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브라임 지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브라임 지파는 야곱의 손자이자 요셉의 아들인 에브라임의 후손으로, 모세오경에 기록되어 있다. 가나안 정복 후 이스라엘 부족 연맹의 일부로 등장하며, 사울을 초대 왕으로 하는 통일 이스라엘 왕국에 합류했으나, 솔로몬 사후 북이스라엘 왕국에 속하게 된다. 북이스라엘 왕국 멸망 이후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추방되어 '잃어버린 지파' 중 하나로 여겨진다. 현대에는 사마리아인, 페르시아 유대인, 텔루구 유대인 등 여러 집단이 자신들을 에브라임 지파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도 에브라임 지파의 후손임을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브라임 지파 - 세겜
    세겜은 히브리 성경에 등장하는 고대 도시로, 벧엘과 실로 북쪽 에브라임 산지, 그리심 산 아래에 위치했으며, 금석병용기 시대부터 주거지가 형성되어 가나안 정착지, 에브라임 지파의 중심지, 북이스라엘의 첫 번째 수도,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는 사마리아인의 주요 거주지로서 현재의 나블루스 지역에 위치하며 성경 속 여러 사건과 관련되어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에브라임 지파 - 게셀
    게셀은 이스라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선사 시대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다양한 문화층을 보여주며, 가나안 시대에 거대한 제의 시설과 방어 시설을 갖추었고, 이집트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며, 게제르 달력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된 이스라엘의 주요 발굴 유적지이다.
에브라임 지파
에브라임 지파 정보
에브라임 지파의 영역이 지도 중앙에 상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에브라임 지파의 영역이 지도 중앙에 상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지역서아시아
중심지세겜, 실로
이전이집트 신왕국
이후이스라엘 왕국
일반 정보
이름 (히브리어)אֶפְרַיִם
종교유대교
관련 인물요셉, 므낫세, 여호수아, 예로보암
상징황소
할당된 땅요단강 서쪽의 비옥한 중앙 지역
역사적 배경
기원야곱의 손자, 요셉의 둘째 아들 에브라임
성경 속 위치출애굽기에서 가나안 정복까지 중요한 역할
사사기 시대에 강력한 영향력 행사
북이스라엘 왕국의 핵심 지파
특징
역할군사적 중요성, 정치적 야망
갈등기드온과의 갈등 (자존심 문제), 유다 지파와의 경쟁 (주도권 다툼)
쇠퇴아시리아에 의해 멸망 (기원전 722년경)
성경적 중요성
예언에브라임의 회복에 대한 예언 (미래의 영광과 번영)
상징적 의미하나님의 백성, 회개와 회복의 가능성
기타 정보
관련 용어므낫세 지파, 요셉의 집
참고 자료성경, 유대교 문헌, 역사 기록

2. 성경

모세오경에 따르면 에브라임 지파는 야곱의 손자이자 요셉과 아스낫의 차남이자 므나쎄의 동생인 에브라임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49][50] 요셉의 두 아들은 야곱에게 입양되어 각각 지파의 시조가 되었다.

여호수아기에서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점령한 뒤 가나안 땅을 상속받는 지파 중 하나로 등장한다. 이 정벌 사건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는데, 케네스 키친은 기원전 1200년으로 추정했고[51] 기원전 1500년경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52]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정벌한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적이 없다고 본다.[53][54][55] 이스라엘 지파 대부분이 실제로는 가나안의 토착민이었다고 보는 것이 주류 의견이다.[56][57]

가나안 정복 이후 이스라엘 왕국 성립 전까지는 판관들이 이끌었으며, 판관 입다는 길르앗 사람들을 모아 암몬인과의 전쟁을 원조하지 않은 에브라임 지파 사람들을 공격해 무찔렀다.[59]

블레셋의 위협으로 이스라엘 부족들은 사울을 초대 왕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형성했다. 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들의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여러 반대 의견이 있다.[62]

기원전 930년경 르호보암이 왕위에 오르자 가나안 북부의 지파들은 다윗 왕가에서 갈라져 북이스라엘 왕국을 형성했고, 초대 왕 여로보암이 에브라임 지파 출신이었다. 에브라임 지파는 기원전 723년경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멸망하여 추방될 때까지 왕국의 일원이었다.[64]

2. 1. 기원

모세오경에 따르면 에브라임 지파는 야곱의 손자이자 요셉과 아스낫의 둘째 아들인 에브라임의 후손이다.[49][50] 요셉의 두 아들(에브라임, 므나쎄)은 야곱에게 입양되어 각각 지파의 시조가 되었는데, 이는 다른 야곱의 아들들과 구별되는 특별한 경우이다.

여호수아기에서는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정복하고 땅을 분배받은 지파 중 하나로 묘사된다.[4] 그러나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다는 데 회의적이며, 대부분의 이스라엘 지파가 가나안 토착민이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53][54][55][56][57]

2. 2. 판관 시대

가나안 정착 이후 이스라엘 왕국 성립 이전까지 에브라임 지파는 느슨한 이스라엘 부족 연맹의 일원이었다. 당시 이스라엘에는 중앙 정부가 없었기 때문에 민족적 위기가 닥치면 판관들이 백성을 이끌었다.[58]

판관 중 한 명인 입다는 길르앗 사람들을 모아 암몬인과의 전쟁을 원조하지 않은 에브라임 지파 사람들을 공격해 무찔렀다. 길르앗 군은 에브라임 지역의 요르단강 나루를 차지하고 에브라임 사람이 도망치다가 건네달라고 하면, 에브라임 사람이냐고 묻고 아니라고 하면 "쉽볼렛"이라고 말해 보라고 하고, 그대로 발음하지 못하고 "십볼렛"이라고 하면 잡아서 요르단강 나루턱에서 죽였다. 이렇게 하여 그 때 죽은 에브라임 사람의 수는 42,000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59]

2. 3. 통일 이스라엘 왕국 시대

블레셋의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부족들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형성하기로 결정했고, 에브라임 지파는 사울을 초대 왕으로 하는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60] 사울 사후, 유다 지파를 제외한 모든 지파는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을 왕으로 추대했다.[60] 그러나 이스보셋 사후 에브라임 지파는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함께 다윗을 왕으로 추대하여 왕국을 재통합했다.[61] 다만, 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들의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이견이 존재한다.[62]

2. 4. 북이스라엘 왕국 시대

기원전 930년경 르호보암이 왕위에 오르자 가나안 북부의 지파들은 다윗 왕가에서 갈라져 북이스라엘 왕국을 형성했다. 에브라임 지파 역시 여기에 속했는데, 초대 왕 여로보암이 에브라임 지파 출신이었다.[63] 여로보암의 후손이 왕위를 계속 잇지는 못했지만, 소선지서 등에서는 에브라임 지파를 유다 지파와 마찬가지로 북이스라엘 왕국을 나타내는 대명사로 종종 사용했다.[63] 에브라임 지파는 기원전 723년경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나라가 멸망하고 추방될 때까지 왕국의 일원으로 여겨졌다.[64]

2. 5. 멸망

기원전 723년경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면서 에브라임 지파는 추방되었고, 이후 잃어버린 지파 중 하나로 여겨진다.[64]

3. 영역

여호수아기에 따르면, 에브라임 지파는 요르단강 서쪽의 중부 지역에 땅을 분배받았다. 동쪽으로는 요르단강, 북쪽으로는 므나쎄 지파, 남쪽으로는 베냐민 지파, 서쪽으로는 단 지파와 경계를 접했다.[65][66][67][68] 이 지역은 산지가 많아 에브라임 산지로 불렸으며, 후에는 사마리아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65][66][67][68]

에브라임 산지는 군사적, 지리적 이점을 제공했으며, 유다 왕국과 접해 요충지 역할을 했다. 세겜과 실로 등 주요 성읍이 에브라임 지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에브라임 지파는 북이스라엘 왕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69]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지도; 에브라임은 서쪽에 연한 노란색으로 음영 처리됨


에브라임의 경계는 동쪽의 요르단강에서 서쪽의 지중해까지 뻗어 있었으며, 벧엘(현재 베이틴[27]), 아다롯, 베트 호론 더 네더(현재 바이트 우르), 게셀(현재 아부 슈셰, 이전에는 ''텔 엘 예제르''로 알려짐) 및 지중해를 포함했다.[28]

투델라의 벤자민은 에브라임 영토의 최남단 경계가 남서쪽으로 야브네 마을까지 뻗어 있다고 기록했다.[31]

3. 1. 베델 문제

여호수아기에서는 베델을 베냐민 지파의 성읍으로 기술하고 있지만,[70] 판관기드보라 대목에서는 에브라임 지파의 땅으로 묘사한다.[71] 통일 이스라엘 왕국이 분열되고 약 20년 후, 아비얌 왕이 여로보암의 이스라엘 왕국을 공격하여 베델, 여사나, 에브론과 그 주변 지역을 점령했다.[72]

4. 현대의 주장

에브라임 지파는 기원전 723년 아시리아에 의해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면서 역사에서 사라진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로 여겨진다.[9] 하지만, 여러 현대 집단들이 자신들을 에브라임 지파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사마리아인: 이들은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문화적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고 주장한다.
  • 페르시아 유대인: 페르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유대인들 중 일부는 자신들이 에브라임 지파의 후손이라고 믿는다.
  • 텔루구 유대인(베네 에브라임): 인도의 텔루구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공동체로, 자신들을 에브라임 지파의 후손이라 칭하며 '베네 에브라임'(에브라임의 자손들)이라고 부른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그들의 많은 회원이 에브라임 지파의 후손이거나, 에브라임 지파에 입양되었다고 믿는다. 이들은 잃어버린 이스라엘 지파들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르친다.

5. 일유동조론 (日ユ同祖論)

구보 유마사는 황실의 기원을 에브라임 지파의 왕가로 보고 있다.[48]

참조

[1] 서적 "''Ephraim,''"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W.B. Eerdmans
[2] 서적 A Companion to Samaritan Studies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3] 문서 Genesis 41:50-52, Genesis 30
[4] 간행물 Numbers 13:8, Chronicles 7:20-27
[5] 서적 Joshua https://books.google[...] Eerdmans
[6] 서적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Congress Volume Oslo 1998 BRILL 2017-01-15
[7] 서적 The Forgotten Kingdom: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Northern Israel https://www.sbl-sit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8] 서적 The Forgotten Kingdom: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Northern Israel https://www.sbl-sit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9] 간행물 Kings 11:26
[10] 서적 The Forgotten Kingdom: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Northern Israel https://www.sbl-sit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11]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2] 서적 The Face of Old Testament Studies: A Survey of Contemporary Approaches Baker Academic 2004-10-01
[13] 서적 Jewish Studi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1: Biblical, Rabbinical, and Medieval Studies BRILL
[14]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17
[15] 문서 Hosea 9:13
[16] 문서 Genesis 49:22
[17] 문서 Deuteronomy 33:13-16
[18] 문서 Isaiah 28:1
[19] 문서 Jewish Encyclopedia
[20] 간행물 Joshua 16:1-4
[21] 간행물 Joshua 16:5-8
[22] 간행물 Joshua 18:11-28
[23] 간행물 Judges 4:5
[24] 간행물 2 Chronicles 13:17-19
[25] 간행물 Joshua 18:20-28
[26] 문서 Carta's Official Guide to Israel and Complete Gazetteer to all Sites in the Holy Land
[27] 문서 Carta's Official Guide to Israel
[28] 문서 Joshua 16:1
[29] 문서 Joshua 16:10
[30] 문서 Archaeological Researches in Palestine during the Years 1873-1874
[31] 문서 The Itinerary of Benjamin of Tudela
[32] 문서 Genesis 30
[33] 문서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34] 문서 Genesis 48:13-20
[35] 문서 Joshua 17:14-18
[36] 웹사이트 The Book of Chronicles and the Ephraimites that Never Went to Egypt https://www.thetorah[...] 2015-04-08
[37] 웹사이트 1 Chronicles 7 Keil and Delitzsch OT Commentary https://biblehub.com[...] 2024
[38] 웹사이트 1 Chronicles 7 Gill's Exposition https://biblehub.com[...] 2024
[39] 웹사이트 Israel'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Biblical Right to the Land https://www.thetorah[...] 2018-04-15
[40] 서적 The Bible Unearthed
[41] 성경 2 Chronicles 15:8-11
[42] 성경 2 Chronicles 30:1, 30:10, 30:18, 34:6, 34:9
[43] 성경 Ps 78:67,68
[44] 뉴스 ‘Lost tribe of Israel’ found in southern India http://www.cjnews.co[...] Canadian Jewish News 2010-10-07
[45] 성경 Genesis 49:22
[46] 서적 The Millennial Messiah 1982
[47] 문서 ヨシュア記 第14章 4節 https://ja.wikisourc[...]
[48] 문서 久保 2003 p.170
[49] 서적 A Companion to Samaritan Studies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50] 성경 창세기 41:50-52
[51]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52] 논문 The Date of the Conquest https://biblicalstud[...] 1990
[53] 서적 The Face of Old Testament Studies: A Survey of Contemporary Approaches Baker Academic 2004-10-01
[54] 서적 Jewish Studi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1: Biblical, Rabbinical, and Medieval Studies BRILL
[55]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17
[56] 서적 Joshua https://books.google[...] Eerdmans
[57] 서적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Congress Volume Oslo 1998 BRILL 2017-01-15
[58] 문서 판관기
[59] 성경 판관기 12장
[60] 성경 삼하 2:9-10
[61] 문서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기
[62] 서적 The Forgotten Kingdom: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Northern Israel https://www.sbl-sit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63] 문서 이사야서, 호세아서, 즈가리야서
[64] 문서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기
[65] 성경 Hosea 9:13
[66] 성경 Genesis 49:22
[67] 성경 Deuteronomy 33:13-16
[68] 성경 Isaiah 28:1
[69] 백과사전 Jewish Encyclopedia
[70] 성경 여호수아기 18장
[71] 성경 판관기 4:5
[72] 성경 역대하 13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