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크롬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크롬웰은 1628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났으며,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로 잉글랜드 내전 시기 뉴모델군에 합류했다. 그는 아일랜드 원정에 참여하고 베어본즈 회의에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1653년 엘리자베스 러셀과 결혼하여 5남 2녀를 두었다. 헨리 크롬웰은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총장을 역임하고, 아일랜드군 사령관과 아일랜드 총독을 지내며 아일랜드 통치를 담당했다. 찰스 2세의 왕정 복고 요청을 거절하고 공직에서 물러났으며, 167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롬웰가 - 올리버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잉글랜드 연방 수립에 기여했으며, 호국경으로 통치했으나 사후 부관참시를 당한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 크롬웰가 - 리처드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인 리처드 크롬웰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호국경으로 재임했으나, 짧은 통치 후 사임하여 크롬웰 정권 붕괴를 가속화시킨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 잉글랜드의 군인 - 엑서터 공작 토머스 보퍼트
엑서터 공작 토머스 보퍼트는 존 오브 곤트의 서자로 태어나 헨리 4세 시대에 가터 훈장을 받고 군사 직책을 역임했으며, 헨리 5세 시대에는 여러 직책을 거쳐 엑서터 공작 작위를 받았고, 헨리 5세 유언 집행자 및 헨리 6세 통치 평의회에서 활동했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에도 등장한다. - 잉글랜드의 군인 - 존 스미스 (탐험가)
영국의 탐험가 존 스미스는 제임스타운 건설과 버지니아 식민지 탐험에 기여했으며 포카혼타스와의 일화로 유명하지만, 원주민에 대한 강압적인 태도와 포카혼타스 관련 일화의 진실성 논란도 있다. - 1628년 출생 - 마르첼로 말피기
17세기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생물학자, 현미경학자인 마르첼로 말피기는 현미경을 이용한 혈액 순환 연구, 해부학적 구조 발견, 식물 연구, 배아 발생 연구를 통해 해부학, 생리학, 식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 1628년 출생 - 존 번연
존 번연은 영국의 대장장이 출신 작가로, 옥중에서 기독교인의 천국 여정을 그린 우화 소설 《천로역정》을 집필하여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종교 서적을 남겼다.
헨리 크롬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628년 1월 20일 |
출생지 | 헌팅던, 헌팅던셔, 잉글랜드 |
사망일 | 1674년 3월 23일 |
사망지 | 위켄, 캠브리지셔, 잉글랜드 |
배우자 | 엘리자베스 러셀 |
자녀 | 7명 |
부모 | 올리버 크롬웰, 엘리자베스 바우처 |
직업 | 정치인, 군인 |
정치 경력 | |
직책 | 아일랜드 총독 |
임기 시작 | 1657년 11월 16일 |
임기 종료 | 1659년 6월 7일 |
이전 | 찰스 플리트우드 |
이후 | 에드먼드 러들로 (최고 사령관으로서) |
2. 생애
헨리 크롬웰은 1628년 1월 20일에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주 헌팅던에서 잉글랜드 연방의 초대 호국경을 역임한 올리버 크롬웰과 그의 아내인 엘리자베스 바우처 부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 펠스테드 스쿨과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를 졸업했고[58]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는 아버지를 따라 뉴모델군에 합류했다.
1650년에는 아버지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아일랜드 원정에 나섰고,[59] 1653년에 열린 베어본즈 회의에서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다. 1653년 5월 10일에는 제2대 치프넘 준남작 프랜시스 러셀의 딸인 엘리자베스 러셀과 결혼하여 슬하에 5남 2녀를 두었다. 1653년부터 1660년까지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트리니티 칼리지의 총장을 역임했다.
1654년 8월에는 아일랜드를 방문하여 헨리는 호국경이 된 자신의 아버지인 올리버 크롬웰에게 아일랜드 통치를 건의했고 1654년 8월 24일에는 아일랜드군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아일랜드 의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아일랜드의 총독이자 헨리 크롬웰의 언니인 브리짓 크롬웰의 남편이기도 한 찰스 프리트우드의 부하였지만 같은 해 9월에 매형이 잉글랜드로 떠나면서 아일랜드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된다.
헨리 크롬웰은 플리트우드가 시행했던 아일랜드인을 국외로 추방시키는 정책을 완화하는 한편 잉글랜드인 이주자들의 권익에도 일정한 관심을 보였다. 또한 플리트우드와는 달리 개신교의 교파들 사이에서 공평한 처우를 강조하면서 아일랜드에서 인심을 장악했다. 1657년 11월 16일에는 스스로 아일랜드 총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그는 아일랜드 의회로부터 연간 1,500 파운드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아일랜드의 가난과 잉글랜드의 부채를 이유로 거절했다.
1654년에는 자신의 아버지였던 올리버 크롬웰을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즉위시키려는 정치 운동을 지원했지만 1657년에는 입장을 바꿔서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않도록 조언을 보냈다. 1658년 2월에 아일랜드 의회가 해산된 이후에는 아버지가 헌법을 준수하는 자세를 따르도록 지시했다. 헨리 크롬웰은 자신의 형인 리처드 크롬웰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호국경으로 취임했다는 소식에는 환영했지만 본인은 아일랜드 총독 자리를 유지했다는 소식에 크게 낙담했다고 한다.
1659년에는 찰스 2세로부터 잉글랜드의 왕정 복고를 지원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를 거절했다. 헨리 크롬웰은 리처드 크롬웰 정권이 붕괴되면서 잉글랜드로 소환되었고 조용하게 공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왕정 복고로 인해 영지와 재산의 일부를 잃었지만 아일랜드에서 사들인 자산을 유지했다. 만년에는 케임브리지셔주 위큰에 위치한 스피니 수도원에서 조용하게 지냈고 1674년 3월 23일에 위큰에서 향년 4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헨리 크롬웰의 유해는 교구 교회에 매장된 아내의 무덤 옆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헨리 크롬웰은 1628년 1월 20일에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주 헌팅던에서 잉글랜드 연방의 초대 호국경을 역임한 올리버 크롬웰과 그의 아내인 엘리자베스 바우처 부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 펠스테드 스쿨과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를 졸업했고[58]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는 아버지를 따라 뉴모델군에 합류했다.1650년에는 아버지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아일랜드 원정에 나섰고[59] 1653년에 열린 베어본즈 회의에서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다. 1653년 5월 10일에는 제2대 치프넘 준남작 프랜시스 러셀의 딸인 엘리자베스 러셀과 결혼하여 슬하에 5남 2녀를 두었다.
2. 2. 군 경력
헨리 크롬웰은 1628년 1월 20일에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주 헌팅던에서 잉글랜드 연방의 초대 호국경을 역임한 올리버 크롬웰과 그의 아내인 엘리자베스 바우처 부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펠스테드 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를 졸업했고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는 아버지를 따라 뉴모델군에 합류했다. 제1차 잉글랜드 내전이 끝날 무렵 뉴모델군에 입대했으며, 1647년에는 해리슨 연대의 대위이거나 토머스 페어팩스의 친위대장이었다.[2] 1648년 여름 헨리 크롬웰은 아버지 휘하에서 잉글랜드 북부에서 복무했던 것으로 보인다.[4]1650년에는 아버지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아일랜드 원정에 나섰고, 1650년 2월 대령으로 승진하여 증원군과 함께 아버지를 따라 아일랜드로 갔다.[5] 그는 브로길 경과 함께 1650년 4월 리머릭 근처에서 인치퀸 경(Murrough O'Brien, 1st Earl of Inchiquin)을 물리쳤다.[5] 1653년에 열린 베어본즈 회의에서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다.[6] 1653년 5월 10일에는 제2대 치프넘 준남작 프랜시스 러셀의 딸인 엘리자베스 러셀과 결혼하여 슬하에 5남 2녀를 두었다.
1654년 8월에는 아일랜드를 방문하여 헨리는 호국경이 된 자신의 아버지인 올리버 크롬웰에게 아일랜드 통치를 건의했고 1654년 8월 24일에는 아일랜드군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아일랜드 의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아일랜드의 총독이자 헨리 크롬웰의 언니인 브리짓 크롬웰의 남편이기도 한 찰스 프리트우드의 부하였지만 같은 해 9월에 매형이 잉글랜드로 떠나면서 아일랜드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된다.
헨리 크롬웰은 플리트우드가 시행했던 아일랜드인을 국외로 추방시키는 정책을 완화하는 한편 잉글랜드인 이주자들의 권익에도 일정한 관심을 보였다. 또한 플리트우드와는 달리 개신교의 교파들 사이에서 공평한 처우를 강조하면서 아일랜드에서 인심을 장악했다. 1657년 11월 16일에는 스스로 아일랜드 총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그는 아일랜드 의회로부터 연간 1,500 파운드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아일랜드의 가난과 잉글랜드의 부채를 이유로 거절했다.
1654년에는 자신의 아버지였던 올리버 크롬웰을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즉위시키려는 정치 운동을 지원했지만 1657년에는 입장을 바꿔서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않도록 조언을 보냈다. 1658년 2월에 아일랜드 의회가 해산된 이후에는 아버지가 헌법을 준수하는 자세를 따르도록 지시했다. 헨리 크롬웰은 자신의 형인 리처드 크롬웰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호국경으로 취임했다는 소식에는 환영했지만 본인은 아일랜드 총독 자리를 유지했다는 소식에 크게 낙담했다고 한다.
1659년에는 찰스 2세로부터 잉글랜드의 왕정 복고를 지원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를 거절했다. 헨리 크롬웰은 리처드 크롬웰 정권이 붕괴되면서 잉글랜드로 소환되었고 조용하게 공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2. 3. 정치 경력
헨리 크롬웰은 1628년 1월 20일에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주 헌팅던에서 올리버 크롬웰과 엘리자베스 바우처 부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펠스테드 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를 졸업했고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는 뉴모델군에 합류했다. 1650년에는 아일랜드 원정에 나섰고 1653년에 열린 베어본즈 회의에서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다. 1653년 5월 10일에는 엘리자베스 러셀과 결혼하여 슬하에 5남 2녀를 두었다.1654년 8월, 헨리는 아일랜드군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아일랜드 의회의 구성원이 되었다.[10][12] 찰스 프리트우드의 부하였지만, 같은 해 9월에 플리트우드가 잉글랜드로 떠나면서 헨리는 아일랜드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다.[13] 헨리 크롬웰은 플리트우드가 시행했던 정책을 완화하고, 잉글랜드인 이주자들의 권익에도 관심을 보였다. 또한 개신교 교파들 사이에서 공평한 처우를 강조하면서 아일랜드에서 인심을 장악했다.
1657년 11월 16일, 헨리는 스스로 아일랜드 총독으로 취임했다.[24] 그는 아일랜드 의회로부터 연간 1,500 파운드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아일랜드의 가난과 잉글랜드의 부채를 이유로 거절했다.[26] 1654년에는 올리버 크롬웰을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즉위시키려는 정치 운동을 지원했지만, 1657년에는 입장을 바꿔서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않도록 조언했다.
1658년 2월, 아일랜드 의회가 해산된 이후 헨리는 아버지가 헌법을 준수하는 자세를 따르도록 지시했다. 헨리 크롬웰은 리처드 크롬웰이 호국경으로 취임했다는 소식에는 환영했지만, 본인이 아일랜드 총독 자리를 유지했다는 소식에는 낙담했다고 한다.
1659년, 헨리는 찰스 2세로부터 잉글랜드의 왕정 복고를 지원할 것을 요구받았지만, 이를 거절했다. 헨리 크롬웰은 리처드 크롬웰 정권이 붕괴되면서 잉글랜드로 소환되었고, 공직에서 물러났다. 왕정 복고로 인해 영지와 재산의 일부를 잃었지만, 아일랜드에서 사들인 자산은 유지했다.
2. 4. 아일랜드 총독
헨리 크롬웰은 1654년 8월 아일랜드를 방문하여 호국경이 된 아버지 올리버 크롬웰에게 아일랜드 통치를 건의했고,[10] 같은 해 8월 24일 아일랜드군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아일랜드 의회의 구성원이 되었다.[12] 아일랜드 총독이자 헨리 크롬웰의 매형인 찰스 프리트우드의 부하였지만,[12] 같은 해 9월 매형이 잉글랜드로 떠나면서 아일랜드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다.[13]헨리 크롬웰은 플리트우드가 시행했던 아일랜드인을 국외로 추방시키는 정책을 완화하는 한편 잉글랜드인 이주자들의 권익에도 관심을 보였다.[60] 또한 플리트우드와는 달리 개신교 교파들 사이에서 공평한 처우를 강조하면서 아일랜드에서 인심을 장악했다.[60] 그는 침례교도들이 계획한 가톨릭 주민들의 코노트 이주를 중단시키고, 침례교도들이 장악했던 중앙 및 지방 행정을 지주와 자치 도시에 반환했다.[61] 뉴잉글리시(New English)라 불리는 잉글랜드계 아일랜드 프로테스탄트들과 협력하여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하면서 침례교도들을 배제하고 아일랜드를 군정에서 민정으로 이행시켰다.[61] 또한, 세금 개정을 통해 아일랜드 재건을 도모했으며, 퀘이커를 배척하고 잉글랜드의 규제 하에서 무역 재개를 도모했다.[61][62]
1657년 11월 16일에는 스스로 아일랜드 총독으로 취임하게 된다.[24] 아일랜드 의회로부터 연간 1,500 파운드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아일랜드의 가난과 잉글랜드의 부채를 이유로 거절했다.[26]
1654년에는 아버지 올리버 크롬웰을 잉글랜드의 국왕으로 즉위시키려는 정치 운동을 지원했지만,[64] 1657년에는 입장을 바꿔서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않도록 조언을 보냈다. 1658년 2월에 아일랜드 의회가 해산된 이후에는 아버지가 헌법을 준수하는 자세를 따르도록 지시했다. 헨리 크롬웰은 형 리처드 크롬웰이 호국경으로 취임했다는 소식에는 환영했지만, 본인이 아일랜드 총독 자리를 유지했다는 소식에 크게 낙담했다고 한다.[65]
1659년에는 찰스 2세로부터 잉글랜드의 왕정 복고를 지원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를 거절했다. 헨리 크롬웰은 리처드 크롬웰 정권이 붕괴되면서 잉글랜드로 소환되었고 조용하게 공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2. 5. 왕정복고와 이후
헨리 크롬웰은 찰스 2세의 왕정 복고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1659년 형 리처드 크롬웰의 정권이 무너진 직후 잉글랜드로 소환되었다. 그는 명령에 순순히 따랐고 즉시 공직에서 물러났다.[51][52][53] 왕정 복고로 인해 잉글랜드에서 연간 2,000파운드에 달하는 토지를 잃었지만, 아일랜드에서 복무하는 동안 받은 봉급으로 연간 600~700파운드 상당의 재산을 매입하여 이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49][50]찰스 2세에게 보낸 청원에서 크롬웰은 자신의 행동이 왕에 대한 악의가 아닌 아버지 올리버 크롬웰에 대한 당연한 의무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일랜드 통치의 공적과 권력을 휘두르던 시절 왕당파에게 보여준 호의를 호소했다.[51] 클래런던, 오몬드, 그리고 다른 많은 왕당파들이 그의 편을 들었다.[52] 그의 가족은 다음 세대에서 이 토지를 잃은 것으로 보이나, 헨리 크롬웰이 체납금으로 매입한 토지의 원래 소유주였던 클랜리카드 가문 일부에 의해 불법적으로 몰수당했다고 알려져 있다.[54]
생애 후반기에 크롬웰은 1661년에 매입한 케임브리지셔주 위켄의 스피니 수도원에서 조용하게 거주했다.[55] 찰스 2세는 크롬웰의 평화로운 성향에 만족했던 것으로 보이며, 밀고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고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때문에 곤란을 겪은 적은 없었다. 1674년 3월 23일(구력) 4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위켄 교구 교회에 있는 아내의 묘 옆에 묻혔다.
3. 가족
헨리 크롬웰은 1653년 5월 10일 치펜엄의 프랜시스 러셀 경(Sir Francis Russell, 2nd Baronet, of Chippenham)의 딸인 엘리자베스(1687년 4월 7일 사망)와 결혼했다. 그들은 다섯 명의 아들과 두 명의 딸을 두었다.[56] 그의 차남 헨리 크롬웰은 한나 휴링(Hannah Hewling)과 결혼했고, 필딩(Fielding) 연대의 소령으로 1711년에 사망했다.[57]
4. 평가
5. 가계
헨리 크롬웰의 아버지는 호국경 제1대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이고, 어머니는 엘리자베스 바우처(Elizabeth Bourchier)이다.
참조
[1]
서적
Noble
[2]
서적
Cromwelliana
[3]
서적
Flagellum
[4]
서적
Memoirs of Captain Hodgson
[5]
서적
Whitelocke, Memorials
[6]
서적
Parliamentary History
[7]
서적
Thurloe
"March 1654"
[8]
서적
Thurloe
"March 1654"
[9]
서적
Ludlow Memoirs
[10]
서적
Cal. State Papers, Dom.
"21–22 August 1654"
[11]
서적
Cal. State Papers, Dom.
"21–22 August 1654"
[12]
서적
Oliver Cromwell, Life of Oliver Cromwell
[13]
서적
Mercurius Politicus
[14]
서적
Thurloe
[15]
서적
Thurloe
[16]
서적
Thurloe
[17]
서적
Nichols, Letters to O. Cromwell
[18]
서적
Thurloe
[19]
서적
Carlyle, Cromwell, Letters
[20]
서적
Thurloe
[21]
서적
Thurloe
[22]
서적
Thurloe
[23]
서적
Thurloe
[24]
서적
14th Rep. of Deputy-Keeper of Irish Records
[25]
서적
Thurloe
[26]
서적
Burton, Diary
[27]
서적
Burton
[28]
서적
Burton
[29]
서적
Burton
[30]
서적
Burton
[31]
서적
Burton
[32]
서적
Burton
[33]
서적
Burton
[34]
서적
Burton
[35]
서적
Burton
[36]
서적
[37]
서적
[38]
간행물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간행물
[49]
간행물
[50]
서적
[51]
간행물
[52]
서적
[53]
간행물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학술자료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문서
총독과 통감의 차이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