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경 (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경은 서주 시대 주나라의 수도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펑징과 하오징을 포함한다. 주 문왕은 수도를 펑징으로 옮겼고, 주 무왕은 하오징으로 이전했다. 펑징은 조상 사당과 정원, 하오징은 왕실 거주지와 정부 청사의 역할을 했다. 주 성왕 때 뤄양에 청저우가 건설되면서 동부 지역 통제가 강화되었고, 이후 하오징은 견융의 침략으로 멸망하고 주 평왕은 수도를 청저우로 옮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안시의 역사 - 시안 사건
시안 사건은 1936년 장쉐량과 양호성이 장제스를 감금하여 국공 내전 중단과 항일 전쟁 동참을 요구한 사건으로, 제2차 국공 합작의 계기가 되었으나 장쉐량은 투옥되고 양호성은 처형당했으며 중국 공산당 세력 확장의 전환점이 되었다. - 시안시의 역사 - 란톈 원인
란톈 원인은 1963년 중국 람톈현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 인류로, 하악골 및 두개골 화석을 통해 약 165만 년에서 68만 4천 년 전에 생존했으며, 중국을 인류학 연구의 중심지로 부상시키고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 연구에 기여했다. - 중국의 유적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유적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호경 (도시) | |
---|---|
개요 | |
유형 | 고대 도시 |
위치 | 중국 산시성 시안시 서부 |
건설 시기 | 서주 |
중요성 | 서주의 수도 |
지리 및 역사적 맥락 | |
위치 | 펑수이강 서쪽 (灃水 강 서쪽) |
다른 이름 | 종주 (宗周) |
관련 지명 | 펑징 (灃京), 호 (鎬) |
상세 정보 | |
행정 구역 | 더우먼 가도 관할 (斗門街道) |
비고 | 호경(鎬京)은 주나라의 두 수도 중 하나였으며, 다른 하나는 뤄양이었다. |
2. 서주 시대의 수도: 펑징과 하오징 (종주)
주 문왕(기원전 1099-1056년)은 주나라 수도를 기읍(岐邑|기읍중국어)에서 동쪽 펑징으로 옮겼고, 그의 아들인 주 무왕은 강 건너 호(鎬) 호수 옆에 있는 하오징으로 이전했다.[2] 펑징과 하오징은 각각 종교적, 의례적 중심지와 왕실 거주지와 정부 청사가 있는 정치, 행정의 중심지로 역할이 분담되었다. 이 정착지는 또한 제후국의 수도 역할을 나타내기 위해 종주로 알려졌다.[3]
주 성왕(기원전 1042–1021년) 통치 기간 동안, 주공은 왕국의 동부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뤄이(뤄양)에 청저우(成周|성주중국어)를 건설했다. 이후 주 성왕은 청저우에 영구 주둔했지만, 하오징은 주요 운영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주 소왕(기원전 996–977년) 시대에, 주나라 왕국의 동부 지역이 더욱 강화되어 청저우가 주요 운영 중심지가 되었다.
주 유왕(기원전 781–771년) 재위 기간 동안, 신후는 서쪽의 견융 유목민의 지원을 받아 하오징을 침략하여 서주 왕조의 종말을 알렸다. 정착지의 모든 왕실 건물은 파괴되었지만 펑징의 건물들이 화재에서 살아남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새로 즉위한 주 평왕(기원전 770-720년)은 수도를 청저우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 그 후 얼마 동안 "서주"라고 스스로를 지칭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청저우를 종주라고 불렀다.[4]
2. 1. 펑징과 하오징의 역할 분담
주 문왕(기원전 1099-1056년)은 주나라 수도를 기읍(岐邑|기읍중국어)에서 동쪽의 펑징으로 옮겼다. 주 무왕은 강 건너 호(鎬) 호수 옆에 있는 하오징으로 수도를 이전했다.[2] 펑징은 주나라 조상 사당과 정원이 있는 종교적, 의례적 중심지가 되었고, 하오징은 왕실 거주지와 정부 청사가 있는 정치,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3]2. 2. 종주의 의미
주나라의 수도였던 호경은 종주(宗周)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단순한 수도를 넘어 제후국들에 대한 주나라의 종주권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녔다.[3]3. 동주 시대의 수도: 청저우 (뤄양)
주 소왕(기원전 996–977년) 시대에 주나라 왕국의 동부 지역이 더욱 강화되어 청저우가 주요 운영 중심지가 되었다.
주 유왕(기원전 781–771년) 재위 기간 동안, 신후는 서쪽의 견융 유목민의 지원을 받아 하오징을 침략하여 서주 왕조의 종말을 알렸다. 정착지의 모든 왕실 건물은 파괴되었지만 펑징의 건물들이 화재에서 살아남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새로 즉위한 주 평왕(기원전 770-720년)은 수도를 청저우로 동쪽으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 그 후 얼마 동안 "서주"라고 스스로를 지칭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청저우를 종주라고 불렀다.[4]
3. 1. 청저우 건설과 동방 통치 강화
주 성왕(기원전 1042-1021년) 통치 기간 동안, 주공은 왕국의 동부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뤄이(뤄양)에 청저우(成周중국어)라는 두 번째 정착지를 건설했다.[2] 그 이후로 주 성왕은 청저우에 영구적으로 주둔했지만, 하오징은 주요 운영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3. 2. 하오징과 청저우의 관계 변화
주 성왕(기원전 1042-1021년) 통치 기간 동안, 주공은 왕국의 동부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뤄이(뤄양)에 청저우(成周중국어)를 건설했다.[3] 그 이후로 주 성왕은 청저우에 영구적으로 주둔했지만 하오징은 주요 운영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주 소왕(기원전 996-977년) 시대에, 주나라 왕국의 동부 지역이 더욱 강화되어 청저우가 주요 운영 중심지가 되었다.
4. 서주 멸망과 동주 천도
주 유왕 재위 기간(기원전 781–771년)에 신후가 서쪽의 견융과 연합하여 호경을 공격했고, 이로 인해 서주가 멸망했다.[2] 주 평왕은 수도를 청주(成周중국어)로 옮겨야 했다.(기원전 770-720년)[4]
4. 1. 신후의 난과 서주 멸망
주 유왕(기원전 781–771년) 재위 기간 동안, 신후는 서쪽의 견융 유목민의 지원을 받아 하오징을 침략하여 서주 왕조의 종말을 알렸다.[2] 이 사건은 단순한 외침이 아니라, 주 왕실 내부의 권력 투쟁과 지방 세력의 발흥이 결합된 결과였다. 견융의 침입은 이러한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정착지의 모든 왕실 건물은 파괴되었지만 펑징의 건물들이 화재에서 살아남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새로 즉위한 주 평왕(기원전 770-720년)은 그 후 청저우로 수도를 동쪽으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4]4. 2. 주 평왕의 동주 천도
주 유왕(기원전 781–771년) 재위 기간 동안, 신후가 서쪽의 견융 유목민의 지원을 받아 호경(하오징)을 침략하여 서주 왕조의 종말을 알렸다. 새로 즉위한 주 평왕(기원전 770-720년)은 그 후 청저우(成周중국어)로 수도를 동쪽으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4] 이는 주 왕실의 권위가 크게 실추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춘추전국시대 제후국들의 발흥과 주 왕실 권위 추락의 서막으로 해석될 수 있다.4. 3. '서주' 칭호와 종주의 의미 변화
주 유왕(기원전 781–771년) 재위 기간 동안, 신후가 서쪽의 견융 유목민의 지원을 받아 호경(하오징)을 침략하여 서주 왕조가 멸망하였다. 모든 왕실 건물은 파괴되었지만 펑징의 건물들이 화재에서 살아남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새로 즉위한 주 평왕(기원전 770-720년)은 청저우로 수도를 동쪽으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4] 그 후 얼마 동안 "서주"라고 스스로를 지칭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청저우를 종주라고 불렀다.[4] 이는 주 왕실의 권위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이미 제후들에게 넘어갔음을 시사한다.참조
[1]
서적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Classic of Poetry
https://ctext.org/li[...]
[2]
서적
Collected Explanations on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ctext.org/li[...]
[3]
서적
Chang'an Annals
[4]
서적
Classic of Rites
https://ctext.org/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