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구 (보호 장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구는 검술 훈련 및 시합에서 사용되는 보호 장비로, 머리, 손, 몸통, 하체 등을 보호한다. 17세기 검술에서 유래하여, 에도 시대에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했으며, 호면, 호완, 갑, 갑상, 그리고 나기나타의 경우 정강이 보호대로 구성된다. 착용 순서는 갑상, 갑, 호면, 좌호완, 우호완 순이며, 관리 방법은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리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은 자르기 방식과 재료에 따라 다르며, 손으로 제작된 고급 호구는 고가에 거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도 장비 - 죽도
    죽도는 검도 수련에 사용되는 도구로, 네 조각의 대나무를 묶어 만들며 신카게류의 카미이즈미 노부츠나가 검 대신 사용한 것에서 시작되어 에도 시대에 발전했고, 현대에는 국제검도연맹 규정에 따라 길이와 무게가 제한되며 안전 관리가 중요하지만, 프로레슬링 흉기나 부적절한 지도 방식으로 사용되는 문제도 있다.
  • 검도 장비 - 목도 (검도)
    목도는 검도, 켄도, 아이아이도 등에서 안전한 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나무 칼로, 역사적 일화와 메이지 시대 검도 보급을 통해 수요가 증가했으며, 현대에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훈련, 카타 연습, 스부리 등에 활용되고 한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지만 안전 관련 논쟁이 있다.
호구 (보호 장비)
개요
검도 호구
검도 호구
종류멘 (머리 및 목 보호구)
고테 (손 보호구)
도 (몸통 보호구)
타래 (허리 및 하복부 보호구)
명칭
한국어호구
일본어방구 (防具, bōgu)
일본어 (가나)ぼうぐ
로마자 표기bōgu
용도
목적검도 수련 시 착용하는 보호 장비
기능검도의 죽도 공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
안전한 수련 환경 조성
구성 요소
머리멘 (面, men)
고테 (小手, kote)
몸통도 (胴, dō)
허리타래 (垂れ, tare)
재료
갑옷일반적으로 면 또는 가죽 소재
보호대충격 흡수를 위한 펠트 또는 기타 소재 사용
관리
보관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여 습기 방지
청결정기적인 세척 및 소독 권장

2. 역사

호구의 원형은 17세기 중반 검술의 한 유파인 지키신카게류 검술 등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현대와 비슷한 형태의 호구가 완성된 것은 에도 시대 후기였다.[4] 에도 시대(1603-1868)에는 부상 방지를 위해 실제 칼 대신 보켄/보쿠토일본어 형태의 목검과 시나이일본어가 훈련에 사용되었다. 또한, 전통적인 사무라이 갑옷투구를 기반으로 한 연습용 갑옷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이 현대 호구의 기초가 되었다.[4]

막부 말 시대의 호구 (F. 베아토 촬영)


호구는 갑옷투구를 바탕으로 휴대성과 착용 시 움직임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형태와 재질 등이 개량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변화했다. 호구의 발달과 함께 죽도(4분할 죽도)가 고안되었고, 목도에 의한 형稽古 대신 죽도를 사용한 시합 형식의 쳐들어가는 연습이 주류가 되었다. 막부 말에 일본을 방문한 사진가 펠리체 베아토의 기록에 따르면, 격렬한 격투에서 먼저 상대의 면을 벗긴 쪽이 이기는 방식이었다고 하며[6], 이는 호구로서의 면 외에 면(투구)을 벗기는 것, 즉 쳐서 죽인다는 실전 묘사도 포함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호구"라는 용어는 에도 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도구" 또는 "무구", "구족", "죽구족" 등으로 불렸다.[7] 무도사 연구자 나카무라 타미오에 따르면, "호구"라는 단어는 1889년(메이지 22년)의 『육군 검술 교범』에서 처음 등장했으며[7], 1955년(쇼와 30년)의 『고지엔』 초판 (신무라 이즈루 저, 이와나미 서점)과 1959년(쇼와 34년)의 『대한화사전』 (모로하시 데츠지 저, 다이슈칸 서점)에는 실려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근대에 만들어진 단어라고 할 수 있다.[7]

3. 종류 및 구조

검도 호구는 호면, 호완, 갑, 갑상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2][3] 나기나타 호구는 여기에 정강이 보호대(스네아테)가 추가되어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1]


  • '''호면'''(護面):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얼굴 부위는 금속 격자로 되어 있어 죽도가 얼굴을 찌르지 못하게 막아준다.
  • '''호완'''(護腕): 손과 팔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좌우 한 쌍으로, 주로 사슴 가죽, 오리사시지, 합성 피혁 등으로 만든다. 손목 부위는 타격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아대를 추가로 착용하기도 한다.
  • '''갑'''(胴): 가슴, 복부, 겨드랑이 밑부분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플라스틱, 대나무, 경화 섬유 등 튼튼한 재질로 만든다.
  • '''갑상'''(垂): 허리와 국부를 보호하는 장비이다.
  • '''정강이 보호대'''(脛当て): 나기나타에서 사용되는 정강이 보호 장비이다. 좌우 한 쌍으로, 여러 개의 대나무를 끈으로 연결한 구조이다.


방호구 착용

3. 1. 호면(面)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보호구로 얼굴 부분은 금속 격자 ('''면금''')로 되어 있어 죽도가 얼굴을 찌르지 못하도록 보호한다.[2] 머리 꼭대기부터 어깨까지는 자수('''면 부톤''')로 덮여 있다. 목을 보호하는 부분은 '''찌르기 드리개'''라고 불리며, 찌르기를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견고하게 만들어져 있다. 찌르기 드리개 안쪽에는 찌르기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내 드리개'''가 있다. 나기나타용 면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기 쉽도록 면 부톤이 짧다.[5]

면금은 얼굴의 팽창을 따르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바깥 둘레의 '''다이와''', 세로 방향으로 1개의 '''중금'''(중 히고), 가로 방향으로 14개(소년용 면에서는 13개 이하)의 '''횡금'''(횡 히고)으로 이루어진다. 재질은 과거에는 이나 양은[9]이 주류였으나, 후에 면의 경량화를 위해 듀랄루민 등의 경합금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경합금제 면금은 강도 면에서 충분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더 높은 내충격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중이 낮으면서 강도가 우수한 티타늄제 면금이 사용된다.

면금(횡금)의 위에서 6번째와 7번째 사이(소년용에서는 5번째와 6번째 사이)는 '''물미'''라고 불리며, 시야 확보를 위해 횡금의 간격이 다른 부분보다 약간 넓다. 면 안쪽에는 면금을 둘러싸도록 둑 모양이 된 부분('''내륜''')이 있다. 면을 착용할 때는 내륜의 하단에 아래 을 올리고, 의 높이를 물미의 위치에 맞춘다.

면을 장착할 때는 면 으로 면을 고정한다. 면 끈을 묶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아래에서 4번째 부근의 횡금에 좌우 한 쌍의 유피(치치가와, 또는 치카와)를 부착하고 끈을 하나씩 묶는 "'''하부 부착'''"과 중금의 정수리에 긴 유피를 1개만 부착하고 거기에서 좌우 2개의 끈을 묶는 "'''상부 부착'''"으로 나뉜다. 어느 쪽을 사용하는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상부 부착은 간사이에서 규슈에 걸쳐 많이 사용된다. 나기나타에서는 상부 부착을 표준적으로 사용한다.

3. 2. 호완(小手)

호완은 손과 팔을 보호하는 장비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주로 사슴 가죽, 오리사시지, 또는 합성 피혁으로 만들어지며, 손목 부위는 타격 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안에 아대를 추가로 착용하기도 한다.[2]

호완


호완은 자수 형태의 코테부톤(팔 보호)과 사슴 가죽 또는 합성 피혁으로 만들어진 코테가시라(주먹 부분 보호)를 주요 부분으로 하며, 이 둘을 이라고 불리는 견고한 부분으로 연결한 구조이다.

죽도나기나타를 잡기 쉽도록 코테가시라의 손바닥 쪽(테노우치)은 얇은 가죽으로 만들어진다. 코테가시라 끝부분은 엄지손가락을 넣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으며, 나기나타용 호완은 집게손가락 부분도 분리되어 있다.

소년용 등을 제외한 호완은 손목 보호를 위해 코테가시라와 통 사이에 나마코 또는 케라라고 불리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은 1단 또는 2단으로 나뉘며, 2단이 고급으로 여겨지지만 기능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과거에는 손가락 관절이 완전히 움직이는 호완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안전 문제로 드물게 사용된다. 특히 두껍게 패딩 처리된 디자인(오니고테)은 일부 고류에서 사용된다. 공격 목표 부위는 각 호완의 손목 부분이다.[5]

전일본검도연맹 공식 시합에서는 장갑처럼 손가락 부분이 5개로 나뉜 호완은 공정성과 안전성 문제로 금지되어 있다.

3. 3. 갑(胴)



가슴에서 배, 겨드랑이에 걸쳐 보호하는 보호구이다. 가슴 부분('''동흉''', 胴胸)은 단단한 심재를 소가죽으로 덮은 구조이며, 타격을 받아내는 배·겨드랑이 부분('''동대''', 胴台)은 플라스틱, 대나무, 벌커나이즈드 파이버[10]등 매우 튼튼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대나무로 만든 동대의 경우, 표면에 소가죽을 붙이고 그 위에 옻칠을 덧칠하여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1] 표면의 칠은 색상과 마감 방식 모두 다양하지만, 검은색 광택(검은색 呂, 검은색 려)칠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 수도 많다. 그 외에 가죽을 덮지 않고 착색하지 않은 것('''생지동''', 生地胴), 대나무 표면에 직접 옻칠을 하여 마감하는 것, 대나무 위에 상어 가죽을 붙인 것('''상어동''', 鮫胴) 등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나 파이버제의 동대는 소가죽 붙이기・옻칠 마감의 동대의 양식을 본뜬 것이 된다.

동흉에는 종종 '''운형'''이나 '''촉홍'''[12](しょっこう, 셔코) 등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문양자수가 새겨진다.[13] 최근에는 눈에 띄는 문양이나 색상 사용을 피한 심플한 "점자수"[14]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물건 자체는 검도와 나기나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지만, 적정 사이즈는 다르다. 타격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동체와의 틈새가 검도에서는 주먹 1개 분인 것에 비해, 나기나타에서는 움직이기 쉬움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손가락 1개 분으로 좁아져 있다.

3. 4. 갑상(垂)

허리와 하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구이다. 최상단의 '''수대'''와 3장의 '''대수''', 2장의 '''소수'''로 구성된다. 다른 보호구와 달리 직접적인 타격을 받지 않으므로, 강한 재질은 사용되지 않으며, 전체가 자수 및 천으로 되어 있다.[15]

중앙의 대수에는 소속 단체나 이름을 나타내는 천 또는 가죽제의 '''명찰'''[16]이 부착된다. 명찰의 양식은 "남색 또는 검은색 바탕에 흰색 글자"로 정해져 있으며, 소속 단체명(학교, 기업, 도장 등의 명칭) 또는 도도부현(일본의 행정 구역) 명칭을 최상단에 가로쓰기로, 경기자의 성(동일 단체 내에 동성 경기자가 여러 명 있는 경우에는 식별을 위해 이름의 머리글자를 오른쪽에 추가)을 그 아래에 세로쓰기로 표기하게 되어 있다. 서체는 해서행서예서 외에, 기업명에 대해서는 해당 기업의 로고타입을 사용하는 예도 있지만, 전일본검도연맹은 "명확하게 읽을 수 있는 명찰"을 권장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해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5. 정강이 보호대(脛当て)

나기나타에서 사용되는 정강이 보호 장비이다. 좌우 한 쌍으로, 여러 개의 대나무 재료를 끈으로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를 좌우 양쪽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감아 사용한다.[1]

4. 착용 순서

검도 호구는 갑상, 갑, 호면, 좌호완, 우호완 순으로 착용한다. 벗을 때는 그 역순이다.[1] 초급자가 수련할 때는 갑상과 갑만 착용하고 호면과 호완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

나기나타의 경우 정강이 보호대는 갑을 착용한 후에 착용한다.[1]

5. 관리 방법

직사광선은 가죽을 썩게 하므로, 그늘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걸어 말리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의류처럼 세탁은 불가능하며, 위생 문제나 악취 등이 생길 수 있다. 최근에는 물세탁이 가능한 호구가 개발되었고, 특수 기술로 보호 장비를 세탁하는 세탁 업체도 있지만,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다.

6. 가격

가격대는 미싱 자르기 호구의 경우 수만 엔에서 수십만 엔, 손 자르기 호구의 경우 10만 엔 정도부터 100만 엔을 초과하는 것까지 있다. 양질의 손 자르기 호구는 숙련된 장인만이 제작할 수 있으며, 천, 쪽, 가죽, 옻 등의 원자재에도 엄선된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고가가 되기 쉽다.[1] 고급 검도 호구가 전통 공예품, 더 나아가 그 생겨난 배경으로 인해 일종의 예술 작품으로 간주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1]

참조

[1] 서적 Kendo https://books.google[...] Mariélle Renssen
[2] 웹사이트 Kendo Bogu (Protective Equipment) http://www.mushinkan[...] 2010-05-12
[3] 웹사이트 Kendo America: Bogu http://www.kendo-usa[...] 2010-05-12
[4] 서적 Secrets of the samurai: a survey of the martial arts of feudal Japan https://books.google[...] Tuttle
[5] 서적 This is Kendo Charles E. Tuttle
[6] 서적 F・ベアト 写真集1 幕末日本の風景と人びと 明石書店
[7] 웹사이트 防具(剣道具)の歴史(上) 中村 民雄 語の由来 http://www2.educ.fuk[...]
[8] 문서 慣用的に「面下」、「面タオル」などとも称する。
[9] 문서 洋銀は洋白とも称する。面金の刻印や防具のカタログ上では、ほとんどの場合「洋白」の表記が用いられた。
[10] 문서 板紙を重ね合わせて特殊工法で圧縮したもの。
[11] 문서 革張り・漆塗りとすることによって、衝撃や水濡れ(汗による湿り)に対する耐久性を高める効果があるほか、見た目の美しさも向上する。胴台の裏面にも漆塗りを施すが、こちらには牛革を張らない。
[12] 문서 「蜀江」や「曙光」と記す場合もある。
[13] 문서 蜀紅については、面の突き垂にも施される。
[14] 문서 「ベタ刺し」という表現をする場合もある。さらに細分すると、刺し糸を通す向きによって「碁盤刺し」と「斜め刺し」とに分かれる。前者は刺し糸を水平・垂直方向に、後者は刺し糸を左右斜め45度方向に通したものをいう。
[15] 문서 装飾・補強部材としては皮革も含まれる。なお、使用後の速乾性を重視し、皮革を使わずに布地・糸などの繊維部材のみで組み上げた「織刺(おりざし)仕立」と呼ばれる垂もある(面や小手にも同様に織刺仕立のものがある)。
[16] 문서 平成7年(1995年)の「剣道試合・審判細則」改訂までは「垂ネーム」と称した。現在でもこの呼び名を使うところがある他、慣用的に「垂ゼッケン」等とも呼ば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