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헨리 디어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디어본은 미국 독립 전쟁, 1812년 전쟁, 그리고 정치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1751년 뉴햄프셔에서 태어나 독립 전쟁 당시 대륙군에서 복무하며 요크타운 포위전을 겪었다. 전쟁 이후에는 메인 지구의 연방 보안관, 미국 하원 의원, 토머스 제퍼슨 행정부의 전쟁 장관을 역임했다. 1812년 전쟁에서는 북동부 지역의 최고 사령관을 맡았으나, 지휘 능력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후 포르투갈 주재 미국 대사를 지냈으며, 1829년 사망했다. 디어본의 이름은 여러 지명에 사용되었고, 그의 아들 헨리 A. S. 디어본도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머스 제퍼슨 행정부의 각료 - 에런 버
    에런 버는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고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알렉산더 해밀턴과의 결투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말년에는 변호사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토머스 제퍼슨 행정부의 각료 - 조지 클린턴
    조지 클린턴은 1739년 뉴욕에서 태어나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을 거쳐 뉴욕 주지사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미국 헌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1812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가이다.
  • 제임스 매디슨 행정부 -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금수법에 대한 반대 여론이 쟁점이 된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의 제임스 매디슨이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현직 부통령이었던 조지 클린턴이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는 이례적인 상황도 있었다.
  • 제임스 매디슨 행정부 - 18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12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이 1812년 전쟁 중에 드위트 클린턴 뉴욕 시장을 누르고 재선에 성공한 선거로, 전쟁에 대한 찬반 여론이 주요 쟁점이었다.
  • 항영 저항운동 - 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은 1928년 하산 알반나가 이집트에서 설립한 범이슬람주의 운동으로, 사회 개혁과 이슬람 형제애 부흥을 목표로 시작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팔레스타인 문제 개입, 정권 장악 시도, 탄압 등의 부침을 겪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하는 단체이다.
  • 항영 저항운동 - 세포이 항쟁
    세포이 항쟁은 1857년부터 1859년까지 영국 동인도회사에 맞서 인도 용병들이 일으킨 대규모 항쟁으로, 종교적 금기를 어기는 동물성 기름 사용 소문이 발단이 되었으나, 영국 동인도회사의 인도 지배 강화, 사회적 혼란, 세포이들의 처우 불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인도 독립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헨리 디어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길버트 스튜어트의 헨리 디어본 소장 초상화, 1812년
길버트 스튜어트의 초상화, 1812년
직책제5대 미국 국방부 장관
대통령토머스 제퍼슨
임기 시작1801년 3월 5일
임기 종료1809년 3월 4일
이전새뮤얼 덱스터
다음윌리엄 유스티스
직책제7대 미국 포르투갈 공사
대통령제임스 먼로
임기 시작1822년 8월 16일
임기 종료1824년 6월 30일
이전존 그레이엄
다음토머스 L. L. 브렌트
직책제10대 미국 육군 최고 선임 장교
대통령제임스 매디슨
임기 시작1812년 1월 27일
임기 종료1815년 6월 15일
이전제임스 윌킨슨
다음제이콥 브라운
직책미국 하원 매사추세츠주 의원
의원필레그 워즈워스, 조지 대처 (1793–95)
선거구(1793–95)
(1795–97)
임기 시작1793년 3월 4일
임기 종료1797년 3월 3일
이전시오도어 세지윅
다음아이작 파커
출생일1751년 2월 23일
출생지노샘프턴, 뉴햄프셔, 영국령 아메리카
사망일1829년 6월 6일
사망지록스베리, 매사추세츠주, 미국
정당반행정당 (1792년 이전)
민주공화당 (1792–1829)
서명Henry Dearborn Signature.svg
군 종류대륙군
복무 기간1775–1783
1812–1815
계급[[File:US-O6 insignia.svg|21px]] 대령
[[File:US-O8 insignia.svg|21px]] 소장
참전

2. 초기 생애

헨리 디어본은 1751년 2월 23일 뉴햄프셔주 노스햄프턴에서 사이먼 디어본과 새라 마스턴 부부의 12번째 자녀로 태어났다.[3] 그는 영국 엑서터 출신 고드프리 디어본의 후손으로, 고드프리 디어본은 1639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로 이주하여 뉴햄프셔주 엑서터와 햄튼에 정착했다.[3] 헨리는 어린 시절을 에핑에서 보냈고, 공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운동 신경이 뛰어났고 레슬링 선수로도 유명했다.[3] 이후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의 홀 잭슨 박사 밑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1772년 뉴햄프셔주 노팅엄 광장에 개원했다.[10]

디어본은 세 번 결혼했다. 1771년 메리 바틀렛과 결혼하여 소피아 디어본과 파멜라 오거스타 디어본 두 딸을 낳았다. 1780년에는 도르카스 (오스굿) 마블과 재혼하여 줄리아 캐스컬린 디어본, 헨리 알렉산더 스캐멀 디어본, 조지 롤리 디어본 2남 1녀를 두었다.[1] 1813년에는 제임스 보드윈의 미망인인 사라 보드윈과 결혼했다.[1]

3. 미국 독립 전쟁

헨리 디어본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대륙군에서 복무했다. 처음에는 뉴햄프셔 연대 소령으로 시작하여 곧 중령으로 승진했고, 1781년 7월에는 부사무총장으로 임명되어 조지 워싱턴의 참모로 복무했다.[4]

23세의 나이에 디어본은 60명의 지역 민병대를 이끌고 보스턴으로 가서 존 스타크 대령의 1연대 뉴햄프셔 연대 소령으로 1775년 6월 17일 벙커힐 전투에 참전했다.[5][6] 디어본은 훗날 이 전투에서 이스라엘 퍼트남이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비난하여 디어본-퍼트남 논쟁을 일으켰다.[8]

1775년 9월, 디어본은 베네딕트 아놀드 대령의 퀘벡 원정에 자원했다. 그는 퀘벡 원정 중 어려운 상황을 겪었고, 퀘벡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1년 동안 구금되었다가 1776년 5월 가석방되었고, 1777년 3월까지 교환되지 않았다.[1][9][14][12]

1777년 7월 티콘데로가 요새 공성전 이후, 디어본은 알렉산더 스캐멀 연대에서 소령으로 임명되었다. 1777년 9월에는 프리먼스 팜에서 벌어진 사라토가 전투에 참여하여, 에녹 푸어 장군 휘하의 뉴햄프셔 여단 및 300명의 보병 분견대를 이끌고 다니엘 모건과 협력하여 프레이저의 공격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13]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은 보고서에서 디어본의 능력을 칭찬했다.[14]

그 후 디어본은 조지 워싱턴 장군의 주력 부대에 합류하여 밸리 포지에서 1777년-1778년 겨울을 보냈다.[10] 1778년에는 몬머스 전투에 참전했고, 1779년 여름에는 존 설리번 소장과 함께 이로쿼이족에 대한 설리번 원정에 참여하여 뉴타운 전투에서 승리하고 제네시 밸리와 핑거 레이크스 주변 지역을 황폐화했다.[14][10]

1778년-1779년 겨울 동안 코네티컷 레딩의 퍼트넘 기념 주립 공원에 주둔했던 디어본은 1781년 부사무총장으로 워싱턴 장군의 참모에 복귀, 대령 계급으로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1연대 뉴햄프셔 연대를 지휘했다.[15] 그리고 그해 10월 찰스 콘월리스의 항복을 목격했다.[14]

디어본은 미국 독립 전쟁 동안 6권의 일기를 작성하여 자신의 경험을 기록했다. 이 일기들은 초기 미국 역사가들에게 귀중한 1차 자료를 제공했다.[18] 그는 또한 ''벙커 힐 전투에 대한 기록''을 저술했는데, 이 작품은 초기 미국 역사의 지식 기반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9]

3. 1. 디어본-퍼트넘 논쟁

4.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디어본은 1787년 매사추세츠 민병대에서 준장으로 임관되었고, 1789년 소장으로 승진했다.[2] 같은 해, 그는 조지 워싱턴 대통령에 의해 메인 지구의 초대 미국 연방 보안관으로 임명되었다.[2] 그는 1793년부터 1797년까지 제3, 4대 미국 의회에서 메인 지구를 대표하는 민주공화당원으로 활동했다.[2]

1801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디어본을 전쟁장관으로 임명했으며, 그는 1809년 3월 7일까지 8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했다.[20] 디어본은 제퍼슨이 1800~1801년 군사 평화 설립법을 제정할 때 군 인사 문제에 대해 자문했으며, 이 법은 군대에 대한 새로운 법률과 제한을 규정하고 웨스트포인트에 국립 육군사관학교 설립으로 이어졌다.[20] 그는 메인에서 알고 지내던 조지 배런에게 사관학교 수학 강사직을, 조나단 윌리엄스에게는 학교 감독직을 제안하기도 했다.[21] 1801년과 1802년 사이에 디어본과 제퍼슨은 서신을 자주 주고받으며 정치 및 군사 문제를 논의했는데, 특히 1801년 5월 12일 디어본이 작성한 전쟁부 보고서와 "미국과 인접한 영국령 사이의 경계선을 지정하여 향후 분쟁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권고가 주목할 만하다.[21][22] 그는 또한 제퍼슨이 미시시피 강을 따라 토지를 확보하여 서부 경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 원주민 정책 수립을 도왔다.[23]

1805년, 아론 버와 루이지애나 준주 주지사 제임스 윌킨슨이 남서부에 분리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멕시코와의 전쟁을 계획하고 있다는 버 음모 사건이 전개되었다.[24] 윌킨슨은 전쟁장관 디어본에게 바통 루주에서 서부 스페인령 플로리다를 공격할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고, 디어본은 예방 조치로 3개 중대의 군대를 서부 플로리다의 포트 애덤스로 보낼 것을 명령했다.[24] 그러나 윌킨슨이 군사 탐험대를 파견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디어본은 "당신, 버르 등은 너무 친밀해지고 있다… 모든 수상한 사람을 멀리 하라"고 답하며 경고했다.[25][26] 얼마 지나지 않아 버는 반역죄로 체포되었다.[27]

디어본은 1809년 3월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에 의해 보스턴 항의 세관장으로 임명되었고,[28] 1812년 1월 27일 미국 육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2]

5. 토머스 제퍼슨 행정부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군 법률 및 관리 문제에 대해 헨리 디어본과 자주 상의했다.


1801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헨리 디어본을 미국 전쟁장관(United States Secretary of War)으로 임명했으며, 그는 1809년 3월 7일까지 8년 동안 그 직책을 유지했다.[20] 디어본은 제퍼슨이 1800~1801년 군사 평화 설립법(Military Peace Establishment Act)을 제정할 때 군 인사 문제에 대해 제퍼슨에게 자문했는데, 이 법은 군대에 대한 새로운 법률과 제한을 규정했고 웨스트포인트에 국립 육군사관학교 설립으로 이어졌다.[20] 1801년 4월, 디어본은 메인에서 알고 지내던 영국인 조지 배런(George Baron)에게 사관학교의 수학 강사직을 제안했다. 또한 디어본은 유럽의 포병 및 요새화에 관한 논문을 영어로 번역한 조나단 윌리엄스(Jonathan Williams)에게 학교의 감독직을 제안했다.[21]

1801년과 1802년 사이에 디어본과 제퍼슨은 서신을 자주 주고받으며 다양한 정치 및 군사 문제를 논의했다. 그중 주목할 만한 것은 1801년 5월 12일 디어본이 작성한 전쟁부 보고서[21]와 "미국과 인접한 영국령(British possessions) 사이의 경계선을 지정하여 향후 분쟁을 방지하는 방법"[22]에 대한 그의 권고였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제퍼슨이 미시시피 강을 따라 토지를 확보하여 서부 경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미국 원주민(Native Americans)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3]

1805년, 버르 음모(Burr conspiracy) 사건이 전개되기 시작했을 때, 아론 버르와 루이지애나 준주(Louisiana Territory) 주지사 제임스 윌킨슨(James Wilkinson)은 남서부에 분리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멕시코와의 전쟁을 계획하고 있었다고 주장되었다. 스페인과의 전쟁을 선동하기를 바란 윌킨슨은 전쟁장관 디어본에게 바통 루주(Baton Rouge)에서 서부 스페인령 플로리다(Spanish Florida)를 공격할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전쟁에 대한 소문이 퍼지자 디어본은 예방 조치로 3개 중대(Company (military unit))의 군대를 서부 플로리다(Western Florida)의 포트 애덤스(Fort Adams)로 보낼 것을 명령했다.[24] 전쟁 가능성은 윌킨슨이 미-스페인-멕시코 국경에서 전쟁 지원에 사용될 경로를 찾기 위해 남서부로 군사 탐험대를 파견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24] 5월, 디어본은 윌킨슨에게 올리언스 준주(Orleans territory)로 가서 사빈 강(Sabine River (Texas–Louisiana)) 동쪽이나 서플로리다(West Florida)라고 불리는 지역의 경계선 북쪽이나 서쪽에 대한 미국의 침략을 격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디어본은 이러한 경계를 넘는 어떠한 움직임도 "우리의 영토권에 대한 실질적인 침략"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25] 그러나 윌킨슨이 남서부로 군사 탐험대를 파견해 달라고 디어본에게 요청했을 때, 디어본은 "당신, 버르 등은 너무 친밀해지고 있다… 모든 수상한 사람을 멀리 하라"고 답했다. 이때 디어본은 그의 최고 사령관에게 "당신의 이름이 버르의 이름과 매우 자주 언급되었다"고 경고했다. 그 직후 버르는 반역죄(treason)로 체포되었다.[27]

디어본은 1809년 3월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에 의해 보스턴 항(port of Boston)의 세관장(collector)으로 임명되었다.[28]

5. 1. 아론 버 음모 사건

6. 1812년 전쟁 (미영 전쟁)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헨리 디어본을 북동부 전선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1812년 전쟁 당시,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헨리 디어본에게 나이아가라 강(Niagara River)에서 뉴잉글랜드 해안까지 이르는 북동부 지역의 최고 사령권을 부여했다.[29] 디어본은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로 대령 계급까지 올랐고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휘하에서 전쟁장관을 역임했으며, 군사 평화 설립 법안(Military Peace Establishment Act) 초안 작성을 도왔다.[29]

1812년 전쟁, 나이아가라 강(Niagara River)과 온타리오 호(Lake Ontario) 전선


디어본은 몬트리올, 킹스턴, 나이아가라 요새, 암허스트버그에 대한 동시 공격 계획을 세웠지만, 실행은 미흡했다.[36] 1812년 11월 하부 캐나다(Lower Canada)로의 미온적인 진격은 라콜 밀스 전투에서 매우 작은 교전 후에 붕괴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디어본이 디트로이트를 방어하기 위한 충분한 병력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신속하게 움직이지 않았다고 믿는다. 윌리엄 헐은 한 발의 총도 쏘지 않고 영국군 아이작 브록 장군에게 도시를 항복했다.[36] 헐은 군사 재판(court-martial)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형이 감형되었다. 디어본이 군사 재판을 주재했다.[36]

1813년 4월 27일, 디어본과 아이작 choncey 제독 휘하의 온타리오 호(Lake Ontario)에 있는 미국군은 요크 전투에서 승리하여 며칠 동안 도시를 점령하고 많은 대포와 물자를 노획했다.[37] 그 후 미국군은 chonsey의 배로 호수를 건너 나이아가라 요새로 수송되었다. 디어본은 나이아가라 요새(Fort Niagara)에 4,500명의 병력을 집결시켜 다음으로 조지 요새를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그 공격을 윈필드 스콧 대령에게 맡겼다.[37]

디어본은 1813년 4월 27일 요크(현 토론토) 점령(요크 전투)과 1813년 5월 27일 조지 요새 점령(조지 요새 전투)에서 작은 성공을 거두었지만, 그의 지휘는 대부분 비효율적이었다.[39] 그는 1813년 7월 6일 국경에서 소환되어 뉴욕시의 행정직에 재배치되었고[39], 세 번째 부인인 사라 보든(Sarah Bowdoin)과 결혼했다.[1] 디어본은 1815년 6월 15일 명예롭게 육군에서 제대했다.[40]

7. 말년

헨리 디어본은 신시내티 협회의 창립 회원이었다. 또한 1816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 학회인 미국 고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15년 3월 1일,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디어본을 전쟁장관으로 재임명하기 위해 지명했으나, 상원은 이를 거부했다. 1812년 전쟁 당시 디어본의 성과에 대한 격렬한 비판에 직면하여 매디슨은 지명을 철회했다. 이후 디어본은 제임스 먼로 대통령에 의해 포르투갈 특명 전권 대사로 임명되어 1822년 5월 7일부터 1824년 6월 30일까지 재직했으며, 자신의 요청에 따라 소환되었다.

1818년, 디어본은 재임 중인 존 브룩스 주지사와 맞서 매사추세츠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다. 연방주의자가 주류인 주에서 민주공화당원이었던 디어본은 선거 운동에 도움이 되는 호의적인 여론이 필요했다. 그는 필라델피아 정치 잡지인 ''포트 폴리오''의 편집자 찰스 마이너가 벙커 힐 전투를 묘사한 영국 병사의 지도를 확인하고 편집해 달라는 제안을 수락했다. 그러나 1818년에 재인쇄된 기사에서 전투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썼을 때, 이스라엘 퍼트넘을 전투 중 무기력하고 비겁한 지도력으로 비난하여 전쟁 참전 용사와 여러 역사가들 사이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1824년, 주포르투갈 공사직에서 물러난 디어본은 매사추세츠주 록스베리에 있는 자택으로 은퇴하여 1829년 사망했다. 그는 보스턴 외곽(1874년 보스턴에 합병됨) 자메이카 플레인의 포레스트 힐스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8. 유산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는 토머스 제퍼슨의 지시를 받아 1803년 몬태나주 서중부의 디어본 강을 디어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인디애나주 디어본 카운티, 미시간주 디어본, 미주리주 디어본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시카고의 디어본 요새 역시 마찬가지였다. 디어본 요새는 시카고 도심의 주요 거리인 디어본 거리의 이름이 되었다. 1800년대 초 미시시피주 아담스 카운티에는 디어본 요새가 있었다.

1797년 8월, 메인주 오거스타는 헨리의 딸인 오거스타 디어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1800년대 초, 미국 군수 공장인 "디어본 산"이 캐터워 강과 워터리 강의 합류 지점 근처,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레이트폴스에 인접한 섬에 건설될 계획이었다. 시설은 건설되지 않았지만, 섬의 이름은 남았고, 1905년 마을이 설립된 후 주요 간선도로는 디어본 거리로 명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헨리 디어본의 고향인 뉴햄프셔주에는 포츠머스로 가는 길을 지키기 위해 디어본 요새라는 해안 방어 요새가 설립되었다.

디어본 장군의 아들인 헨리 A. S. 디어본은 1831년부터 1833년까지 매사추세츠주 제10선거구를 대표하는 미국 하원 의원이었다.

9.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1차 득표율1차 득표수2차 득표율2차 득표수3차 득표율3차 득표수결과당락
1793년 선거하원의원 (매사추세츠 제4선거구)3대민주공화당29.15%667표60.89%1,107표 1위25px
1794년 선거하원의원 (매사추세츠 제12선거구)4대민주공화당51.79%464표  1위25px
1797년 선거하원의원 (매사추세츠 제12선거구)5대민주공화당31.14%373표33.75%787표47.36%1,450표2위낙선
1817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11대민주공화당45.13%38,129표  2위낙선


참조

[1] 기관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 기관 U.S. Biographical Directory
[3] 서적 Dearborn, Smith, 1939
[4] 기관 N.Y. Public library: Archives division
[5] 서적 Willey, 1903
[6] 서적 Philbrick, 2013
[7] 서적 Dearborn, Peckham, 2009
[8] 서적 Cray, 2001
[9] 서적 Dearborn, Smith, 1939
[10] 서적 Malone, Allan, 1930
[11] 서적 Dearborn, Smith, 1939
[12] 서적 Dearborn, Peckham, 2009
[13] 서적 Willey, 1903
[14] 서적 Willey, 1903
[15] 서적 Willey, 1903
[16]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General Society of the Cincinnati, 1784-, Volume 1 (1887)
[17] 웹사이트 Henry Dearborn | New Hampshire Society of the Cincinnati http://www.nhsociety[...] 2019-05-17
[18] 서적 Dearborn, Peckham, 2009
[19] 서적 Dearborn, 2016
[20] 문서 Thomas Jefferson to the Senate, March 25, 1802
[21] 문서 Henry Dearborn's Report on the War Department, May 12, 1801
[22] 문서 Dearborn's December 5, 1801 letter to Jefferson
[23] 기관 Thomas Jefferson Foundation: Henry Dearborn (Physiognotrace)
[24] 서적 Wheelan, 2005
[25] 서적 Stewart, 2011
[26] 서적 Stewart, 2011
[27] 서적 Stewart, 2011
[28] 서적 McDonald, 2004
[29] 서적 Daughan, 2011
[30] 서적 Taylor, 2010
[31] 서적 DiLorenzo, 1998, Yankee Confederates
[32] 서적 Taylor, 2010
[33] 서적 Taylor, 2010
[34] 서적 Taylor, 2010
[35] 서적 Daughan, 2011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Vol. V
[41] 서적 Original Members and Other Officers Eligible to the Society of the Cincinnati, 1783-1938: With the Institution, Rules of Admission, and Lists of the Officers of the General and State Societies Shenandoah Publishing House, Inc.
[42] 웹사이트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Members Directory http://www.americana[...]
[43] 간행물 Journal of the American Revolution
[44] 서적
[4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