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지방의 교육을 담당했던 국립 교육 기관이다. 고려 시대에는 지방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장려했으나, 의종 이후 쇠퇴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각 지방에 향교가 설립되어 교육과 과거 응시 기회를 제공했으며, 1894년 과거 제도 폐지 이후에는 교육 기능을 상실하고 문묘 향사만 유지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향교 재산이 관리되었으며, 현재는 문묘 제례와 사회 교화 사업을 위한 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향교 건물은 대성전, 명륜당, 동·서재 등으로 구성되며, 전학후묘의 배치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교육 - 서당
서당은 조선시대 사설 초등 교육기관으로, 아동들에게 한문과 유교 경전을 가르쳤으며 훈장이 학생들을 지도했고, 다양한 설립 주체와 교육 내용, 개인별 맞춤 교육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의 보루였으나 근대 교육 제도 도입 후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고려의 교육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 조선의 학교 - 서당
서당은 조선시대 사설 초등 교육기관으로, 아동들에게 한문과 유교 경전을 가르쳤으며 훈장이 학생들을 지도했고, 다양한 설립 주체와 교육 내용, 개인별 맞춤 교육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의 보루였으나 근대 교육 제도 도입 후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조선의 학교 - 배재학당
미국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에 설립한 배재학당은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 저명한 동문과 개혁적 교원들을 배출하며 민족의식 고취, 독립운동,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한국의 근대 교육 기관이다. - 고려의 학교 - 서당
서당은 조선시대 사설 초등 교육기관으로, 아동들에게 한문과 유교 경전을 가르쳤으며 훈장이 학생들을 지도했고, 다양한 설립 주체와 교육 내용, 개인별 맞춤 교육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의 보루였으나 근대 교육 제도 도입 후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고려의 학교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향교 | |
---|---|
기본 정보 | |
한자 | 鄕校 |
로마자 표기 | Hyanggyo |
개요 | |
설명 | 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이다. |
역사 | |
기원 | 고려 시대 |
역할 |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다. |
기능 | |
교육 | 유학 교육을 실시하고, 지방민의 교화를 담당했다. |
제향 | 공자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
구성 | |
주요 건물 |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
위치 | |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 |
현황 | |
보존 상태 | 일부 향교는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참고 | |
관련 항목 | 성균관 서원 |
2. 고려 시대의 향교
987년(성종 6)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각 1명씩 보내어 교육을 담당하게 했고, 992년(성종 11) 지방 주·군에 학교(州學)를 세워 생도에게 공부를 권장하였다.
1392년(태조 1)에 학교의 흥폐를 지방관 고과의 기준으로 삼고 교학을 크게 쇄신하였다. 부·목·군·현에 각각 1교씩 향교를 설립하고 점차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유학 성현을 모시고 제사 지내는 문묘(文廟)와 교육을 담당하는 명륜당(明倫堂)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5] 조선시대 향교에는 문묘, 명륜당 외에도 중국과 한국의 선현을 제사하는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있었다. 동재와 서재는 명륜당 앞에 위치하며, 동재에는 양반, 서재에는 평민과 중인 계층 자제들이 머물렀다.[6]
1127년(인종 5) 3월, 여러 주(州)에 학(學)을 세워 널리 도(道)를 가르치라는 조서가 내려졌다. 향교는 공자(孔子)를 제사하는 문선왕묘(文宣王廟)를 중심으로 강당인 명륜당(明倫堂)이 설치되었으며, 교사는 조교(助敎)라고 하였다. 의종 이후 국정이 문란하고 학제 또한 퇴폐해지면서 향교도 역시 쇠퇴하였다. 그 후 충숙왕은 학교를 진흥시키려고 이곡(李穀)으로 하여금 여러 군(郡)을 순력시켜서 향교를 부흥하게 하였다.
3. 조선 시대의 향교
향교에는 문묘, 명륜당, 동·서 양무, 동·서 양재가 있었다. 동·서 양재는 명륜당 앞에 위치하며, 동재에는 양반, 서재에는 서류가 기거하였다. 내사생과 증광생을 두었는데, 내사생은 내사에, 증광생은 외사에 있었다.
유생의 수는 지역별로 정해져 있었다. 부·목은 90명, 도호부는 70명, 군은 50명, 현은 30명이었다. 교관으로는 교수와 훈도가 있었고, 작은 군에는 훈도만 두었다. 교예도 소속되어 있었다. 수령은 매월 독서와 일과를 관찰사에게 보고하였고, 우수한 교관은 호역을 감면받았다.
향교 운영을 위해 정부에서 학전 7결 또는 5결을 지급하여 그 수세로 비용을 충당하게 하였다. 그러나 지방민으로부터 징수하거나 매수한 전지를 많이 소유한 향교도 있었다.
향교 입적자에게는 과거 응시 자격이 주어졌다. 소과에 합격하면 생원이나 진사 칭호를 받고 성균관 입학 자격이 주어졌으며, 대과에 급제하면 관리가 될 수 있었다.
1894년(고종 31) 과거 제도 폐지와 함께 향교는 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문묘 향사만 남았다.
이후 교육 제도가 확립되면서 향교는 1911년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문묘직원을 명예직으로 두고, 부윤이나 군수의 감독하에 문묘를 지키고 서무에 종사하게 하였다. 학전, 지방 유림의 구림 등 향교 재산은 대한제국 정부 학부 소관으로 1900년(융희 4) 4월에 향교 재산관리규정이 제정되어 부윤·군수가 정리하고 그 수입은 부·군내의 공립학교 또는 지정하는 학교의 경비 또는 문묘의 수리·향사비로 사용하게 하였다. 1918년 조사에 따르면 전국에 335개의 향교가 있었고, 48만 평의 토지를 소유하였다. 이후 재산 관리규정은 폐기되어 공립학교 경비로는 사용되지 않고 문묘 유지와 사회 교화 사업 시설에만 사용되었다.
4. 향교의 건물 구조
전형적인 조선시대 향교 건물군은 제례 공간(대성전), 강학 공간(명륜당), 기숙 공간(동재, 서재)으로 구성되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 형태를 가진다.
4. 1. 제례 공간
향교의 건물군은 유학 성현의 위패를 봉안하는 제례 공간과 실제 교육을 실시하는 강학 공간, 학생들이 머무는 기숙 공간으로 나뉜다. 제례 공간은 강학 공간 뒤쪽(북쪽)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전학후묘(前學後廟)라고 한다.[5]4. 2. 강학 공간
명륜당(明倫堂)은 향교에서 강학(교육)이 이루어지는 중심 건물이다.[6]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는 학생들이 기거하는 공간으로, 동재에는 양반 계층이, 서재에는 중인, 상민 계층이 머물렀다.[6] 외삼문(外三門)은 향교의 정문이다.[6]
4. 3. 기타 공간
참조
[1]
웹사이트
향교(鄕校) Hyanggyo
https://encykorea.ak[...]
2023-11-01
[2]
웹사이트
철원향교(鐵原鄕校) Cheorwon Hyanggyo
https://encykorea.ak[...]
2023-11-01
[3]
Q
[4]
웹사이트
면천향교(沔川鄕校) Myeoncheonhyanggyo
https://encykorea.ak[...]
2023-11-01
[5]
문서
문묘(文廟) 또는 공자묘(孔子廟)라고 하였다.
[6]
문서
솟을삼문 형태가 일반적이나, 지역에 따라서는 2층 문루(門樓) 형태로 건축된 경우도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