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안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안 사건은 1936년 12월, 만주 군벌 장쉐량이 장제스를 납치한 사건이다. 장쉐량은 공산당과의 내전을 중단하고 일본에 저항할 것을 요구했으나, 장제스는 이를 거부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국민당과 공산당은 협상에 나서, 제2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졌다. 스탈린의 개입과 저우언라이의 중재로 장제스는 석방되었고, 장쉐량은 가택 연금되었다. 시안 사건은 중국 공산당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고, 중일 전쟁 발발과 국공 내전, 냉전 시대의 동아시아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위기 - 쿠바 미사일 위기
    쿠바 미사일 위기는 1962년 10월 소련이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하려 하자 미국과 소련 간에 벌어진 군사적 대립 사건으로, 핵전쟁 직전까지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소련의 미사일 철수와 미국의 터키 미사일 철수 합의로 해소되었으며 냉전 시대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되어 미소 간 군비 통제 협상에 영향을 미쳤다.
  • 정치 위기 - 조 바이든의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사퇴
    조 바이든의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사퇴는 건강 문제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토론 부진으로 인해 2024년 7월 21일 후보직을 철회한 사건으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후계자로 지지했다.
  • 1936년 중국 - 장정
    장정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중국 공산당 홍군이 국민당군의 포위 공격을 피해 장시성에서 옌안까지 이동한 전략적 이동으로, 국공내전과 토벌 작전 실패로 시작되었으며 마오쩌둥 지도력 확립과 중국 현대사 형성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36년 중국 - 1936년 하계 올림픽 중화민국 선수단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중화민국 선수단은 육상, 농구,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하여 쉬하이가 육상 남자 멀리뛰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농구팀은 11위를 기록했으며, 다른 선수들은 주로 예선에서 탈락했다.
  • 1936년 12월 - 1936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
    1936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은 보통선거와 사회경제적 권리 보장, 여성 및 민족의 평등권, 종교와 언론의 자유를 명시하였으나,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을 인정하여 일당 체제를 합법화했다는 비판과 함께 각 공화국의 군대 보유를 허용하여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다.
  • 1936년 12월 - 에드워드 8세의 퇴위
    에드워드 8세의 퇴위는 이혼녀 월리스 심슨과의 결혼을 반대하는 정부와 왕실의 압력, 사회적 관습에 부딪혀 1936년 스스로 왕위에서 물러난 사건으로, 영국 역사상 짧은 재위 기간과 함께 큰 논란을 남겼다.
시안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사건 개요
이름시안 사건
로마자 표기Sian Sageon
중국어 표기西安事變 (Xī'ān Shìbiàn)
발생일1936년 12월 12일 - 12월 26일
장소중화민국 섬서성 장안현 (현재: 시안시)
결과제2차 국공 합작
교전 세력
교전 1국민당 국민정부
교전 2동북군
서북군
지원:
중국 공산당
지휘관 및 지도자
국민정부장제스
허잉친
류즈
구주퉁
쑹시롄
사오위안충
장샤오셴
동북군/서북군장쉐량
양후청
관련 사진
장쉐량, 양후청, 장제스
사건 발생 전 사진 (왼쪽부터 장쉐량, 양후청, 장제스)
분쟁
분쟁국공 내전

2. 배경

1931년 9월 일본의 만주사변 이후, 만주 군벌 장쭤린의 아들 장쉐량은 근거지를 잃고 장제스에게 의탁했다. 장제스는 장쉐량을 동북군(만주군) 지휘관으로 임명하고 홍군과의 국공내전 부사령관으로 삼았다.

당시 중국 공산당은 장정으로 옌안을 수도로 하여 동북군과 대치하고 있었다. 장쉐량 휘하의 동북군은 고향인 만주를 일본에 빼앗겨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컸고, 홍군과의 소모전에 지쳐 있었다. 홍군은 동북군 포로들에게 '진짜 적은 홍군이 아니라 일본군'이라는 항일 선전을 펼쳤고, 동북군 사이에서는 항일 요구가 커졌다. 장쉐량 자신도 홍군과의 접촉으로 좌익의 영향을 받았고, 장제스의 "선 통일, 후 저항" 정책에 불만을 가졌다.

1936년 초, 장쉐량의 동북군은 홍군과 비밀리에 접촉하여 적대 행위를 중지하고 일본과 항쟁하는 통일 전선을 구축한다는 암묵적인 합의를 맺었다. 장쉐량은 동북군 장교단을 젊고 진보적인 좌파로 채우고 공산군과의 접촉을 강화했다. 이러한 접촉은 장제스의 난징 정부에는 철저한 비밀이었다.

1936년 장제스는 중국군 총사령관 및 행정 주석직을 겸하고 있었고, 장쉐량은 동북군의 원수로 점차 두 사람 사이의 긴장은 커졌다. 반일 감정이 고조된 서북 지역 민심을 뒤로한 채 장제스는 공산군 토벌에만 몰두했고, 소극적인 동북군을 불신하고 난징 군대를 동원해 대규모 홍군 토벌을 준비했다.

10월, 장제스는 직접 시안을 방문해 동북군의 공산군 토벌을 독려했으나, 동북군의 젊은 장교들은 대 일본 통일 전선 수립, 소련과의 동맹, 내전 종식을 요구했다. 장쉐량은 장제스에게 내전 중지와 항전을 거듭 촉구했으나 장제스는 듣지 않았다. 11월 21일, 동북군을 대체하여 공산군 토벌에 나선 국민혁명군 제1군이 홍군에게 참패하자, 장제스는 시안으로 가서 홍군 분쇄 결의를 다졌다.

1936년 12월 시안 사변 당시 중국 상황

2. 1. 정치적 상황

1930년대 후반, 중국은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내전과 각 지역 군벌들의 할거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3] 특히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 이후, 국민당 정부는 '내부 안정 후 외부 저항' 정책을 내세워 공산당 토벌에 우선순위를 두었다.[3]

장쉐량만주의 군벌 장쭤린의 아들로, 만주사변 이후 장제스에게 의탁하였다. 장제스장쉐량동북군 지휘관으로 임명하고 국공내전의 부사령관으로 삼았다. 당시 중국 공산당은 장정을 거쳐 옌안에 자리를 잡고 동북군과 대치하고 있었다. 동북군은 고향인 만주를 일본에 빼앗긴 상태였기 때문에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높았고, 홍군과의 소모전에 지쳐 있었다. 홍군동북군 포로들에게 '진짜 적은 홍군이 아니라 일본군'이라는 선전을 펼쳤고, 동북군 사이에서는 항일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장쉐량 자신도 공산당과의 접촉을 통해 좌익의 영향을 받았고, 장제스의 "선 통일, 후 저항" 정책에 불만을 가지게 되었다.

1936년 초, 장쉐량동북군홍군과 비밀리에 접촉하여 일본과 항쟁하는 통일전선을 구축한다는 암묵적인 합의를 이루었다. 장쉐량동북군 장교단을 젊고 진보적인 좌파로 채우고 공산군과의 접촉을 강화하였다.

1936년 장제스는 중국군 총사령관 및 행정직 주석직도 겸하고 있었고, 장쉐량동북군의 원수로 점차 두 사람 사이의 긴장은 커지고 있었다. 장제스는 공산군 토벌에만 몰두하였고, 이에 소극적인 동북군을 점차 신뢰하지 않고 난징의 군대를 동원하여 대규모 홍군 토벌을 준비하였다.

10월, 장제스는 직접 시안을 방문하여 동북군의 공산군 토벌을 독려하였으나, 동북군의 젊은 장교들은 대 일본 통일전선 수립 및 소련과의 동맹 및 내전 종식을 요구하였다. 장쉐량장제스에게 내전을 중지하고 일본과의 항전을 거듭 촉구했으나, 장제스는 듣지 않았다. 11월 21일, 동북군을 대체하여 공산군 토벌에 나선 국민혁명군 제1군이 홍군에게 참패를 당하자, 장제스는 직접 시안으로 가서 홍군 분쇄 결의를 다졌다.

1934년 1월 8일 유럽 여행에서 귀국한 장쉐량독일·이탈리아의 민중이 마음을 합쳐 지도자를 옹호하며 부흥을 이루고 있는 것에 감명을 받고, 귀국하자마자 "우리도 영도자를 옹호해야 한다"고 말하며 중앙의 장제스 지지를 분명히 했다.[14]

만주사변 후 동북의 기반을 잃은 장쉐량장제스로부터 하남성, 호북성, 안휘성의 토공[15] 부총사령에 임명되어 공산당군의 장정에 의한 북상을 저지하는 임무를 맡았지만,[14] 1935년 9월에는 지휘하던 제67군의 제110사단이 궤멸적인 피해를 입고 사단장·참모장을 잃었다.[16] 1935년 10월에는 서북 토공 부총사령에 임명되어 시안에 사령부를 진출했지만, 지휘하던 제57군의 제109사단의 사단장이 포로가 되는 등 피해를 계속 내고 있었다.[14][16]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던 장쉐량은 양호성에게 토공이 싫어졌다고 털어놓고, 1936년에 들어와 공산당군과 접촉을 시작했다.[17] 1936년 4월 9일, 장쉐량의 주선으로 주언라이·장쉐량 회담이 옌안에서 열렸다.[18]

서북에 기반을 가지고 있던 양호성(서북군 총사령)은 중앙군·공산군 어느 쪽의 진출도 바라지 않고, 공산군과 상호 불가침 협정을 맺고 있었으며, 시안에 진출한 장쉐량에게 사령부를 제공하지 않고, 장제스의 토공 작전에 비판적이었다.[16]

공산당군국민당군의 토공전에 의해 21만 명에서 7만 명으로 세력이 약해지고,[19] 산시성·간쑤성의 2개 성에 몰려 있었다. 이 때문에 장제스는 공산군을 섬멸하는 최후의 군의를 시안에서 열고, 20개 사단과 100대가 넘는 항공기를 투입하여 2주에서 1개월 이내에 8년에 걸친 토공전을 끝내려 하고 있었다. 장제스는 장군들에게 "토적의 완전 성공까지, 이제 마지막 5분의 단계에 와 있다. 각자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용감하고 신속하게 행동해 주기 바란다"고 거듭 명령하고 있었다.[20]

일본과의 사이에는 1936년 9월 23일 상하이 공동조계 내에서 일본 수병 사살 사건이 전년도의 중산 수병 사살 사건의 해결을 보기 전에 다시 일어나고,[21][22] 9월 24일 장제스는 임전태세를 취하도록 군정부장 등에게 명령을 내리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22] 10월 1일, 나치 독일에서 파견된 팔켄하우젠 장군에 의해 기획된 상하이·한커우 조계의 일본군에 대한 기습 공격 작전이 장제스에게 전달되었다.[23] 10월 5일, 장제스와 가와고에 대사와의 회담이 열리고, 장제스는 일중 우호를 역설했다.[24]

1936년 10월, 국민정부 행정원장(총리) 겸 군사위원회 위원장 장제스홍군의 근거지에 대한 총공격을 명령했지만, 공산당과 접촉하고 있던 장쉐량과 양호성은 공산당에 대한 공격을 삼가고 있었다.[44] 이 때문에 장제스는 공격을 독촉하기 위해 12월 4일 시안을 방문하고 있었다.[44]

후승은 스탈린에 의한 코민테른이 사건 이전부터 중국 공산당에 대해 장제스일본군을 싸우게 하여 양자를 공멸시킴으로써 중국의 공산 혁명을 성공으로 이끌도록 지령을 내리고 있었다[25]고 주장하고 있다.

2. 2. 장쉐량과 양후청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쭤린의 아들로,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으로 근거지를 잃고 장제스에게 의탁했다. 장쉐량은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강했고, 공산당과의 내전보다는 항일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7] 1934년 1월 8일 유럽 여행에서 귀국한 장쉐량은 독일·이탈리아민중이 지도자를 옹호하며 부흥을 이루고 있는 것에 감명을 받고, 귀국하자마자 장제스 지지를 분명히 했다.[14]

만주사변 이후 장쉐량은 하남성, 호북성, 안휘성의 토공[15] 부총사령에 임명되어 공산당군의 장정을 저지하는 임무를 맡았지만,[14] 1935년 9월10월에는 지휘하던 부대가 큰 피해를 입었다.[16] 1936년에 들어와 공산당군과 접촉을 시작했고, 1936년 4월 9일에는 주은래와 연안에서 회담을 가졌다.[18]

양호성(양후청)은 서북 지역의 군벌로, 장쉐량과 마찬가지로 항일을 주장하며 공산당과의 협력을 모색했다. 그는 중앙군과 공산군 어느 쪽의 진출도 바라지 않고, 공산군과 상호 불가침 협정을 맺고 있었다.[16]

2. 3. 장제스의 정책과 비밀 협상

장제스는 '내부 안정 후 외부 저항'(先安內 後攘外) 정책을 고수하며, 공산당 토벌을 우선시했다.[3] 그는 일본과의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우선 국내 통일을 이루고 국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믿었다.[4] 장제스는 1932년 초부터 비밀리에 일본과의 전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4] 1934년 3월, 그는 고위 정치 지도자들에게 일본과의 전쟁까지 "1100일도 채 남지 않았다"고 알렸다.[5]

1936년 여름, 장제스는 소련의 지원을 얻기 위해 공산당과의 협상을 모색하기도 했지만,[1] 동시에 공산당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다. 그는 공산당이 거의 패배했고 더 이상 그들과 협상할 필요가 없다고 공개적으로 발표했다.[1] 그러나 저우언라이가 공산당을 대표하여 비밀 협상은 가을까지 계속되었고, 12월 초까지 양측은 홍군이 중앙 군사령부의 지휘를 받고 토지 몰수와 같은 급진적인 공산당 정책이 중단될 것에 동의했다. 합의는 구두로 이루어졌지만 12월 12일까지 서면으로 작성되지는 않았다.[1]

2. 4. 공산당과의 관계

당시 중국 공산당은 장정 이후 옌안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 장쉐량 휘하의 동북군은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강했고, 공산당의 항일 선전에 영향을 받아 항일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었다. 장쉐량은 비밀리에 공산당과 접촉하여 항일 통일 전선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16]

1936년 초, 장쉐량의 동북군은 홍군과 비밀리에 접촉하여 서로 적대적인 행위를 중지하고 일본과 항쟁하는 통일 전선을 구축한다는 암묵적인 합의를 맺었다. 장쉐량은 만주 시절부터 유지해오던 동북군 장교단을 젊고 진보적인 좌파 인사들로 채우고 공산군과의 접촉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접촉은 장제스의 난징 정부에는 철저히 비밀로 유지되었다.[1]

1936년 여름, 장제스는 소련 및 중국 공산당(CCP)과 비밀 협상을 시작했다. 공산당은 파시즘에 대한 소련의 1935년 국제 정책에 따라 스탈린의 국민당과의 통일 요구에 동의했다. 주은래가 공산당을 대표하여 비밀 협상은 가을까지 계속되었다. 12월 초, 양측은 홍군이 중앙 군사령부의 지휘를 받고 토지 몰수와 같은 가장 급진적인 공산당 정책이 중단될 것이라는 구두 합의를 맺었다. 그러나, 장쉐량은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연합의 기반을 마련한 비밀 회담에 참여하지 않았다.[4]

1936년 4월 9일, 장쉐량의 주선으로 주은래와 장쉐량의 회담이 연안에서 개최되었다.[18]

3. 사건의 경과

1936년 12월 7일, 장제스는 공산군 토벌을 독려하기 위해 직접 시안에 도착했다. 동북군 지휘관들은 다시 한 번 장제스에게 항일전을 촉구했으나 거절당했고, 양후청 장군 휘하의 서북군도 홍군과의 소모전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동북군과 행동을 같이 했다. 12월 9일, 수천 명의 학생들이 반일 시위를 벌였는데,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장제스의 헌병대가 발포하여 동북군 지휘관의 자식 두 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장쉐량이 성난 학생 군중을 무마하여 더 큰 사건으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장제스는 제6차 홍군 토벌전 계획을 발표하고 총동원령이 임박했음을 알렸다.[28] 장제스는 장쉐량을 경질하고 토벌군 사령관을 교체할 계획을 세웠고, 장제스의 친위병력인 남의사는 항일을 주장하는 동북군 장교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작성하여 동북군의 핵심 세력을 제거하고 공산군 토벌에 찬성하는 장군들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26]

감금 중인 장제스와 관계자


쑹메이링쿵샹시로부터 장제스의 안전이 불확실하다는 소식을 듣고, 쿵샹시와 William Henry Donald|윌리엄 헨리 도널드영어를 데리고 난징으로 갔다. 난징에서 쑹메이링은 장제스의 안전을 위해 국민정부의 시안 공격을 강력히 반대했다. 쑹메이링의 지시에 따라 윌리엄 헨리 도널드가 장제스와 장쉐량에게 보낼 편지를 가지고 시안으로 파견되었다. 불리한 입장에 있던 장쉐량은 이 편지에 응하여 쿵샹시와 쑹메이링에게 전보를 보냈고, 시안에 있던 윌리엄 헨리 도널드로부터도 장제스의 "포격 중지 명령"이 전달되었다.

쑹쯔원은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보고 12월 19일 시안에 들어가 장제스 석방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윌리엄 헨리 도널드는 다시 난징으로 돌아가 12월 22일 쑹메이링을 데리고 다시 시안으로 가서 석방 협상을 진행했다.

12월 25일, 장제스는 석방되어 장쉐량, 쑹메이링, 윌리엄 헨리 도널드, 쑹쯔원 4명을 데리고 시안을 출발하여 오후에 뤄양에 도착했다. 뤄양에서 장제스는 사퇴를 결심하고 그 뜻을 국민정부에 전했지만, 국민정부는 사퇴를 만류하고 난징으로 돌아올 것을 요청했다. 장쉐량은 뤄양에서 시안 사건의 패배를 인정하고 그 후 시안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3. 1. 장제스 체포

1936년 12월 11일 밤 10시, 장쉐량은 동북군, 서북군의 합동사단장회의를 소집하고 장제스 총통을 체포하기로 결정했다. 12월 12일 새벽 3시, 장쉐량의 부하들이 시안에서 16km 정도 떨어진 온천휴양지 임동(臨潼)에 있던 장제스의 호텔을 급습했다. 이 과정에서 약간의 유혈사태가 발생했고, 장제스는 잠옷 바람에 맨발로 도망쳤으나 야산에서 발견되어 체포되었다.[28] 같은 날 오전 6시까지 동북군과 서북군의 반란군은 시안을 완전히 장악했고, 국민당군 참모부와 남의사 요원들은 구금되었다.[26]

반란 성공 직후, 동북군과 서북군은 다음과 같은 8가지 요구조건을 제시했다.[28]

  • 난징 정부를 개편하고 모든 정파를 참여시켜 구국의 공동 책임을 분담케 할 것.
  • 내전을 전면 즉각 중지하고 "무력 항일 정책"을 채택할 것.
  • 상하이의 애국운동 지도자들을 석방할 것.
  • 모든 정치범을 사면할 것.
  • 인민의 집회 자유를 보장할 것.
  • 애국적 단체를 조직할 인민의 권리와 정치적 자유를 보장할 것.
  • 쑨원 박사의 유지(遺志)를 이행할 것.
  • 전국구국회의를 즉각 소집할 것.


장쉐량의 군대가 화청지(華清池)를 급습하며 생긴 총탄 자국


1936년 12월 12일, 장쉐량과 양후청의 경호원들이 장제스가 자고 있던 오두막을 급습하여 그를 구금했다. 장제스는 탈출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

3. 2. 8개 요구사항

장쉐량과 양후청은 장제스를 감금하고 다음과 같은 8개 요구사항을 제시했다.[41] 張學良|장쉐량중국어과 楊虎城|양후청중국어은 감금한 蔣介石|장제스중국어에게 아래와 같은 8개 항을 요구했고, 그 내용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요인들에게 전달되었다.

요구사항
중화민국 국민정부 개조, 모든 정파가 참여하여 구국의 책임을 분담
중국 공산당 토벌 중지
정치범 석방
정치범 대사면 (형벌의 소멸)
민중 애국 운동 금지 해제
언론, 집회의 자유 보장
전국구국회의 즉시 개최
쑨원의 유훈 준수



이 요구 조건에 대하여 중국 공산당과 중화소비에트 정부, 홍군은 즉각 찬성 표시를 하였고, 공산당 대표들이 시안으로 와서 공동 항일 투쟁 의사를 발표하였다.

3. 3. 중국 내외의 반응

장제스 체포 소식은 중국 전역에 큰 충격을 주었다. 장쉐량의 행동은 국민당 정부와 중국 대중 모두에게 배신으로 여겨져 비난이 쏟아졌다.[7] 국민당 정부는 장쉐량의 요구 조건을 검열을 통해 공산당 점령 지역 외에는 알리지 않았다.[6]

난징의 국민당 정부는 총통 체포 및 구금 사실을 숨겼고, 하응친이 이끄는 군사위원회는 시안 공격을 위협하며 통관을 점령했다.[8] 쿵샹시는 "무장 반란과는 거래하지 않고, '공산당 도적'과는 휴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라디오를 통해 선언했다.[8] 송미령은 남편의 안전을 위해 협상을 강력히 지지했다.[7]

연석산 등 군벌을 포함한 많은 주요 인사들은 장제스 사망 후 권력 공백을 우려했다. 장제스는 국민당 내 다양한 파벌을 통제하는 유일한 인물이었고, 왕징웨이와 달리 반일 성향이 강했기 때문이다.[7]

중국 공산당 지도자 마오쩌둥은 장제스 처형을 바랐지만, 스탈린은 장제스 석방을 요구하며 중국 공산당에 압력을 가했다.[37] 스탈린은 장제스를 중국의 항일 의지를 유지할 중요한 인물로 보았고, 장제스와의 화해를 통해 공산당 세력을 유지하고 일본을 중국에 묶어두려 했다.

장제스 감금 소식은 상하이와 해외에서 "장쉐량의 쿠데타"로 보도되었고, 이후 상황이 주목받았다.[37] 국민정부는 장쉐량의 관직을 박탈하고 군사 토벌을 검토했다.[37] 황포군관학교 서기장은 제28사, 제51사 등에 시안 공격을 건의했고, 전국 각지의 장군들도 장쉐량 토벌을 요구하는 전보를 보냈다.[38][39] 독일 군사 고문단은 전차 여단과 독일식 훈련을 받은 부대를 파견하여 반란군을 기습 공격하고, 중국 공산당 공산군에 대한 공습을 실시한 후 장제스 석방 협상을 진행하는 작전을 제안했다.[40]

정부군의 진격과 폭격에 장쉐량은 장제스를 난징으로 송환하려 했으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40] 여론도 장쉐량을 강하게 비판했다.

후적은 "시안 사건이 없었다면 공산당은 곧 소멸했을 것이다.(중략) 시안 사건이 우리 국가에 준 손실은 돌이킬 수 없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사건의 첫 보도는 연합통신 상하이 지국장 마쓰모토 시게하루였다.[37] 그러나 첫 보도가 일본 통신사에서 나왔기 때문에 스탈린은 일본의 개입을 의심했다.[37] 공상희도 일본 총영사를 불러 일본인 스파이 단속을 요청하는 등 일본 스파이설이 어느 정도 신빙성을 얻었다.[37]

이 사건으로 중국 전역의 항일 여론이 높아져 중일 대립은 불가피해졌다. 아사히신문사 기자이자 소련 스파이였던 오자키 히데미는 스탈린의 의도를 바탕으로 장제스 생존과 항일 통일 민족전선 결성을 정확히 예측했고, 이후 쇼와 연구회에 참여하여 일본의 중추 정보가 조르게 스파이단을 통해 소련으로 흘러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3. 4. 스탈린의 개입

요셉 스탈린은 장제스가 없으면 "중국은 일본과 싸울 지도자가 없어지고 이는 소련에 이롭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6] 장제스가 없는 상황에서 왕징웨이와 같은 인물이 국민당을 장악하고 친일 정권을 수립하여 소련이 일본의 침략에 노출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6]

왕징웨이아돌프 히틀러를 만나 중국이 독일의 지원을 받는 대가로 반공 축에 가담할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스탈린의 우려는 더욱 커졌다.[6] 이에 스탈린은 중국 공산당에 장제스와의 갈등을 해결하고 그를 살려 보내라고 명령했다.[9] 저우언라이장쉐량에게 장제스에게 어떠한 해도 가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7]


3. 5. 협상과 장제스 석방

장제스 석방을 위한 협상은 난항을 거듭했다. 장제스는 처음에는 8개 요구사항에 공식적으로 동의하기를 거부했고, 항복보다는 죽음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다.[6] 1936년 여름부터 비밀 협상을 해왔던 저우언라이가 12월 16일 중국 공산당을 대표하여 시안에 도착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12월 24일, 장제스는 저우언라이를 만났는데, 이는 저우언라이가 황푸 군관학교를 떠난 지 10년 만에 두 사람이 처음으로 만난 것이었다. 저우언라이는 장제스가 국내 전쟁을 중단하고 대신 일본에 저항한다면, 홍군이 기꺼이 장제스의 지휘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담에서 장제스와 저우언라이는 1936년 여름부터 잠정적으로 합의되었던 비밀 협정을 최종적으로 확정지었다. 그 내용은 공산당이 국민 연합 정부에서 장제스의 명령을 받아들이고, 장제스는 공산당이 독자적인 군대를 유지하도록 허용하는 것이었다.[6] 대중에게는 마치 장제스가 일본에 대한 동맹으로 강제된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협정의 조건은 납치 사건 전에 비밀리에 합의되었던 조건과 거의 동일했다.[10]

장제스와 저우언라이가 만났던 협상 장소


시아버지인 쿵샹시로부터 장제스의 안전이 불확실하다는 소식을 들은 며느리 쑹메이링은 쿵샹시와 고문인 William Henry Donald|윌리엄 헨리 도널드영어를 데리고 난징으로 갔다. 난징에서 쑹메이링은 장제스의 안전을 생각하여 국민정부의 시안 공격을 강력히 반대했다.

쑹메이링의 지시에 따라 장제스와 장쉐량에게 보낼 편지를 가지고 윌리엄 헨리 도널드가 시안으로 파견되었다. 불리한 입장에 있던 장쉐량은 이 편지에 응하여 곧바로 쿵샹시와 쑹메이링에게 전보를 보냈고, 시안에 있던 윌리엄 헨리 도널드로부터도 장제스의 "포격 중지 명령"이 전달되었다.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본 쑹쯔원은 12월 19일 시안에 들어가 장제스 석방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윌리엄 헨리 도널드는 다시 난징으로 돌아가 12월 22일 쑹메이링을 데리고 다시 시안으로 가서 석방 협상을 진행했다.

결국, 장제스는 8개 요구사항에 대한 문서 서명 확인 없이 12월 25일 석방되었다. 반란군, 공산당과 난징 정부 대표들 사이에 정확하게 어떠한 합의가 도출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장제스는 더 이상 내전이 없다는 점은 개인적으로 보장했고 장쉐량이 제공한 비행기 편으로 난징으로 무사히 돌아갔다. 이때 장제스의 체면을 손상하지 않기 위해 장쉐량 자신도 함께 난징으로 가서 스스로 반란에 대한 처벌을 기다렸다. 12월 25일, 장제스가 석방되어 장쉐량, 쑹메이링, 윌리엄 헨리 도널드, 쑹쯔원 4명을 데리고 시안을 출발하여 오후에 뤄양에 도착했다. 뤄양에 도착하자 장제스는 사퇴를 결심하고 그 뜻을 국민정부에 전했지만, 국민정부는 사퇴를 만류하고 난징으로 돌아올 것을 요청했다. 장쉐량은 뤄양에서 시안 사건의 패배를 인정하고 그 후 시안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4. 사건의 결과

장제스는 반란을 막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국민당 정권 내에서는 대대적인 '친일파' 관료 숙청이 이루어졌고, 그 자리는 '구미파(歐美派)'로 채워졌다.[11] 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에서는 반란군의 8개항을 거부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국가의 당면 과제가 "공산당 축출과 통일"이 아닌 "실지 회복"임을 결의했다. 또한 '국민대표회의' 소집과 민주 제도 도입, 정치적 발언과 언론의 자유, 정치범 석방 등을 결의했다.[11]

린썬(중국)이 시안 사건 이후 난징 공항에서 장제스를 맞이하는 모습.


난징 정부는 공산당에 4개항의 화평 조건을 제시하며, 반란군의 요구와 공산당의 '협력' 제안을 거부하는 형식을 취하면서도 반란군의 요구를 수용하는 책략을 폈다. 제시된 조건은 다음과 같다.[11]

  • 홍군 해체 및 국민당군 편입
  • '소비에트 공화국' 해체
  • 쑨원의 "삼민주의"와 배치되는 공산주의 선전 중지
  • 계급투쟁 포기


이러한 정책에 대해 난징 정부 내 강경파의 반발도 있었지만, 장제스는 유화 정책을 강행했다. 그 결과 동북군을 이동시키고 서북군을 국민당군으로 편입시키는 등 서북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한 후 공산당과의 협상을 시작할 수 있었다.[11]

국민당 정부의 명령을 받아들이라는 지시가 담긴 공산당 군 명령


1937년 7월 노구교 사건으로 일본의 침략이 본격화되자, 국민당과 공산당은 제2차 국공 합작을 맺고 일본에 맞서 싸웠으며, 이 관계는 1945년 일본 패망까지 이어졌다.

시안 사건으로 장제스의 정치·군사 지도력은 확고해졌지만, 중국 공산당은 새로운 연합 전선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여 중국 공산혁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4]

장쉐량은 난징에서 처벌을 자청하여 12월 31일 군사법정에서 10년 금고형과 5년간 공민권 박탈을 선고받았으나, 다음날 장제스의 사면을 받았다. 그러나 이후 동북군을 비롯한 어떠한 군사권도 갖지 못하고 사실상 장제스의 포로 신세가 되었다. 1950년 장제스가 타이완으로 도주할 때도 동행했으며, 타이완에서도 오랫동안 가택 연금 상태에서 시안 사건에 대한 발언을 금지당했다.[7]

4. 1. 난징 정부의 정책 변화

장제스는 반란을 막지 못한 무능을 탓하며 사의를 표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는 사실상 정치적 연극에 불과했다.) 이후 국민당 정권 내 대대적인 '친일파' 관료들의 숙청이 이루어졌고 그 자리는 '구미파(歐美派)'로 채워졌다.[11] 이어 열린 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에서 형식적으로 반란군의 8개항을 거부했으나 국가의 당면한 최대의 문제는 "공산당 축출과 통일"이 아니라 "실지회복"임을 결의했다. 또한 장제스가 오랫동안 연기해온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할 것을 결의하고 조속히 민주제도를 도입할 것을 결의했다. 또한 정치적 발언과 언론의 자유를 선포하고 정치범을 석방하기 시작했다.[11]

이어서 공산당에는 4개항의 화평조건을 제시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1]

  • 홍군을 해체하고 국가의 단일 군사력(국민당군) 아래 편입할 것.
  • '소비에트 공화국'을 해체할 것.
  • 쑨원의 "삼민주의"와 배치되는 공산주의 선전활동을 중지할 것.
  • 계급투쟁을 포기할 것.


이러한 요구조건을 제시하면서 난징 정부는 반란군의 요구사항과 공산당의 '협력' 제안을 거부하는 형식을 취하면서도 교묘하게 반란군의 8대 요구사항을 모두 들어주는 책략을 썼다. 이러한 정책은 난징 정부 내에서도 강경파의 반발이 있었지만 장제스는 유화정책을 강행하였고 2월에는 교묘하게 동북군을 이동시키고 서북군을 국민당군으로 편입시키고 3월에는 서북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였으며 이후 서북 지역을 장악한 상태에서 공산당과 협상을 시작할 수 있었다.[11]

4. 2. 제2차 국공 합작

시안 사건 이후 장제스는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 투쟁을 벌이기로 약속했다. 1937년 7월 노구교 사건으로 일본이 본격적으로 중국을 침략하자, 국민당과 공산당은 제2차 국공 합작을 맺고 일본에 맞서 싸웠다. 이 관계는 1945년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시안 사건은 중국 공산당에게는 전환점이 되었다. 장제스의 중국 정치·군사 지도력은 확고해졌지만, 중국 공산당은 새로운 연합 전선을 통해 세력을 넓힐 수 있었고, 이는 중국 공산혁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4]

4. 3. 장쉐량과 양후청의 운명

장쉐량은 난징에서 총통에게 스스로 처벌을 요청하였고 12월 31일 군사법정에서 10년 금고형과 5년간의 공민권 박탈을 선고받았으나 다음날 장제스의 사면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그 이후 다시는 동북군이나 어떠한 군사권도 갖지 못했고 사실상 장제스의 포로로 1950년 장제스가 타이완으로 도주할 때도 데려갔으며 타이완에서도 오랫동안 가택연금 상태로 있었으며 시안 사건에 대해 발언하는 것이 금지되었다.[7]

양후청에 대한 언급은 요약에 나와있지만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해당 내용은 작성하지 않는다.

5. 평가와 영향

시안 사건은 열세에 있던 중국 공산당이 전열을 정비하고 세력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이후 국공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5. 1. 한국에 대한 영향

1937년 노구교 사건으로 본격적인 중국 침략이 시작되자, 제2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져 1945년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항일 전쟁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국공 합작은 한국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의 협력을 통해 항일 투쟁의 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광복 이후 한국의 정치 지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5. 2. 역사적 의의

시안 사건은 중일 전쟁, 국공 내전, 그리고 냉전 시대의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이르기까지 20세기 동아시아 역사의 흐름을 바꾼 중대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 사건으로 열세에 있던 중국 공산당은 전열을 정비할 수 있는 여유를 얻게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벌어진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우위를 점하는 데 기여했다. 결과적으로 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이 탄생하여 중국 대륙을 통치하게 되었고, 기존의 중화민국 정부는 중국 국민당에 의해 타이완으로 이전했다. 이러한 변화는 세계사의 물줄기가 바뀐 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조

[1] 서적 Forgotten All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2] 서적 War and Nationalism Routledge 2004
[3] 서적 (출처에서 발췌) 2009
[4]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July 1937-May 1942 W. W. Norton & Company 2020
[5]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Belknap Press 2009
[6]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July 1937-May 1942 W. W. Norton & Company 2020
[7] 서적 Forgotten All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8] 서적 First Act in China: The Story of the Sian Mutiny 1938
[9] 서적 Stalin: Waiting for Hitler, 1929-1941 Penguin Press 2017
[10] 서적 Forgotten Ally 2013
[11]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12]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2009
[13]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36
[14]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15] 문서 「剿共」(ジャオゴン)とは、共産党討伐の意。日本では「しょうきょう」などと読む。
[16]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17]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18]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19]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0]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1] 서적 日本外交文書デジタルアーカイブ 昭和期II第1部 第5巻 上巻 https://www.mofa.go.[...] 外務省 2011-10-09
[22]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3]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4]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5] 서적 ビルマ戦記―方面軍参謀 悲劇の回想 光人社
[26]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7] 문서 事件当時は党資料編纂委員会主任。
[28]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29]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0] 문서 児島襄は「五間房」としているが[[:File:五间厅.JPG|現地の写真]](2008年撮影)によって「五間廰」であることが裏付けられるのでそれにならう。
[31]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2]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3]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4]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5]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6]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7] 뉴스 「西安から釈放され飛行機で洛陽に安着 宋美齢夫人らとともに張学良氏も同行す」 大阪朝日新聞 1936-12-26
[38]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39]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40]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41]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2-22
[42]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3-06
[43]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3-07
[44] 웹사이트 【今日は何の日】1949年:楊虎城が殺害される https://web.archive.[...] Searchina 2007-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