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헝가리의 이리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의 이리니는 헝가리 국왕 라슬로 1세의 딸로, 비잔틴 제국의 황제 요한 2세 콤네노스와 결혼하여 동로마 제국의 황후가 되었다. 헝가리어 이름 피로스카로 태어나, 비잔틴 제국으로 건너가 이레네로 개명했다. 남편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 수도원을 건립했으며, 1134년 사망 후 동방 정교회에서 성녀로 추대되었다. 그녀는 요한 2세와의 사이에서 8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중 마누엘 1세는 동로마 황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88년 출생 - 외위스테인 1세
    외위스테인 1세는 12세기 초 노르웨이의 공동 국왕으로, 형제들과 함께 국가를 통치하며 국내 문제에 집중하여 국가의 번영을 이끌고 다양한 건설 사업을 추진하여 '평화의 왕'으로 묘사된다.
  • 1088년 출생 - 임완
    임완은 고려 예종 때 귀화한 송나라 출신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예부원외랑을 지냈으며 인종 때 서적소 고문으로 활동하며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비판했다.
  • 동로마 제국의 성녀 - 풀케리아
    풀케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황족이자 아우구스타로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섭정 역할을 했으며, 정녀 서약 후 교회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선 활동과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 정책은 비판받았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하여 제국 정통성을 유지한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동로마 제국의 성녀 - 테오도라 (9세기)
    테오도라는 9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이자 미성년 황제 미카엘 3세의 섭정으로 제국을 통치하며, 성상 숭배를 복원하고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 1134년 사망 - 닐스 (덴마크)
    닐스는 스벤 2세의 사생아로 1104년부터 1134년까지 덴마크 국왕이었으나, 왕위 계승 문제와 크누드 라바르 살해로 내전이 발발하여 포테비크 전투에서 패배 후 살해당하며 스벤 2세 아들들의 시대가 끝나고 에리크 2세가 왕위를 이었다.
  • 1134년 사망 - 망누스 1세 (스웨덴)
    망누스 1세는 에스트리센 가문 출신으로 1125년부터 1132년경까지 스웨덴의 왕위를 주장했으며, 덴마크 왕위 계승 분쟁에 연루되어 1134년 전투에서 사망했고, 이후 스베르케르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헝가리의 이리니
인물 정보
이름이리니 (헝가리)
본명피로슈카
로마자 표기Irene
출생1088년경
출생지헝가리 왕국
사망1134년 8월 13일
신분
직함동로마 제국 황후
배우자요안니스 2세 콤니노스
가문아르파드 왕조
아버지러슬로 1세 (헝가리)
어머니아델라이데 폰 라인펠덴
자녀
자녀알렉시오스 콤니노스
안드로니코스 콤니노스
이사키오스 콤니노스
마누일 1세 콤니노스
마리아 콤니니
안나 콤니니
테오도라 콤니니
에우도키아 콤니니
종교
종교동방 정교회
업적
봉사 활동병원 및 고아원 설립
이미지
이리니 황후 모자이크 초상화
콘스탄티노폴리스 하기아 소피아에 있는 콤니노스 모자이크의 이리니 황후 모자이크 초상화

2. 생애

헝가리의 라슬로 1세와 스바비아의 아델라이드의 딸로, 피로스카(Piroska)라는 이름은 라틴어 이름 프리스카(Prisca)에서 유래된 헝가리어 파생어로 '고대의'를 의미하지만 '진지한' 또는 '엄숙한' 행동을 암시한다.[1] 1090년에 어머니가 사망하고, 1095년 7월 29일에는 아버지가 사망하여 칼만이 왕위를 이었다.

칼만은 비잔틴 제국의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피로스카와 요한 2세 콤네노스의 결혼을 협상했다. 요한 2세는 알렉시오스 1세와 이레네 두카이나의 장남으로, 1092년부터 아버지와 공동 통치자였으며, 황제 계승이 예상되었다.

1104년, 협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피로스카는 요한과 결혼했다. 이 결혼은 요안네스 조나라스와 요한 키나모스에 의해 기록되었다. 피로스카는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정착하여 이레네(Irene)로 개명했다.[2]

이리니는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신앙과 자녀 양육에 헌신했다. 남편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 수도원(제이레크 모스크)을 건립했는데, 이 수도원은 세 개의 교회와 모든 계층을 위한 5개 병동의 병원을 갖추고 있었다.[3]

1134년 8월 13일, 이리니는 사망하여 성 이레네로 추대되었다.[4] 이리니와 요한 2세 사이에는 여덟 명의 자녀가 있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알렉시우스1106년 - 1142년1122년부터 1142년까지 공동 황제
마리아
안드로니코스1108년경 - 1142년
안나
이사키오스1113년경 - 1154년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마누엘 1세1118년 - 1180년동로마 황제


2. 1. 헝가리 공주 시절

피로스카라는 이름은 라틴어 이름 프리스카(Prisca)에서 유래된 헝가리어 파생어로, '고대의'를 의미하지만 '진지한' 또는 '엄숙한' 행동을 암시한다.[1] 헝가리의 라슬로 1세와 스바비아의 아델라이드의 딸로 에스테르곰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어머니는 피로스카가 2세 때인 1090년에 사망했고, 아버지는 그녀가 7세 때인 1095년 7월 29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조카인 칼만이 뒤를 이었다.

비잔틴 제국의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칼만은 피로스카와 요한 2세 콤네노스의 결혼을 협상했다. 요한 2세는 알렉시오스 1세와 이레네 두카이나의 장남이었다. 그는 1092년 말부터 이미 아버지와 공동 통치자였으며, 아버지를 계승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협상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피로스카는 1104년에 요한과 결혼했다. 이 결혼은 요안네스 조나라스와 요한 키나모스에 의해 기록되었다. 피로스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결혼했으며,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고 이름도 그리스식으로 에이레네(Ειρήνη・Eirene, 중세 그리스어로는 Irene "이리니")로 바꿨다.[2]

2. 2. 비잔티움 황후 시절

헝가리의 라슬로 1세의 딸 피로스카는 비잔틴 제국의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칼만에 의해 요한 2세 콤네노스와의 결혼이 추진되었다. 요한 2세는 알렉시오스 1세와 이레네 두카이나의 장남으로, 1092년부터 아버지와 공동 황제였으며, 황제 계승이 예상되었다.[2]

1104년, 피로스카는 요한 2세와 결혼했고,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이레네(Ειρήνη・Eirene, 중세 그리스어로는 Irene "이리니")로 개명했다. 이 결혼은 요안네스 조나라스와 요한 키나모스가 기록했다.[2]

이리니는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신앙생활과 자녀 양육에 헌신했다. 남편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 수도원(제이레크 모스크)을 건설했는데, 이 수도원은 세 개의 교회와 모든 계층을 위한 5개 병동의 병원을 갖추고 있었다.[3]

이리니와 요한 2세 사이에는 8명의 자녀가 있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알렉시우스1106년 - 1142년1122년부터 1142년까지 아버지와 공동 황제
마리아
안드로니코스1108년경 - 1142년
안나
이사키오스1113년경 - 1154년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마누엘 1세1118년 - 1180년동로마 황제


2. 3. 판토크라토르 수도원 건립과 자선 활동

이레네는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신앙생활과 자녀 양육에 힘썼다. 그녀는 남편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 수도원(제이레크 모스크)을 건립하는 데 후원했다.[3] 이 수도원에는 세 개의 교회와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5개 병동의 병원이 있었다.[3]

2. 4. 죽음과 성녀 추대

이레네는 1134년 8월 13일에 사망했으며, 나중에 동방 정교회에서 성 이레네로 존경받았다.[4]

3. 자녀

이리니와 요한 2세는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들의 출생 순서는 니케타스 코니아테스의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 알렉시오스 콤네노스 (1106년 2월 – 1142년): 1122년부터 1142년까지 공동 황제였다. 안나 콤네네의 ''알렉시아스''에 그의 출생이 기록되어 있다.
  • 마리아 콤네네 (1106년 2월 출생, 알렉시오스의 쌍둥이): 요한 로게리오스 달라세노스와 결혼했다.
  •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 (1142년 사망)
  • 안나 콤네네: 스테파노스 콘토스테파노스와 결혼했다.
  • 이삭 콤네노스 (1154년 사망)
  • 테오도라 콤네네 (1157년 5월 12일 사망): 마누엘 아네마스와 결혼했다.
  • 에우도키아 콤네네: 테오도르 바타체스와 결혼했다.
  • 마누엘 1세 콤네노스 (1180년 사망): 1143년부터 1180년까지 황제였다.

참조

[1] 서적 The World of Names: A Study in Hungarian Onomatology Akadémiai Kiadó 1979
[2] 서적 Byzantine Empresses. Women and Power in Byzantium, AD 527-1204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9
[3] 간행물 Byzantine Constantinople Brill 2001
[4] 논문 L'obituaire du typikon du Pantokrator https://www.persee.f[...]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