펙트럼이 기여하며, 이 모든 것이 서로 다른 미시적 반응 속도로 이어질 수 있다.
3. 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온도가 있다.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커져서 활성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갖는 분자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아레니우스 식은 활성화 에너지와 반응 속도의 관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 식에서 활성화 에너지는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여기서 ''A''는 반응의 지수 전 인자,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 온도(보통 켈빈 단위), ''k''는 반응 속도 상수이다. 온도가 변하면 반응 속도 상수가 달라지므로, 이를 통해 ''E''a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아레니우스 식을 통해 얻은 활성화 에너지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값으로, 실제 반응 메커니즘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반응이 여러 단계로 일어나는 경우, 각 단계의 활성화 에너지를 평균한 값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또한, 반응 속도는 분자들의 충돌 각도, 운동 에너지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아레니우스 식만으로는 반응 속도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3. 1. 촉매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촉매가 있다. 촉매는 정촉매와 부촉매로 나뉘는데, 정촉매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고, 부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 반응 속도를 느리게 한다. 촉매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적 관계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반응 속도에만 영향을 준다.[23]수소와 질소가 반응해 암모니아가 되는 반응은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높다. 그래서 독일의 프리츠 하버가 인공적인 방법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기 전까지 자연 상태에서는 대부분 생물이나 번개 등에 의해서만 일어났다.
3. 1. 1. 효소
촉매는 전이 상태를 변형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물질이다. 효소는 단백질과 (해당되는 경우) 소분자 보조인자로만 구성된 촉매이다. 촉매는 반응에 소모되지 않고 반응 속도를 증가시킨다.[8] 또한 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지만 원래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에너지는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평형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다.[9] 반응물 에너지와 생성물 에너지는 동일하게 유지되고 활성화 에너지만 변경(감소)된다.
촉매는 더 유리한 방식으로 전이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촉매는 본질적으로 반응의 기질이 전이 상태로 진행하는 데 더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이것은 기질이 촉매의 활성 부위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방출 때문이다. 이 에너지를 결합 에너지라고 한다. 촉매에 결합하면 기질은 활성 부위 내에서 수소 결합, 반데르발스 힘과 같은 여러 안정화 작용에 참여한다. 기질이 고에너지 전이 상태가 될 때까지 활성 부위 내에서 특이적이고 유리한 결합이 발생한다. 활성 부위 내의 유리한 안정화 상호 작용이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촉매를 사용하면 전이 상태 형성이 더 유리하다. 화학 반응은 촉매의 활성 부위 내에 안정적인 환경이 있을 때 고에너지 전이 상태 분자를 더 쉽게 생성할 수 있다. 반응의 결합 에너지는 기질과 촉매 사이의 유리한 상호 작용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이다. 방출된 결합 에너지는 불안정한 전이 상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촉매가 없는 반응은 전이 상태에 도달하는 데 더 높은 에너지 입력이 필요하다. 비촉매 반응은 촉매 효소 반응과 같은 활성 부위 안정화 상호 작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유 에너지가 없다.[10]
4. 활성화 에너지와 깁스 자유 에너지
전이 상태 이론에서는 반응 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활성화 깁스 자유 에너지(ΔG‡) 개념을 사용한다. 활성화 깁스 자유 에너지는 엔탈피(ΔH‡) 변화와 엔트로피(ΔS‡) 변화를 모두 고려한다.[11][12]
아이링 식은 활성화 깁스 자유 에너지와 반응 속도 상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여기서 ''k''B는 볼츠만 상수, ''h''는 플랑크 상수이다.
활성화 깁스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엔탈피와 엔트로피로 나타낼 수 있다.
:
아레니우스 식의 활성화 에너지(''E''a)와 아이링 식의 활성화 엔탈피(Δ''H''‡)는 다음과 같은 근사적인 관계를 가진다.
:
대부분의 반응에서 일반적인 온도에서 ''T''Δ''S''‡와 ''RT'' 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E''a, Δ''G''‡ 및 Δ''H''‡는 종종 혼동되어 "활성화 에너지"라고 불린다.[13][14]
하지만, 반응의 총 자유 에너지 변화는 활성화 에너지와는 관계가 없다.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의 자발적 과정 여부와 관련이 없으며, 전체 반응 에너지 변화는 활성화 에너지에 의해 바뀌지 않는다.
5. 음의 활성화 에너지
일부 반응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반응의 속도 상수를 아레니우스 식에 맞춰보면, 활성화 에너지(*E*a)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음의 활성화 에너지는 장벽이 없는 반응이나 다단계 반응에서 주로 나타난다. 장벽이 없는 반응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충돌하는 분자들이 서로를 포획할 확률이 감소하여 반응 속도가 감소한다. 다단계 반응의 경우, 특정 단계의 평형 상수가 온도에 따라 감소하는 정도가 다른 단계의 속도 상수가 증가하는 정도보다 커서 전체 반응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5. 1. 음의 활성화 에너지를 가지는 반응의 예
일부 반응에서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반응 속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반응의 속도 상수를 아레니우스 식에 대입하면, 활성화 에너지(*E*a)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음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기초 반응은 일반적으로 장벽이 없는 반응이다. 반응이 진행되려면 분자가 퍼텐셜 우물에 갇혀야 하는데,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들의 운동량이 커져서 서로를 포획할 확률이 낮아진다. 이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으로 표현된다.[15] 이러한 경우에는 활성화 에너지를 퍼텐셜 장벽의 높이로 직접 해석할 수 없다.
일부 다단계 반응에서도 음의 활성화 에너지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단계 반응 A B, B → C의 전체 속도 상수 k는 k = k2K1로 주어진다. 여기서 k2는 느린 두 번째 단계(속도 결정 단계)의 속도 상수이고, K1은 빠른 첫 번째 단계의 평형 상수이다. 일부 반응에서는 K1이 온도에 따라 k2가 증가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여, 전체 반응 속도 k가 온도에 따라 감소하고 음의 활성화 에너지가 관찰된다.[16][17][18]
일산화 질소의 산화 반응(2 NO + O2 → 2 NO2)은 음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반응의 속도 법칙은 이다.[19][20] 이 반응은 두 단계 메커니즘(2 NO N2O2, N2O2 + O2 → 2 NO2)으로 설명할 수 있다.
특정 양이온 중합 반응도 음의 활성화 에너지를 가지며, 이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반응 속도가 감소한다. 사슬 성장 중합에서 전체 활성화 에너지는 로 표현된다. 여기서 i, p, t는 각각 개시, 성장, 종결 단계를 의미한다. 성장 단계는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종결 단계의 활성화 에너지가 개시 단계보다 크면 전체 활성화 에너지는 음수가 된다. 양이온 중합의 전체 활성화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40kJ에서 -60kJ 사이이다.[21]
6. 활성화 에너지의 응용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뿐만 아니라 핵반응[4] 및 기타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도 적용된다.[5][6][7]
암모니아 합성은 수소와 질소가 반응하는 과정에서 매우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가 인공적인 암모니아 합성법을 개발하기 전까지, 자연 상태에서 수소와 질소가 반응하여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경우는 대부분 생물이나 번개에 의해서만 일어났다.[23]
흑연과 다이아몬드는 모두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흑연이 다이아몬드로 전환되는 반응은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23]
6. 1. 실생활 관련 예시
암모니아 합성은 수소와 질소가 반응하는 과정에서 매우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가 인공적인 암모니아 합성법을 개발하기 전까지, 자연 상태에서 수소와 질소가 반응하여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경우는 대부분 생물이나 번개에 의해서만 일어났다.[23]흑연과 다이아몬드는 모두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흑연이 다이아몬드로 전환되는 반응은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23]
6. 2. 핵반응
활성화 에너지는 핵반응[4] 및 기타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도 적용된다.[5][6][7]6. 3. 기타 물리적 현상
활성화 에너지는 핵반응 및 기타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도 적용된다.[4][5][6][7]참조
[1]
웹사이트
Activation Energy
https://web.archive.[...]
2017-01-13
[2]
서적
Chemical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s
McGraw-Hill
1995
[3]
웹사이트
Activation Energy and the Arrhenius Equation – Introductory Chemistry- 1st Canadian Edition
https://web.archive.[...]
2018-04-05
[4]
Course
Energy in a Modern Society: XIV. Nuclear energy
https://www.asc.ohio[...]
Ohio State University
2021-10-15
[5]
논문
Estimate of the Activation Energies for Boundary Diffusion from Rate-Controlled Sintering of Pure Alumina, and Alumina Doped with Zirconia or Titania
[6]
논문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Raman Frequency, Damping Constant and the Activation Energy of a Soft-Optic Mode in Ferroelectric Barium Titanate
[7]
논문
Effect of catalytically active Ce 0.8 Gd 0.2 O 1.9 coating on the heterogeneous combustion of methane within MgO stabilized ZrO 2 porous ceramics
[8]
웹사이트
General Chemistry Online: FAQ: Chemical change: What are some examples of reactions that involve catalysts?
http://antoine.frost[...]
2017-01-13
[9]
웹사이트
The Arrhenius Law: Activation Energies
https://chem.librete[...]
UC Davis
2017-02-17
[10]
서적
Biochemistry - Ninth Edition
WH Freeman and Company
[11]
웹사이트
Enthalpy of activation
http://goldbook.iupa[...]
IUPA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20-05-10
[12]
서적
Chemical Kinetics and Dynamics
Prentice Hall
1999
[13]
서적
Atkins' Physical Chemistry
https://archive.org/[...]
W.H.Freeman
2006
[14]
서적
Physical Chemistry
Benjamin/Cummings
1982
[15]
논문
Negative activation energies and curved Arrhenius plots. 1. Theory of reactions over potential wells
[16]
서적
Chemical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s
McGraw-Hill
1981
[17]
서적
Atkins' Physical Chemistry
W. H. Freeman
2006
[18]
웹사이트
3.2.2: Pre-equilibrium Approximation
https://chem.librete[...]
2022-01-23
[19]
서적
Kinetics and mechanism
John Wiley and Sons
1981
[20]
서적
Physical Chemistry
Pearson. Benjamin-Cummings.
2006
[21]
서적
Polymers: Chemistry and Physics of Modern Materials
Blackie (USA: Chapman & Hall+)
[22]
서적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6판
사이플러스
[23]
서적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6판
사이플러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