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르헤 카마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르헤 카마초는 1966년 사프라에서 태어난 에스페란티스토이자 작가이다. 그는 스페인어, 영어, 포르투갈어, 핀란드어를 구사하며, 1980년 에스페란토를 학습했다. 1992년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그라보프스키 상을 수상했으며, 에스페란토 학술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브뤼셀과 마드리드에서 유럽 연합 통역사로 일했으며, 마드리드 대학교와 스페인 국립 도서관에서도 근무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와 단편 소설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베리아 학파의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La Majstro kaj Martinelli》, 시집 《Celakantoj》 등이 있다. 또한, 문학 알마낙 《벨레트라 알마나코》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에스페란티스토 - 프란세스크 피 이 마르갈
    프란세스크 피 이 마르갈은 카탈루냐 출신의 스페인 정치인이자 작가, 번역가로, 자유주의적 연방주의 사상으로 스페인 정치에 영향을 미쳤고 제1차 스페인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프루동의 저작을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스페인 아나키즘 발전에 기여했다.
  • 스페인의 작가 -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는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전향한 스페인의 정치가이자 사상가, 외교관으로, 이사벨 2세 여왕을 지지하며 정치적 중책을 맡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하며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하는 저서를 통해 가톨릭 보수주의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스페인의 작가 - 호세 카달소
  • 1966년 출생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1966년 출생 - 김기식
    김기식은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참여연대 사무국장과 19대 국회의원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금융감독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국회의원 시절의 논란으로 15일 만에 사퇴했다.
호르헤 카마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르헤 카마초
이름호르헤 카마초 코르돈
원어 이름Jorge Camacho Cordón
출생일1966년 11월 18일
출생지스페인 사프라
국적스페인
분야작가

2. 생애

1992년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그라보프스키 상(Premio Grabowskieo)을 수상하였고, 1992년~2001년 동안 에스페란토 학술회 회원이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브뤼셀에서 유럽 연합 통역사로 일했다. 1999년 마드리드로 이사한 후에도 2009년까지 유럽 연합 통역사로 계속 근무했다. 2008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마드리드 대학교에서 통역사로 일했으며, 2009년부터는 스페인 국립 도서관(Biblioteca Nacional de Españaes)에서 근무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66년 사프라에서 태어났다. 1980년 에스페란토를 배웠다. 모국어 스페인어 외에도 영어, 포르투갈어, 핀란드어를 구사한다.

2. 2. 에스페란토 활동 및 경력

1966년 사프라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 에스페란토를 배웠다. 모국어 스페인어 외에도 영어, 포르투갈어, 핀란드어를 구사한다.

1992년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그라보프스키 상(Premio Grabowskieo)을 수상하였고, 1992년~2001년 동안 에스페란토 학술회의 회원이었다.

1995년~1999년 동안 브뤼셀에서 유럽 연합 통역사로 일했고, 1999년 마드리드로 이사하였으나 2009년까지 계속 유럽 연합 통역사로 일했다. 2008년 4월~2010년 9월 동안 마드리드 대학교에서 통역사로 일했으며, 2009년부터는 스페인 국립 도서관(Biblioteca Nacional de Españaes)에서 일하고 있다.

1980년대 후반 시와 단편 소설로 유명해졌으며, 이 작품들로 여러 차례 UEA의 벨라르타이 콘쿠르소이에서 상을 받았다. 1992년에는 에스페란토로 글을 쓰는 젊은 작가에게 수여되는 안토니 그라보프스키의 이름을 딴 그라보프스키 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 초, 이베리아 반도 출신의 다른 세 명의 작가들과 함께 에스페란토 작가들의 이른바 "이베리아 학파"의 일원으로 여겨졌다.

1990년대에 조르지오 실퍼의 "라움주의"에 대한 해석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기 시작했다. 그는 실퍼를 신랄하게 풍자한 작품인 ''La Majstro kaj Martinelli''("주인과 마르티넬리", 미하일 불가코프의 동명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음)를 썼으며, ''La liturgio de la foiro''("박람회의 전례")에서 그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했다.

2. 3. 이베리아 학파

카마초는 1990년대 초, 이베리아 반도 출신의 다른 세 명의 작가들과 함께 에스페란토 작가들의 이른바 "이베리아 학파"의 일원으로 여겨졌다.

2. 4. 라움주의 비판

카마초는 1990년대에 조르지오 실퍼의 "라움주의" 해석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기 시작했다. 그는 미하일 불가코프의 동명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실퍼를 신랄하게 풍자한 작품인 ''La Majstro kaj Martinelli''(La Majstro kaj Martinelli|주인과 마르티넬리eo)를 썼고, ''La liturgio de la foiro''(La liturgio de la foiro|박람회의 전례eo)에서 그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했다.

3. 작품 활동

호르헤 카마초는 시집, 소설, 수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했다.


  • 시집
  • Ibere libereeo (미겔 페르난데스, 곤살루 네베스, 리벤 데크와 함께, 1993)
  • Celakantojeo (실러캔스, 1989-1995년 경 에스페란토로 쓰여짐, 2004)
  • Saturnoeo (토성, 스페인어와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시 이중 언어 모음집, 1995-2004년 경, 2004)
  • Eklipsaseo ([그것은] 가린다, 주로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시 모음집, 2004-2006, 스페인어 번역 포함, 2007)
  • Koploj kaj filandrojeo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시, 2009)
  • 압사당한 팔레스타인es (Calúmnia, 2018)
  • 화상es (Vitruvio, 2020)

3. 1. 소설


  • 《Pandemonio》 (단편집, 다른 작가들과 함께, 1990년)
  • 《선(線) 위에서》 (Sur la linioeo, 9편 단편소설집, 1991년)
  • 《Ekstremoj》 (페르난데스, 네베스, 리벤 덱과 함께, 1997년)
  • 《La ĉapo de la sterko-vermo》 (작가가 직접 번역, 1995년)
  • 《La Majstro kaj Martinelli》 (풍자 소설, 1993년)

3. 2. 시집


  • 《Ibere libereeo》 (미겔 페르난데스, 곤살루 네베스, 리벤 데크와 함께, 1993)
  • 《Celakantojeo》(실러캔스, 1989-1995년 경 에스페란토로 쓰여짐, 2004)
  • 《Saturnoeo》(토성, 스페인어와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시 이중 언어 모음집, 1995-2004년 경, 2004)
  • 《Eklipsaseo》([그것은] 가린다, 주로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시 모음집, 2004-2006, 스페인어 번역 포함, 2007)
  • 《Koploj kaj filandrojeo》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시, 2009)
  • 《La silika hakiloeo》 (2011)
  • 《En la profundoeo》 (2013)

3. 3. 수필


  • La liturgio de l' foiro (Elementoj por ekzegezo)|라 리투르기오 데 ㄹ 포이로 (엘레멘토이 포르 에크제게조)eo (1988/1999)
  • La mava lingvo: neologismoj kaj malneologismoj en esperanto|라 마바 링그보: 네올로기스모이 카이 말네올로기스모이 엔 에스페란토eo (''Lingva arto'', 1999)

3. 4. 스페인어 시집


  • 압사당한 팔레스타인es(Calúmnia, 2018)
  • 화상es(Vitruvio, 2020)

4. 편집 활동

호르헤 카마초는 2007년 가을에 처음 발간된 문학 연감 ''벨레트라 알마나코''의 편집장이었으며, 2014년 12월까지 편집장직을 맡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