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 무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무왕은 주 문왕의 차남으로,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건국한 인물이다. 그는 강태공을 등용하여 국력을 강화하고 기원전 1046년 목야 전투에서 상나라 군대를 격파하여 주왕을 자결하게 했다. 중국을 통일한 후 제후국을 세우고, 고대 성왕들의 자손을 봉했으며, 수도를 호경으로 정하고 무기를 폐기하는 등 평화를 추구했다. 무왕은 즉위 3년 만에 사망했으며, 아들 성왕이 어렸기에 주공 단이 섭정했다. 그는 하, 상, 문왕과 함께 성왕으로 추앙받으며 유교 도통의 계승자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자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제신
    제신은 상나라의 마지막 왕이자 주(紂)로 불리며 폭군으로 묘사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그의 폭군적인 면모가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 사람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 사람 - 제신
    제신은 상나라의 마지막 왕이자 주(紂)로 불리며 폭군으로 묘사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그의 폭군적인 면모가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 무왕
기본 정보
이름무왕 (무력왕)
한자 표기周武王
로마자 표기Ju Mu Wang (저우 우 왕)
개인 이름기발 (姬發)
로마자 표기 (개정)Gi Bal (지 발)
시대서주
재위 기간기원전 1046년 ~ 기원전 1043년
정치
왕조
아버지문왕
어머니태사
배우자읍강
자녀성왕
계승자성왕
선임자주왕 (상나라)
생애
출생불명
사망기원전 1043년
사망 장소호경, 서주

2. 생애

무왕은 주 문왕(周文王)의 아들로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의 유언인 상나라(商)를 격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무왕은 강태공을 재상 겸 군사(軍師)로 등용하는 등 현명한 관료 등용을 통해 주나라를 강대하게 만들었다.[6]

기원전 1046년 목야의 전투에서 상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상나라 주왕(紂王, 제신)을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승리 후 무왕은 중국을 통일하고 형제와 장군들에게 제후국을 세웠으나, 즉위 3년 후 기원전 1043년에 사망하였다.[1]

2. 1. 초기 생애와 상나라 정벌

무왕은 주 문왕(周文王)의 차남으로, 이름은 발(發)이다. 서주 시대 청동기 명문에는 무(珷)라는 글자로 나타나 있다. 그는 정의롭고 유능한 지도자로 여겨지며, 주공 단(周公 旦) 등의 형제가 있었다. [6]

무왕은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 문왕의 유언을 받들어 상나라(商)를 격파하기 위해 노력했다. 강태공을 재상으로 등용하고 군사(軍師)로 삼아 국력을 강화했다.

기원전 1048년 무왕은 맹진에서 제후들의 회합을 요청하여 800명 이상의 제후가 참석했다. 무왕은 문왕의 목주(위패)를 전차에 싣고, 자신을 태자 발(太子發)이라 칭하며 이 원정이 아버지의 뜻에 따른 것임을 선포했다. 이때 주(周)군에 여러 길조가 나타났고, 제후들이 무왕에게 달려들었다. 제후들은 “이제 은을 무너뜨릴 때입니다”라고 의기투합했지만, 무왕은 시기상조라 판단하고 군대를 철수했다.

기원전 1046년 상나라 정부가 파탄 상태에 이르자, 무왕은 인접 제후들과 함께 공격을 시작했다. 2년 후, 주왕의 폭정은 더욱 심해졌으므로 다시 군사를 일으켰다. 이때 주의 병력은 전차 300승, 장교 3000명, 무장병 4만 5000명이었다. 한편, 은군은 70만이 넘는 대군을 내보냈다. 목야에서 벌어진 목야의 전투에서 상나라 군대는 격파되었고, 상나라 주왕(紂王)은 궁을 불태우고 분사하였다. 은군은 대군이었지만 그 대부분은 노예병이었고, 노예들 중에는 은에 의해 다른 부족에서 끌려왔거나 전쟁 중에 포로가 된 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오히려 무왕의 도래를 환영하는 자들까지 있었고, 주군이 공격해 오자 그 병사들은 은군을 향해 등을 돌리고 공격했다.

대패한 주왕은 수도로 도망쳐 자결했다. 무왕은 주왕의 시체에 화살 세 개를 꽂고, 타 버린 머리를 황금 도끼로 베어 깃발 끝에 달았다.

2. 2. 주나라 건국과 통치

기원전 1046년 무예 전투에서 승리한 무왕은 중국을 통일하고, 형제와 장군들에게 많은 제후국을 세웠다.[1] 상나라 주왕(紂王, 제신)에게 죽임을 당한 비간의 무덤을 개장하고, 유폐되었던 기자를 석방하여 조선에 봉했다는 기록이 있다(기자조선).[1] 미자계에게는 상나라 제사를 계속하게 하고 송에 봉했다.[1] 신농, 황제, , , 등 고대 성왕들의 자손을 찾아 각각 초, 축, 계, 진, 등에 봉했다.[1]

공신들의 공을 논하고 상을 내려, 다음과 같이 봉했다.[1]

봉해진 지역봉해진 공신
여상
주공 단
소공 석
숙선
숙도



무왕은 수도 호경 외에 낙읍을 부도로 삼고, 천하의 무기를 폐기하고 병사들을 고향으로 돌려보내 전쟁 종식을 선언했다.[1]

2. 3. 사망과 후계

무왕은 천자가 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병이 들었다. 아들 성왕이 어려 후계자 문제를 걱정하여, 공신인 여상과 이복동생 주공단에게 주의 앞날을 맡기고 사망하였다.[1]

무왕은 하의 , 殷의 탕왕, 아버지 문왕과 함께 성왕으로 후세에 추앙받고 있다.[1] 도교에서는 무왕을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보기도 한다.[1]

3. 가계

1900년경 제작된 ''Portraits of Famous Men'' 앨범에 묘사된 모습 (필라델피아 미술관 소장)

  • 왕비: 읍강(邑姜) - 강태공(姜子牙)의 첫째 딸, 성(誦)과 우(虞)의 어머니

왕자
성왕(成王)
우숙
당 숙우(唐叔虞)
응(應)나라 후작
한(韓)나라 후작



공주
대희(大姬) - 진후(陳胡公)과 결혼
란(蘭) - 기의공(齊懿公)과 결혼


3. 1. 조부모 및 부모



3. 2. 형제

이름모친비고
백읍고(伯邑考)태사문왕의 장남
관숙 선(管叔 鮮)태사문왕의 삼남, 삼감지란(三監之亂)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사살됨
주공 단(周公 旦)태사문왕의 사남
채숙 탁(蔡叔 度)태사문왕의 오남, 삼감지란(三監之亂)에 가담했다가 유배됨
강숙 봉(康叔 封)태사문왕의 육남, 위나라 건국
성숙 무(郕叔 武)태사문왕의 칠남
곽숙 처(霍叔 處)태사문왕의 팔남, 삼감지란(三監之亂)에 가담했다가 서민으로 강등됨
모숙 정(毛叔 鄭)태사문왕의 구남
담계 재(聃季 載)태사문왕의 십남, 주 성왕(周 成王) 보좌
곡숙(郜叔)문왕의 십일남
옹백(雍伯)문왕의 십이남
조숙 진탁(曹叔 振鐸)문왕의 십삼남
착숙 수(錯叔 繡)문왕의 십사남
필공 고(畢公 高)문왕의 십오남
원백(原伯)문왕의 십육남
풍후(豊侯)문왕의 십칠남
순백(郇伯)문왕의 십팔남


3. 3. 처첩 및 자녀

배우자자녀
읍강(邑姜|읍강중국어)
기타 자녀

[1]

4. 유교 도통(道統)

무왕은 유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도통(道統)의 한 인물로 간주된다. 도통은 요, 순, 우, 탕, 주 문왕, 무왕, 주공 단, 공자, 증자, 안회, 자사, 맹자로 이어진다.

참조

[1] 문서 People's Republic of China's official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2] 웹사이트 Tan Gong I, 1 http://ctext.org/lij[...] 2012-11-04
[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0091-01-01 # BC 91을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01-01 사용
[4] 서적 史記
[5] 서적 春秋左氏伝
[6] 서적 十八史略 and 史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