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탐험의 영웅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극 탐험의 영웅 시대는 대항해 시대 이후 제임스 쿡의 탐험을 시작으로 19세기 말까지 이어진 남극 탐험의 시기를 일컫는다. 이 시기 탐험가들은 남극 대륙의 해안선을 탐사하고, 해빙 장벽을 돌파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벨기에, 영국, 독일, 스웨덴, 프랑스, 노르웨이, 일본 등 여러 국가가 참여했으며, 카르스텐 보르크그레빈크, 로버트 팰컨 스콧, 로알 아문센, 어니스트 섀클턴 등 주요 탐험가들이 활약했다. 이 과정에서 22명이 사망하는 등 위험이 따랐으며, 탐험의 목적, 방식, 영웅적 면모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영웅 시대의 종말에 대한 정확한 시기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섀클턴의 사망이나 기술 발전 등을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남극 탐험의 영웅시대 |
---|
2. 역사적 배경
대항해 시대 이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은 남극 지역을 항해한 초기 탐험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두 번째 항해(1772년-1775년)는 세계 지도를 영구적으로 바꾸었다.[6] 이전에는 '테라 아우스트랄리스'라는 거대한 대륙이 남반구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믿었지만, 쿡은 그러한 육지가 없으며, 거대한 유빙이 남극 접근을 막는다는 것을 발견했다.[6] 그는 얼음 양으로 미루어 보아 얼음이 발생하는 육지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너무 남쪽에 있어 사람이 살 수 없고 경제적 가치도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6] 이후 세계 남부 지역 탐험은 중단되었다.
1819년에서 1843년 사이에 탐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나타났다.[7] 유럽이 전쟁과 불안의 시기를 거쳐 안정되면서, 파비안 고틀리프 폰 벨링스하우젠, 존 비스코, 존 발레니, 찰스 윌크스, 쥘 뒤몽 드 뷔르빌, 제임스 클라크 로스 등 여러 탐험가들이 남극 지역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얻고자 했다.[7] 이들의 주요 목표는 남극 대륙을 덮고 있는 광대한 해빙 장벽을 뚫는 것이었으나, 대륙 내부로 진입할 수는 없었고 해안선을 따라 불규칙하게 이어진 새로운 육지를 발견하는 데 그쳤다.
이후, 역사가 H. R. 밀은 이 시기를 "관심 회피 시대"라고 불렀다.[8] 제임스 클라크 로스는 남극 탐험 이후, 남쪽 지역에 탐험할 만한 과학적 발견이 없다고 제안했다.[8] 로스의 영향력과 북극에서 프랭클린 탐험대의 실종은 극지 연구에 대한 무관심을 낳았다.[8]
남극 탐험 재개의 초기 동기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이는 모호하고 다면적인 국제적 움직임이었다. 게오르크 폰 노이마이어는 멜버른 천문대에서 일하면서 남극 탐험 재개를 위해 노력했다.[7] 그는 기상학의 중요성과 남극 정보가 정확한 일기 예보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었다. 1892–93년 던디 남극 탐험 또한 남극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9]
존 머레이는 1893년 왕립 지리학회에서 "남극 탐험의 갱신"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했다.[10] 머레이는 남극 연구가 "남부에서 여전히 제기되는 미해결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1] 1895년, 런던에서 열린 제6차 국제 지리학회는 전 세계 과학 협회에 남극 탐험을 장려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12]
2. 1. 초기 탐험 (~18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은 남쪽으로 항해한 몇 안 되는 탐험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두 번째 항해(1772년-1775년)는 세계 지도를 영구적으로 바꾸었다.[6] 그 이전에는 테라 아우스트랄리스라는 거대한 대륙이 남반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쿡은 그러한 거대한 육지는 없으며, 거대한 빙원이 남극 대륙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6] 그는 얼음의 양으로 미루어 보아 얼음이 있는 육지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그 육지가 너무 남쪽에 있어 사람이 살 수 없고 경제적 가치도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6]2. 2. 관심 재점화와 탐험 재개 (19세기 초중반)
19세기 초중반, 유럽의 정세가 안정되면서 남극 탐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7] 파비안 고틀리프 폰 벨링스하우젠과 미하일 라자레프가 이끈 러시아 탐험대(1819-1821)는 남극 대륙을 최초로 발견하고 공식적으로 확인했다.[7] 이들은 남극 대륙을 일주하며 해빙 장벽 돌파를 시도했다.[7]
존 비스코, 존 발레니, 찰스 윌크스, 쥘 뒤몽 드 뷔르빌, 제임스 클라크 로스 등도 남극 탐험에 참여하여 남극 지역에 대한 지식을 넓혔다.[7] 찰스 윌크스는 빅토리아 랜드를 발견하고, 공포산과 에레부스 산을 1840년에 명명했다.[7]
이 시기 남극에 대한 초기 지식은 물개 사냥꾼과 고래잡이들의 활동에서 비롯된 것이 많았다.[7] 1821년에는 미국 물개 사냥꾼이 남극 본토에 처음 상륙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7]
이 탐험가들은 남극 탐험에 큰 공헌을 했지만, 대륙 내부로는 진입하지 못하고 해안선을 따라 새로운 육지를 발견하는 데 그쳤다.[7]
2. 3. 관심 회피 시대 (19세기 중후반)
제임스 클라크 로스는 1841년 1월 HMS 에레부스 호와 HMS 테러 호를 이끌고 남극 탐험을 마친 후, 남극 지역에 더 이상 탐험할 만한 과학적 발견이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을 제시했다.[8] 1848년 북극에서 프랭클린 탐험대가 실종된 사건이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왕립 학회를 중심으로 극지 연구에 대한 무관심, 혹은 최소한 상당한 자원을 투자하려는 의지가 부족해졌다.[8] 로스의 귀환 후 20년 동안 남극 탐험은 국제적으로 전반적인 침체기에 접어들었다.[8]역사가 휴 로버트 밀은 이 시기를 "관심 회피 시대"라고 불렀다.[8]
2. 4. 탐험 재개의 동기
대항해 시대 이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은 남극 지역을 항해한 초기 탐험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두 번째 항해(1772년-1775년)는 세계 지도를 영구적으로 바꾸었다.[6] 이전에는 '테라 아우스트랄리스'라는 거대한 대륙이 남반구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믿었지만, 쿡은 그러한 육지가 없으며, 거대한 유빙이 남극 접근을 막는다는 것을 발견했다.[6] 그는 얼음 양으로 미루어 보아 얼음이 발생하는 육지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너무 남쪽에 있어 사람이 살 수 없고 경제적 가치도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6] 이후 세계 남부 지역 탐험은 중단되었다.1819년에서 1843년 사이에 탐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나타났다.[7] 유럽이 전쟁과 불안의 시기를 거쳐 안정되면서, 파비안 고틀리프 폰 벨링스하우젠, 존 비스코, 존 발레니, 찰스 윌크스, 쥘 뒤몽 드 뷔르빌, 제임스 클라크 로스 등 탐험가들이 남극 지역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얻고자 했다.[7] 이들의 주요 목표는 남극 대륙을 덮고 있는 광대한 해빙 장벽을 뚫는 것이었다. 벨링스하우젠과 미하일 라자레프의 탐험은 남극 본토를 최초로 발견하고 공식적으로 확인했으며, 윌크스는 빅토리아 랜드를 발견하고 공포산과 에레부스 산으로 알려진 화산의 이름을 1840년에 명명했다.[7] 물개 사냥꾼과 고래잡이들의 경제 활동 또한 초기 남극 지식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 탐험가들은 대륙 내부로 진입할 수 없었고, 그들의 발견은 남극 대륙 해안선을 따라 불규칙하게 이어진 새로운 육지를 형성했다.
이후, 역사가 H. R. 밀은 이 시기를 "관심 회피 시대"라고 불렀다.[8] 제임스 클라크 로스는 1841년 1월 HMS ''에레부스'' 호와 HMS ''테러'' 호를 이용한 탐험 이후, 남쪽 지역에 탐험할 만한 과학적 발견이 없다고 제안했다.[8] 로스의 영향력과 1848년 북극에서 프랭클린 탐험대의 대대적인 손실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극지 연구에 대한 무관심이 이어졌다.[8] 로스가 귀환한 후 20년 동안 남극 탐험은 국제적으로 침체기에 접어들었다.[8]
남극 탐험 재개의 초기 동기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이는 모호하고 다면적인 국제적 움직임이었다. 게오르크 폰 노이마이어는 멜버른 천문대에서 일하면서 1861년부터 남극 탐험 재개를 위해 노력했다.[7] 그는 기상학의 중요성과 남극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더 정확한 일기 예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믿었다. 1892–93년 던디 남극 탐험 또한 남극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9]
존 머레이는 1893년 11월 27일 왕립 지리학회에서 "남극 탐험의 갱신"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했다.[10] 머레이는 남극 연구가 "남부에서 여전히 제기되는 미해결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1] 1895년 8월, 런던에서 열린 제6차 국제 지리학회에서 전 세계 과학 협회에 남극 탐험을 장려할 것을 촉구하는 일반 결의안이 통과되었다.[12] 카르스텐 보르크그레빈크는 이 회의에서 케이프 아데어를 기지로 하는 전면적인 남극 탐험 계획을 설명했다.[13]
3. 1897-1922년의 탐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이어진 남극 탐험의 영웅시대에는 여러 국가에서 남극 탐험대를 파견하여 남극 대륙과 주변 지역에 대한 과학적, 지리적 탐사를 진행했다.
1897년부터 1922년 사이에 이루어진 주요 탐험과 그 성과는 다음과 같다.
- 벨기에 남극 탐험(1897-1899): 아드리앵 드 제를라슈가 이끌었으며, 남극권에서 최초로 월동하며 1년간의 관측 기록을 남겼다.[3][20][21]
- 서던 크로스 탐험(1898-1900): 카르스텐 보르크그레빈크가 이끌었으며, 남극 본토에서 최초로 월동하며 개와 썰매를 이용한 탐험을 했다.[23][24][25]
- 디스커버리 탐험(1901-1904): 로버트 팰컨 스콧이 이끈 영국 탐험대는 빅토리아 랜드를 탐험하고 남극 고원을 발견했다.[27][28][29]
- 가우스 탐험(1901-1903): 에리히 폰 드라이갈스키가 이끈 독일 탐험대는 동남극을 탐사하고 카이저 빌헬름 2세 랜드를 발견했다.[30][31][32]
- 스웨덴 남극 탐험(1901-1903): 오토 노르덴셸드가 이끌었으며, 그레이엄 랜드 동쪽 해안을 탐험했다.[33][34][35]
- 스코틀랜드 국립 남극 탐험(1902-1904): 윌리엄 스피어스 브루스가 이끌었으며, 사우스 오크니 제도에 기상 관측소를 설치하고 코츠 랜드를 발견했다.[36][37]
- 프랑스 남극 탐험(1903-1905, 1908-1910): 장바티스트 샤르코가 두 차례 이끌었으며, 남극 반도 서부 해안을 탐험하고 지도를 제작했다.[38][39][40]
- 님로드 탐험(1907-1909): 어니스트 섀클턴이 이끌었으며, 남극점에 근접하고 남극 자기 극에 도달했다.[41][42][43]
- 일본 남극 탐험(1910-1912): 시라세 노부가 이끌었으며, 에드워드 7세 랜드 해안을 탐험했다.[45][46]
- 아문센의 남극점 탐험(1910-1912): 로알 아문센이 이끌었으며,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했다.[47][48][49]
- 테라 노바 탐험(1910-1913): 로버트 팰컨 스콧이 이끌었으며, 1912년 1월 17일 남극점에 도달했으나, 귀환 중 대원 전원이 사망했다.[50][51][52]
- 제2차 독일 남극 탐험(1911-1913): 빌헬름 필히너가 이끌었으며, 웨델 해를 탐험하고 루이트폴트 해안을 발견했다.[35][53][54]
- 오스트랄라시아 남극 탐험(1911-1914): 더글러스 모슨이 이끌었으며, 조지 5세 랜드 해안을 탐험하고 지도를 제작했다.[55][56]
- 제국 횡단 남극 탐험(1914-1917): 어니스트 섀클턴이 이끈 탐험대는 남극 대륙 횡단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탐험선 인듀어런스호가 난파된 후 유빙에서 표류하다 극적으로 생환했다.[57][58]
- 로스 해 일행(1914-1917): 에이니어스 매킨토시가 이끈 제국 횡단 남극 탐험 지원대는 로스 해에서 보급 기지를 설치했으나, 대원 3명이 사망했다.[59]
- 섀클턴-로웨트 탐험(1921-1922): 어니스트 섀클턴이 이끌었으나, 섀클턴의 사망으로 탐험은 단축되었다.[60][61]
이 시기의 탐험은 가혹한 환경과 부족한 장비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불굴의 의지와 탐험 정신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3. 1. 주요 탐험 목록
날짜 | 국가 | 탐험 | 선박 | 리더 | 탐험 요약 | 참고 | |
---|---|---|---|---|---|---|---|
1897–1899 | 벨기에 남극 탐험 | 벨지카 | ![]() | 남극권 남쪽에서 최초로 월동한 탐험. 벨지카호가 벨링스하우젠 해에서 얼음에 갇히면서 진행되었다. 남극 관측 자료를 최초로 1년간 수집했다. 남위 71°30'까지 도달했으며 제르라슈 해협을 발견했다. 훗날 1911년에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하는 탐험을 이끌게 될 로알 아문센이 이 탐험대의 제1항해사였다. | [3][20][21] | ||
1898–1900 | 서던 크로스 탐험 | 서던 크로스 | ![]() | 남극 본토(아데어 곶)에서 최초로 월동한 탐험. 개와 썰매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거대한 얼음 장벽을 처음으로 등반했으며,[22] 남위 78°30'에서 최남단 기록을 세웠다. 남극 자기 극의 위치를 계산했다. | [23][24][25] | ||
1901–1904 | 디스커버리 탐험 | 디스커버리 (주요 선박) 모닝 (구조선) 테라 노바 (구조선) | ![]() | 빅토리아 랜드의 서부 산맥을 처음으로 등반, 극지 고원을 발견했다. 남쪽으로 남위 82°17' 지점까지 도달하여 최남단 기록을 세웠다.[26] 많은 지리적 특징들이 발견, 지도화, 명명되었다. 맥머도 해협을 기반으로 한 여러 탐험 중 첫 번째 탐험이다. | [27][28][29] | ||
1901–1903 | 독일 | 가우스 탐험 | 가우스 | ![]() | 동남극을 조사한 최초의 탐험. 카이저 빌헬름 2세 랜드 해안과 가우스 산을 발견했다. 탐험선 가우스호는 얼음에 갇혀 더 이상의 탐험은 불가능했다. | [30][31][32] | |
1901–1903 | 스웨덴 남극 탐험 | 안타르크틱 (주요 선박) ARA 우루과이 (지원 선박) | ![]() | 그레이엄 랜드 동부 해안 지역에서 탐험을 진행했다. 탐험선 침몰 후 스노우힐 섬과 포울레 섬에서 표류하다가, 아르헨티나 해군 선박 ARA 우루과이에 의해 구조되었다. | [33][34][35] | ||
1902–1904 | 스코틀랜드 국립 남극 탐험 | 스코티아 | ![]() | 사우스 오크니 제도에 오르카다스 기지를 설립, 영구적인 기상 관측소로 활용했다. 웨델 해를 남위 74°01'까지 탐험했으며, 코츠 랜드 해안선을 발견하여 웨델 해의 동쪽 경계를 확인했다. | [36][37] | ||
1903–1905 | 프랑스 남극 탐험 | 프랑세 | ![]() | 노르덴셸드 탐험대 구조가 원래 목적이었으나, 남극 반도 그레이엄 랜드 서부 해안과 섬들의 지도 제작 및 측량을 주로 수행했다. 해안 일부를 탐험하고 프랑스 대통령의 이름을 따 루베 랜드로 명명했다. | [38][39][40] | ||
1907–1909 | 님로드 탐험 | 님로드 | ![]() | 섀클턴이 이끈 첫 탐험. 맥머도 해협을 기지로 비어드모어 빙하를 통해 남극점으로 가는 길을 개척, 제한적인 동력 수송 수단을 사용했다. 남쪽으로 남위 88°23' 지점까지 도달, 남극점으로부터 97해리 떨어진 곳에서 최남단 기록을 세웠다. 북부 탐험대는 남극 자기 극 위치에 도달했다. | [41][42][43] | ||
1908–1910 | 프랑스 남극 탐험 | 푸르쿼 파? IV | -- | 벨링스하우젠 해 탐험, 마거리트 만, 샤코 섬, 르노 섬, 미켈센 만, 로스차일드 섬 등 섬과 지형을 발견하며 이전 프랑스 탐험의 성과를 이어나갔다. | [3][44] | ||
1910–1912 | 일본 남극 탐험 | 가이난 마루 | ![]() | 최초의 비유럽 국가 남극 탐험. 에드워드 7세 랜드 해안을 탐험하고, 거대한 얼음 장벽 동부 구역을 조사하여 남위 80°5' 지점에 도달했다. | [45][46] | ||
1910–1912 | 아문센의 남극점 탐험 | 프람 | ![]() | 고래 만의 거대한 얼음 장벽에 야영지를 설치하고, 악셀 하이베르그 빙하를 통해 극지 고원으로 가는 새로운 길을 발견했다. 이 경로를 통해 1911년 12월 14일, 아문센이 이끄는 5명의 탐험대가 지리적 남극점에 최초로 도달했다. | [47][48][49] | ||
1910–1913 | 테라 노바 탐험 | 테라 노바 | ![]() | † | 스콧의 마지막 탐험. 맥머도 해협을 기지로 삼았다. 스콧과 4명의 동료는 1912년 1월 17일, 비어드모어 경로를 통해 지리적 남극점에 도달했으나 아문센보다 33일 늦었다. 5명 모두 남극점으로부터 귀환 도중 기아와 추위로 사망했다. | [50][51][52] | |
1911–1913 | 독일 | 제2차 독일 남극 탐험 | 도이칠란트 | ![]() | 웨델 해와 로스 해 사이의 지리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웨델 해 최남단(남위 77°45')까지 도달, 루이트폴트 해안, 필히너-로네 빙붕, 바젤 만을 발견했다. 육상 기지 설치에 실패하고, 웨델 해에서 장기간 표류 후 사우스조지아 섬으로 귀환했다. | [35][53][54] | |
1911–1914 | 및 | 오스트랄라시아 남극 탐험 | 오로라 | ![]() | 아데어 곶과 가우스 산 사이 남극 해안선 구간에 집중, 해안 및 내륙 지역 지도 제작 및 측량을 수행했다. 커먼웰스 만, 니니스 빙하, 메르츠 빙하, 퀸 메리 랜드 등을 발견했다. | [55][56] | |
1914–1917 | 제국 횡단 남극 탐험 | 인듀어런스 | ![]() | 남극점을 지나 웨델 해와 로스 해 사이를 횡단하려 했으나, 인듀어런스호가 얼음에 갇혀 파괴된 후 웨델 해 해안에 상륙하지 못했다. 이후 유빙에서의 장기간 표류, 코끼리 섬으로의 보트 탈출, 800마일 오픈 보트 항해, 사우스조지아 섬 최초 횡단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스스로를 구조했다. | [57][58] | ||
1914–1917 | 로스 해 일행 (제국 횡단 남극 탐험 지원) | 오로라 | ![]() | † | 웨델 해에서 횡단하는 탐험대를 지원하기 위해 거대한 얼음 장벽에 걸쳐 보급소를 설치하는 것이 목표였다. 필요한 보급소는 모두 설치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리더 매킨토시를 포함한 3명이 사망했다. | [59] | |
1921–22 | 섀클턴-로웨트 탐험 | 퀘스트 | ![]() | † | 해안 지도 작성, 대륙 일주 가능성 타진, 아남극 섬 조사, 해양학 연구 등 불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탐험을 시작했다. 1922년 1월 5일 섀클턴 사망 후, 퀘스트호는 단축된 탐험 일정을 완료하고 귀국했다. | [60][61] |
3. 2. 탐험 중 사망자
탐험 | 이름 | 국적 | 사망일 | 장소 | 원인 | 각주 |
---|---|---|---|---|---|---|
벨기에 남극 탐험 | Carl August Wiencke|카를 아우구스트 빈케no | Norge|노르웨이no | 1898년 1월 22일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 | 배에서 파도에 휩쓸려 익사 | [149] |
Émile Danco|에밀 단코프랑스어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1898년 6월 5일 | 벨링스하우젠 해 | 심장병 | ||
서던 크로스 탐험 | Nicolai Hanson|니콜라이 한센no | Norge|노르웨이no | 1899년 10월 14일 | 아데어 곶 | 장 질환 | [150] |
디스커버리 탐험 | Charles Bonner|찰스 보너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01년 12월 2일 | 뉴질랜드 리틀턴 항구 | 돛대에서 추락 | [151][152] |
George Vince|조지 빈스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02년 3월 11일 | 로스 섬 | 얼음 절벽에서 추락 | ||
스코틀랜드 국립 남극 탐험 | Allan Ramsay|앨런 램지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03년 8월 6일 | 사우스 오크니 제도 | 심장병 | [153] |
테라 노바 탐험 | Edgar Evans|에드거 에번스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2월 17일 | 비어드모어 빙하 | 머리 부상, 기아, 추위 | [154][155][156] [157][158] |
Lawrence Oates|로렌스 오츠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3월 17일 | 로스 빙붕 | 기아와 추위 | ||
로버트 팰컨 스콧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3월 29일 | 로스 빙붕 | 기아와 추위 | ||
Edward Wilson|에드워드 윌슨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3월 29일 | 로스 빙붕 | 기아와 추위 | ||
Henry Bowers|헨리 보워스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3월 29일 | 로스 빙붕 | 기아와 추위 | ||
Robert Brissenden|로버트 브리센던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8월 17일 | 뉴질랜드, 애드미럴티 만 | 익사 | ||
제2차 독일 남극 탐험 | Richard Vahsel|리하르트 바젤de | Deutschland|독일de | 1912년 8월 8일 | 웨델 해 | 매독 | [141][159][160] |
오스트랄라시아 남극 탐험 | Belgrave Ninnis|벨그레이브 니니스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2년 12월 14일 | 조지 5세 랜드 | 크레바스에 추락 | [161] |
Xavier Mertz|자비에 메르츠de | Schweiz|스위스de | 1913년 1월 7일 | 조지 5세 랜드 | 비타민 A 과다증 | ||
제국 남극 횡단 탐험대 (로스 해 지대) | Arnold Spencer-Smith|아널드 스펜서-스미스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6년 3월 9일 | 로스 빙붕 | 추위와 괴혈병 | [162][163] |
에이니어스 매킨토시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6년 5월 8일 | 맥머도 해협 | 해빙 사이로 추락 | ||
Victor Hayward|빅터 헤이워드영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16년 5월 8일 | 맥머도 해협 | 해빙 사이로 추락 | ||
섀클턴-로웨트 탐험 | 어니스트 섀클턴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922년 1월 5일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심장병 | [164] |
4. 영웅 시대의 종말
어니스트 섀클턴의 섀클턴-로웨트 탐험 중 1922년 1월 5일 사망은 남극 탐험의 영웅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사건으로 여겨진다.[171] 섀클턴의 전기 작가인 모글리와 제임스 피셔는 "남극 탐험의 영웅 시대와 기계화 시대 사이에 명확한 선을 그을 수 있다면, 섀클턴-로웨트 원정이 적절한 시점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72]
참조
[1]
문서
Smith, p. 414
[2]
서적
Changing Trends in Antarctic Research
Springer
[3]
문서
Barczewski, pp. 19–20.
[4]
문서
Huntford, p. 691 – "before machines took over."
[5]
웹사이트
British Antarctic Expedition 1910–13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08-12-04
[6]
서적
Captain James Cook and the Royal Society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 24, No. 1
[7]
서적
The Exploration of the Antarctic Regions
Science, Vol. 9, No. 223
[8]
서적
The Royal Society and the Antarctic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London, Vol. 54, No. 1
[9]
문서
Matthew Jarron, Independent & Individualist: Art in Dundee 1867–1924 (Dundee, 2015) chapter 7.
[10]
서적
The Renewal of Antarctic Exploration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3, No. 1
[11]
문서
Crane, p. 75
[12]
서적
'First on the Antarctic Continent'
https://books.google[...]
George Newnes Ltd
2008-08-11
[13]
서적
'First on the Antarctic Continent'
https://books.google[...]
George Newnes Ltd
2008-08-11
[14]
문서
Jones, p. 59
[15]
웹사이트
Mountaineering and Polar Collection – Antarctica
http://www.nls.uk/co[...]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2008-11-19
[16]
문서
Carse, quoted by M. and J. Fisher, p. 389
[17]
웹사이트
Carl Chun Collection
http://www.archivesh[...]
Archive Hub
2008-12-11
[18]
웹사이트
John Lachlan Cope's Expedition to Graham Land 1920–22
http://www.spri.cam.[...]
Scott Polar Research Institute
2008-12-11
[19]
서적
Chronological List of Antarctic Expeditions and Related Historical Ev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Antarctic Explorers – Adrien de Gerlache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2
[21]
문서
Huntford (''Last Place on Earth'') pp. 64–75
[22]
문서
The Great Ice Barrier later became formally known as the [[Ross Ice Shelf]]. The older name has been used in this table in keeping with the nomenclature of the Heroic Age.
[23]
웹사이트
The Forgotten Expedition
http://www.heritage-[...]
Antarctic Heritage Trust
2008-08-13
[24]
서적
Borchgrevink, Carsten Egeberg (1864–1934)
http://www.adb.onlin[...]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Online Edition
2008-08-10
[25]
문서
Preston, p. 14
[26]
문서
Modern recalculations based on analysis of photographs taken at the farthest south location suggest that the actual latitude may have been 82°11'S (see Crane, pp. 214–215).
[27]
문서
Preston, pp. 57–79
[28]
문서
Crane, p. 253 (map); pp. 294–295 (maps)
[29]
문서
Fiennes, p. 89
[30]
웹사이트
Erich von Drygalski 1865–1949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3
[31]
문서
Mill, pp. 420–424
[32]
문서
Crane, p. 307
[33]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Section II: Antarctic Exploration
http://gdl.cdlr.stra[...]
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2008-09-23
[34]
웹사이트
Otto Nordenskiöld 1869–1928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3
[35]
문서
Barczewski, p. 90
[36]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Section 5: The Voyage of the ''Scotia''"
http://gdl.cdlr.stra[...]
Glasgow Digital Library
2008-09-23
[37]
문서
Speak
[38]
서적
Exploring Polar Frontier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3-12-11
[39]
웹사이트
Jean-Baptiste Charcot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4
[40]
문서
Mill
[41]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Section 3: Scott, Shackleton and Amundsen"
http://gdl.cdlr.stra[...]
Glasgow Digital Library
2008-09-24
[42]
문서
Riffenburgh
[43]
문서
Huntford (Shackleton biography)
[44]
웹사이트
Jean-Baptiste Charcot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4
[45]
서적
The South Pole, Vol II
C Hurst & Co
[46]
웹사이트
Nobu Shirase, 1861–1946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4
[47]
문서
Amundsen
[48]
문서
Huntford (Last Place on Earth)
[49]
웹사이트
Roald Amundsen
http://www.norway.or[...]
Norwegian Embassy (UK)
2008-09-25
[50]
문서
Scott's Last Expedition
[51]
문서
Preston
[52]
웹사이트
Explorer and leader: Captain Scott
http://www.nmm.ac.uk[...]
National Maritime Museum
2008-09-27
[53]
문서
Huntford (Shackleton biography)
[54]
웹사이트
Wilhem Filchner, 1877–1957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8
[55]
문서
Mills
[56]
서적
"Mawson, Sir Douglas 1882–1958"
http://www.adb.onlin[...]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2008-09-28
[57]
문서
Shackleton
[58]
문서
Alexander
[59]
문서
Tyler-Lewis
[60]
문서
Huntford (Shackleton)
[61]
문서
Fisher
[62]
서적
Roald Amundsen’s Belgica diary: the first scientific expedition to the Antarctic
[63]
웹사이트
The Southern Cross Expedition
http://www.anta.cant[...]
University of Canterbury, New Zealand
2008-08-10
[64]
문서
Crane
[65]
문서
Crane
[66]
문서
Speak
[67]
문서
Scott
[68]
문서
Scott
[69]
문서
Preston
[70]
문서
Huxley
[71]
문서
Huxley, p. 389
[72]
서적
Encyclopedia of the Antarct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12-12
[73]
서적
Studies in Polar Research: Chronological List of Antarctic Explorations and Related Historical Ev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1-09
[74]
웹사이트
Two of Antarctic Expedition Killed
https://timesmachine[...]
1913-02-26
[75]
문서
Tyler-Lewis, p. 191
[76]
문서
Tyler-wis, pp. 196–97; p. 240
[77]
문서
Alexander, pp. 192–93
[78]
웹사이트
Adrien de Gerlache, Belgica Belgian Antarctic Expedition 1897–1899
http://www.coolantar[...]
Cool Antarctica
2014-02-04
[79]
웹사이트
Norway's Forgotten Explorer
http://www.heritage-[...]
Antarctic Heritage Trust
2008-08-10
[80]
문서
Riffenburgh, p. 304
[81]
문서
Huntford (''Last Place on Earth''), p. 529
[82]
문서
Alexander, pp. 4–5
[83]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Part 3
http://gdl.cdlr.stra[...]
Glasgow Digital Library
2008-12-04
[84]
웹사이트
Antarctic History – The Heroic Age of Antarctic Exploration
http://www.coolantar[...]
Cool Antarctica
2008-11-09
[85]
문서
Fisher, p. 449
[86]
문서
歴史家のアーント・エルジンガは、[[第二次世界大戦]]が南極研究の転換点になったことを考えに入れて、終わりをもっと遅い1945年としている。
[87]
서적
Polar Castaways: The Ross Sea Party of Sir Ernest Shackleton, 1914-1917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88]
서적
Changing Trends in Antarctic Research
Springer
[89]
문서
Barczewski, pp. 19–20. (Barczewski mentions a figure of 14 expeditions)
[90]
문서
Huntford, p. 691 – "before machines took over."
[91]
서적
Antarctica: Exploration, Perception and Metaphor
Routledge
[92]
문서
"Peary's claim to have reached the North Pole in 1909 was widely accepted at the time – see Amundsen, p. 42, Barczewski, pp. 61–62. It later became the subject of dispute – see Berton, pp. 614–625."
[93]
웹사이트
British Antarctic Expedition 1910–13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08-12-04
[94]
서적
Captain James Cook and the Royal Society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 24, No.1
[95]
서적
The Exploration of the Antarctic Regions
Science, Vol. 9, No. 223
[96]
URL
http://life.bio.sunysb.edu/marinebio/challenger.html
http://life.bio.suny[...]
[97]
서적
The Royal Society and the Antarctic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London, Vol. 54, No. 1
[98]
서적
The Renewal of Antarctic Exploration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3, No. 1
[99]
문서
Crane, p. 75
[100]
서적
''First on the Antarctic Continent
https://books.google[...]
George Newnes Ltd
2008-08-11
[101]
서적
''First on the Antarctic Continent
https://books.google[...]
George Newnes Ltd
2008-08-11
[102]
문서
Jones, p. 59
[103]
웹사이트
Mountaineering and Polar Collection – Antarctica
http://www.nls.uk/co[...]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2008-11-19
[104]
문서
Carse, quoted by M. and J. Fisher, p. 389
[105]
웹사이트
Carl Chun Collection
http://www.archivesh[...]
Archive Hub
2008-12-11
[106]
웹사이트
" John Lachlan Cope's Expedition to Graham Land 1920–22"
http://www.spri.cam.[...]
Scott Polar Research Institute
2008-12-11
[107]
웹사이트
" Antarctic Explorers – Adrien de Gerlache"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2
[108]
서적
Huntford (''Last Place on Earth'') pp. 64–75
[109]
문서
The Great Ice Barrier later became formally known as the Ross Ice Shelf. The older name has been used in this table, in keeping with the nomenclature of the Heroic Age.
[110]
웹사이트
The Forgotten Expedition
http://www.heritage-[...]
Antarctic Heritage Trust
2008-08-13
[111]
웹사이트
Borchgrevink, Carsten Egeberg (1864–1934)
http://www.adb.onlin[...]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Online Edition
2008-08-10
[112]
서적
Preston, p. 14
[113]
문서
Modern recalculations based on analysis of photographs taken at the farthest south location suggest that the actual latitude may have been 82°11. See Crane, pp. 214–15
[114]
서적
Preston, pp. 57–79
[115]
서적
Crane, p. 253 (map); pp. 294–95 (maps)
[116]
서적
Fiennes, p. 89
[117]
웹사이트
Erich von Drygalski 1865–1949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3
[118]
서적
Mill, pp. 420–24
[119]
서적
Crane, p. 307
[120]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Section II: Antarctic Exploration
http://gdl.cdlr.stra[...]
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2008-09-23
[121]
웹사이트
Otto Nordenskiöld 1869–1928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3
[122]
서적
Barczewski, p. 90
[123]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Section 5: The Voyage of the ''Scotia''
http://gdl.cdlr.stra[...]
Glasgow Digital Library
2008-09-23
[124]
서적
Speak, pp. 82–95
[125]
서적
Exploring Polar Frontier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3-12-11
[126]
웹사이트
Jean-Baptiste Charcot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4
[127]
서적
Mill, pp. 431–32
[128]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Section 3: Scott, Shackleton and Amundsen
http://gdl.cdlr.stra[...]
Glasgow Digital Library
2008-09-24
[129]
서적
Riffenburgh, pp. 309–12 (summary of achievements)
[130]
서적
Huntford (''Shackleton'' biography) p. 242 (map)
[131]
웹사이트
Jean-Baptiste Charcot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4
[132]
서적
The South Pole, Vol II
C Hurst & Co
[133]
웹사이트
Nobu Shirase, 1861–1946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4
[134]
서적
Amundsen, Vol I pp. 184–95; Vol II, pp. 120–134
[135]
서적
Huntford (''Last Place on Earth''), pp. 446–74
[136]
웹사이트
Roald Amundsen
http://www.norway.or[...]
Norwegian Embassy (UK)
2008-09-25
[137]
서적
Scott's Last Expedition Vol I pp. 543–46, pp. 580–95
[138]
서적
Preston, pp. 184–205
[139]
웹사이트
Explorer and leader: Captain Scott
http://www.nmm.ac.uk[...]
National Maritime Museum
2008-09-27
[140]
서적
Huntford (''Shackleton'' biography), pp. 366–68
[141]
웹사이트
Wilhem Filchner, 1877–1957
http://www.south-pol[...]
South-pole.com
2008-09-28
[142]
문서
Mills, p. 129 et seq.
[143]
웹사이트
Mawson, Sir Douglas 1882–1958
http://www.adb.onlin[...]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2008-09-28
[144]
문서
Shackleton, pp. 63–85
[145]
문서
Alexander, pp. 143–53
[146]
문서
Tyler-Lewis, pp. 193–197
[147]
문서
Huntford (''Shackleton''), p. 684
[148]
문서
Fisher, p. 483
[149]
서적
Roald Amundsen’s Belgica diary: the first scientific expedition to the Antarctic
Bluntisham
[150]
웹사이트
The Southern Cross Expedition
http://www.anta.cant[...]
University of Canterbury, New Zealand
2008-08-10
[151]
문서
Crane, pp. 137–38
[152]
문서
Crane, pp. 165–66
[153]
문서
Speak, pp. 88–89
[154]
문서
Scott, pp. 572–73
[155]
문서
Scott, p. 592
[156]
문서
Preston, pp. 218-219, 203–05
[157]
문서
Huxley, pp. 345–46
[158]
문서
Huxley, p. 389
[159]
서적
Encyclopedia of the Antarct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12-12
[160]
서적
Studies in Polar Research: Chronological List of Antarctic Explorations and Related Historical Ev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1-09
[161]
웹사이트
Two of Antarctic Expedition Killed
http://query.nytimes[...]
1913-02-26
[162]
문서
Tyler-Lewis, p. 191
[163]
문서
Tyler-wis, pp. 196–97; p. 240
[164]
문서
Alexander, pp. 192–93
[165]
웹사이트
Adrien de Gerlache, Belgica Belgian Antarctic Expedition 1897 - 1899
http://www.coolantar[...]
Cool Antarctica
2014-02-04
[166]
웹사이트
Norway's Forgotten Explorer
http://www.heritage-[...]
Antarctic Heritage Trust
2008-08-10
[167]
문서
Riffenburgh, p. 304
[168]
문서
Huntford (''Last Place on Earth''), p. 529
[169]
문서
Alexander, pp. 4–5
[170]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ntarctic, Part 3
http://gdl.cdlr.stra[...]
Glasgow Digital Library
2008-12-04
[171]
웹사이트
Antarctic History – The Heroic Age of Antarctic Exploration
http://www.coolantar[...]
Cool Antarctica
2008-11-09
[172]
문서
Fisher, p. 4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