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비둘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비둘기는 비둘기과에 속하는 작은 새이다. 수컷은 머리가 푸르스름하고 밝은 적갈색 몸에 검은 목 고리를 가지며, 암컷은 전체적으로 회갈색을 띤다.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필리핀, 대만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봄, 가을에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다. 1804년 요한 헤르만에 의해 학명이 부여되었으며, 두 아종이 존재한다. 홍비둘기는 넓은 분포와 큰 개체수를 보이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멧비둘기속 - 염주비둘기
    염주비둘기는 회색빛 베이지색에서 분홍빛 회색을 띠고 목덜미에 검은색 반달 모양 깃이 있는 멧비둘기과에 속하는 중형 비둘기로, 아시아가 원산지이나 20세기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고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 번식하며 특정 지역에서는 상징적인 새로 여겨진다.
  • 멧비둘기속 - 유럽멧비둘기
    유럽멧비둘기는 구북구 서부에 서식하는 몸길이 26~28cm의 작은 철새로, 갈색 몸과 흑백 줄무늬 목이 특징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존이 위협받고 있고 사랑과 헌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대만의 새 - 동박새
    동박새는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길이 약 12cm의 작은 새이며, 녹색 깃털과 흰색 눈 테두리가 특징이고, 꽃꿀, 과실,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조류이다.
  • 대만의 새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홍비둘기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싱가포르의 수컷
싱가포르의 수컷
학명Streptopelia tranquebarica
명명자헤르만, 1804
상태관심 필요
상태_참조IUCN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비둘기목
비둘기과
키지바토속
베니바토
일반 정보 (한국어)
비둘기과
비둘기목
키지바토속
베니바토
학명Streptopelia tranquebarica
명명자헤르만, 1804
한국어 이름베니바토
영어 이름Red Turtle Dove

2. 생김새

홍채, 부리, 다리는 검은색이고 목 뒤에는 검은색 띠가 있다. 날개깃은 흑갈색을 띤다.

수컷은 전체적으로 적갈색이며 머리와 등 부분이 청회색인 반면, 암컷은 수컷보다 색이 흐리고 전체적으로 회갈색을 띤다. 암컷은 염주비둘기보다 꼬리가 짧은 특징이 있다.

2. 1. 수컷

홍비둘기는 비교적 작은 종으로, 몸길이는 20.5cm에서 23cm 사이이며[7] 무게는 약 104g이다. 일본에 서식하는 비둘기류 중에서는 가장 작다.

수컷은 머리, 목, 등, 허리가 청회색이며, 목 뒤에는 검은색 띠가 있다. 몸 아랫면은 밝은 적갈색이다. 날개는 붉은 기운이 도는 회갈색이며, 날개깃은 흑갈색이다. 홍채, 부리, 다리는 검은색이다.

수컷, 방파인 궁전, 태국

2. 2. 암컷

암컷은 전체적으로 수컷보다 색이 흐리며, 분홍빛이 도는 회갈색을 띤다.[7] 언뜻 보면 흰비둘기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으나, 몸집이 더 작고 다리가 짙은 갈색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염주비둘기와 비교하면 꼬리가 더 짧다. 수컷처럼 목 뒤에 검은색 띠가 있으며, 홍채, 부리, 다리 역시 검은색이다.

2. 3. 크기



홍비둘기는 비교적 작은 종으로, 몸길이는 20.5cm 에서 23cm이고 무게는 약 104g이다.[7] 일본에 서식하는 비둘기 종류 중에서는 가장 작은 크기에 속한다.

3. 생태

홍비둘기는 주로 아시아 지역의 평지나 농경지 등에서 서식하며[1][2], 낟알이나 식물종자를 먹고 산다.[1] 일정한 시간에 먹이를 찾고, 활동하지 않을 때는 나무 위나 전깃줄에서 휴식하는 습성이 있다.[1]

3. 1. 서식지

인도, 중국, 인도차이나반도, 필리핀, 대만 등 아시아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1][2] 한국에서는 봄과 가을에 주로 관찰되는 드문 나그네새이다.[1]

기본적으로 평지에 서식하는 종으로, 산림 가장자리나 촌락의 농경지에서 생활한다.[1][2] 타이완과 필리핀까지 분포하지만, 인도네시아 군도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바위가 많은 산기슭은 피하는 경향이 있다.[2] 동양 종으로 분류된다.[2]

일정한 시간에 낟알이나 식물의 종자를 먹고, 나무 위나 전깃줄에서 휴식한다.[1] 번식기가 되면 아프가니스탄의 넓은 경작 계곡으로 여름철 이동을 하기도 한다.[2] 인도에서는 여름철에 이동해 와 비교적 정착해서 사는 편이며, 특히 펀자브 전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비둘기이다.[2] 인도 내에서는 운하 주변이나 길가의 나무 농장처럼 나무가 많은 지역을 선호하며, 넓은 사막 지역은 피한다.[2] 처음 도착했을 때는 작은 무리를 이루지만, 곧 흩어져 짝을 짓고 번식을 시작한다.[2]

3. 2. 먹이

주로 낟알과 식물종자를 먹으며, 일정한 시간에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다.

4. 분류

홍비둘기는 비둘기과(Columbidae) 목도리비둘기속(Streptopelia)에 속하는 조류이다. 현재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되고 있다. 자세한 학명과 아종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학명

홍비둘기는 프랑스 자연학자 요한 헤르만에 의해 1804년에 공식적으로 기술되었으며, 이명법에 따라 Columba tranquebaricalat라는 학명이 부여되었다. 종소명 tranquebaricalat는 남인도 코로만델 해안에 있는 당시 트랑케바르(Tranquebar) 마을, 즉 오늘날의 타랑감바디에서 유래했다.[2][3] 홍비둘기는 현재 프랑스 조류학자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가 1855년에 도입한 인 ''Streptopelia''에 속한다.[4][5] 속명은 "목걸이"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streptos|스트렙토스grc와 "비둘기"를 의미하는 peleia|펠레이아grc가 합쳐진 말이다.[6]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5]

학명명명자 및 연도분포 지역
S. t. humilis템민크, 1824동부 네팔, 북동부 인도티베트 북동부에서 중국 북부 및 필리핀까지
S. t. tranquebarica헤르만, 1804파키스탄, 인도 반도, 서부 네팔


4. 2. 아종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5]

아종 학명명명자 및 연도분포 지역
S. t. humilis템민크, 1824동부 네팔, 북동부 인도티베트 북동부에서 중국 북부 및 필리핀까지
S. t. tranquebarica헤르만, 1804파키스탄, 인도 반도, 서부 네팔


5. 분포

인도, 중국, 인도차이나반도, 필리핀, 대만아시아의 넓은 지역에 서식한다.[1] 한국에서는 봄과 가을에 주로 보이는 드문 나그네새이다.[1] 일본에서는 드문 나그네새 또는 겨울새로, 주로 서일본에 도래한다.[5][6] 주로 산림 가장자리나 마을 주변 농경지 등 평탄한 지역에서 생활한다.[1][2]

5. 1. 전 세계

홍비둘기는 기본적으로 평원 지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타이완과 필리핀까지 분포하지만 인도네시아 군도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바위가 많은 산기슭은 피한다.[1][2] 동양구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다.[3]

여름철에는 번식을 위해 아프가니스탄의 넓은 경작 계곡으로 이동한다.[1] 인도 펀자브 지역에서는 가장 흔한 비둘기이며,[1] 인도에서는 여름철에 이동해 와 비교적 정착해서 살아간다.[1] 운하나 길가의 나무 농장처럼 나무가 많은 지역을 선호하고, 광활한 사막 지역은 피한다.[1] 처음 도착했을 때는 작은 무리를 이루지만, 곧 흩어져 짝을 짓고 번식을 시작한다.[1]

중국 중부에서 중앙아시아 동부 지역에서 번식하는 무리는 겨울을 나기 위해 인도, 동남아시아, 대만으로 이동한다.[3][4] 이동 시에는 떼를 지어 다닌다.[3]

일본에서는 드문 나그네새 또는 겨울새로, 주로 서일본 지역에 도래한다.[5][6] 남서 제도에서는 거의 매년 기록되고 있으며,[7] 일본에서는 대부분 한두 마리씩 관찰된다.[5]

5. 2. 한국

한국에서는 봄과 가을에 주로 관찰되는 드문 나그네새이다. 주로 산림 가장자리나 마을 주변의 농경지에서 생활하며, 정해진 시간에 낟알이나 식물의 씨앗을 먹고 나무 위나 전선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

5. 3. 일본

일본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 또는 겨울새로, 주로 서일본 지역에 도래한다. 남서 제도에서는 거의 매년 기록될 정도로 비교적 꾸준히 관찰되지만, 일본 전체적으로는 대부분 한두 마리씩 소수로 발견된다.

6. 보전 상태

홍비둘기는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개체군의 정확한 크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상당히 큰 규모일 것으로 추정된다. 개체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 속도는 느린 편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홍비둘기를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Streptopelia tranquebarica 2018
[2] 서적 Observationes zoologicae quibus novae complures, aliaeque animalium species describuntur et illustrantur https://biodiversity[...] Amandum Koenig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4] 논문 Coup d'oeil sur les pigeons (quatrième partie) https://biodiversity[...]
[5] 웹사이트 Pigeo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0-02-28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7] 웹사이트 Red Turtle-dove (Streptopelia tranquebarica)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20-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