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바트 R. 게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바트 R. 게이는 미국의 군인으로, 1894년에 태어나 1983년에 사망했다. 그는 녹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기병 장교로 복무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조지 S. 패튼 장군의 참모장으로 여러 작전에 참여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제1기병사단을 지휘했으며, 이후 미국 제5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대공 및 유도 미사일 센터 사령관을 마지막으로 퇴역했다. 퇴역 후에는 뉴멕시코 군사 연구소 소장을 지냈으며, 수훈 십자 훈장, 은성 훈장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 영화 《패튼》 등에서 그의 역할이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성훈장 수훈자 - 코트니 휘트니
코트니 휘트니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참모 및 연합군 최고사령부 민정국장으로 활동하며 일본국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한 인물이다. - 은성훈장 수훈자 - 함명수
함명수는 해군사관학교 1기 출신으로 몽금포 해전에서 승리한 초계함 함장, 제7대 해군참모총장, 제9대 및 10대 국회의원, 그리고 한국수산개발공사 사장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 기업인이다. - 미국 육군 장군 - 코트니 휘트니
코트니 휘트니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참모 및 연합군 최고사령부 민정국장으로 활동하며 일본국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한 인물이다. - 미국 육군 장군 - 존 J. 요삭
존 J. 요삭은 베트남 전쟁과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장군으로, 제1기병사단 사단장과 미 제3군 사령관을 역임하며 사막 방패 작전과 걸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수의 훈장을 수훈했다. - 레지옹 도뇌르 오피시에 훈장 수훈자 - 페트르 파벨
페트르 파벨은 체코의 정치인이자 퇴역 육군 대장으로 2023년부터 체코의 대통령을 맡고 있으며, NATO 군사위원회 의장을 역임했고, 1993년 카린 기지 구출 작전 공로로 훈장을 받았으며, 친서방, 친EU 성향으로 우크라이나 지원과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 - 레지옹 도뇌르 오피시에 훈장 수훈자 - 로자 보뇌르
로자 보뇌르는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조각가로, 동물화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니베르네의 쟁기질》과 《말 시장》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살았다.
호바트 R. 게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닉네임 | 햅 |
출생일 | 1894년 5월 16일 |
출생지 | 일리노이주록포트 |
사망일 | 1983년 8월 19일 |
사망지 | 텍사스주엘패소 |
묻힌 곳 | 텍사스주포트 블리스 국립묘지 |
소속 | 미국 |
복무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7년–1955년 |
군번 | 0-7323 |
최종 계급 | [[파일:US-O9 insignia.svg|25px]] 중장 |
병과 | [[파일:ArmyCAVBranchPlaque.gif|25px]] 기병 병과 |
모교 | 녹스 칼리지 (BS) |
지휘 | |
지휘한 부대 | 제15군 제1기갑사단 워싱턴 군관구 제1기병사단 제6군단 제3군단 제5군 대공 및 유도 미사일 센터 |
참전 | |
주요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
훈장 | |
주요 훈장 | 수훈십자훈장 (2회) 육군 공훈장 (2회) 은성 훈장 (3회) 공로 훈장 (2회) 동성 훈장 (2회) |
기타 | |
이후 활동 | 뉴멕시코 군사학교 교장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호바트 R. 게이는 1917년 녹스 칼리지 졸업 후 육군 예비대에 소위로 임관했다.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6개월이 지난 1917년 10월 26일, 미국 정규군 기병 장교로 임관하여 같은 날 1등 중위, 1920년 7월에 대위로 진급했다. 기병 장교로 복무하며 작가 로버트 A. 하인라인에게 승마술과 사격술을 가르치기도 했다.[3] 1934년 6월 11일 보급병과로 전출되었고, 1935년 8월 1일에 소령, 1940년 8월 18일에 중령, 1941년 12월 24일에 미국 육군(AUS) 대령으로 진급했다.[4]
2. 1. 초기 생애
그는 1917년 녹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육군 예비대에 소위로 임관했다. 녹스 칼리지 풋볼팀에서 하프백으로 활약했으며,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1][2]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게이는 1917년 녹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육군 예비대에 소위로 임관했다. 그는 녹스 칼리지 풋볼팀에서 하프백으로 활약했으며,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1][2]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6개월 후인 1917년 10월 26일, 게이는 미국 정규군 기병 장교로 임관했다. 같은 날 1등 중위로 진급했으며, 1920년 7월에는 대위로 진급했다. 기병 장교로 복무하던 대위 시절, 작가 로버트 A. 하인라인에게 승마술과 사격술을 가르쳤다.[3]
2. 3. 전간기
게이는 1934년 6월 11일 보급병과로 전출되었고, 1935년 8월 1일에 소령으로 진급했다.[4] 1940년 8월 18일에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1941년 12월 24일에 미국 육군(AUS) 대령으로 진급했다. 이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직후였다.[4]3. 제2차 세계 대전
게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조지 S. 패튼 장군의 참모로 활약하며 혁혁한 공을 세웠다. 특히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독일로 진격하는 제3군의 핵심 참모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 11월, 게이는 제3군 사령부와 함께 복무하는 동안 무장한 적에 대한 군사 작전에서 뛰어난 영웅적 행동을 하여 수훈 십자장(DSC)을 수여받았다.[6] 당시 제3군 제90보병사단의 작전이 매우 위험한 상황에서 게이 장군은 침수된 모젤강의 교량 작전과 몰링에서 쾨니히마커까지 모젤강 동쪽의 사단 전방 부대들을 시찰했다. 소화기, 포병, 고속 직사 화기에서 날아오는 격렬한 적의 사격에도 불구하고, 게이 장군은 침착하고 용감한 행동과 훌륭한 조언으로 모든 계급에 영감을 주면서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 그의 존재와 지원은 지휘부에 새로운 자신감을 불어넣었고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진격을 보장했다.[6]
패튼 사후, 게이는 1946년 1월 한 달 동안 제15 육군의 지휘를 맡았다. 이후 1946년 후반 미국으로 돌아올 때까지 미국 제1 기갑사단의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다음 제2 헌병대 여단을 지휘했으며, 1947년 미국으로 돌아올 때까지 유럽에서 복무했다. 귀국 후 1949년 9월까지 워싱턴 군사 지구를 지휘했다.[7][8]
3. 1. 참모 장교로 복무
게이는 1942년 12월 은성 훈장을 수여받았는데, 이는 1942년 11월 8일 카사블랑카에서의 용감한 행동에 대한 것이었다.[4] 그는 당시 북아프리카에서 조지 S. 패튼 장군이 지휘하는 제1 기갑군단의 참모장이었다. 게이는 1945년 12월 패튼이 사망할 때까지 패튼의 참모장으로 계속 복무했다.1943년 6월 24일, 게이는 준장(AUS)으로 진급했다.[4] 그는 시칠리아 상륙 작전에서 패튼 휘하의 미국 제7 육군의 참모장으로 배속되었다. 1944년 2월, 그는 다시 패튼 휘하의 미국 제3 육군의 부참모장이 되었고, 12월에 휴 조셉 개피를 대신하여 참모장이 되었다.[5] 이러한 직책에서 게이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독일로 진격하는 제3군의 핵심 참모였다.
1944년 11월, 그는 수훈 십자장(DSC)을 수여받았다.
그는 유럽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인 1945년 3월 20일 소장(AUS)으로 진급했다.[4]
1945년 10월 패튼이 미국 제15 육군의 지휘를 맡았을 때, 게이는 다시 그의 참모장이 되었다. 1945년 12월 9일, 패튼과 게이는 꿩 사냥을 갔다. 패튼과 게이는 사냥 오두막으로 향하는 참모차 뒷좌석에 앉아 있었다. 교통사고가 발생했고, 패튼은 척추 부상을 입어 결국 사망했다. 게이 장군은 부상을 입지 않았다.
3. 2. 진급
게이는 1943년 6월 24일 준장(AUS)으로 진급했다.[4] 시칠리아 상륙 작전에서 패튼 휘하의 미국 제7 육군 참모장으로 배속되었다. 1944년 2월, 패튼 휘하의 미국 제3 육군 부참모장이 되었고, 12월에 휴 조셉 개피를 대신하여 참모장이 되었다.[5] 1944년 11월에는 수훈 십자장을 수여받았다.[6] 1945년 3월 20일, 유럽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에 소장(AUS)으로 진급했다.[4]4. 한국 전쟁
게이는 1949년 9월부터 일본 오사카에서 제1기병사단을 지휘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7월 19일 제1기병사단을 이끌고 한국으로 건너와 북한군에 맞서 싸웠다.[9]
1950년 7월 말, 제1기병사단 제7기병연대와 미군 전투기는 노근리에서 다수의 남한 피난민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1999년 AP통신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고,[13] 이후 미 육군의 조사에서 인정되었다.[14]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노근리 사망 및 실종자 163명, 부상자 55명의 명단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으며,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15] 노근리 학살이 시작된 7월 26일, 게이는 후방 취재 기자들에게 남쪽으로 피난하는 대부분의 피난민들이 북한 침투 요원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틀 전, 게이의 작전 참모진으로부터 미군 경계를 넘으려는 모든 피난민에게 사격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게이는 나중에 피난민들을 "사냥감"이라고 묘사했고, 주한 미국 대사는 이러한 정책이 전 지역에서 채택되었다고 말했다.[13][16]
1951년 2월, 게이는 미 제4군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2년 7월에는 인디애나주 캠프 애터버리에서 미 제6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53년 4월에는 캘리포니아주 포트 맥아더에서 미 제3군단 사령관이 되었다. 제3군단이 텍사스주 포트 후드로 재배치되면서 그곳으로 이동했다.
4. 1. 제1기병사단 지휘
1949년 9월, 게이는 일본 오사카에서 제1기병사단의 지휘권을 인수했다. 1950년 7월 19일, 제1기병사단을 한국으로 파병해 북한군에 맞서 싸웠다.[9] 이 시기에 게이는 수훈 십자 훈장의 참나무 잎 훈장을 받았다.1950년 7월 18일부터 10월 1일까지 대한민국에서 북한군에 맞서 뛰어난 영웅적 행위를 보였다. 압도적인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게이 장군은 그의 사단을 매우 능숙하게 지휘하여 적의 진격을 늦추고 결국 낙동강 방어선에서 저지했다. 적의 포병, 박격포, 소화기 사격 속에서도 자신의 안전을 전혀 개의치 않고 최전선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은 유엔군의 증강 기간 동안 그의 부대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1950년 9월 25일, 다부동 전투에서 돌파구를 마련했다. 게이 장군은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편성된 부대에 합류하여 두 대의 선두 전차 뒤에 쿼터톤 차량을 배치하고 수많은 교전에 참여했다. 한 예로, 선두 전차가 적의 대전차 공격을 받아 행렬이 멈췄다. 게이 장군은 상황의 심각성과 진격의 필요성을 깨닫고 적의 공격을 뚫고 선두 전차까지 이동하여 적의 대전차포에 정확한 사격을 가해 제거했다. 그의 적극적인 리더십, 사격에 대한 용기, 개인적인 영웅심은 부대가 신속한 진격을 계속할 수 있도록 했고, 적이 돌파구를 무효화할 수 있는 방어 위치를 구축하는 것을 막았다.[10]
그의 제1기병사단은 부산 교두보의 성공적인 최후 방어에서 중요하고도 대가를 치른 역할을 수행했으며, 9월에 인천 상륙 작전과 함께 북쪽으로 진격하는 미국 및 대한민국 부대에 합류했다. 게이의 부대는 이후 38선을 넘어 평양으로 진격하여 10월 19일에서 20일 사이에 북한의 수도를 점령했다. 2주 후, 그의 제8기병연대는 평양 북쪽의 운산 전투에서 새로 도착한 중국 공산군에게 큰 피해를 입었고, 게이의 구조 노력이 그의 상급 지휘관인 제1군단장 프랭크 W. 밀번 소장에 의해 중단 명령을 받으면서 한 개 대대가 포위되었다. 중국군은 12월에 제1기병사단과 다른 미군을 북한에서 몰아냈고, 1951년 초 게이는 한국의 다른 고위 장교들과 함께 지휘권을 해임당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국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육군 무공 훈장을 받았다.[12]

4. 2. 노근리 학살
1950년 7월 말, 제1기병사단 제7기병연대와 미군 전투기는 노근리에서 다수의 남한 피난민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1999년 AP통신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고[13], 이후 미 육군의 조사에서 인정되었다.[14]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노근리 사망 및 실종자 163명, 부상자 55명의 명단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으며,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15]노근리 학살이 시작된 7월 26일, 게이는 후방 취재 기자들에게 남쪽으로 피난하는 대부분의 피난민들이 북한 침투 요원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틀 전, 게이의 작전 참모진으로부터 미군 경계를 넘으려는 모든 피난민에게 사격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게이는 나중에 피난민들을 "사냥감"이라고 묘사했고, 주한 미국 대사는 이러한 정책이 전 지역에서 채택되었다고 말했다.[13][16]
5. 한국 전쟁 이후
1954년 9월, 게이 장군은 미국 제5군 사령관으로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에 의해 중장으로 진급했다.[4]
퇴역 후, 게이는 뉴멕시코 군사 연구소 소장이 되었다. 그는 텍사스주 엘파소에서 사망했으며, 포트 블리스 국립 묘지에 안장되었다.[17]
6. 퇴역 이후
1955년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대공 및 유도 미사일 센터 사령관을 끝으로 미국 육군에서 퇴역하였다.[4] 퇴역 후에는 뉴멕시코 군사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1983년 텍사스주 엘파소에서 사망했으며, 포트 블리스 국립 묘지에 안장되었다.[17]
7. 훈장 및 표창
훈장 | 내용 |
---|---|
![]() | 수훈 십자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부착) |
-- | 육군 공로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부착) |
은성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2개 부착) | |
-- | 공로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부착) |
-- | 동성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부착) |
-- | 항공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부착) |
육군 표창 훈장 | |
육군 우수 부대 표창 | |
-- | 제1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 |
-- | 미국 방위군 훈장 |
-- | 미국 전역 훈장 |
-- |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훈장 (화살표장치 및 은색 참전 별장 부착) |
--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 |
-- | 점령군 훈장 |
-- | 국방 훈장 |
-- | 한국 전쟁 참전 훈장 (청동 참전 별장 3개 부착) |
![]() | 탁월한 봉사 훈장 (영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 |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 |
-- | 프랑스 전쟁 십자 훈장 (장치 불명) |
-- | 애국 전쟁 훈장 1급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 | 백사자 훈장 2등급 (체코슬로바키아) |
-- |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훈장 |
![]()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
-- | 유엔 한국 훈장 |
한국 전쟁 참전 기념 훈장 |
8.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영화 ''패튼''(1970)에서 마이클 스트롱이 연기한 호바트 카버 준장 역할은 게이를 모델로 했다.[1] 1986년 텔레필름 ''패튼 최후의 날''에서 게이는 머레이 해밀턴이 연기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1965: Gen. Hobart Gay, Patton's Chief of Staff, Fought in 12 Campaigns
https://elpasotimes.[...]
2020-06-01
[2]
서적
Normandy to Victory: The War Diary of General Courtney H. Hodges and the First U.S. Ar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8-09-26
[3]
서적
Robert A. Heinlein: the authorized biography (volume 1)
Tom Doherty Associates
[4]
웹사이트
Biography of Lieutenant General Hobert Raymond Gay (1894−1983), USA
https://generals.dk/[...]
[5]
서적
The Lorraine Campaign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6]
웹사이트
Valor awards for Hobart Raymond Gay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7]
웹사이트
Armed Forces Hostess Association :: Joint Base Myer-Henderson Hall
https://home.army.mi[...]
2023-03-01
[8]
웹사이트
LTG Hobart R. Gay
https://militaryhall[...]
2023-03-01
[9]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June–November 1950)
http://www.history.a[...]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Department of the Army
2012-02-08
[10]
웹사이트
Valor awards for Hobart Raymond Gay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11]
서적
The Korean War: An Encyclopedia
Garland Publishing
[12]
웹사이트
Valor awards for Hobart Raymond Gay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13]
뉴스
War's hidden chapter: Ex-GIs tell of killing Korean refugees
1999-09-29
[14]
간행물
U.S. Department of the Army No Gun Ri Review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2001-01
[15]
서적
No Gun Ri Incident Victim Review Repor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6]
서적
Collateral damage: Americans, noncombatant immunity, and atrocity after World War II
Routledge
[17]
웹사이트
Fort Bliss National Cemetery - Surname Gat-Gi - El Paso County, Texas
http://www.interment[...]
2017-03-25
[18]
간행물
Uncommon Allies: U.S. Army Recipients of Soviet Military Decorations in World War II
Teufelsberg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