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아는 기원전 731년 앗시리아의 지배를 받으며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이 되었다. 그는 앗시리아에 조공을 바치는 명목상의 왕이었으나, 앗시리아 왕 살만에셀 5세가 즉위하자 이집트 왕 소에게 지원을 요청하며 조공을 중단했다. 이에 앗시리아는 사마리아를 포위했고, 호세아는 3년간 저항했지만 기원전 722년 항복하며 북이스라엘 왕국은 멸망했다. 호세아의 최후와 관련된 내용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1990년대에 발견된 점토 봉인이 호세아를 언급하는 유일한 고고학적 증거일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인 및 유대교에 관한 - 탈무드
탈무드는 유대교 구전 율법과 해석을 담은 경전으로, 미슈나와 게마라로 구성되어 유대 율법 해석의 기준이자 유대교 사상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유대교 학문의 중심이다. - 유대인 및 유대교에 관한 -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원래 번제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량 학살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으며, 나치의 아리아인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700만 명이 넘는 유대인과 기타 소수 민족이 조직적인 학살과 잔혹한 생체 실험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 이스라엘 국왕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 이스라엘 국왕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살룸
살룸은 이스라엘 왕 스가랴를 모반하여 왕위를 찬탈했지만 한 달 만에 므나헴에게 살해당한 열왕기하의 인물이다.
호세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호세아 |
히브리어 표기 | הוֹשֵׁעַ |
아카드어 표기 | 𒀀𒌑𒋛𒀪 |
라틴어 표기 | Osee |
재위 기간 | 기원전 732년경 – 기원전 722년경 |
출생일 | 기원전 759년경 |
사망일 | 기원전 722년경 (36세 추정) |
아버지 | 엘라 |
직위 | |
직책 | 북이스라엘 왕 |
선왕 | 베가 |
후왕 | 왕정 폐지 |
왕조 | |
왕가 | 호세아 왕조 |
종교 | |
종교 | 야훼교 |
기타 | |
참고 | 호세아 (선지자)와 호세아서 (선지서)와 구별 |
2. 즉위 과정
호세아는 이스라엘 왕 베가를 살해하고 앗시리아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다. 앗시리아 기록은 호세아가 베가를 암살하고 왕이 된 경위를 뒷받침한다.[2] 디글랏 빌레셀 3세의 연대 미상 비문에는 전임자를 전복시킨 후 호세아를 왕으로 세웠다는 내용이 있다.[2]
2. 1. 앗시리아의 개입
아하즈 치하 유다가 앗시리아의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충성을 맹세했을 때, 북왕국은 베가가 아람-다마스쿠스의 르신과 연합하여 유다 왕에게 앗시리아에 맞서 함께 싸우도록 강요하려 했다.[2] 베가 군대의 장교였던 호세아는 사마리아에서 앗시리아 편에 서서 베가를 암살했다. 디글랏 빌레셀은 호세아에게 에브라임(여기서는 북왕국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의 왕이 되는 것을 허락하여 보상했으며, 에브라임은 영토가 축소되었다.[2] 디글랏 빌레셀 3세의 비문에는 전임자를 전복시킨 후 호세아를 왕으로 세웠다는 내용이 있다.성경에는 호세아에게서 거둔 조공의 양은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약 10년 전(기원전 743년 또는 742년)[4] 므나헴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디글랏 빌레셀에게 1000달란트의 은을 지불해야 했다. 이는 므나헴의 경쟁자 베가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다.
디글랏 빌레셀이 왕위에 있는 동안 호세아는 충성을 유지했지만, 살마네셀 5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호세아는 독립을 되찾으려고 노력했고, 이집트의 소 왕과 협상을 시작했다. 아마도 이집트의 유리한 약속에 현혹된 호세아는 조공을 바치는 것을 중단했다. 빈클러는 티레도 참여했던 이 반앗시리아 운동에서 아랍 상업 국가들이 아라비아-인도 무역에서 앗시리아를 배제하기 위한 마지막 노력이 있었고, 지중해 항구의 점유가 매우 중요했던 것으로 주장한다.
살마네셀은 이를 곧 반역으로 해석하고 군대를 사마리아로 향하게 했다. 앗시리아 연대기는 살마네셀이 기원전 727년, 726년, 725년에 "반대하여"(어딘가, 이름 누락) 전투를 벌였다고 나타내며, 누락된 이름이 사마리아였을 것이라고 추정된다.[5]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살마네셀이 Sha-ma-ra-in(사마리아) 도시를 황폐화시켰다고 기록한다.[2]
기원전 731년 앗시리아 왕 티글랏 빌레셀 3세의 신하로서 왕위에 올랐다. 호세아의 지배 영역은 에브라임 고원 지대에 국한되었다. 기원전 734년 시리아-이스라엘 전쟁에서 패배한 이후, 갈릴리와 요르단 동부 지역은 앗시리아의 지배하에 있었다. 티글랏 빌레셀 3세는 이 일련의 서진에서 므깃도를 정복하고 갈릴리 지역의 여러 주의 행정적 수도로 삼았다. 당시 왕이었던 베가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지만, 앗시리아에 예속되어 조공을 바치는 명목상의 왕이었다.[8]
기원전 727년 티글랏 빌레셀 3세가 죽었을 때, 그의 후계자 살만에셀 5세가 광대한 영토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 호세아는 이집트 왕 소[9](So)의 지원을 요청하여 조공을 중단했다. 그러나 살만에셀 5세는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기원전 725년 사마리아를 포위했다. 호세아는 3년 동안 앗시리아 군에 저항했지만, 기원전 722년에 항복했다. 여기서 북이스라엘 왕국은 멸망했다.
2. 2. 조공
디글랏 빌레셀 3세의 비문에는 호세아를 왕으로 세우고 조공을 받은 기록이 남아있다. 비문에는 "이스라엘(문자 그대로 "옴리의 집" ''Bit-Humria'')…그들의 왕 베가(''Pa-qa-ha'')를 전복시켰고, 나는 호세아(''A-ú -si'')를 그들의 왕으로 세웠다. 나는 그들로부터 10달란트의 금, 1,000(?)달란트의 은을 조공으로 받아 앗시리아로 가져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3]성경에는 호세아가 바친 조공의 양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약 10년 전(기원전 743년 또는 742년)[4] 므나헴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1,000달란트의 은을 지불해야 했던 것을 고려하면,[4] 호세아 역시 상당한 양의 조공을 바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3. 통치와 멸망
기원전 731년 앗시리아 왕 티글랏 빌레셀 3세의 신하로서 왕위에 오른 호세아는 초기에는 앗시리아에 충성하여 조공을 바쳤다.[8] 그의 지배 영역은 에브라임 고원 지대에 국한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734년 시리아-이스라엘 전쟁에서 패배한 이후 갈릴리와 요르단 동부 지역이 앗시리아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이다.
기원전 727년 티글랏 빌레셀 3세가 죽자, 호세아는 그의 후계자 살만에셀 5세가 광대한 영토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집트에 지원을 요청하며 조공을 중단했다. 이에 살만에셀 5세는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기원전 725년 사마리아를 포위했고, 호세아는 3년 동안 저항했지만 기원전 722년 항복하여 북이스라엘 왕국은 멸망했다.
기원전 720년, 살만에셀 5세가 사망하고 앗시리아 군이 일시 철수하자 이스라엘에서 반란이 일어났지만, 산헤리브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후 앗시리아의 이주 정책에 따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페르시아 지역으로 끌려갔고, 바빌론 등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사마리아에 정착하여 옛 북이스라엘 왕국은 앗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
3. 1. 앗시리아와의 갈등
디글랏 빌레셀 3세가 죽고 살만에셀 5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호세아는 독립을 시도하며 이집트의 소 왕과 협상을 시작했다.[2] 호세아는 이집트의 지원 약속에 현혹되어 조공을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살만에셀 5세는 이를 반역으로 간주하고 군대를 사마리아로 보냈다. 앗시리아 연대기는 살만에셀이 기원전 727년, 726년, 725년에 "반대하여"(어딘가, 이름 누락) 전투를 벌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누락된 이름이 사마리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살만에셀이 Sha-ma-ra-in(사마리아) 도시를 황폐화시켰다고 기록한다.[2]
호세아는 이집트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실망하여 조공을 재개하려 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신뢰를 잃은 그는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그럼에도 수도 사마리아는 3년간의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다.
3. 2. 사마리아 함락과 왕국 멸망
호세아는 이집트의 지원 부족으로 조공을 재개하려 했으나, 신뢰를 잃고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수도 사마리아는 3년간 앗시리아 군에 저항했지만, 기원전 722년에 함락되면서 북이스라엘 왕국은 멸망했다. 살만에셀 5세가 사망한 직후 사르곤 2세가 왕위를 이었고, 이스라엘 땅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지만, 사르곤 2세가 기원전 720년에 군대를 이끌고 와 진압했다. 이스라엘 백성은 유프라테스강 너머로 추방되었고(사르곤 2세의 비문에 따르면 약 27,290명), 그 자리에는 바빌론, 쿠타, 아바, 하맛, 셉팔바임 출신 사람들이 이주했다.[8] 열왕기서에 따르면, 이 파괴는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범죄하였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후 호세아의 행방과 사망 시기 및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다.3. 2. 1. 앗시리아의 이주 정책
앗시리아는 정복한 지역의 백성을 다른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러한 정책에 따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페르시아 지역으로 끌려갔다. 앗시리아 비문에는 산헤리브에 의해 약 2만 8천 명이 포로로 잡혀갔다고 기록되어 있다(앗시리아 포로).[8] 한편, 바빌론, 쿠타, 아바, 하맛, 셉팔바임 등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사마리아שומרון|쇼므론he에 정착했다. 이로써 옛 북이스라엘 왕국은 앗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4. 호세아의 최후
호세아는 이집트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실망하여 조공을 재개함으로써 재앙을 피하려 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신뢰를 잃은 그는 싸울 수밖에 없었고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통치자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는 효과적인 방어를 펼쳤다. 그러나 아시리아인들은 3년간의 포위 공격 끝에 사마리아를 함락시켰다. 샬마네셀 5세는 도시가 함락된 직후 사망했고, 아시리아 군대는 사르곤 2세의 계승을 확보하기 위해 소환되었다. 수년 동안 왕 없이 아시리아인들에게 저항했던 이스라엘 땅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사르곤 2세는 기원전 720년 아시리아 군대와 함께 돌아와 왕국을 정복하고, 시민들을 유프라테스강 너머로 추방했으며(사르곤 2세의 비문에 따르면 약 27,290명), 그들의 자리에 바빌론, 쿠타, 아바, 하맛, 셉팔바임 출신의 사람들을 이주시켰다(열왕기하 17:6, 24). 열왕기서에 따르면, 이 파괴는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범죄하였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후 호세아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고, 언제 어디서 죽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5. 고고학적 증거
1990년대 중반, 출처가 불분명한 점토봉인이 골동품 시장에 나타났다. 앙드레 르메르는 서체 분석을 통해 이 봉인을 기원전 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였으며, 그 명문에는 "호세아의 종인 압디 소유"라고 적혀 있다. 진품이라면, 이것은 호세아를 언급하는 유일한 고고학적 증거일 가능성이 있다.[7]
5. 1. 봉인의 내용
1990년대 중반, 출처가 불분명한 점토봉인이 골동품 시장에 나타났다. 앙드레 르메르는 서체 분석을 통해 이 봉인을 기원전 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였으며, 그 명문에는 "호세아의 종인 압디 소유"라고 적혀 있다. 진품이라면, 이것은 현재까지 발견된 이스라엘 비문 중 호세아를 나타내는 유일한 고고학적 증거일 가능성이 있다.[7]5. 2. 진위 여부
1990년대 중반, 출처가 불분명한 점토봉인이 골동품 시장에 나타났다. 앙드레 르메르는 서체 분석을 통해 이 봉인을 기원전 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였으며, 그 명문에는 "호세아의 종인 압디 소유"라고 적혀 있다. 진품이라면, 이것은 현재까지 발견된 이스라엘 비문 중 호세아를 나타내는 유일한 고고학적 증거일 가능성이 있다.[7]참조
[1]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Zondervan/Kregel
[2]
웹사이트
Hoshea
http://www.jewishenc[...]
[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Israel and Judah until the Revolt of Jehu (931–84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Mysterious Numbers
[6]
학술지
The Campaigns of Sargon II of Assur: A Chronological-Historical Study
[7]
학술지
Royal Signature: Name of Israel's Last King Surfaces in a Private Collection
https://www.baslibra[...]
[8]
서적
旧約聖書人名事典
東洋書林
[9]
문서
에지프트 제24왕조 또는 제22왕조의 왕에 대한 논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