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쿨라네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쿨라네움은 고대 로마 도시로, 현재 이탈리아의 에르콜라노에 위치해 있으며, 기원전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화산재에 묻혔다. 디오니시우스 할리카르나소스는 헤라클레스가 도시를 건설했다고 기록했지만, 오스칸족이 최초로 정착했고, 이후 에트루리아인과 그리스인들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2세기에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으며, 동맹 전쟁에서 로마에 패배한 후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79년 화산 폭발로 인해 도시가 보존되었고, 18세기부터 발굴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주요 유적으로는 파피루스 빌라, 아우구스탈레스 신전, 중앙 목욕탕 등이 있으며, 현재 보존 문제를 겪고 있어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헤르쿨라네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헤르쿨라네움 |
로마자 표기 | Herculāneum |
다른 이름 | 에르콜라노 |
위치 | 에르콜라노, 캄파니아 주, 이탈리아 |
유형 | 정착지 |
건설 시기 | 기원전 6~7세기 |
폐허 시기 | 서기 79년 |
이미지 | |
![]() | |
역사 | |
주요 사건 | 베수비오 산의 분화로 파괴 (서기 79년) |
유적 | |
관리 및 접근 | |
공식 웹사이트 | 헤르쿨라네움 공식 웹사이트 |
세계 유산 지정 | |
명칭 | 폼페이, 헤르쿨라네움 및 토레 안눈치아타의 고고학 유적 지역 |
종류 | 문화유산 |
지정 기준 | (3), (4), (5) |
지정 연도 | 1997년 (제21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
지정 번호 | 829 |
지역 | 유럽과 북미 |
추가 정보 | |
관련 유적 | 스타비아에 오플론티스 |
2. 역사
서기 79년 베수비우스 산 분출로 헤르쿨라네움은 약 20m의 화산재에 묻혔다. 이후 우물과 터널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점차 세상에 알려졌으며, 특히 18세기 초 엘뵈프 공작의 탐사 이후 상당 부분 온전한 상태로 묻혀 있던 도시가 드러났다.[7] 발굴 작업은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오늘날 많은 거리와 건물들이 보이지만 도시의 75% 이상은 여전히 묻혀 있다. 현재 이탈리아의 에르콜라노와 포르티치가 헤르쿨라네움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에르콜라노는 1969년까지 레지나라고 불렸으나 고대 도시를 기념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옛 전승에 따르면 헤르쿨라네움은 그리스 영웅 헤라클레스와 관련이 있으며, 그리스인에 의해 건설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48] 주민들이 가장 믿었던 신은 도시와 베수비오 화산을 창조했다고 여겨졌던 헤라클레스였다. 그 외에 중요하게 숭배되었던 신으로는 헤라클레스의 애인으로 믿어졌던 비너스와 아폴론이 있다.
2. 1. 초기 역사
디오니시우스 할리카르나소스는 그리스 영웅 헤라클레스(라틴어: ''헤르쿨레스'')가 도시를 건설했다고 기록하고 있다.[5] 그러나 스트라보에 따르면, 오스칸족이 최초의 정착지를 건설했다.[6] 에트루리아인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고, 나중에 그리스인들에게 쫓겨났다. 그리스인들은 도시 이름을 '헤라클리온'으로 바꾸고, 나폴리 만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무역항으로 사용했다. 기원전 4세기에는 헤르쿨라네움이 삼니움족의 지배를 받았다.기원전 2세기에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다(두께 2~3미터). 해안 지역은 ''오푸스 레티쿨라툼''으로 지어졌지만, 대부분은 큰 자갈로 만들어졌다. 헤르쿨라네움은 동맹시 전쟁에서 로마에 맞서 "동맹군" 편에 서서 술라의 부관인 티투스 디디우스에게 패했다. 전쟁 후 성벽은 방어 목적을 잃고 주택이나 인접 구조물, 예를 들어 ''여관의 집''에 통합되었다.
기원전 89년에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2. 2. 로마 시대

디오니시우스 할리카르나소스는 그리스 영웅 헤라클레스(''헤르쿨레스'' in 라틴어)가 도시를 건설했다고 기록하고 있다.[5] 그러나 스트라보에 따르면, 오스칸족이 최초의 정착지를 건설했다.[6] 에트루리아인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고, 나중에 그리스인들에게 쫓겨났다. 그리스인들은 도시 이름을 '헤라클리온'으로 바꾸고, 나폴리 만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무역항으로 사용했다. 기원전 4세기에는 헤르쿨라네움이 삼니움족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2세기에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다(두께 2~3미터). 해안 지역은 ''오푸스 레티쿨라툼''으로 지어졌지만, 대부분은 큰 자갈로 만들어졌다. 헤르쿨라네움은 동맹시 전쟁(동맹 전쟁 (기원전 91~88년))에서 로마에 맞서 "동맹군" 편에 서서 술라의 부관인 티투스 디디우스에게 패했다. 전쟁 후 성벽은 방어 목적을 잃고 주택이나 인접 구조물, 예를 들어 ''여관의 집''에 통합되었다.
기원전 89년에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서기 79년 베수비우스 산의 분출로 헤르쿨라네움은 약 20m의 화산재에 묻혔다. 우물과 터널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점차 알려지면서, 특히 18세기 초 엘뵈프 공작의 탐사 이후로 상당 부분 온전한 상태로 묻혀 있던 도시가 세상에 드러났다.[7] 발굴 작업은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되었고, 오늘날 많은 거리와 건물들이 보이지만, 도시의 75% 이상은 여전히 묻혀 있다. 현재 이탈리아의 에르콜라노와 포르티치가 헤르쿨라네움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에르콜라노는 1969년까지 레지나라고 불렸으나, 고대 도시를 기념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3. 79년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
79년 8월 24일 오후, 베수비우스 산의 파괴적인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 베수비오 화산은 약 300년 동안 활동을 멈춘 것으로 여겨졌고, 더 이상 화산이라고 인식되지 않았지만, 일부 지식인들은 베수비오가 그리 오래 전에 폭발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49]
서기 79년 베수비우스 산의 분출로 헤르쿨라네움은 약 20m의 화산재에 묻혔다. 특히 18세기 초 엘뵈프 공작의 탐사 이후로 상당 부분 온전한 상태로 묻혀 있던 도시가 세상에 드러났다.[7] 발굴 작업은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되었고, 오늘날 많은 거리와 건물들이 보이지만, 도시의 75% 이상은 여전히 묻혀 있다. 현재 이탈리아의 에르콜라노와 포르티치가 헤르쿨라네움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에르콜라노는 1969년까지 레지나라고 불렸으나, 고대 도시를 기념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건물과 내부 물건들이 매우 좋은 상태로 보존된 것은 다음과 같은 요인 때문으로 보인다.
- 바람이 바뀌어 헤르쿨라네움에 화산재가 내릴 때까지 건물이 이미 화쇄류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지붕이 무너지지 않았다.
- 최초 화쇄류의 열이 유기물 표면을 탄화시켜 수분을 제거했다.
- 두꺼운(25미터에 달하는) 고밀도 응회암이 1700년 동안 헤르쿨라네움을 공기로부터 차단했다.
3. 1. 분화 과정
79년 베수비우스 산 분화 경과와 시간대는 고고학적 발굴과 소 플리니우스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에게 보낸 두 통의 편지를 바탕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8]분화 첫날 오후 1시경, 베수비우스 산은 수천 미터 상공으로 화산 물질을 분출하기 시작했다. 화산 기둥이 27km에서 33km 높이에 도달하자,[9] 기둥 꼭대기가 평평해졌고, 플리니우스는 타키투스에게 이를 소나무에 비유했다. 당시 우세한 바람은 남동쪽이었고, 화산 물질은 주로 폼페이와 그 주변 지역에 떨어졌다. 헤르쿨라네움은 베수비우스 산 서쪽에 있어 분화 첫 단계에는 경미한 영향만 받았다. 폼페이에서는 떨어지는 잔해 무게로 지붕이 무너졌지만, 헤르쿨라네움에는 몇 센티미터 화산재만 떨어져 피해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화산재로 인해 대부분 주민들은 도망쳤다.
화산은 계속해서 고고도 기둥을 분출했고, 그곳에서 화산재와 부석이 떨어져 지역을 뒤덮었다. 다음 날 오전 1시, 분출 기둥이 베수비우스 산과 그 비탈로 무너졌다. 화산재와 고온 가스가 섞인 최초의 화쇄류가 산을 따라 흘러내려 대부분 주민들이 대피한 헤르쿨라네움 마을을 160km/h 속도로 덮쳤다. 연이어 발생한 6차례 화쇄류는 도시 건물들을 약 20m 깊이로 매몰시켰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피해가 거의 없었고 건축물, 물건, 희생자들이 거의 손상되지 않은 채 보존되었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벽이 무너지고 기둥과 기타 큰 물체가 파손되는 등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10] 목욕탕 근처에 있던 마르쿠스 노니우스 발부스 대리석 조각상은 15m 떨어져 나갔고, 텔레푸스 구제(Relief of Telephus) 집 정원에서는 탄화된 해골이 지상에서 2.5m 위로 들어 올려진 채 발견되었다.[11][12]
초기 발굴에서 소량 유골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거의 모든 주민들이 간신히 피난했다고 생각되었다. 1982년 발굴이 해안 보트하우스 지역에 이르자 이러한 견해는 바뀌었다. 고고학자들은 12개 보트하우스에서 250구 유골이 서로 엉켜 있는 것을 발견했다.
밤 동안, 기둥 모양으로 성층권에 도달했던 분출물이 베수비오에 떨어지기 시작했다. 화쇄류가 발생하여, 400℃ 가스, 화산재, 돌이 섞여 시속 160km/h로 헤르쿨라네움으로 밀려왔다. 오전 1시경 화쇄류는 보트하우스에 도달했고, 거기서 구조를 기다리고 있던 사람들은 맹렬한 열로 순식간에 목숨을 잃었다. 이때 화쇄류와 그 이후 여러 차례 화쇄류로 인해 분출물이 아래에서부터 서서히 건물을 덮었기 때문에 건물은 큰 손상을 입지 않았다.
분화 시점은 10월 17일 이후로 밝혀졌으며,[13] 10월/11월 분화를 지지하는 여러 증거들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화산재 속에 묻힌 사람들은 8월 가벼운 여름옷이 아니라 더 무거운 옷을 입고 있었고, 상점 신선한 과일과 채소는 10월 특징이며, 반대로 8월 여름 과일은 이미 말린 형태 또는 보존된 형태로 판매되고 있었다. 포도주 발효 단지가 봉인되었는데, 이는 10월 말경에 발생했을 것이다. 화산재 속에 묻힌 한 여성 지갑에서 발견된 동전에는 황제 칭호 중 하나로 15번째 황제 찬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9월 둘째 주 이전에는 주조될 수 없었다.[14]
베수비우스 산 지역에서 화쇄류 치명적인 영향에 대한 다학문적 연구에 따르면,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 인근에서는 이전에 화산재 질식으로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던 사람들 사망 원인이 주로 극심한 열이었음을 보여주었다. 10km 이내 주민들은 건물에 피신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250°C에 노출되어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15]
3. 2. 피해 상황
79년 베수비우스 산 분화로 헤르쿨라네움은 폼페이 등 다른 도시들과 함께 큰 피해를 입었다. 분화 경과와 시간은 고고학적 발굴과 소 플리니우스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에게 보낸 두 통의 편지를 바탕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8]분화 첫날 오후 1시경, 베수비우스 산은 수천 미터 상공으로 화산 물질을 분출하기 시작했다. 화산 기둥이 27km 높이에 도달하자,[9] 기둥 꼭대기가 평평해졌고, 플리니우스는 이를 소나무에 비유했다. 당시 남동풍으로 인해 화산재는 주로 폼페이와 그 주변에 떨어졌다. 헤르쿨라네움은 베수비우스 산 서쪽에 있어 분화 초기에는 경미한 영향만 받았다. 폼페이에서는 지붕이 무너졌지만, 헤르쿨라네움에는 몇 센티미터의 화산재만 떨어져 피해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주민들은 대피했다.
다음 날 오전 1시, 분출 기둥이 무너지면서 화산재와 고온의 가스가 섞인 화쇄류가 발생하여 160km/h 속도로 헤르쿨라네움을 덮쳤다. 연이은 6차례의 화쇄류는 도시 건물들을 약 20m 깊이로 매몰시켰다. 일부 지역은 피해가 거의 없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벽이 무너지는 등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10] 마르쿠스 노니우스 발부스의 대리석 조각상은 15m 떨어져 나갔고, 텔레푸스의 구제 집 정원에서는 탄화된 해골이 지상에서 2.5m 위로 들어 올려진 채 발견되었다.[11][12]

1980년대 발굴 조사에서 고대 해변과 "보트 창고"에서 55구 이상의 해골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주민이 탈출한 것으로 여겨졌다.[30] 그러나 이 발견으로 마지막 주민들은 화쇄류의 엄청난 열기로 인해 즉사했음이 밝혀졌다. 희생자들의 자세와 해골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약 500°C 온도로 인한 급성 충격으로 첫 번째 쇄도가 즉사를 야기했음을 시사한다.[31]
1990년대 추가 발굴 조사에서 해변이나 바다를 향한 12개의 돌로 된 저장고에서 296구의 해골이 발견되었다. 도시가 거의 비워진 상태였지만, 이 사람들은 갇히게 되었다. 결국 이 지역에서 340구의 시신이 확인되었다.[33] 해골 분석 결과 해변에서 사망한 사람들은 주로 남성이었고, 여성과 아이들은 보트 창고에 피신하여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보다 1.6배 더 많은 생선을 섭취했고, 여성은 더 많은 고기, 계란, 유제품을 섭취했다. 이는 헤르쿨라네움과 로마 이탈리아의 더 넓은 식단 추세에 부합한다.[34]
타포노미 연구, 과학적 기록 및 발굴 후 원래 뼈를 대체하기 위해 해골 캐스트도 제작되었다. 폼페이와는 달리, 헤르쿨라네움에서는 뜨거운 재(약 500°C)로 인해 시신 형태를 보존할 수 없었다. 10번 방에서 발굴된 해골 캐스트는 나폴리 인류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5]
2021년 분석 결과 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1982년 보트 옆 해변에서 발견된 해골(26번) 중 하나(보트 파빌리온에 전시)에 대한 분석이다. 이 유해는 정교한 단검과 벨트를 차고 있던 군인(아마도 구조 활동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됨)의 것이었다.[36]
4. 발굴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헤르쿨라네움은 약 20m의 화산재에 묻혔다. 우물과 터널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점차 알려졌고, 특히 18세기 초 엘뵈프 공작의 탐사 이후 상당 부분 온전한 상태로 묻혀 있던 도시가 세상에 드러났다.[7] 발굴 작업은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되었고, 오늘날 많은 거리와 건물들이 보이지만, 도시의 75% 이상은 여전히 묻혀 있다. 현재 이탈리아의 에르콜라노와 포르티치가 헤르쿨라네움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에르콜라노는 1969년까지 레지나라고 불렸으나, 고대 도시를 기념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4. 1. 초기 발굴 (18세기 ~ 19세기)
엘뵈프 공은 인근 그라나텔로(Granatello)에 빌라를 건설하면서, 빌라 장식에 쓸 고대 조각과 예술품이 묻혀 있다는 우물 이야기에 흥미를 느꼈다.[16] 1709년, 그는 우물 부지를 매입하고 조각을 찾기 위해 우물 바닥에서 터널을 팠다. 이 터널은 극장으로 확인된 곳까지 이어졌고, 놀라운 조각들이 발굴되었다. 가장 먼저 발견된 조각들 중에는 정교하게 조각된 두 개의 헤르쿨라네움 여인상[17]이 있었는데, 현재 드레스덴(Dresden)의 조각품 컬렉션(Skulpturensammlung)에 소장되어 있다.[18] 1711년,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 문제로 발굴 작업은 중단되었다.
1738년, 스페인의 찰스 3세(Charles III of Spain)가 포르티치(Portici)에 궁전을 건설하면서 그의 후원 아래 대규모 발굴이 재개되었다. 그는 이탈리아 군사 기술자인 조반니 안토니오 메드라노(Giovanni Antonio Medrano)와 로케 호아킨 데 알쿠비에레를 임명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감독하게 했다. "헤르쿨라네움의 고대 유물(Le Antichità di Ercolano)"의 출판은 초기 유럽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세기 말,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견된 모티브가 장식 벽화, 삼발이 테이블, 향로, 찻잔 등 유행하는 가구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빈켈만의 보물 사냥 기법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인해 1762년에 발굴이 중단되었다. 매장된 유물을 덮고 있는 토층이 얇아(헤르쿨라네움은 20m, 폼페이는 4m) 발굴이 훨씬 쉬웠던 인근 폼페이의 발견으로 인해 관심과 노력이 다른 곳으로 돌려졌다.
프란체스코 1세는 1828년부터 1837년까지 토지 매입을 명령하고 발굴을 재개했다. 새로 설립된 이탈리아 왕국(Kingdom of Italy) 아래에서도 토지 매입이 계속되었고, 1875년까지 동쪽으로 발굴이 확장되었다.[19]
4. 2. 20세기 이후 발굴
1927년부터 1942년까지 아메데오 마이우리(Amedeo Maiuri)는 무솔리니(Mussolini) 정권의 후원을 받아 새로운 발굴을 수행하여, 오늘날 고고학 공원의 일부인 약 4헥타르의 지역을 발굴했다.1980년부터 1981년 사이에 고대 해안선 근처의 소위 "보트 하우스"에서 수백 개의 해골이 발견되었다.
파피루스의 빌라(Villa of the Papyri), 북서쪽 목욕탕,[20] 디오니소스(Dionysian) 부조의 집[21]과 대규모 붕괴된 기념물이 1996년부터 1999년 사이에 발굴되었다. 그러나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대규모 보존 작업이 이루어질 때까지 이 지역은 혼란스러운 상태로 남아 있었다.
포럼 단지 등 많은 공공 및 민간 건물이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1738년에 현재의 에르콜라노(Ercolano) 지역에서 발굴이 시작되었다. 양시칠리아 왕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상세한 출판물 [http://www.picure.l.u-tokyo.ac.jp/arc/ercolano/index.html ''Le Antichita di Ercolano'' (헤르쿨라네움의 유적)]은 제한된 발행 부수에도 불구하고 당시 시작되고 있던 유럽의 신고전주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18세기 말에는 장식적인 벽화부터 삼각 테이블, 향로, 티컵과 같은 가구와 장식품에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견된 디자인 모티프가 나타났다. 그러나 근처 폼페이(Pompeii) 도시가 발견되면서 발굴은 중단되었다. 헤르쿨라네움은 20m 두께의 퇴적물로 덮여 있었던 반면 폼페이는 약 4m였기 때문에 폼페이 발굴이 훨씬 용이했다. 20세기에 들어서 발굴이 재개되었지만, 대광장 복합 시설을 비롯한 개인 및 공공 건축물이 아직 발굴되지 않은 상태이다.
5. 주요 유적
헤르쿨라네움은 동서 방향의 카르도(Cardo)와 남북 방향의 데쿠마누스(Decumanus)가 교차하는 격자형 도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 블록은 인술라(Insula)로 불리며, 인술라 II부터 VII까지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동쪽에는 오리엔탈리스 I(oI)과 II(oII)가, 남쪽에는 "교외 지역"(SD)이 위치한다. 각 건물에는 고유한 입구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예: 사슴의 집은 인술라 IV, 3).
포룸, 신전, 극장, 주택, 묘지 등은 아직 발굴되지 않은 상태이다.
브래디세이즘 현상으로 인해 헤르쿨라네움 유적지 일부는 해수면보다 최대 4미터 아래에 위치한다.[22]
주 배수로가 포룸과 카르도 III를 따라 위치한 주택의 임플루비움, 화장실, 부엌에서 물을 모았다. 화장실에 정화조가 없는 경우 배수로는 거리로 직접 연결되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건설된 세리노 수도교가 도로 아래 납관을 통해 각 건물에 물을 공급했으며, 밸브로 조절되었다. 이전에는 우물이 사용되었다.
5. 1. 파피루스 빌라
'''파피루스의 별장'''은 해변에 네 개의 계단식 테라스로 지어진 건물이다. 시인과 철학자들의 후원자였던 카이사르의 장인이자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의 소유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곳에는 거의 손상되지 않고 남아 있는 유일한 고대 도서관이 있었다.
1752년부터 1754년 사이에, 파피루스의 별장에서 검게 변색되어 읽을 수 없는 많은 파피루스 두루마리가 발견되었다. 이 두루마리는 헤르쿨라네움 파피루스로 알려졌으며, 대부분 나폴리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심하게 탄화되었지만, 여러 두루마리가 펼쳐졌다. 컴퓨터 향상 다중 스펙트럼 적외선 영상 기술은 잉크를 판독 가능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X선을 사용하여 아직 펼쳐지지 않은 두루마리를 읽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24] 펼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 위험을 없애기 위해, 아직 발굴되지 않은 별장의 부분에서 발견될 두루마리에도 동일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나중에 실시된 CT 스캔은 두루마리의 섬유 구조, 모래 및 두루마리에 갇힌 기타 잔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은 보다 안전한 펼치기를 돕는다. 그러나 텍스트는 여전히 판독 불가능하다.[25]
파리 프랑스 국립 아카데미에 보관된 두 개의 두루마리는 2009년 여름에 X선으로 광범위하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로마 작가들은 X선 스캔으로는 본질적으로 보이지 않는 탄소 기반 잉크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텍스트 이미징은 실패했다.[26] 그 이후의 유사한 시도도 모두 실패했다.[27]
2015년, 과학자 팀은 X선 위상 대조 단층 촬영을 사용하여 탄소 잉크와 탄소 기반 파피루스 사이의 대비를 높이고, 외부 파피루스를 따라 그리스어 단어를 읽어 "파피루스 학자들에게 혁명"을 일으켰다. 연구자들은 두루마리에 있는 특정 단어를 식별할 수 있지만, 두루마리에 있는 이야기는 아직 해독되지 않았다.[28]
2024년 베수비우스 챌린지라는 대회의 우승자들은 AI의 도움을 받아 두루마리 약 5%에 해당하는 15개 열의 텍스트에서 수백 개의 단어를 공개하는 데 성공했다.[29]
5. 2. 아우구스탈레스 신전
아우구스타레스 사제 또는 로마 황제 숭배 사제들의 신전.
5. 3. 중앙 목욕탕
서기 1세기경 중앙 목욕탕(''온천'')이 건설되었다. 남성과 여성을 위한 별도의 목욕탕이 있었다. 이 ''온천''은 또한 중요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했다.[7]5. 4. 주택
인술라 II의 첫 번째 건물은 아리스티데스의 집이다. 입구는 중정으로 바로 이어지지만, 이전 발굴로 인한 피해로 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지 않다. 아랫층은 아마도 창고로 사용되었을 것이다.인술라 II에 있는 두 번째 집은 한때 큰 페리스타일 옆 응접실을 장식했던, 현재는 사라진 아르고스와 이오의 프레스코화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건물은 헤르쿨라네움에서 가장 훌륭한 빌라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 집은 1820년대 후반에 발견되었을 때, 2층이 이처럼 자세하게 발굴된 최초의 사례였다. 발굴 조사 결과, 카르도 III을 내려다보는 2층 발코니와 현재는 사라진 나무 선반과 장롱이 발견되었다.
아르고스의 집 북쪽에는 천재의 집이 있다. 부분적으로만 발굴되었지만, 거대한 구조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름은 한때 촛대의 일부였던 큐피드 상에서 유래한다. 페리스타일 중앙에는 직사각형 분지의 잔해가 남아 있다.
이 집은 두 개의 건물이 연결된 형태로, 평범하고 단순한 공간과 정교하게 장식된 방들이 혼합되어 있다.
중정은 지붕으로 덮여 있으며, 일반적인 임플루비움이 없다. 중정은 원래의 오푸스 테셀라툼과 오푸스 세크틸레 바닥을 유지하고 있다. 폼페이 양식 제4기의 프레스코화가 그려진 화려하게 장식된 이인용 식탁[23]과 원래 대리석 바닥이었던 넓은 삼인용 식탁이 중정에서 이어집니다. 집의 이름이 유래된 아치형 알코브를 포함한 여러 개의 방들은 작은 안뜰에서 햇빛이 들어오는 복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6. 보존 문제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헤르쿨라네움을 덮친 화산재, 잔해, 극심한 열기는 1600년 이상 도시를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게 하였다. 그러나 발굴이 시작되면서 자연적인 풍화 작용과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유적이 훼손되기 시작했다.
초기 발굴 과정에서는 유물 자체에만 집중하고 유적지의 고고학적 가치 보존에는 소홀했던 점이 훼손을 더욱 심화시켰다. 1980년대 초 사라 C. 바이젤(Sara C. Bisel)의 지휘 아래서야 골격 유해의 보존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집중적인 관광, 반달리즘, 미흡한 관리, 정치적 무능, 현대 도시 에르콜라노(Ercolano)에서 흘러나오는 물 문제 등이 유적지와 건물의 훼손에 영향을 주었다. 복원 사업이 역효과를 낳은 경우도 있었지만, 최근의 보존 노력은 더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현재는 모든 자금을 보존 프로그램에 집중하기 위해 발굴 작업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패커드 인문학 연구소(Packard Humanities Institute)는 2001년 헤르쿨라네움 보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민관 협력 사업으로, 로마 영국학교(British School at Rome)와 협력하여 유적지 유지 관련 학생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37] 마이우리 팀이 1938년 보존했던 집무실(tablinum) 보존 시범 프로젝트에서는 게티 센터(Getty Museum)와 공동 작업을 통해 벽화 보존 기술을 개발했다.[38]
헤르쿨라네움 출토 유물의 상당수는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Naples National Archaeological Museum)에 보존되어 있다.
6. 1. 자연적 요인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헤르쿨라네움을 덮친 화산재와 잔해, 그리고 극심한 열기 덕분에 이 도시는 1600년 이상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었다. 하지만 발굴이 시작되면서 자연적인 풍화작용으로 인해 서서히 훼손되기 시작했다. 초기 발굴 과정에서 유물(Artifact (archaeology)) 자체에만 집중하고 유적지의 고고학적 가치 보존에는 소홀했던 점이 이러한 훼손을 더욱 심화시켰다. 골격 유해의 보존은 1980년대 초 사라 C. 바이젤(Sara C. Bisel)의 지휘 아래서야 비로소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6. 2. 인위적 요인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헤르쿨라네움을 덮친 화산재와 잔해, 그리고 극심한 열기 덕분에 이 도시는 1600년 이상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었다. 하지만 발굴이 시작되면서 자연적인 풍화작용으로 인해 서서히 훼손되기 시작했다. 초기 발굴 과정에서 유물 자체에만 집중하고 유적지의 고고학적 가치 보존에는 소홀했던 점이 이러한 훼손을 더욱 심화시켰다. 골격 유해의 보존은 1980년대 초 사라 C. 바이젤(Sara C. Bisel)의 지휘 아래서야 비로소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집중적인 관광, 반달리즘, 미흡한 관리, 그리고 정치적 무능이 여러 유적지와 건물의 훼손에 기여했다. 현대 도시 에르콜라노(Ercolano)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많은 건물의 기초가 약해졌다. 복원 사업은 종종 역효과를 낳았다. 하지만 최근의 보존 노력은 더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현재 모든 자금을 보존 프로그램에 집중하기 위해 발굴 작업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헤르쿨라네움 출토 유물의 상당수는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Naples National Archaeological Museum)에 보존되어 있다.
6. 3. 국제 협력
패커드 인문학 연구소(Packard Humanities Institute)는 2001년 헤르쿨라네움 보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민관 협력 사업으로, 처음에는 지역 당국에 재정 지원을 제공하여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후 숙련된 전문가 지원, 유적지에 대한 장기 계획 수립 등으로 확장되었다. 2001년부터 헤르쿨라네움 보존 프로젝트는 시범 보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로마 영국학교(British School at Rome)와 협력하여 유적지 유지 관련 학생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37]보존 프로젝트가 시작한 시범 프로젝트 중 하나는 마이우리 팀이 1938년 보존했던 집무실(tablinum)에 관한 것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벽에 물이 스며들었고, 이로 인해 페인트가 이전에 바른 왁스에 달라붙어 벽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색이 벗겨졌다. 게티 센터(Getty Museum)와 공동 작업을 통해 보존 전문가들은 용매를 사용하여 왁스를 일부 제거하고 벽에 쌓인 왁스를 줄여 페인트가 더 이상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38]
7. 미래 과제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헤르쿨라네움' 문서의 '미래 과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A Tale of Two Cities: In Search of Ancient Pompeii and Herculaneum
http://jfa.arch.metu[...]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08-04-15
[2]
서적
Herculaneum: Past and Future
[3]
논문
The Album of Herculaneum and a model of the town’s demography
[4]
서적
Herculaneum: Past and Future
[5]
웹사이트
Antiquitates Romanae 1.44
http://www.perseus.t[...]
[6]
서적
Geography V, 4, 8
[7]
서적
Herculaneum: Past and Future
Frances Lincoln Adult
[8]
웹사이트
Pliny the Younger, Letters 6.16 and 6.20 to Cornelius Tacitus
http://www.u.arizona[...]
[9]
간행물
Encyclopedia of Physical Science and Technology (Third ed.)
https://www.scienced[...]
Elsevier
2001
[10]
간행물
The Herculaneum Society
http://www.herculane[...]
[11]
뉴스
House of the Telephus Relief: raising the roof on Roman real estate
https://www.theguard[...]
2023-03-23
[12]
웹사이트
House of the Relief of Telephus – AD79eruption
https://sites.google[...]
[13]
뉴스
Pompeii's destruction date could be wrong
https://www.bbc.co.u[...]
2018-10-16
[14]
간행물
La vera data dell'eruzione
2006-10
[15]
논문
Lethal thermal impact at periphery of pyroclastic surges: evidences at Pompeii.
2010-06-15
[16]
서적
Herculaneum: Past and Future
[17]
논문
THE LARGE AND THE SMALL HERCULANEUM WOMAN
Universita Ca' Foscari, Venezia
[18]
간행물
The Herculaneum Women: And the Origins of Archaeology
J. Paul Getty Museum
2008-02-07
[19]
서적
Herculaneum: Past and Future
[20]
웹사이트
Northwest Baths – AD79eruption
https://sites.google[...]
2017-04-02
[21]
웹사이트
House of the Dionysian Reliefs – AD79eruption
https://sites.google[...]
2017-04-02
[22]
논문
Lapaleogeografia dell’antica Herculaneum e lefluttuazioni, di origine bradisismica, dellasua linea di costa
[23]
웹사이트
Charlton T. Lewis, Charles Short, A Latin Dictionary, biclīnĭum
https://www.perseus.[...]
2023-03-20
[24]
웹사이트
Digital Exploration: Unwrapping the Secrets of Damaged Manuscripts
http://www.research.[...]
2016-12-16
[25]
뉴스
Unlocking the scrolls of Herculaneum
https://www.bbc.com/[...]
2018-12-27
[26]
뉴스
UK scientists stymied in effort to read ancient scrolls
http://www.kentucky.[...]
2016-12-16
[27]
뉴스
UK scientists stymied in effort to read ancient scrolls
http://www.kentucky.[...]
2016-12-16
[28]
웹사이트
The Fall and Rise and Fall of Pompeii
https://www.smithson[...]
2018-12-27
[29]
논문
First passages of rolled-up Herculaneum scroll revealed
https://www.nature.c[...]
2024-02-11
[30]
논문
The skeletons of Herculaneum, Italy
Caldwell, NJ
[31]
논문
Herculaneum Victims of Vesuvius in AD 79
[32]
서적
Herculaneum: Past and Future
[33]
논문
A re-evaluation of manner of death at Roman Herculaneum following the AD 79 eruption of Vesuvius
[34]
논문
High-resolution dietary reconstruction of victims of the 79 CE Vesuvius eruption at Herculaneum by compound-specific isotope analysis
https://www.research[...]
2023-08-31
[35]
서적
I fuggiaschi di Ercolano. Paleobiologia delle vittime dell' eruzione vesuviana del 79 d.C.
L'Erma di Bretschneider
[36]
웹사이트
Ercolano riscopre l'ufficiale di Plinio il Vecchio, morì per aiutare - Arte
https://www.ansa.it/[...]
2021-05-09
[37]
학회발표논문
The Herculaneum Conservation Project: an introduction
https://www.academia[...]
[38]
웹사이트
Herculaneum Project
https://web.archive.[...]
2018-12-27
[39]
서적
Cleopatra of Egypt: from History to Myth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British Museum Press)
[40]
서적
Cleopatra the Great: The Woman Behind the Legend
Harper
[41]
웹사이트
Pagina non trovata • DocLab
https://web.archive.[...]
2010-10-04
[42]
서적
Herculaneum: DVD: Diaries of Light and Darkness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43]
웹사이트
Terra X Dokumentationen und Kurzclips
http://terra-x.zdf.d[...]
[44]
웹사이트
Secrets of the Dead: Herculaneum Uncovered
https://www.pbs.org/[...]
[45]
웹사이트
Out of the Ashes: Recovering the Lost Library of Herculaneum
https://web.archive.[...]
2011-10-06
[46]
웹사이트
The Other Pompeii: Life and Death in Herculaneum
http://www.bbc.co.uk[...]
[47]
웹사이트
Pompeii: The Mystery of the People Frozen in Time
http://www.bbc.co.uk[...]
[48]
기타
[49]
기타
[50]
기타
[51]
Youtube
세계문화유산 탐험 5편_도시 밑에 또 다른 도시가? 화산 폭발로 폼페이와 함께 땅 속으로 묻혔던 헤르쿨라네움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