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진 5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진 51은 1952년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한 DNA의 X선 회절 사진으로, DNA 이중 나선 구조 발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사진은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1953년 네이처지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확인하는 데 기여했다. 1962년 왓슨, 크릭, 모리스 윌킨스는 이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지만, 프랭클린은 수상 전에 사망했다. 사진 51의 중요성과 왓슨과 크릭이 사진을 얻는 과정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프랭클린의 기여를 조명하는 연극과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흑백 사진 - 콘라트 슈만
    콘라트 슈만은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중 서베를린으로 탈출한 동독 군인으로, 냉전 시대의 상징이 되었으며, 이후 우울증을 겪다 1998년 자살했고, 그의 탈출 사진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흑백 사진 - 코팅리 요정
    코팅리 요정 사진은 1917년 영국에서 촬영된 다섯 장의 사진으로, 소녀들이 요정과 함께 있는 모습으로 주장되었으나, 아서 코난 도일의 옹호에도 불구하고 후에 조작으로 밝혀져 사회적 믿음과 심리가 개인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 결정학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결정학 - 역격자
    역격자는 브라베 격자의 쌍대 개념으로, 해당 격자의 모든 벡터와의 내적이 정수가 되는 벡터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결정 구조 분석 및 블로흐 정리와 관련된 브릴루앙 영역 연구에 활용되는 또 다른 브라베 격자이다.
  • DNA - 미토콘드리아 DNA
    미토콘드리아 DNA(mtDNA)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이중 가닥 환상 DNA로서, 동물의 경우 약 16,000개의 염기쌍과 37개의 유전자로 구성되며, 모계 유전, 높은 돌연변이율, 질병 및 노화와의 연관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DNA - 이중 나선
    이중 나선은 DNA의 구조로서,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오른손잡이 나선 구조를 이루며, 상보적인 염기쌍이 수소 결합으로 연결되고 주구와 부구라는 고랑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사진 51
사진 51
'DNA의 나트륨 염의 X선 회절 영상인 사진 51. B형 구조'
기본 정보
제목사진 51
종류X선 회절 사진
촬영 대상DNA의 나트륨 염
촬영 시기1952년 5월
촬영자로잘린드 프랭클린
레이먼드 고슬링
연구 기관킹스 칼리지 런던
관련 논문'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9-01347-8/'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9-01176-9'
'https://www.nature.com/articles/496270a'
'https://doi.org/10.1186/gb-2013-14-4-402'
'https://doi.org/10.1107/S0365110X53001939'
출판 연도1953년
기술적 정보
촬영 기법X선 회절
DNA 형태B형 DNA
중요성
기여DNA 구조 규명에 결정적인 역할
DNA의 나선 구조를 밝히는 데 중요한 증거 제공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DNA 모델 구축에 영향
추가 정보
관련 책'https://archive.org/details/genehistoricalpe0000ever/page/85'
관련 다큐멘터리'https://www.pbs.org/wgbh/nova/photo51/'
관련 웹사이트'https://kingscollections.org/exhibitions/archives/dna/'
'https://www.pbs.org/wgbh/nova/photo51/anat-flash.html'

2. DNA 구조 발견에 기여

사진 51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어떻게 포착했는지에 대한 만화 설명.


사진 51은 DNA 구조를 규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X선 회절 이미지이다.[10][16][17] 이 사진은 DNA 분자가 이중 나선 형태이며, 두 가닥이 역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명확한 증거를 제공했다.[11][12] 또한, DNA 사슬의 바깥쪽에 데옥시리보스-인산기 골격이 있고 안쪽에 염기쌍이 위치한다는 핵심적인 구조 정보를 담고 있었다.[17]

사진 51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했으며,[11] 이를 통해 나선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주요 매개변수를 계산할 수 있었다.[17] 결과적으로 사진 51은 1953년 네이처지에 발표된 DNA 이중 나선 구조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실험적 근거가 되었다.[16]

그러나 사진 51이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왓슨과 크릭에게 전달된 과정[11][12][13]과, 프랭클린의 기여가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과정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점[14][15] 등은 과학사에서 중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10][17][18][19] 특히 왓슨이 자신의 저서 ''이중나선''에서 프랭클린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던 일[17][20][21]은 이러한 논란을 더욱 부각시켰으며, 이후 프랭클린의 업적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22]

2. 1. 사진 51의 촬영과 초기 분석

레이먼드 고슬링의 회고에 따르면, 사진 51은 DNA B형의 매우 선명한 X선 회절 패턴을 보여주는 이미지였다. 그러나 당시 로절린드 프랭클린은 DNA A형의 회절 패턴 분석에 더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슬링이 촬영한 이 사진 51을 우선순위에서 미뤄두었다고 한다.[11][12]

프랭클린이 킹스 칼리지 런던을 떠나기로 결정한 후 상황이 바뀌었다. 프랭클린의 이직이 결정되자 연구팀 책임자였던 존 랜달(John Randall)은 고슬링에게 모든 연구 데이터를 모리스 윌킨스와 공유하라고 지시했다. 윌킨스는 프랭클린이 떠난 후 고슬링의 새로운 지도교수가 될 예정이었다. 고슬링은 이 지시에 따라 사진 51을 윌킨스에게 보여주었다.[13] 며칠 뒤, 윌킨스는 프랭클린에게는 알리지 않고 이 사진을 제임스 왓슨에게 보여주었다.[11][12][13]

왓슨은 사진 51을 보자마자 그것이 나선 구조의 회절 패턴임을 즉시 알아차렸다. 이는 그의 동료 프랜시스 크릭이 이전에 나선형 구조가 어떤 회절 패턴을 보이는지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발표했었기 때문이다.[11] 왓슨과 크릭은 사진 51에서 얻은 정보와 다른 여러 출처의 증거들을 종합하여 DNA 분자의 3차원 화학적 모델을 구축했다. 그들의 모델은 윌킨스와 동료들의 논문, 그리고 고슬링과 프랭클린의 논문과 함께 1953년 네이처 같은 호에 나란히 발표되었다.

사진 51은 DNA 구조를 밝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중요한 데이터였다.[10][16][17] 이 회절 패턴은 DNA가 이중 나선 구조이며, 두 가닥이 역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또한, DNA 사슬의 바깥쪽에 데옥시리보스와 인산기가 번갈아 배열된 골격이 있고,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쌍들이 나선 안쪽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왓슨과 크릭은 사진 51의 패턴을 분석하여 나선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핵심적인 수치들을 계산해낼 수 있었다.[17] 이 사진은 1953년 네이처 논문들에서 제시된 DNA 이중 나선 모델의 강력한 실험적 증거가 되었다.

그러나 사진 51이 왓슨과 크릭에게 전달된 과정과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학사학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논란이 존재한다. 프랭클린은 윌킨스와 별개의 독립적인 연구자로 고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윌킨스가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그녀의 데이터를 왓슨과 크릭에게 넘겨준 것은 연구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만약 왓슨과 크릭이 사진 51을 보지 못했다면 프랭클린이 자신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DNA 구조를 규명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10][17][18][19] 이러한 논란은 왓슨이 자신의 저서 ''이중나선'' 초판에서 프랭클린을 다소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더욱 증폭되었다.[17][20][21] 왓슨은 이후 책의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자신의 초기 인상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며 그녀의 과학적 업적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22]

1962년, DNA 구조 규명에 대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은 왓슨, 크릭, 그리고 윌킨스에게 수여되었다. 프랭클린은 안타깝게도 1958년에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자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 당시에는 사후 수상 규정이 명확히 없었으나,[14] 노벨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사후에는 상을 수여하지 않는다.[15] 사진 51을 직접 촬영한 고슬링의 기여 역시 노벨상 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2. 2. 왓슨과 크릭의 DNA 모델 구축

레이먼드 고슬링의 회고에 따르면, 사진 51은 DNA B형의 매우 선명한 회절 패턴이었으나,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DNA A형의 회절 패턴 해석에 더 집중하여 이 사진을 잠시 제쳐두었다.[11][12] 프랭클린이 킹스 칼리지 런던을 떠나기로 결정하자, 그녀의 지도 아래 있던 고슬링은 이 사진을 모리스 윌킨스에게 보여주었다. 윌킨스는 프랭클린이 떠난 후 고슬링의 새로운 지도교수가 될 예정이었다.[11][12]

며칠 후, 윌킨스는 고슬링의 사진 51을 제임스 왓슨에게 보여주었다. 당시 프랭클린은 킹스 칼리지를 떠나는 과정에 있었기에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 연구팀 책임자였던 존 랜달은 고슬링에게 모든 연구 데이터를 윌킨스와 공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13] 왓슨은 사진의 X자 패턴을 보고 즉시 그것이 나선 구조임을 인지했는데, 이는 그의 동료 프랜시스 크릭이 이전에 나선 구조의 회절 패턴에 대한 이론적 계산을 발표했기 때문이다.[11]

사진 51은 DNA 모델을 개발하는 데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했으며,[10][17] 1953년 네이처지에 실린 세 편의 논문에서 제시된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확인하는 중요한 데이터 출처가 되었다.[16] 이 회절 패턴을 통해 DNA 분자가 이중 나선 구조이며, 두 가닥이 역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바깥쪽에 데옥시리보스와 인산기가 번갈아 배열된 골격이 있고,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쌍은 나선 안쪽에 위치한다는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왓슨과 크릭은 사진 51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나선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주요 매개변수들을 계산할 수 있었다.[17]

왓슨과 크릭은 사진 51의 정보와 다른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DNA의 화학적 모델을 구축했다. 그들의 모델을 설명하는 논문은 윌킨스와 동료들의 논문, 그리고 프랭클린과 고슬링의 논문과 함께 1953년 네이처 같은 호에 나란히 발표되었다.

그러나 사진 51이 왓슨과 크릭에게 전달된 과정과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학사학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논란이 존재한다. 프랭클린은 윌킨스와 별개의 연구 그룹으로 고용되었으나, 윌킨스는 프랭클린이 모르는 사이에 사진 51을 왓슨에게 보여주었다. 만약 왓슨과 크릭이 이 사진을 보지 못했다면 프랭클린이 독자적으로 DNA 구조를 규명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10][17][18][19] 이러한 논란은 왓슨이 자신의 저서 ''이중나선'' 초반부에서 프랭클린을 다소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더욱 증폭되었다.[17][20][21] 왓슨은 책의 후기에서 자신의 초기 인상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며 프랭클린의 업적을 기리는 글을 덧붙였다.[22]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은 왓슨, 크릭, 윌킨스에게 공동 수여되었다. 프랭클린은 1958년에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자 명단에 포함되지 못했다. 당시에는 사후 수상 규정이 없었지만,[14] 노벨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사후 추천을 고려하지 않는다.[15] 사진 51을 직접 촬영한 고슬링의 기여 역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2. 3. 노벨 생리의학상과 프랭클린의 업적

1962년 노벨상 생리학·의학상은 왓슨, 크릭, 그리고 윌킨스에게 수여되었다.[14] 프랭클린은 이미 4년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 자격에서 제외되었다. 당시에는 사후 수상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았지만,[14] 노벨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사망한 사람을 수상 후보로 추천하지 않는다.[15] 프랭클린과 함께 연구했던 고슬링의 업적 역시 수상 위원회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사진 51은 DNA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0][17] 이 회절 패턴을 통해 DNA 가닥이 이중 나선 구조이며, 두 가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음(역평행)이 밝혀졌다. DNA 사슬의 바깥쪽은 데옥시리보스와 인산기가 번갈아 배열된 골격을 이루고,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쌍은 나선 안쪽에 위치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왓슨과 크릭은 고슬링과 프랭클린의 사진을 바탕으로 나선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중요한 수치들을 계산할 수 있었다.[17] 사진 51은 1953년 네이처지에 실린 세 편의 논문에서 제시된 DNA의 이중 나선 구조 가설을 확인시켜 준 중요한 데이터였다.[16]

그러나 사진 51이 왓슨과 크릭의 연구에 기여한 과정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학사학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논란이 있어왔다. 프랭클린은 윌킨스와 별개로 킹스 칼리지 런던에 고용되었으나, 윌킨스는 프랭클린이 떠난 후 고슬링의 지도교수가 되었고, 프랭클린 모르게 사진 51을 왓슨과 크릭에게 보여주었다.[11][12][13] 이러한 과정은 프랭클린의 중요한 기여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배경이 되었다. 만약 왓슨과 크릭이 사진 51을 보지 못했다면 프랭클린이 스스로 DNA 구조를 밝혀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0][17][18][19]

이러한 논란은 왓슨이 자신의 저서 ''이중나선'' 초반부에서 프랭클린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더욱 커졌다.[17][20][21] 왓슨은 이후 책의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자신의 초기 인상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프랭클린에 대한 나의 초기 인상, 과학적이고 개인적인 측면 모두 (이 책의 초반부에 기록된 대로)는 종종 잘못되었으므로, 그녀의 업적에 대해 여기서 언급하고 싶다."[22] 이는 프랭클린의 중요한 기여가 뒤늦게나마 재평가받고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3. 논란과 재조명

사진 51은 DNA 구조를 밝히는 데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했지만,[10][17][16] 이 사진이 촬영되고 연구자들 사이에서 공유된 과정, 그리고 기여자에 대한 인정 문제를 둘러싸고 후대에 많은 논란과 재조명이 이루어졌다.

과학사학자들은 사진 51이 왓슨과 크릭의 연구에 기여한 중요성과 그들이 사진을 얻게 된 경위에 주목한다. 프랭클린이 킹스 칼리지 런던을 떠나기로 결정한 후, 그의 동료였던 윌킨스는 프랭클린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사진 51을 왓슨에게 보여주었다.[11][12][13] 이는 연구 윤리 문제와 함께, 만약 프랭클린이 자신의 데이터를 계속 연구했다면 독자적으로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했을지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10][17][18][19]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이 왓슨, 크릭, 윌킨스에게 수여되었을 때, 사진 51 촬영에 핵심적인 기여를 한 프랭클린은 이미 사망하여 수상자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는 점 역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4][15]

왓슨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한 책 ''이중나선'' 초판에서 프랭클린을 다소 부정적으로 묘사한 것은 이러한 논란을 더욱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7][20][21] 왓슨은 이후 책의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자신의 초기 인상이 종종 잘못되었음을 인정하며 그의 업적을 다시 언급하기도 했다.[22]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사진 51을 둘러싼 과학적 발견의 이면과 프랭클린의 기여는 과학사에서 중요한 재평가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1. 프랭클린의 기여와 성차별 논란

로잘린드 프랭클린이 레이먼드 고슬링과 함께 촬영한 사진 51은 DNA 구조를 밝히는 데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했지만, 프랭클린의 기여는 당시 과학계의 분위기 속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논란이 있다. 고슬링의 회고에 따르면, 프랭클린은 당시 DNA A형의 회절 패턴 해석에 더 집중하고 있었기에 B형 패턴인 사진 51을 잠시 제쳐두었다고 한다.[11][12]

프랭클린이 킹스 칼리지 런던을 떠나기로 결정하자, 고슬링은 프랭클린의 데이터를 당시 연구 책임자였던 랜달의 지시에 따라[13] 자신의 새로운 지도교수가 된 모리스 윌킨스에게 넘겨주었다. 며칠 후, 윌킨스는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이 사진 51을 제임스 왓슨에게 보여주었다.[11][12][13] 왓슨은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이 사진의 X자 회절 패턴을 보고 DNA가 이중 나선 구조임을 즉시 알아차렸고,[11] 다른 연구 결과들과 종합하여 DNA의 3차원 구조 모델을 완성했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윌킨스 연구팀의 논문, 그리고 프랭클린과 고슬링의 논문과 함께 1953년 네이처 같은 호에 나란히 발표되었다.

사진 51은 DNA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했다.[10][17] 이 회절 패턴을 통해 DNA 가닥이 역평행으로 꼬인 이중 나선 구조이며, 데옥시리보스와 인산기로 이루어진 골격이 바깥쪽에,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쌍이 안쪽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왓슨과 크릭은 이 사진을 바탕으로 나선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중요한 수치들을 계산할 수 있었다.[17][16]

1962년, 왓슨, 크릭, 윌킨스는 DNA 구조를 규명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러나 사진 51 촬영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프랭클린은 1958년에 이미 사망하여 수상자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 당시 노벨상에는 사후 수상 규정이 없었지만,[14] 노벨 위원회가 일반적으로 사후 추천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15] 외에도, 그녀의 기여가 생전에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사진을 직접 촬영한 고슬링의 업적 역시 수상 위원회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후대의 과학사학자들은 왓슨과 크릭이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사진 51 데이터를 확보한 과정의 연구 윤리 문제를 지적하며, 만약 프랭클린에게 충분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졌다면 독자적으로 DNA 구조를 규명했을 가능성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10][17][18][19] 이러한 논란은 왓슨이 자신의 저서 ''이중나선'' 초판에서 프랭클린을 능력은 있지만 성격이 까다롭고 협조적이지 않은 인물로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더욱 커졌다.[17][20][21] 왓슨은 이후 책의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나의 초기 인상, 과학적이고 개인적인 측면 모두 (이 책의 초반부에 기록된 대로)는 종종 잘못되었으므로, 그녀의 업적에 대해 여기서 언급하고 싶다"고 밝히며 자신의 왜곡된 시각을 일부 인정했다.[22]

3. 2. 과학사적 재평가

사진 51이 왓슨과 크릭DNA 구조 규명 연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음은 분명하지만, 이 사진이 그들에게 전달된 과정과 프랭클린의 역할에 대한 평가는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10][17]

고슬링이 촬영한 사진 51은 프랭클린이 킹스 칼리지 런던을 떠나기로 결정한 후, 그의 새로운 지도교수가 된 윌킨스에게 넘어갔다.[11][12] 연구 책임자였던 랜들은 고슬링에게 모든 데이터를 윌킨스와 공유하라고 지시했으며,[13] 윌킨스는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이 사진을 왓슨에게 보여주었다. 당시 프랭클린은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 왓슨은 이 사진을 보고 이중 나선 구조임을 직감했으며, 이는 크릭이 이전에 발표했던 나선형 구조의 회절 패턴에 대한 이론적 연구 덕분이기도 했다.[11]

왓슨과 크릭은 사진 51에서 얻은 정보와 다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DNA 이중 나선 모델을 완성했다. 그들의 모델은 윌킨스 및 동료들의 논문, 그리고 고슬링과 프랭클린의 논문과 함께 1953년 네이처 같은 호에 나란히 발표되었다. 이 모델은 DNA 사슬 바깥쪽의 데옥시리보스-인산 골격과 안쪽의 염기쌍 배열, 그리고 전체적인 나선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중요한 매개변수를 제시했으며,[17] 사진 51은 이 모델 개발과 검증에 필수적인 증거를 제공했다.[10][17][16]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은 왓슨, 크릭, 윌킨스에게 수여되었다. 프랭클린은 4년 전인 1958년에 난소암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하지 못했다. 당시에는 노벨상의 사후 수상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었지만,[14] 노벨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사후 추천을 고려하지 않는다.[15] 사진 51을 직접 촬영한 고슬링의 업적 또한 수상 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이후 과학사학자들이 사진 51을 둘러싼 정황을 재검토하면서, 사진이 왓슨과 크릭에게 넘어간 과정의 연구 윤리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었다.[16] 프랭클린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그의 데이터가 경쟁 연구자에게 전달되었다는 점, 그리고 만약 이 정보가 공유되지 않았다면 프랭클린이 독자적으로 DNA 구조를 규명했을 가능성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10][17][18][19]

특히 왓슨이 자신의 저서 ''이중나선'' 초판에서 프랭클린을 능력은 있지만 비협조적이고 까다로운 인물("로지"라는 애칭으로 지칭하며)로 묘사하며 그의 기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은 것은 큰 비판을 받았다.[17][20][21] 왓슨은 이후 책의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자신의 초기 인상이 종종 잘못되었음을 인정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프랭클린에 대한 나의 초기 인상, 과학적이고 개인적인 측면 모두 (이 책의 초반부에 기록된 대로)는 종종 잘못되었으므로, 그녀의 업적에 대해 여기서 언급하고 싶다."[22] 이러한 역사적 재조명 과정을 통해, 사진 51 발견과 DNA 구조 규명 과정에서 프랭클린이 수행한 핵심적인 역할과 그의 과학적 기여는 점차 중요하게 인정받고 있다.

4. 문화적 영향

사진 51과 이를 촬영한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이야기는 DNA 구조 발견이라는 과학사적 사건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동시에, 여성 과학자로서 프랭클린의 삶과 업적, 그리고 당시 과학계의 단면을 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회적 중요성으로 인해 사진 51과 프랭클린의 이야기는 연극이나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형태의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꾸준히 재조명되고 있다.[51][26][28][32] 이러한 문화적 재현은 과학적 발견 과정의 이면과 역사 속 인물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4. 1. 연극 및 다큐멘터리


  •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X선 회절을 이용하여 DNA 구조를 밝히는 과정을 다룬 연극과 다큐멘터리들이 제작되었다.
  • 안나 지글러가 쓴 연극 ''사진 51''(Photograph 51|포토그래프 51영어)은 DNA 구조 발견에서 X선 결정학자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다.[28][29] 이 연극은 2008년 제3회 ''STAGE'' 국제 각본 공모전에서 수상했으며,[30] 2015년에는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니콜 키드먼이 프랭클린 역을 맡아 공연되어 주목받았다.[31]
  • 2003년 PBS ''노바''에서는 56분짜리 다큐멘터리 영화 ''DNA – 사진 51의 비밀''(DNA – Secret of Photo 51|디엔에이 – 시크릿 오브 포토 51영어)을 방영했다. 시고니 위버가 내레이션을 맡았으며, 윌킨스, 고슬링, 아론 클루그, 브렌다 매독스[23] 등 프랭클린의 동료 및 친구들과의 인터뷰를 담았다.[24] 영국 BBC에서 제작한 버전은 ''로잘린드 프랭클린: DNA의 어둠 속 여인''(Rosalind Franklin: DNA's Dark Lady|로절린드 프랭클린: 디엔에이스 다크 레이디영어)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25]
  • 2004년 1월 4일 방영된 PBS 다큐멘터리 시리즈 ''DNA''의 첫 번째 에피소드 "생명의 비밀" 역시 프랭클린의 공헌을 중요하게 다루었다.[26] 제프 골드블럼이 내레이션을 맡았고, 왓슨, 윌킨스, 고슬링, 그리고 라이너스 폴링의 아들인 피터 폴링이 출연했다.[27]
  • 1987년 BBC 호라이즌 과학 시리즈의 일환으로 제작된 107분짜리 다큐멘터리 영화 ''라이프 스토리''(Life Story|라이프 스토리영어)는 줄리엣 스티븐슨로절린드 프랭클린 역을, 니콜라스 프라이가 레이먼드 고슬링 역을 맡아 연기했다.[32]

4. 2. 기타


  • BBC 호라이즌 과학 시리즈로 1987년 제작된 107분짜리 다큐멘터리 영화 ''라이프 스토리''는 줄리엣 스티븐슨이 로잘린드 프랭클린 역을, 니콜라스 프라이가 레이먼드 고슬링 역을 맡았다.[32]
  • 2003년 PBS ''노바''에서 56분짜리 다큐멘터리 영화 ''DNA – 사진 51의 비밀''이 방영되었다. 시고니 위버가 내레이션을 맡았으며, 윌킨스, 고슬링, 아론 클루그, 브렌다 매독스[23]를 비롯해 프랭클린의 친구인 비토리오 루차티, 도널드 캐스퍼, 앤 파이퍼, 수 리치리와의 인터뷰가 포함되어 있다.[24] 영국 BBC에서 제작한 버전의 제목은 ''로잘린드 프랭클린: DNA의 어둠 속 여인''이다.[25]
  • 2004년 1월 4일 "생명의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PBS 다큐멘터리 시리즈 ''DNA''의 첫 번째 에피소드는 프랭클린의 공헌에 중점을 두었다.[26] 제프 골드블럼이 내레이션을 맡았으며, 왓슨, 윌킨스, 고슬링, 그리고 라이너스 폴링의 아들인 피터 폴링이 출연한다.[27]
  • 안나 지글러가 쓴 연극 ''사진 51''은 DNA 구조 발견에서 X선 결정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8][29] 이 연극은 2008년 제3회 ''STAGE'' 국제 각본 공모전에서 수상했다.[30] 2015년에는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니콜 키드먼이 프랭클린 역을 맡아 공연되었다.[31]

참조

[1] 논문 The structure of sodium thymonucleate fibres. I. The influence of water content 1953-09-10
[2] 논문 Due credit 2013-04-18
[3] 논문 The forgotten scientists who paved the way to the double helix 2019
[4] 논문 Raymond Gosling: the man who crystallized genes 2013
[5] 웹사이트 DNA: the King's story https://kingscollect[...] 2013-02-15
[6] 웹사이트 Secret of Photo 51. Nova https://www.pbs.org/[...] PBS 2017-09-08
[7] 서적 The gene: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8] 논문 PastCast: The other DNA papers https://www.nature.c[...] 2019-09-04
[9] 웹사이트 Anatomy of Photo 51 https://www.pbs.org/[...] PBS 2003-04-22
[10] 논문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http://www.nature.co[...] 1953
[11] 논문 PastCast: The other DNA papers https://www.nature.c[...] 2019-04-26
[12] 논문 April 25, 1953: Three Papers, Three Lessons https://www.atsjourn[...] 2003-04-15
[13] 서적 Unravelling the Double Helix https://books.google[...] Pegasus Books 2019
[14] 웹사이트 Nobel Prize Facts https://www.nobelpri[...] 2016-01-24
[15] 뉴스 My aunt, the DNA pioneer http://news.bbc.co.u[...] 2003-04-24
[16] 서적 The Double Helix Atheneum 1968
[17] 서적 Rosalind Franklin: The Dark Lady of DNA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2002
[18] 서적 Max Perutz and the Secret of Life Chatto & Windu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 서적 The Third Man of the Double Helix: An Auto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0] 서적 The Double Helix: A Personal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Structure of DNA Atheneum 1980
[21] 서적 Rosalind Franklin and DNA https://archive.org/[...] W. W. Norton and Company 1975
[22] 서적 The Double Helix: A Personal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Structure of DNA https://archive.org/[...] W. W. Norton and Company 1980
[23] 웹사이트 NOVA: DNA – Secret of Photo 51 (2003) https://www.nytimes.[...] 2015-01-26
[24] 웹사이트 Secret of Photo 51 Transcript https://www.pbs.org/[...] PBS 2015-01-26
[25] 웹사이트 Rosalind Franklin: DNA's Dark Lady (2003) (TV) http://moviespicture[...] 2015-02-04
[26] 웹사이트 Season 1, Episode 1 The Secret of Life http://www.tvguide.c[...]
[27] 웹사이트 Episode 1: The Secret of Life https://www.pbs.org/[...] PBS
[28] 간행물 For Whom the Nobel Tolls: An evening out with James Watson and colleagues Nature America 2011-01
[29] 뉴스 Nicole Kidman to Star on West End in 'Photograph 51' https://variety.com/[...] 2015-04-23
[30] 뉴스 Ziegler's Photograph 51 Wins STAGE International Script Competition http://www.americant[...] 2008-08-05
[31] 웹사이트 Nicole Kidman Returns To The West End In Photograph 51 https://www.londonth[...] 2015-04-24
[32] 웹사이트 BBC Programme Index https://genome.ch.bb[...] 1987-04-27
[33] 웹사이트 Secret of Photo 51 http://www.pbs.org/w[...]
[34] 서적 The gene: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35] 웹사이트 Nova http://www.pbs.org/w[...]
[36] 논문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http://www.nature.co[...] 1953
[37] 뉴스 My aunt, the DNA pioneer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5-18
[38] 서적 Rosalind Franklin: The Dark Lady of DNA HarperCollins 2002
[39] 논문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1953
[40] 서적 Rosalind Franklin: The Dark Lady of DNA (페이지 199) 2002
[41] 웹사이트 http://www.pbs.org/w[...]
[42] 서적 The Double Helix Atheneum 1968
[43] 웹사이트 Double Helix: 50 Years of DNA http://www.nature.co[...] Nature archives. Nature Publishing Group
[44] 논문 Molecular Configuration in Sodium Thymonucleate http://www.nature.co[...] 1953
[45] 서적 Rosalind Franklin: the dark lady of DNA HarperCollins 2002
[46] 서적 Max Perutz and the Secret of Life Chatto & Windus (UK),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USA)
[47] 서적 The Third Man of the Double Helix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8] 서적 Rosalind Franklin and DNA W.W. Norton and Company 1975
[49] 서적 The Double Helix: A Personal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Structure of DNA Atheneum 1980
[50] 서적 The Double Helix: A Personal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Structure of DNA (1980 Norton Critical Edition) W.W. Norton 1980
[51] 웹사이트 For Whom the Nobel Tolls: An evening out with James Watson and colleagues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Nature America) 2011-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