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프베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프베이는 남극 반도 트리니티 반도에 위치한 만으로, 1902년 스웨덴 남극 탐험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탐험대는 이곳에서 겨울을 보내며 '희망'이라는 뜻의 이름을 붙였다. 호프베이는 1952년 아르헨티나와 영국 연구진 간의 총격전인 호프베이 사건이 발생한 곳으로,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영국의 연구 기지가 위치해 있다. 또한 약 125,000쌍의 아델리펭귄이 서식하는 등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리니티반도 - 프라임헤드
남극 반도 북쪽 트리니티 반도 북쪽 끝에 위치한 프라임헤드는 1963년 영국 남극 지명 위원회가 남극 반도의 첫 번째 지형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명명되었으며, 시프리 곶에서 동남동쪽으로 2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남극의 역사 - 노이슈바벤란트
노이슈바벤란트는 1939년 독일 남극 탐험대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명명한 지역으로, 경제적 목적과 남극 해군 기지 건설 의도가 있었으나, 현재는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드로닝 모드 랜드의 일부이며, 나치 UFO 음모론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 남극의 역사 - 남극 탐험의 영웅시대
남극 탐험의 영웅시대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과학적 탐구, 자원 확보, 국가적 위상 강화를 목적으로 남극 탐험이 재개된 시대로, 여러 탐험가들의 희생이 있었다. - 영국령 남극 지역 - 그레이엄랜드
그레이엄랜드는 남극반도 북쪽에 위치하며 케이프 제러미와 케이프 아가시즈를 잇는 남쪽 경계를 가지는 지역으로, 1820년 발견되어 1832년 명명되었고, 여러 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나 남극 조약에 따라 동결되었다. - 영국령 남극 지역 - 애들레이드섬
애들레이드섬은 남극 반도 서쪽에 위치하며, 1832년에 발견되어 영국의 아델라이드 여왕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고, 현재 로테라 연구 기지가 운영 중이다.
호프베이 | |
---|---|
위치 정보 | |
좌표 | 63°23′S 56°59′W |
일반 정보 | |
종류 | 만 |
위치 | 남극 |
지리 | |
길이 | 3 해리 (5.6 km; 3.5 마일) |
너비 | 2 해리 (3.7 km; 2.3 마일) |
2. 역사
1902년 1월 15일 오토 노르덴스키욀드가 이끄는 스웨덴 남극 탐험대가 호프베이를 처음 발견했다. 1952년에는 남극 대륙 역사상 유일한 총격전인 호프베이 사건이 벌어졌다. 이처럼 호프베이는 남극 탐험 역사에서 중요한 장소이다.
2. 1. 발견과 초기 탐험
1902년 1월 15일 오토 노르덴스키욀드가 이끄는 스웨덴 남극 탐험대가 호프베이를 처음 발견하였다. 탐험대의 배인 남극 호가 얼음에 부딪혀 침몰한 후, 탐험대원 J. 군나르 안데르손, S.A. 두세, 토랄프 그룬덴이 이곳에서 겨울을 보내게 되자, 노르덴스키욀드는 이 만에 '희망'이라는 뜻의 이름을 붙였다.[1]1903년 1월, 스웨덴 남극 탐험대는 돌무더기를 쌓아 오두막을 지어 겨울을 버텼다. 이후 이들은 아르헨티나 코르벳선 ARA 우루과이 호에 의해 구조되었다. 탐험대원들이 지은 오두막은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으며, 남극조약 자문회의에서 아르헨티나와 영국의 제안으로 '남극 사적지'(관리번호 HSM 39)로 지정되었다.[2]
2. 2. 호프만 사건
1952년, 남극 대륙 역사상 유일하게 총격전이 벌어진 호프베이 사건이 이곳에서 일어났다. 아르헨티나 탐사대원들이 존 비스코호에서 보급품을 내리던 영국 남극 연구원 측 인원들의 머리 위로 기관총을 발사한 사건이었다.[2] 아르헨티나 측은 이후 오해가 빚어져 생긴 일이었으며, 현장에 있던 아르헨티나 군사령관이 월권 행위를 했다며 외교적으로 사과했다.[2] 그러나 당시 아르헨티나와 영국의 남극 진출 경쟁으로 마찰이 고조되던 시기였기에, 사건의 중심에 있던 아르헨티나 대원들은 본국으로 귀국하자마자 영웅 대접을 받기도 하였다.[2]3. 연구 기지
호프베이에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연구 기지와 영국의 폐쇄된 연구 기지가 있다.
- 에스페란사 기지 (Esperanza Base)는 1952년 건설된 아르헨티나의 연구 기지로 연중 운영된다. 아르헨티나 남극 연구소에서 운영하며, 동절기 상주인원은 평균 55명이다. 이 기지의 건설로 펭귄 서식지가 일부 이전되었다.
- 엘리치비베에티 기지는 1997년 12월 22일 남극 반도에 건설된 우루과이의 연구 기지로 하절기에만 운영된다. 기지 명칭은 어니스트 섀클턴 탐험대가 엘리펀트섬에 고립되었을 당시 구조 지원에 나섰던 우루과이 해군 중장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스페인어 약어인 '에카레 기지'(ECARE)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4]
- 스테이션 D (Station D, D기지)는 1945년 건설되어 지금은 폐쇄된 영국의 옛 연구 기지이다. 1948년 11월 8일 화재로 2명이 사망했고,[3] 1952년 2월 4일 새 건물 '트리니티 하우스'가 건설되었으나 1964년에 폐쇄되었다. 1997년 12월 8일 영국 남극 연구소는 남은 설비를 우루과이에 넘겨 엘리치비베에티 기지가 탄생했다.[4]
3. 1. 에스페란사 기지 (아르헨티나)
에스페란사 기지는 1952년에 건설된 아르헨티나의 연구 기지로, 연중 상시 운영된다. 아르헨티나 남극 연구소에서 운영하며, 겨울철에는 평균 55명이 상주한다. 이 기지 건설로 펭귄 서식지가 일부 이전되었다.
3. 2. 엘리치리베에티 기지 (우루과이)
엘리치비베에티 기지는 1997년 12월 22일 남극 반도에 건설된 우루과이의 연구 기지로 하절기에만 운영된다. 기지 명칭은 어니스트 섀클턴 탐험대가 엘리펀트섬에 고립되었을 당시 구조 지원에 나섰던 우루과이 해군 중장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스페인어 약어인 '에카레 기지'(ECARE)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1]영어권에서는 스페인어 두문자어 ''ECARE''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2] 1997년 12월 22일 우루과이 남극 연구소에 의해 남극 반도에 세워진 우루과이 여름 남극 연구 기지이다.[2]
3. 3. 스테이션 D (영국, 폐쇄)
스테이션 D (D기지)는 1945년 건설되어 지금은 폐쇄된 영국의 옛 연구기지로 동절기 상주인원은 13명에 달했다.1948년 11월 8일 화재가 발생하여 두 명이 사망했으며,[3] 1952년 2월 4일 새로운 장소에 기지 건물을 세웠고 이들 건물에 대해 '트리니티 하우스' (Trinity House)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나 1964년에 폐쇄되었다. 1997년 12월 8일 영국 남극 연구소는 스테이션 D의 남은 설비를 우루과이에 넘겼고, 그 결과 루페르토 엘리치리베헤티 우루과이 남극 과학 기지가 탄생했다.[4]
4. 지리
호프 만은 그레이엄 랜드 북쪽 해안, 남극 반도 끝부분을 형성하는 트리니티 반도에 있다. 브랜스필드 산 남쪽, 모트 설원 남서쪽에 있으며, 서쪽으로는 남극 해협이 열려 있고 조인빌 섬을 마주본다. 또한 타바린 반도의 북동쪽 끝을 이룬다.[1]
4. 1. 주변 지형
호프 만은 남극 반도 끝부분을 형성하는 트리니티 반도에 위치한다. 서쪽으로는 남극 해협과 조인빌 섬을 마주보고 있으며, 타바린 반도의 북동쪽 끝을 정의한다.[1]주요 지형 및 인근 지형은 다음과 같다. (동쪽부터 시계 방향):
호프베이 북쪽 입구 주변 지형은 다음과 같다. (서쪽에서 동쪽):
- 안데르손 누나탁: 셰퍼드 포인트 서쪽 1nmi 지점에 위치. 1903년 호프만에서 겨울을 보낸 스웨덴 남극 탐험대의 요한 군나르 안데르손의 이름을 따서 명명.[3]
- 코트 누나탁: 셰퍼드 곶 북쪽에 인접한 높이 60m의 원뿔형 누나탁.[4]
- 셰퍼드 포인트: 호프만 입구 북쪽 지점. 1945년 호프만에 FIDS 과학 기지를 설립한 이글(Eagle) 호의 선장 R. 셰퍼드를 기려 명명.[5]
- 컨택트 포인트: 호프만 만 북쪽, 셰퍼드 곶 서쪽에 있는 작은 암석 곶. 사암, 응회암, 섬록암 노출로 타바린 반도 지질 해석에 중요.
호프 만 서쪽 인근 지형은 다음과 같다. (서쪽에서 동쪽):
- 테일러 산: 높이 1000m의 평평한 산. 1945년 호프만 기지의 FIDS 사령관 A. 테일러 선장 이름을 따 명명.
- 위럴 갭: 테일러 산과 블레이드 능선 사이의 가파르고 바위가 많은 고개.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향 때문에 붙여진 이름.
- 블레이드 리지: 최고봉 높이 575m}의 세 봉우리로 된 날카로운 암석 능선.
- 휘튼 봉: 높이 445m의 피라미드 봉우리. 1944-45년 FIDS 작전에 참여한 이글호의 일등 항해사 R. 휘튼의 이름을 따 명명.
- 트윈 봉: 높이 750m의 두 봉우리. 테일러 산 북쪽 1.5nmi, 호프 만 서쪽 2nmi 지점에 위치.
- 아레나 빙하: 길이 3nmi의 빙하. 쌍둥이 봉우리, 테일러 산, 블레이드 능선의 경사면에 둘러싸인 경기장 같은 모습 때문에 붙여진 이름.


호프베이 남쪽 해안 및 인근 지형은 다음과 같다. (서쪽에서 동쪽):
- 스크래먼 힐: 호프만 만 머리에서 1nmi 떨어진 남동쪽 해안을 따라 뻗어 있는, 빙하 줄무늬가 있는 작은 언덕 능선.
- 라구나 호프: 플로라 산 북쪽 0.5nmi 지점에 위치한 작은 호수.
- 플로라 산: 높이 520m의 산. 쥐라기 식물 화석을 발견한 요한 군나르 안데르손이 명명.
- 노비 누나탁: 높이 270m의 누나탁. 뵈켈라 호수 남쪽 1nmi, 플로라 산 동쪽 1nmi 지점에 위치.
- 더 램프: 높이 125m의 모래 언덕. 보에켈라 호수 바로 동쪽, 헛 코브 남쪽 0.5nmi 지점에 위치.
- 뵈켈라 호수: 호프 만에서 0.3nmi 떨어진 작은 호수. 갑각류 보에켈라(Boeckella)의 이름을 따 명명.
- 이글 만: 호프만 만 남쪽 해안, 실 포인트 바로 서쪽에 위치한 작은 만. FIDS 기지 건설에 참여한 ''이글'' 호를 기려 명명.
- 실 포인트: 호프만 만 남동쪽 해안에서 이글 코브와 헛 코브 사이 북쪽으로 뻗어 있는 지점. 탐험대가 바다표범을 잡아 식량과 연료 부족을 해결하여 명명.
- 헛 코브: 실 포인트와 그런덴 록 사이에 위치한 작은 만. 영국 남극 조사(FIDS)가 스웨덴 남극 탐험대처럼 만 남쪽 해안에 기지 오두막을 건설하여 명명.
- 그런덴 록: 호프 만 동쪽, 헛 만 중앙 근처에 있는 뾰족한 바위 무리.
- 그런덴 바위: 호프만 만 입구 남쪽, 헛 코브 동쪽에 인접한, 작은 암석군으로 둘러싸인 높이 15m의 암석.
- 스톤 포인트: 호프 만 입구 남쪽을 표시하는 작은 섬이 떨어진 지점.
4. 2. 항해 지침
미국 국방지도국(US Defense Mapping Agency)의 『남극 항해 지침서』(1976)는 호프만만(Hope Bay)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1]호프만만은 셰퍼드 곶(Sheppard Point)과 스톤 곶(Stone Points) 사이, 즉 북서쪽과 남동쪽 입구 사이의 폭이 약 약 2.68km이며, 해안을 따라 남서쪽 방향으로 약 4.02km 정도 굴곡을 이룬다. 북서쪽 입구는 가파른 얼음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 입구에서 가파르고 날카로운 능선이 있는 산들이 뒤를 받치고 있는데, 이 산들은 남서쪽으로 뻗어 계곡의 벽을 형성한다. 셰퍼드 곶에서 남서쪽으로 약 3.62km 떨어진 곳에 높이 약 약 91.44m의 절벽을 가진 누나탁이 눈에 띈다. 만 반대편에는 여러 개의 높고 뾰족한 누나탁이 높고 바위투성이인 벽에 뚜렷하게 보인다. 남동쪽 곶에서 경사면은 낮고 언덕이 많은 앞쪽 땅으로 이어진다. 만 입구에는 거대한 계곡 빙하와 측면 퇴적구릉이 있으며, 이는 물가에서 높은 수직 절벽을 이루며 끝난다. 이 빙하는 남쪽으로 어느 정도 뻗어 있는 고지대 빙상에 의해 공급된다.
만 입구에 있는 휘튼 봉(Whitten Peak)은 해발 약 446.53m 높이로 솟아 있으며, 높이 약 997.92m의 평평한 정상과 얼음 덮인 테일러 산(Mount Taylor)에 의해 뒷받침된다. 높이 약 520.60m의 플로라 산(Mount Flora)은 만 입구 동쪽에 위치해 있다.
5. 생태
호프베이는 아델리펭귄 약 125,000쌍이 서식하는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서식지 중 하나이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 (IBA)으로 지정되었다.[5]
5. 1. 중요 조류 지역 (IBA)
호프베이는 아델리펭귄 약 125,000쌍이 서식하는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서식지 중 하나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 (IBA)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에는 아델리펭귄 외에도 젠투펭귄, 갈색스쿠아, 남극제비갈매기, 윌슨바다제비, 괭이갈매기, 흰집게 등도 둥지를 틀고 서식한다.[5]참조
[1]
서적
Antarctica: Or, Two Years Amongst the Ice of the South Pole
Hurst and Blackett, limited
1905
[2]
웹인용
List of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approved by the ATCM (2012)
http://www.ats.aq/do[...]
Antarctic Treaty Secretariat
2013-12-31
[3]
웹사이트
Deaths of FIDS and BAS Staff in Antarctica
http://www.antarctic[...]
[4]
웹사이트
Station D
https://www.bas.ac.u[...]
British Antarctic Survey
[5]
웹인용
Heywood Island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