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찰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2세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으로, 1649년 찰스 1세가 처형된 후 스코틀랜드에서 왕으로 선포되었으나,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전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생활을 했다. 1660년 왕정복고를 통해 잉글랜드 왕위에 복귀했으며, 기사 의회와 협력과 갈등을 겪었다. 그는 런던 대화재, 흑사병과 같은 재난을 겪었고, 외교적으로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네덜란드와 전쟁을 벌였다. 말년에는 의회와의 갈등이 심화되어 절대 군주로 통치했으며, 1685년 사망 후 동생 제임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찰스 2세는 예술과 과학을 후원했으며, 사후에는 사생활과 독단적인 통치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 내전 관련자 - 토머스 페어팩스
    토머스 페어팩스는 1612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잉글랜드 왕정복고에 기여했다.
  • 잉글랜드 내전 관련자 - 제1대 클래런던 백작 에드워드 하이드
    제1대 클래런던 백작 에드워드 하이드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역사가, 법률가로, 청교도 혁명 시기 왕당파로 활동하며 잉글랜드 수석 장관과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나, 외교 정책 실패 등으로 몰락하여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 17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17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메리 2세
    메리 2세는 1662년에 태어나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윌리엄 3세와 함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공동 통치했으며,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 통과를 통해 왕권 제한과 의회 권한 강화를 이끌었다.
  • 17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1세는 헨리 8세의 딸로 잉글랜드 여왕으로 즉위하여 국교회를 정비하고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하는 등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으며,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로서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17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찰스 2세
기본 정보
찰스는 마른 체격이고 가슴까지 내려오는 곱슬머리를 하고 있다
찰스는 가터 훈장 예복을 입고 있다,
이름찰스 2세
영어 이름Charles II
재위1660년 5월 29일 – 1685년 2월 6일
즉위일 (잉글랜드)1660년 5월 29일
즉위일 (스코틀랜드)1649년 1월 30일
대관식1661년 4월 23일
대관식 (스코틀랜드)1651년 1월 1일
국왕잉글랜드 국왕, 스코틀랜드 국왕, 아일랜드 국왕
이전 국왕찰스 1세
다음 국왕제임스 2세 & 7세
배우자카타리나 드 브라간사(1662년 결혼)
출생일1630년 5월 29일 (신식: 1630년 6월 8일)
출생지세인트 제임스 궁전, 웨스트민스터, 잉글랜드
사망일1685년 2월 6일 (향년 54세) (신식: 1685년 2월 16일)
사망지화이트홀 궁전, 웨스트민스터, 잉글랜드
매장일1685년 2월 14일
매장지웨스트민스터 사원, 잉글랜드
서명
왕가스튜어트 가문
아버지찰스 1세
어머니헨리에타 마리아
왕위 계승 정보
계승권잉글랜드 국왕, 스코틀랜드 국왕, 아일랜드 국왕
재위 (스코틀랜드)1649년 1월 30일 – 1651년 9월 3일
이전 국왕 (스코틀랜드)찰스 1세
다음 국왕 (스코틀랜드)군정
스타일(더 많은 스타일...)
사생아
자녀제임스 스콧, 1대 몬머스 공작
샬럿 패스턴
찰스 피츠찰스, 1대 플리머스 백작
캐서린 피츠찰스
찰스 피츠로이, 2대 클리블랜드 공작
헨리 피츠로이, 1대 그라프턴 공작
샬럿 리, 리치필드 백작부인
조지 피츠로이, 1대 노섬벌랜드 공작
찰스 보클레르, 1대 세인트 올번스 공작
찰스 레녹스, 1대 리치먼드 공작
레이디 메리 튜더

2. 내전 속에서 보낸 유년기

어린 시절의 찰스 2세와 그의 동생 제임스.


찰스 2세는 1630년 5월 29일 런던의 세인트제임스 궁에서 찰스 1세와 앙리에트 마리 드 프랑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바로 전 해에 태어난 형이 있었지만 태어나자 마자 사망하였기 때문에 찰스 2세가 실질적인 장남이었다. 6월 27일 왕실예배당에서 윌리엄 로드가 세례식을 집전하였다. 윌리엄 로드는 훗날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되어 잉글랜드 내전의 한 복판에서 활동하다 의회파에 의해 처형된다. 찰스 2세는 잉글랜드 군주의 장남으로서 태어나면서 자동으로 콘월 공작로스시 공작이 되었으며, 8세 때 웨일스 공에 책봉되었지만, 이후 이어진 내전으로 공식적인 지위는 인정받지 못하였다.

1642년 찰스 1세와 잉글랜드 의회의 갈등은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졌다. 찰스 1세는 그해 10월 있었던 에지힐 전투에 왕자들을 데리고 갔다. 1645년 찰스 1세는 15세에 불과한 왕세자를 웨스트컨트리의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는데, 이는 명목상 지위에 불과하였다.[75]

1646년 의회파가 우세해지자 찰스 1세는 왕세자를 망명시키기로 결정하였다. 콘월주팰머스에서 잉글랜드를 떠난 찰스는 실리 제도, 저지섬을 거쳐 어머니가 있던 프랑스로 갔다.[76] 당시 프랑스 국왕은 찰스의 사촌 루이 14세였다. 찰스 1세는 1646년 5월 의회파에 사로잡혔다.

1차 내전 후에도 의회파는 찰스 1세에게 의회 권리 인정을 요구했지만, 군주제 폐지 의사는 없었다. 그러나 찰스 1세는 언약도를 통해 자신의 권좌를 되찾으려 했고, 1648년 2차 내전이 시작되었다. 찰스는 네덜란드 헤이그로 가서 메리와 결혼한 오라녜 공 빌럼 2세의 도움을 받고자 했다. 네덜란드 후원으로 의회파 함대 일부를 패퇴시켰으나, 프리스턴 전투에서 신형군에 패배하여 망명 생활을 계속했다.

이 시기 찰스는 루시 월터와 관계를 맺어 아들 제임스 크로프츠를 낳았다. 그는 찰스 2세의 사생아 중 가장 유명해졌다.

2. 1. 스코트인의 왕으로 즉위, 그리고 망명

1649년 1월 30일, 찰스 1세가 처형되자, 잉글랜드 의회는 공화제를 선언하고 잉글랜드 연방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의회는 군주제 유지를 결정하고 찰스 2세를 왕으로 선포하였다.[65] 당시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동군연합 상태였기 때문에, 스코틀랜드는 독자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

망명 중의 찰스 2세


스코틀랜드는 장로교를 국교로 인정받고 있었고, 의회는 장로교의 일파인 언약도가 장악하고 있었다. 1649년 2월 5일, 에든버러의 스코틀랜드 의회는 찰스 2세를 스코트인의 왕으로 선언했다.[65] 그러나 이는 스코틀랜드 교회가 잉글랜드 청교도로부터 독립을 지키려는 의도도 있었다. 스코틀랜드 의회는 찰스 2세에게 장로교를 국교로 인정해야만 스코틀랜드 입국을 허락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찰스 2세는 몬트로스 후작에게 오크니 제도에서 무력 시위를 하도록 했으나, 몬트로스 후작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78] 결국 찰스 2세는 1650년 브레다에서 스코틀랜드 의회와 협약을 맺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모두에서 장로교를 국교로 인정하겠다고 약속했다.[79]

1650년 6월 23일, 찰스 2세는 스코틀랜드에 입국하여 브레다 협약에 공식 동의했다. 이로 인해 스코틀랜드에서는 확고한 지지를 얻었지만, 성공회를 포기하면서 잉글랜드 내 인기는 떨어졌다. 찰스 2세는 스코틀랜드 언약도를 위선적이라고 혐오했다.[80] 스코틀랜드 의회는 찰스 2세에게 포클랜드궁을 제공했고, 퍼스에도 찰스 2세를 위한 지출 기록이 남아있다.[81] 찰스 2세는 이곳에서 사프란, 육두구, 계피, 정향, 생강 등의 향신료를 사용한 요리와 설탕, 타르트를 즐겼다.[82]

탈출을 위해 변장하는 찰스 2세


찰스 2세의 즉위는 잉글랜드의 반발을 불렀고, 1650년 올리버 크롬웰은 스코틀랜드를 침공하여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전쟁이 발발했다. 1650년 9월 3일, 던바 전투에서 스코틀랜드 군대는 잉글랜드 신형군에게 대패했다.[83] 1651년 1월 1일, 찰스 2세는 스콘 수도원에서 스코트인의 왕으로 대관식을 치렀지만, 크롬웰의 압박은 계속되었다. 아가일 후작 등 많은 언약도 군인들이 참전을 거부하여, 잉글랜드 왕당파만이 잉글랜드 신형군과 맞섰다. 1651년 9월 3일, 우스터 전투에서 왕당파는 대패했고, 잉글랜드 의회는 찰스 2세에게 1천 파운드의 현상금을 걸었다. 찰스 2세는 약 1.83m의 큰 키 때문에 변장도 어려웠고,[85] 사람들의 냉대를 받았지만, 탈출에 성공하여 10월 16일 노르망디에 상륙했다.

1653년, 잉글랜드 의회는 통치장전을 통해 크롬웰을 호국경으로 추대했다. 찰스 2세는 생제르맹앙레에서 한 달에 600 리브르로 생활하며[86] 크롬웰 정부 전복을 시도조차 할 수 없었다. 스튜어트가와 혈연 관계였던 프랑스와 네덜란드는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크롬웰과 협약을 맺었고, 찰스 2세는 이들의 후원도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1654년, 크롬웰의 압박으로 찰스 2세는 스페인령 남부 네덜란드로 이동했다.

3. 왕정복고

1658년 올리버 크롬웰이 사망한 후, 잉글랜드 연방은 내부 분열을 겪었다. 리처드 크롬웰호국경을 계승하였지만, 신형군의 반발로 1659년 물러났다. 권력 공백이 커지자 조지 멍크는 런던으로 진군하여 잔부의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선포하였다.[89]

찰스 2세의 귀환.리브 베르슈이어의 그림.


1660년 4월 25일 소집된 공회 의회는 찰스 2세가 브레다 선언을 통해 종교적 관용, 청교도 사면, 재산 몰수 금지, 의회와의 협치를 약속하자, 그를 국왕으로 승인하고 귀환을 요청하였다. 찰스 2세는 5월 8일 이 소식을 접하고, 5월 23일 도버에 도착, 5월 29일 런던에 입성하였다. 이로써 공위시대가 끝나고 잉글랜드는 다시 군주국이 되었다. 아일랜드 역시 5월 14일 찰스 2세를 왕으로 인정하였다.

찰스 2세는 망각의 법을 통해 청교도를 사면했지만, 찰스 1세 처형 관련자 50여 명은 예외였다. 9명은 교수척장분지형에 처해졌고, 나머지는 종신형이나 공직에서 제외되었다. 올리버 크롬웰, 헨리 아이레튼, 존 브래드쇼 등은 부관참시되었다.

의회는 국왕 수조권을 인정하여 소비세와 무역세를 궁정 수입으로 인정하였다. 당시 수입은 연간 120만파운드였으나, 실제 세수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찰스 2세는 난방세를 도입했지만 시민들의 반발을 샀다. 잉글랜드 왕정복고는 젠트리의 협조를 얻기 위해 재산세 납부를 강하게 압박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이루어졌다.[90]

3. 1. 기사 의회와의 협력과 갈등

1660년 12월 공회 의회가 해산되고 1661년 4월 23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찰스 2세의 대관식이 치러진 뒤 새롭게 구성된 의회는 왕당파가 압도적이어서 기사 의회라 불린다. 왕당파가 장악한 의회는 잉글랜드 국교회를 다시 성공회가 국교인 시기로 되돌리고자 하였으며, 비국교도를 억압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기 시작하였다. 1661년 제정된 기관법은 국교도만이 공직을 맡을 수 있도록 제한하였고, 1662년에는 통일령을 통해 공동기도서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1665년에는 비밀집회 금지법을 제정하여 비국교도가 5인 이상 모이는 집회를 불법화하면서 5마일령을 통해 출교된 성직자가 교회의 5마일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금지하였다. 찰스 2세가 애초 약속했던 종교적 관용과 달리 이러한 일련의 조치로 형벌법 체제가 강화되었다.[91]

1665년 런던 대역병이 창궐하여 9월에는 매주 7천여 명이 사망하였다.[92] 찰스 2세와 왕실은 솔즈베리로 피신하였고 의회는 옥스퍼드로 옮겨졌다. 겨울이 되어 역병이 잦아들자 찰스 2세는 이듬해인 1666년 2월 런던으로 돌아왔다.

1666년에 일어난 런던 대화재


1666년에는 런던 대화재가 일어났다. 9월 2일 푸딩 레인에서 시작된 화재는 강한 바람을 타고 번져나가 세인트 폴 대성당을 포함하여 약 13,200채의 가옥과 87개의 교회가 소실되었다.[93] 찰스 2세는 직접 화재 진압을 지휘하며 재난을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군주의 모습을 보이려 하였다.

3. 2.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

1662년 찰스 2세는 포르투갈의 카타리나와 정략결혼을 하였다. 이 결혼으로 독립 전쟁 중이던 포르투갈은 잉글랜드를 동맹으로 삼았고, 잉글랜드는 지참금으로 인도의 뭄바이와 북아프리카의 탕헤르를 얻었다.[94] 뭄바이는 이후 잉글랜드의 해외 확장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잉글랜드는 30만 파운드 상당의 인도 무역 특권을 얻었고, 포르투갈은 스페인에 대항할 해군 지원을 확보했다. 같은 해, 찰스 2세는 됭케르크를 루이 14세에게 매각하여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1666년 사일해전


1650년 항해법으로 손실을 본 네덜란드는 1652년 제1차 잉글랜드-네덜란드 전쟁을 일으켰다. 왕정복고 후에도 잉글랜드는 네덜란드의 북아메리카 식민지를 노렸다. 1665년 잉글랜드는 니우암스테르담을 공격, 제2차 잉글랜드-네덜란드 전쟁이 발발했다. 잉글랜드는 니우암스테르담을 함락시키고 뉴욕으로 개명했다. 그러나 1667년 네덜란드의 본토 기습으로 잉글랜드 해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95] 브레다 조약으로 잉글랜드는 뉴욕을 차지하고 네덜란드는 수리남을 차지했지만, 잉글랜드 해군 손실을 제외하면 큰 성과는 없었다.[90]

1668년 잉글랜드는 상속 전쟁에서 스페인을 지지하며 스웨덴,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었다. 엑스라샤펠 조약으로 프랑스는 일부 영토를 얻었지만, 루이 14세는 패권주의를 굽히지 않았다. 1670년 찰스 2세는 프랑스도버 밀약을 맺고 연간 16만 파운드를 지원받는 대가로 가톨릭 개종을 약속했다.[97]

찰스 2세는 동인도회사주식회사로 전환하고 인도에서의 자체적 정부 구성, 군대 설치, 교전권, 형사관할권 등 사실상 식민지배기구로 만들었다. 1668년 뭄바이를 동인도회사에 임대했고, 1684년 탕헤르는 모로코에 반환했다. 1670년 허드슨 베이 회사허드슨만 관할권을 부여하고 루퍼츠랜드라 명명했다.

4. 의회와의 갈등 심화

1672년, 찰스 2세는 신앙 자유 선언을 발표하여 비국교도에 대한 관용을 시도했지만, 의회의 반발로 철회해야 했다.[99] 이후 의회는 심사율을 통과시켜 공직자들에게 성공회 신앙을 따를 것을 강요하고, 가톨릭을 "우상 숭배"로 규정하는 등 가톨릭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100]

찰스 2세의 친가톨릭 성향과 왕위 계승 문제는 큰 정치적 갈등을 야기했다. 찰스 2세의 동생 요크 공작 제임스는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그가 왕위를 계승할 경우 가톨릭 국가가 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티투스 오츠가 "가톨릭 교도들의 음모"가 있다고 주장하며 대중의 불안감을 자극했고, 이는 배척법 위기로 이어졌다.[101]

의회는 제임스의 왕위 계승을 반대하는 휘그당과 이를 지지하는 토리당으로 분열되었다. 찰스 2세는 배척법 위기에 맞서 의회를 해산하고, 던비 공작을 런던탑에 수감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102]

4. 1. 절대군주

1679년 12월부터 1681년까지 찰스 2세는 의회를 বারবার 소집하고 해산했다. 대중의 반가톨릭 정서가 잦아들고 자신에 대한 충성심이 확고해졌다고 판단한 그는 배척법을 발의한 섀프츠베리 백작을 반역죄로 기소했다. 섀프츠베리 백작은 네덜란드로 도피하여 여생을 보냈고, 찰스 2세는 의회 없이 독단적으로 국정을 운영하기 시작했다.[104]

찰스 2세가 배척법을 거부하자 일부 성공회 신자들은 라이 하우스 음모를 꾸며 찰스 2세와 요크 공작 제임스를 살해하려 했다. 그러나 뉴마켓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경마가 취소되면서 음모는 실패했다.[105] 음모가 발각된 후 에식스 백작, 알제넌 시드니, 윌리엄 러셀, 몬머스 공작 등이 체포되었다. 에식스 백작은 런던탑에 수감 중 자살했고, 시드니와 러셀은 미약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처형되었다. 몬머스 공작은 추방되어 오라녜 공 빌럼의 궁정으로 보내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찰스 2세는 런던탑에 가두었던 던비 공작 등을 석방했고, 요크 공작 제임스는 궁정 내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105]

의회가 해산된 상태에서 찰스 2세는 사법권을 남용하여 반대파를 억압했다. 많은 휘그당 정치인들이 기소되어 재산을 몰수당했다. 이는 휘그당의 정치 이념에 영향을 주었고, 이후 행정과 사법의 분리라는 권력 분립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106]

5. 말년과 사망

Charles II영어는 1685년 2월 2일 갑작스러운 발작을 일으켜 쓰러졌고, 나흘 뒤인 2월 6일 오전 11시 45분 화이트홀 궁전에서 5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07][52] 그의 사인은 당시에는 독살로 여겨졌지만, 현대 의학에서는 요독증으로 인한 급성 콩팥 손상으로 추정된다. 찰스 2세는 개인 실험실에서 수은을 다루는 실험을 하고 있었는데, 이것이 요독증의 원인일 수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53]

찰스 2세는 동생인 요크 공작 제임스에게 자신의 정부들을 보살펴 달라고 부탁했다. 특히 "가련한 넬리"를 부탁하였다. 그는 모여든 측근들에게 "이렇게 죽어가는 시간을 보이게 되어 유감이오, 신사들"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아내를 냉랭하게 대했던 태도를 후회했다. 가톨릭 신부였던 존 허들스턴이 종부성사를 집행하였지만, 누구의 뜻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53]

찰스 2세는 2월 14일 "어떠한 화려함도 없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고,[54] 요크 공작 제임스가 왕위를 계승하여 제임스 2세가 되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7세로 불렸다.[109]

6. 사후 평가와 유산

찰스 2세는 비교적 자비로운 군주로 기억되기도 하지만, "올드 로리"라는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음란한 사생활은 비판의 대상이었다.[55] 제2대 로체스터 백작 존 윌모트는 "이 창녀에서 저 창녀로 굴러다니네, 행복한 군주국의 수치스럽고 가난한 군주여"라고 비난하였다.[55] 토리당은 찰스 2세의 치세를 평안했던 시기로 보았지만, 휘그당은 독단적인 전제군주의 시기로 평가했다.

찰스 2세는 예술과학의 후원자이기도 하였다. 윌리엄 하비에게서 교육을 받았던 인연으로[110] 평생 과학에 관심이 많았고, 연금술 실험에도 조예가 깊었다.[111] 1660년 왕정복고와 함께 세워진 왕립학회를 후원하여 로버트 후크, 로버트 보일, 아이작 뉴턴 등의 과학자들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1673년에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세웠다.[112]

첼시 왕립 병원 앞에 세워진 그린링 기번스 제작의 고대 로마 의상을 입은 찰스 2세 동상 (약 1682년)


에든버러 의회 광장에 세워진 로마 황제 복장의 찰스 2세 동상 (1685년 건립)


찰스 2세는 아내 카트리나와 사이에서 합법적인 후사가 없었지만, 여러 정부들과 최소 12명의 사생아를 두었다.[71] 장남이었던 몬머스 공작은 계승권을 놓고 정치적 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찰스 2세의 사생아들은 공작과 같은 귀족 작위를 받고 정부의 연금으로 생활하였기 때문에 납세자들에게는 울분의 대상이었다.[55]

오늘날에도 버클루 공작, 리치먼드 공작, 그래프턴 공작, 세인트 올번스 공작 등의 세습 귀족들이 찰스 2세의 직계 후손으로 남아있다.[72] 찰스 3세의 첫 부인 다이애나와 두 번째 부인인 카밀라 모두 찰스 2세의 후손이다. 찰스 2세와 다이애나의 아들인 윌리엄 왕세자는 찰스 2세의 후손인 최초의 영국 군주가 될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서적 Minute Book of the Board of Green Cloth
[7] 논문
[8] 논문
[9] 웹사이트 Charles II of England http://www.luminariu[...] Encyclopedia Britannica, 11th Ed. Vol XV
[10] 서적 Army of Charles II Routledge
[11]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12] 일기 Diary of Samuel Pepys 1660-03-16
[13] 논문
[14] 일기 Diary of Samuel Pepys http://www.pepys.inf[...] 1661-04-23
[15] 논문 Papers of Thomas Hearne 1706-11-17
[16] 논문
[17] 간행물 The Anglo-Portuguese Marriage of 1662 https://www.jstor.or[...]
[18] 웹사이트 Five Ways to Compute the Relative Value of a UK Pound Amount, 1270 to Present https://www.measurin[...] MeasuringWorth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학술지 Charles II: A Man Caught Between Tradition and Science
[28] 학술지 Harvey and the Battle of Edgehill
[29] 학술지 Harvey and the Battle of Edgehill 1946-05-25
[30] 웹사이트 Thomas Hobbes (1588–1697) https://www.bbc.co.u[...] BBC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서적 On a Grander Scale Harper Collins
[35] 학술지 The astronomy in Pepys' Diary
[36] 서적 England in the Seventeenth Century Penguin
[37] DNB
[38] 서적 An Account of the Life and Writings of Edmund Dickinson https://archive.org/[...] Montagu 1739
[39] 웹사이트 LeFevre N. http://www.encyclope[...]
[40] 서적 The Royal Society, Concept and Crea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41] 서적
[42] 학술지 Robert Boyle's landmark book of 1660 with the first experiments on rarified air 2005-01
[43] 서적 Robert Hooke and the Royal Society Book Guild 1999
[44] 학술지 Torricelli and the Ocean of Air: The First Measurement of Barometric Pressure 2013-03
[45] 웹사이트 Friday 15 January 1668/69 https://www.pepysdia[...] 2012-01-15
[46] 서적 Samuel Pepys and the World he Lived In https://archive.org/[...] Swan Sonnenschein & Co. 1907
[47] 서적 The Sickly Stewarts Sutton Publishing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Whig Thought and the Revolution of 1688–91
[52] 서적
[53] 웹사이트 The death of King Charles II https://www.cebm.ox.[...]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CEBM) 2018-10-17
[54] 웹사이트 Charles II (r. 1660–1685) https://www.royal.uk[...] royal.uk
[55] 학술지 A Gambling Man: Charles II and the Restoration 2009-12
[56] 서적 Guinness Book of Answers
[57] 웹사이트 Louise de Kéroualle, Duchess of Portsmouth with an unknown female attendant https://www.npg.org.[...] National Portrait Gallery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웹사이트 Charles II of England https://www.bbc.co.u[...]
[64] 서적 Statutes of the Realm Lawsons
[6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nglis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森 1994
[72] 서적 森 1994
[73] 설명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백과사전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Montrose, James Graham, Marquess of
[79] 간행물 Act ratifying the treaty of Breda between the king and the commissioners of parliament https://www.rps.ac.u[...] St Andrews 2007-2024
[80] 논문
[81] 서적 Minute Book of the Board of Green Cloth Edinburgh 2013
[82] 서적 Minute Book of the Board of Green Cloth Woodbridge 2013
[83] 웹사이트 The Battle of Dunbar https://www.historic[...]
[84] 논문
[85] 논문
[86] 백과사전 Charles II of England http://www.luminariu[...]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0
[87] 서적 Army of Charles II Routledge 2013
[88]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89] 일기 Diary of Samuel Pepys 1660-03-16
[90] 서적 옥스퍼드 영국사 한울 2016
[91] 백과사전 형벌법
[92] 논문
[93] 뉴스 조선조 경신대기근 직전에 쌍혜성 소동 http://www.atlasnews[...] 아틀라스뉴스 2019-08-10
[94] 논문 The Anglo-Portuguese Marriage of 1662 https://www.jstor.or[...] 1930
[95] 서적 The Command of the Ocean: A Naval History of Britain, 1649–1815 London: Penguin 2004
[96] 논문
[97] 논문
[98] 설명
[99] 논문
[100] 논문 The First Earl of Shaftesbury's Resolute Conscience and Aristocratic Constitutionalism 2021-09-03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논문 Whig Thought and the Revolution of 1688–91 Boydell & Brewer
[107] 하버드 인용
[108] 웹사이트 The death of King Charles II https://www.cebm.ox.[...]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CEBM) 2021-05-04
[109] 웹인용 Charles II (r. 1660–1685) https://www.royal.uk[...] royal.uk 2023-05-07
[110] 하버드 인용
[111] 하버드 인용
[112] 서적 The Sickly Stewarts Sutton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